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베니스 영화제 | ||||
- | → | 제1회 (1932년) | → | 제2회 (1934년)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text-align:center; 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파일:베니스 영화제 로고 2.png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top: -5px; min-width: 33%" {{{#!folding [ 역대 영화제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colbgcolor=#fff,#666> 1930년대 | 1회 |
1980년대 | 37회, 38회, 39회, 40회, 41회, 42회, 43회, 44회, 45회, 46회 | |
1990년대 | 47회, 48회, 49회, 50회, 51회, 52회, 53회, 54회, 55회, 56회 | |
2000년대 | 57회, 58회, 59회, 60회, 61회, 62회, 63회, 64회, 65회, 66회 | |
2010년대 | 67회, 68회, 69회, 70회, 71회, 72회, 73회, 74회, 75회, 76회 | |
2020년대 | 77회, 78회, 79회, 80회, 81회 |
}}} ||
1932년 제1회 베네치아 국제 영화제 | |
▲ 공식 포스터 | |
개최기간 | 1932년 8월 6일 ~ 8월 21일 |
개최장소 | 이탈리아 베네치아 리도 섬 호텔 엑셀시오르 Hotel Excelsior |
개막작 | 《지킬 박사와 하이드》 |
1. 개요
1ª Mostra internazionale d'arte cinematografica di Venezia1932년 8월 6일부터 21일까지 개최된 첫 번째 베니스 국제 영화제. 제18회 베네치아 비엔날레의 일환으로 진행되었다.
베니스 국제 영화제는 당시 베네치아 비엔날레의 회장이었던 주세페 볼피 백작, 사무총장이었던 조각가 안토니오 마라이니, 그리고 국제교육영화연구소의 사무총장 루치아노 드 페오의 아이디어에서 탄생했다. 이 아이디어는 이탈리아 당국의 강력한 지원을 받아 최초의 국제 영화제로 실현되었다. 루치아노 드 페오가 영화제의 초대 사무총장이자 선발위원을 맡았다.
영화제는 베네치아 리도 섬 호텔 엑셀시오르의 테라스에서 개최되었다.
2. 상영작
체코슬로바키아 | ||
제목 | 원제 | 감독 |
산에서, 광산에서 | Po horách, po dolách | 카를 플리카 |
프랑스 | ||
제목 | 원제 | 감독 |
우리에게 자유를 | À nous la liberté | 르네 클레르 |
데이비드 골더 | David Golder | 줄리앙 뒤비비에르 |
아자이스 | Azaïs | 르네 에르빌 |
학생들의 호텔 | Hôtel des étudiants | 빅토르 투르얀스키 |
법의 이름으로 | Au nom de la loi | 모리스 투어너 |
광산과 불의 노래 | Le chant de la mine et du feu | 장 브누아 리비 |
파테 일보[1] | Pathé journal | - |
독일 | ||
제목 | 원제 | 감독 |
이탈리아 | ||
제목 | 원제 | 감독 |
네덜란드 | ||
제목 | 원제 | 감독 |
폴란드 | ||
제목 | 원제 | 감독 |
영국 | ||
제목 | 원제 | 감독 |
미국 | ||
제목 | 원제 | 감독 |
그들을 살려서 데려오라 | Bring 'Em Back Alive | 클라이드 E. 엘리엇 |
부서진 자장가 | Broken Lullaby | 에른스트 루비치 |
지킬 박사와 하이드[개막작] | Dr. Jekyll and Mr. Hyde | 루벤 마모울리언 |
포비든 | Forbidden | 프랭크 카프라 |
프랑켄슈타인 | Frankenstein | 제임스 웨일 |
그랜드 호텔 | Grand Hotel | 에드먼드 굴딩 |
이상한 막간극 | Strange Interlude | 로버트 Z. 레오나드 |
챔프 | The Champ | 킹 비더 |
군중의 포효 | The Crowd Roars | 하워드 혹스 |
데블 투 페이 | The Devil to Pay | 조지 피츠모리스 |
마델론의 비극 | The Sin of Madelon Claudet | 에드가 셀윈 |
노란 티켓 | Yellow Ticket | 라울 월시 |
소련 | ||
제목 | 원제 | 감독 |
인생의 길 | Путёвка в жизнь | 니콜라이 에크 |
고요한 돈강 | Тихий Дон | 올가 프레오브라젠스카야, 이반 프라보프 |
대지 | Земля | 알렉산드르 도브젠코 |
3. 수상
제1회 영화제에서는 아직 심사위원이 없어 경쟁부문도 없었다. 대신 영화제에 참여한 관객들을 대상으로 투표를 진행해 6개의 비공식 상을 선정했다.- 가장 재미있는 영화: 르네 클레르 - 《우리에게 자유를》
- 가장 독창적인 영화: 루벤 마모울리언 - 《지킬 박사와 하이드》
- 가장 감동적인 영화: 에드가 셀윈 - 《마델론의 비극》
- 기술적으로 뛰어난 영화: 레온틴 세이건 - 《제복의 처녀》
- 감독상: 니콜라이 에크 - 《인생의 길》
- 남우주연상: 프레드릭 마치 - 《지킬 박사와 하이드》
- 여우주연상: 헬런 헤이즈 - 《마델론의 비극》
4. 이모저모
- 제2회 영화제는 베네치아 비엔날레처럼 2년 후인 1934년에 개최되었다. 매년 개최하게 된 것은 제3회부터.
- 1992년 제49회 영화제에서는 60주년 기념으로 "베네치아 1932 - 영화는 예술이 된다"[2]라는 이름의 회고전이 열렸다.
5. 외부 링크
- 베네치아 비엔날레 웹사이트 #
- 이탈리아어 위키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