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EAA7A 0%, #BCB886 20%, #BCB886 80%, #AEAA7A);"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dfdf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초대2 | 제4대 | 제4대 |
프레더릭 뮬렌버그 (1대,3대) | 조너선 트럼불 주니어 (2대) | 프레더릭 뮬렌버그 (1대,3대) | 조너선 데이턴 (4대,5대) | 시어도어 세즈윅 (6대)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7대2 | |
나다니엘 메이컨 (7대,8대,9대) | 조셉 브래들리 바넘 (10대,11대) | 헨리 클레이 (12대,13대,14대,15대,16대,18대) | 랭던 체브스 (13대) | 헨리 클레이 (12대,13대,14대,15대,16대,18대) | |
제9대 | 제10대 | 제7대3 | 제9대2 | 제11대 | |
존 W. 테일러 (16대,19대) | 필립 펜들턴 바버 (17대) | 헨리 클레이 (12대,13대,14대,15대,16대,18대) | 존 W. 테일러 (16대,19대) | 앤드루 스티븐슨 (20대,21대,22대,23대) |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존 벨 (23대) | 제임스 K. 포크 (24대,25대) | 로버트 M. T. 헌터 (26대) | 존 화이트 (27대) | 존 휘스턴 존스 (28대)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제21대 | |
존 웨슬리 데이비스 (29대) | 로버트 찰스 윈트롭 (30대) | 하웰 콥 (31대) | 린 보이드 (32대,33대) | 너새니얼 P. 뱅크스 (34대) |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제26대 | |
제임스 로렌스 오르 (35대) | 윌리엄 페닝턴 (36대) | 갈루샤 A. 그로우 (37대) | 스카일러 콜팩스 (38대,39대,40대) | 시어도어 M. 포메로이 (40대) |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
제임스 G. 블레인 (41대,42대,43대) | 마이클 C. 커 (44대) | 새뮤얼 J. 랜달 (44대,45대,46대) | 조셉 워렌 키퍼 (47대) | 존 G. 칼라일 (48대,49대,50대) | |
제32대 | 제33대 | 제32대2 | 제34대 | 제35대 | |
토마스 브래킷 리드 (51대,54대,55대) | 찰스 프레더릭 크리스프 (52대,53대) | 토마스 브래킷 리드 (51대,54대,55대) | 데이비드 B. 헨더슨 (56대,57대) | 조셉 거니 캐넌 (58대,59대,60대,61대) | |
제36대 | 제37대 | 제38대 | 제39대 | 제40대 | |
챔프 클락 (62대,63대,64대,65대) | 프레더릭 H. 질레트 (66대,67대,68대) | 니콜라스 롱워스 (69대,70대,71대) | 존 낸스 가너 (72대) | 헨리 토마스 레이니 (73대) | |
제41대 | 제42대 | 제43대 | 제44대 | 제43대2 | |
조 번스 (74대) | 윌리엄 B. 뱅크헤드 (74대,75대,76대) | 샘 레이번 (76대,77대,78대,79대,81대,82대,84대,85대,86대,87대) | 조셉 W. 마틴 주니어 (80대,83대) | 샘 레이번 (76대,77대,78대,79대,81대,82대,84대,85대,86대,87대) | |
제44대2 | 제43대3 | 제45대 | 제46대 | 제47대 | |
조셉 W. 마틴 주니어 (80대,83대) | 샘 레이번 (76대,77대,78대,79대,81대,82대,84대,85대,86대,87대) | 존 W. 매코맥 (87대,88대,89대,90대,91대) | 칼 앨버트 (92대,93대,94대) | 팁 오닐 (95대,96대,97대,98대,99대) | |
6 제48대 | 제49대 | 제50대 | 제51대 | 제52대 | |
짐 라이트 (100대,101대) | 톰 폴리 (101대,102대,103대) | 뉴트 깅리치 (104대,105대) | 데니스 해스터트 (106대,107대,108대,109대) | 낸시 펠로시 (110대,111대,116대,117대) | |
제53대 | 제54대 | 제52대2 | 제55대 | 제56대 | |
존 베이너 (112대,113대,114대) | 폴 라이언 (114대,115대) | 낸시 펠로시 (110대,111대,116대,117대) | 케빈 매카시 (118대) | 마이크 존슨 (118대) | |
← 역대 미합중국 연합회의의장 | }}}}}}}}}}}}}}} |
존 배이너 관련 틀 | ||||||||||||||||||||||||||||||||||||||||||||||||||||||||||||||||||||
|
<colbgcolor=#aeaa7a><colcolor=#fff> 미합중국 제53대 하원의장 존 베이너 John Boehner | |
본명 | 존 앤드류 베이너 John Andrew Boehner |
출생 | 1949년 11월 17일 ([age(1949-11-17)]세) |
오하이오 주 리딩 | |
재임기간 | 제53대 연방하원의장 |
2011년 1월 5일 ~ 2015년 10월 29일 | |
배우자 | 배우자 데보라 건랙 |
자녀 | 슬하 2녀 |
학력 | 제이비어 대학교 (경영학 / B.A.) |
종교 | 가톨릭 |
정당 | |
의원 선수 | 13 (하원) |
약력 | 오하이오 제8구 연방 하원의원 하원 공화당 의원 총회 의장 공화당 하원 원내대표 제53대 연방 하원의회 의장 |
SNS |
미국 의회 공식 초상화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제53대 연방하원의회 의장이자 13선 하원의원이었으며 2011년부터 2015년까지 하원의장으로 활동한 뒤, 2015년 9월 25일, 갑작스럽게 하원의장 사퇴 및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 10월 29일, 후임 하원의장으로 선출된 폴 라이언에게 하원의장직을 넘기고 이틀 후 하원의원직에서도 사임해 정계를 떠났다.공화당 출신으로, 오하이오 주를 정치적 배경으로 오랫동안 미국 정가에서 활동하였다. 오하이오 주 남쪽 소도시인 레딩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운 집안 사정에 식당 웨이터, 술집 종업원까지 하면서 어렵사리 대학을 졸업해 지역에서 작은 사업체를 운영하기도 했다. 하원 의장 취임 후 연설에서 이 어려웠던 시절 기억을 회고하면서 눈물을 훔치기도 했다.#
2. 정치
유년시절에는 집안의 정치적 성향[1]의 영향을 받아 민주당을 지지했었지만 취업 후 첫 월급에서 세금이 뭉텅(...) 빠져나가는 것을 보면서 분노해 공화당 지지자로 유턴했다고 한다. 이후 1985년부터 오하이오 주 의회 하원의원으로 활동하며 정계에 입문하게 됐고 1990년 오하이오 주 제8선거구에 공화당의 공천을 받아 출마해 61.1%를 득표하며 당선, 본격적인 정치 활동을 시작했다.정계 입문 후 얼마 되지 않은 1992년, 릭 샌토럼 등 초선의원 6명과 함께 하원 의사당 내 위치한 은행과 우체국에서 벌어진 비리 사건을 파헤치면서 전국적인 명성을 얻게 됐으며, 1994년 중간 선거에서는 뉴트 깅리치 원내 대표와 함께 세금 감면 및 행정부 규모 축소를 골자로 한 ‘미국과의 계약’(Contract with America) 공약 입안에 참여해 대승을 이끌었다. 이 덕분에 깅리치가 하원의장에 취임한 후 본인도 하원 공화당 의원 총회 의장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그러나 1996년, 민주당의 빌 클린턴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고 여러차례 그 발목을 잡아온 깅리치 하원의장의 이미지가 악화되자 1997년 여름, 빌 팩슨 공화당 전국위원회 의장과 함께 깅리치의 사퇴를 요구했다. 그러나 깅리치는 강력하게 거부했고, 다수당 원내대표를 맡고 있던 딕 메이 등 공화당 지도부의 공감을 얻어내지 못해 실패했다. 결국 이 책임을 지고 빌 팩슨 의장이 사임해야 했으며 뒤이은 1998년 중간 선거에서 다시 공화당이 승리했지만 이 사건의 영향으로 깅리치는 데니스 해스터트에게 하원의장 직을 넘겨줘야 했으며 베이너 본인도 하원 공화당 의원 총회 의장 경선에서 패배해 자리를 내줘야했다.
이후 2001년부터 2006년까지 하원 노동교육위원회 상임위원장으로 활동했고, 2005년 톰 딜레이 다수당 원내 대표가 개인 부패 문제로 인해 사임하자 경선에서 로이 블런트 원내총무와 대결하여 122표를 획득하며 13표차로 승리, 드디어 다수당 원내대표직에 오를 수 있었다. 하원 노동교육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할 당시 민주당의 에드워드 케네디 상원의원과 함께 공교육 개혁 법안인 '낙제학생 방지법안(No Child Left Behind Act)'을 입법, 초당적 지지로 통과시켜 주목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2006년 중간 선거에서 조지 W. 부시 행정부가 반복된 국내 실정과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문제로 국민들의 신임을 잃으면서 공화당이 하원에서 12년만에 패배하고 말았고 베이너 역시 민주당의 낸시 펠로시에게 하원의장 경선에서 패하며 원내대표직 유지에 만족해야 했다.
2008년 버락 오바마 행정부로 정권이 민주당에게 넘어간 후, 2010년 중간 선거에서 티 파티 등을 중심으로 기존 민주당지지 성향의 남부, 중서부 농촌이 대거 공화당을 지지하며 압도적인 승리를 거두게 됐으며[2], 드디어 원내대표 직에 오른지 6년만인 2011년 공화당 하원의원의 만장 일치로 낸시 펠로시를 누르고 제53대 미국 연방하원의장으로 취임하게 되었다.
2.1. 제53대 연방하원의장 취임 이후
낸시 펠로시 원내대표에게 의사봉을 넘겨받는 존 베이너 하원의장 |
2011년 1월 5일, 112대 미국 의회가 공식 개원함에 따라 하원의장 선출 투표에서 공화당 하원의원 241명 전원의 찬성을 받아 공식적으로 하원의장 자리에 오르게 됐다. 관례에 따라 선출 후 소수당 원내대표가 된 민주당 낸시 펠로시 전 하원의장에게 의사봉을 전달받았으며 샘 레이번 전 하원의장 이후 처음으로 다수당 원내대표, 소수당 원내대표를 모두 거쳐본 최초의 하원 의장이 되었다.
하지만 하원의장 취임 이후로는 가시밭길을 걷게 됐다. 베이너 자신은 표결권 직접 행사를 최소화하면서 소극적 의장 역할 수행에 집중하고자 했지만, 2010년 선거에서 대승에 기여한 자유지상주의 단체인 티 파티 등 포퓰리즘 성향의 보수 단체의 영향력이 당 내에서 강해지면서 당 자체가 우경화 경향을 띄게되면서 론 폴, 사라 페일린 등에게 지나치게 민주당과 타협적이라며 하원의장 임기 내내 당으로부터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 받았다.
그 영향인지 버락 오바마 행정부와는 정부 규모 축소 및 감세, 특히 오바마케어 문제로 임기 내내 충돌했는데 법이 제정된 2010년부터 2014년까지 무려 60여 회나 오바마케어 폐지를 시도했으나 소수여당인 민주당의 강한 반대와 공화당 내 배반표 단속에 실패하여 무위로 돌아갔다. 특히 재선 선거 직후 재정 절벽 및 시퀘스터 문제를 두고 극한까지 대립하면서 정부 부분 폐쇄까지 이뤄졌으나 여론 및 신용사들의 압박에 못이겨 오바마와 타협안을 만들었다.
그런데 2013년 1월 1일에 오바마 행정부와 재정절벽 관련 타협안을 통과시킨 후 허리케인 샌디 피해를 대응하기 위한 6천만불 규모의 지원안 표결을 앞두고 갑자기 휴회를 선언했는데, 이때문에 민주당 뿐만 아니라 북동부 지역 공화당 의원들과 공화당 소속 뉴저지 주지사 크리스 크리스티의 비판까지 받았다.# 결국 베이너는 차후 반드시 지원안을 통과시킬 것이라고 약속해야만 했다. 결국 3일 뒤인 1월 4일, 하원을 통과했다.
2015년 9월 25일, 프란치스코 교황의 의회 연설이 있었던 다음날 갑작스럽게 연방 하원의장직 사임을 발표했는데 2014년 중간선거 이후 더 심해진 버락 오바마 행정부와 공화당이 장악한 의회 간 갈등을 중재할 수 없어라고 한다. 10월 있었던 후임 하원의장 선출 선거에서 폴 라이언 하원의원이 승리하면서 자리를 넘기고 같은 날 의원직에서도 사퇴해 정계를 완전히 은퇴하게 되었다.
3. 정계 은퇴 이후
은퇴 이후에는 미국 내 2위 담배회사인 레이놀즈 아메리칸의 임원으로 취직하였다.1 이후 공화당 내 정치 원로로서 2016년 대선 경선에서 테드 크루즈를 루시퍼라고 표현하면서 비토했고, 도널드 트럼프가 공식적으로 당내 후보로 지명받자 당 중진 중에는 이례적으로 공식적인 지지 의사를 표명했다.2하지만 2017년 1월 공식적으로 대통령에 취임한 트럼프 행정부가 이후 좌충우돌 행보를 보이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해 "완전한 재앙"이라고 비판했고 공화당은 낮잠을 자고 있으며 트럼프당만이 남았다고 발언했다. 2020년 대선에서는 아예 지지 의사 표명을 포기했다. 그래서 공화당 지지층에게서 간간히 RINO라고 비판받는 중이다.
다만 이후 밝히기로는 2020년 대선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에게 투표했다고 했다고 한다. 트럼프의 부정선거 주장 등에 동의하는건 아니지만 대통령의 연방 법관 지명 권한이 보수 진영에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투표했다고 한다.#
2022년 12월 14일에는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의 의회 공식 초상화 제막식에 함께 자리하고 축사를 남겼다.
4. 선거 이력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1990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오하이오 8구 | | 99,955 (61.12%) | 당선 (1위) | 초선 |
1992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76,362 (73.98%) | 당선 (1위) | 재선 | ||
1994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48,338 (100.00%) | 당선 (1위) | 3선[3] | ||
1996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65,815 (70.28%) | 당선 (1위) | 4선 | ||
1998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27,979 (70.75%) | 당선 (1위) | 5선 | ||
2000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79,756 (70.96%) | 당선 (1위) | 6선 | ||
2002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19,947 (70.81%) | 당선 (1위) | 7선 | ||
2004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201,675 (69.01%) | 당선 (1위) | 8선 | ||
2006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36,863 (63.80%) | 당선 (1위) | 9선 | ||
2008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202,063 (67.90%) | 당선 (1위) | 10선 | ||
2010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42,731 (65.64%) | 당선 (1위) | 11선[4] | ||
2012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246,378 (99.22%) | 당선 (1위) | 12선 | ||
2014 | 미국 연방하원의원 선거 | 126,539 (67.19%) | 당선 (1위) | 13선[5] |
5. 여담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의 임기 말 레임덕을 풍자한 영상에 출연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