{{{#!wiki style="margin: -15px -10px -2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43%"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7%; word-break: keep-all"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사관장 (1946~1949) · 국사편찬위원회 사무국장 (1949~1965) | |||||||||||
<nopad> 이승만 정부 | <nopad> 장면 내각 | <nopad> 군정 내각 | <nopad> 박정희 정부 | |||||||||
초대 신석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1965~현재) | ||||||||||
<nopad> 박정희 정부 | <nopad> 전두환 정부 | <nopad> 노태우 정부 | ||||||||||
제1·2대 김성균 | 제3대 최영희 | 제4대 이현종 | 제5대 박영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nopad> 문민정부 | <nopad> 국민의 정부 | <nopad> 참여정부 | <nopad> 이명박 정부 | ||||
제6대 이원순 | 제7대 이성무 | 제8대 이만열 | 제9대 유영렬 | 제10대 정옥자 | ||||||||
<nopad> 이명박 정부 | <nopad> 박근혜 정부 | <nopad> 문재인 정부 | ||||||||||
제11대 이태진 | 제12대 유영익 | 제13대 김정배 | 제14대 조광 | 제15대 김인걸 | ||||||||
<nopad> 윤석열 정부 | ||||||||||||
제16대 허동현 | }}}}}}}}} |
대한민국 제10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 |
<colbgcolor=#003380><colcolor=#fff>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명예교수 정옥자 鄭玉子 | Jung Ok-ja | |
출생 | 1942년 5월 24일 ([age(1942-05-24)]세) |
강원도 춘천시 | |
현직 |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명예교수 |
재임기간 | 제10대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
2008년 3월 8일 ~ 2010년 9월 26일 | |
학력 | 동덕여자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사학 / 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사학 / 석사 · 박사) |
가족 | 남편 유덕상, 슬하 2남 1녀 |
경력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조교수·부교수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규장각 관장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한국고전번역원 기획편집위원 유네스코 문화분과위원 외교통상부 외규장각도서문제 자문위원 문화관광부 정책자문위원 서울역사박물관 운영자문위원 국새자문위원회 위원장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명예교수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 (제10대 / 이명박 정부) |
수상 | 황조근정훈장 (2012)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역사학자, 교수, 사회운동가, 최초의 서울대학교 여성 국사학과 교수,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2. 생애
1942년 춘천에서 태어나 국민학교, 중학교를 졸업한 뒤 서울의 동덕여자고등학교에 수석으로 입학한다.고3 시절 학생회장을 맡으며 4.19 혁명 당시 시위에 참여한다.
동덕여고를 졸업한 뒤 서울대학교 사학과에 진학해 졸업 후 10년 간 전업주부의 길을 걷는다.
그러나 대학 생활의 경험과 성취감을 바탕으로 다시 공부에 뛰어들어 최초의 여성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교수가 되었다.
처음 교수가 됐을 무렵 사회는 물론 학내에서도 여교수를 바라보는 시선이 곱지만은 않았고 한동안은 같이 점심을 먹을 사람이 없어 끼니를 거르기도 하였다.
동료 교수들의 냉대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오히려 학생들에게 눈을 돌려 1980년대 학생 운동을 하다 연행된 제자들을 보호하는데 앞장섰다.
1986년에는 전두환 정권 연장에 반대하는 서울대학교 교수 시국선언을 주도하기도 했다.
이때 얻은 그녀의 별명이 '운동권의 어머니'이다.
이후 1999년 4년 간 여성으로서는 처음으로 서울대학교 규장각 관장을 지냈다.
2007년 서울대학교 교수 퇴임식에서 서울대를 향해 쓴소리를 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1년 뒤 2008년 이명박 정부의 첫 국사편찬위원회 위원장에 내정되며 국사편찬위원회 역사상 최초의 여성 위원장이 탄생했다.
이후 2년 6개월 간 재임하다 임기 도중 사표를 제출하며 퇴임했다.
박근혜 정부 2015 개정 교육과정 역사 교과용도서 국정화 논란에 대해서는 "국정을 취소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라며 비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