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5:58:10

주블

<colbgcolor=#c71e00> 파일:TheAmazingDigitalCircus.webp
주요 등장인물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폼니|
파일:폼니 2d.png
]]'''
'''[[래거사|
파일:래거사 2d.png
]]'''
'''[[잭스(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
파일:잭스 2d.png
]]'''
'''[[갱글|
파일:갱글 2d.png
]]'''
'''[[킹어|
파일:킹어 2d.png
]]'''
'''[[주블|
파일:주블 2d.png
]]'''
'''[[케인(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
파일:케인 2d.png
]]'''
'''[[버블(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
파일:2DBubble.webp
]]'''
래거사 잭스 갱글 킹어 주블 버블
그 외 등장인물은 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등장인물 문서 참조
}}}}}} ||
<colcolor=#ffffff> 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의 등장인물
주블
Zooble
파일:주블.png
{{{#!wiki style="margin: -6px -10px"
<colbgcolor=#6d6ade> 본명 불명
성별 주블[1]
나이 22.5세[2]
등장 작품 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
성우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애슐리 니콜스[3]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불명(공식), 나금이라는 닉네임 유저(칩스 비공식 더빙#)
1. 개요2. 특징
2.1. 비주얼2.2. 성격
3. 작중 행적
3.1. 1화 파일럿 에피소드(PILOT)3.2. 2화 캔디 캐리어 카오스(Candy Carrier Chaos!)3.3. 외전 에피소드
4. 여담

[clearfix]

1. 개요

Welcome to your new home. And your new body.
이제부터 여기가 네 집이야. 그것도 네 몸이고.
어메이징 디지털 서커스의 등장인물.

2. 특징

2.1. 비주얼

파일:zooble16x9.jpg
여러 가지 입체 도형을 이어 붙인 것 같은 모습의 인간으로 Gooseworx가 애용하는 삼각형 두상의 캐릭터이다. 신체 부위는 분리할 수 있으며, 독단적으로 움직이게 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또한 자기 몸 일부가 엉뚱한 위치에 있는 것을 싫어한다.[4] 다리가 몸통 아래가 아닌 몸통 아래쪽 양 옆에 붙어있다 보니 뒤뚱뒤뚱 걷는듯한 모양새다.## 주블은 부품을 매번 갈아끼우며 새로운 시도를 한다고 한다.

폼니 다음으로 디지털 서커스에 온 지 얼마 안 된 두 번째 신참이라고 한다.

2.2. 성격

Speak for yourself. If anyone needs me, then %$!# off.
직접 물어봐. 누가 나 찾거든, 그냥 %$!#까라 해.[5]
파일럿에서, 폼니케인이 한말이 무슨말인지 전혀 모르겠다고 묻자
극도로 시니컬하며[6], 잭스가 자신의 팔 한쪽을 떼서 효자손으로 쓰자 그 팔로 목을 졸라 반격하는 등 호락호락하지 않은 성격. 그러나 전체적인 태도를 보면, 잭스처럼 무례하거나 폐를 끼치는게 아니라면 까칠하게까지는 굴지 않는 듯하다.[7]

작중 내내 잭스와는 다른 방향으로 시니컬함을 드러내고 2편에서 일행들이 캔디 캐니언 왕국에서 모험을 하는 동안 혼자 디지털 서커스에 남는 등 비중은 가장 없는 편이지만, 사실 추상화가 되어버린 카우프모를 기리기 위한 장례식을 준비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보기보다 정이 많은 츤데레 성격이라는 것이 드러났다. 울다가도 카우프모와의 좋은 추억을 떠올릴 때는 잠시 웃음을 짓던 래거사, 갱글이나 비교적 담담하게 추모하던 킹어와 다르게, 추모하는 내내 뭔가 미안한듯 슬픈 표정만 짓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사실 카우프모가 추상화 된게 주블의 탓은 아니지만 래거사가 폼니를 신경써준 것처럼 다른 단원들이 조금이나마 관심을 가지고 신경을 써줬더라면 카우프모의 추상화를 막을수도 있었을 일이기에 그가 미쳐가고 있단걸 눈치채지 못하고 신경써주지 못해 미안해 하는 것으로 보인다.

3. 작중 행적

3.1. 1화 파일럿 에피소드(PILOT)

모든 것을 훔쳐서 달아나는 글로잉크들 때문에 온몸이 조각조각 분리되어 버리는 고초를 겪는다. 이후 추상화된 카우프모의 난동으로 인해 빠져나온 뒤 카우프모가 추상화된 것에 대해 그렇게 포기할 줄은 몰랐다며 조금 안타까워한다. 그리고 킹어에게 "욕하는 건 아니지만, 난 네가 다음이 될 거라고 생각했어"라고 말하고, 거기에 킹어는 고맙다고 답한다.[8]

3.2. 2화 캔디 캐리어 카오스(Candy Carrier Chaos!)

왼쪽 뿔과 가슴장식, 왼쪽 팔, 오른 다리의 부품이 바뀌어 있는 상태로 등장했다. 케인이 말한 모험의 내용을 듣고는 싫어라고 단호히 말하고는 가버린다. 케인이 새 AI를 도입했고 몰입감이 57배는 높을거라며 다시 한번 권하지만 그래도 싫다며 떠나버린다.

때문에 본편에선 내내 등장하지 않았지만, 그동안 카우프모의 장례식을 준비하고 있었던 걸로 밝혀지며 마지막에는 일행들과 함께 카우프모를 추모한다.

3.3. 외전 에피소드

뮤지컬 광고에서도 시니컬하게 바보같다며 노래를 안부르고 뻗댄다. 그러자 케인은 "우우, 재미 없다!" 라며 주블을 잡아 얼렁 불러보라고 닥달하며 이리저리 흔들어대는데, 이때 괴로워하며 몸의 부품들이 떨어져 나가는 수모를 겪는다.

그 직후 다음 차례인 잭스가 "주블 파트는 끔찍하데요, 연기도 너무 못봐주겠어요. 저 팔다리들 못고치길 아주아주 빌게요." 라는 약올리는 노래를 부르자 날아와 몸통 박치기를 시전하며 같이 무대 뒤로 떨어진다.

4. 여담

  • 초기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이 살짝 다르다.
  • 의외로 구스웍스가 두번째로 좋아하는 캐릭터라고 한다.
  • 외국에서는 주블과 카메라와 관련한 밈이 있다 예시
  • 3화주블의 에피소드가 될것으로 밝혀졌다.
  • 파일럿 에피소드에서 공개 된 주블과 주블의 방 문의 초상화 속 모습, 즉 착용중인 부품이 다르다. 정황상 디지털 서커스에 처음 들어왔을때 이 모습으로 들어왔고 저 모습을 토대로 초상화가 만들어졌으나 이후 부품을 바꿔왔음에도 초상화는 처음 모습으로 고정된 것으로 추정된다.
  • 래거사와 정 반대로 최악의 포옹을 할 것이라고 한다.
  • 아래는 구스웍스의 문답을 통해 공개된 주블에 대한 가십이다.
    • 구스웍스가 말하길 주블은 "가능하다면" 대마초를 피울 것이라고 한다.
    • 글리치X 2023에서 밝히길 주블의 부품은 에피소드마다 교체될 예정이며 삼각형 머리와 콩 모양 몸체는 유지 할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구스웍스가 공개한 이미지를 통해 부품이 교체 된 모습이 확인 되었다.
    • 구스웍스가 최초로 디자인한 캐릭터중 하나이며, 또한 가장 즐겁게 디자인한 캐릭터라고 한다.[9]
    • 주블의 외형은 "zolo-a-go-go-Play 조각 세트"가 모티브이며 이름은 다른 장난감 시리즈인 "Zoobs"에서 따왔다고 한다.
    • 드럼을 연주할 수 있다고 한다.
    • 서커스에 갇히기 전에는 타투 아티스트였다고 한다.
    • 단원들 중 최고의 바텐더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 핀 뱃지의 배경으로 보아, 주블의 방에는 자신의 몸 부품들을 정리해 놓은 상자가 있다는걸 확인할수있다.[10]
  • 공식 스토어에서 판매하고 있는 주블 인형은 재밌게도 몸의 파츠들을 자유자재로 뗄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된 뮤지컬 에피소드에서도 케인이 이를 강조하기 위해서인지 주블을 마구잡이로 흔들어 분리시키는 광경을 볼 수 있다.

[1] 공식 피셜 따로 별개의 성별로 속해 있다고 한다.# 논바이너리와 비슷한 개념. 파일럿 에피소드에 나온 여섯 단원들 중 유일하게 성별이 불명이다. Gooseworx가 본인의 트위터에 올린 그림에서도 성별 분류가 확실하게 된 다른 5명[11]과 달리 주블은 주블로 따로 분류되어 있다. 다만 어째서 그런 식으로 분류했는지는 불명. 일단 포르투갈어를 제외하면, 영어뿐만이 아닌 다른 모든 국가의 더빙 버전에서도 주블의 성우는 여성이 맡고 있긴 한데, 그것만으로는 현실 세계의 주블이 정확히 어떤 상황인지 알 수 없다.[12][2] 잭스와 동갑이지만 반 살 더 많다.#[3] 전문 성우가 아닌 애니메이터로, 이전에 해즈빈 호텔의 파일럿과 여러 애니메이션에 참여한 경력이 있다. 거기에 잭스의 성우인 마이클 코바치와는 연인 사이.[4] 캐릭터 소개 영상에서 양쪽 뿔의 위치가 뒤바뀐 채 끼워져 있자, 인상을 찌푸리더니 다시 고쳐 끼웠다.[5] 공식 더빙판: "그건 생각이고. 잘들 놀아~ 나 찾으면 죽여버린다..."[6] 파일럿에서 폼니를 제외하면 가장 많이 욕설을 시도했다.[7] 이를 증명하듯 디지털 서커스에 처음 들어와 혼란스러운 폼니에게 깐족거리는 잭스에게 닥치라고 말하지만, 잭스의 말이 틀린건 아니라며 나름 부드럽게, 하지만 안심시키기 보단 사실대로 사실을 알려주며 현실을 직시하라는 방식을 보인다. 중요한 것은 지루하거나 한심하다는 듯한 평소의 반 쯤 감은 눈이 아니라, 눈을 동그랗게 뜨고 마치 표정을 푼 상태에서 폼니에게 이를 설명해준 것으로 새로 들어온 폼니의 사정을 이해하고 주블 나름대로 친절하게 군 것을 알 수 있다. 이어서 폼니의 환영식이랍시고 진행된 실내 모험 때문에 자신이 수모를 겪었음에도 폼니가 보이지 않자 대충 "폼니 때문에 이 짓거리를 당했는데 그 애는 여기에 없다고?!" 라며 억울한 듯 화를 내는데, 이 역시 주블 입장에선 어쩌고보면 폼니 때문에 생긴 일인데 폼니는 이를 해결하지도 않고 있는 민폐를 끼친 일이라 화를 낸 것.[8] 가장 오래 있었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한 거지만 당사자 앞에서 이러는 주블의 성격이나, 맥락을 이해하지 못하는 킹어나 정말 정신이 아득해진다.[9] 90년대 장난감을 좋아하기 때문이라고...[10] 구스웍스가 밝히길 주블 자신의 방에 여러 부품을 따로 보관하는 상자가 있다고 한다. 일명 "주블 박스(Zooble box)" 또한 이 주블 박스는 한계가 없이 무한하다고 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3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3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1] 갱글/래거사/폼니는 여자로, 잭스/킹어~/카우프모~는 남자로 분류되어 있다.[12] 일단 영어권 팬덤에서는 생물학적 여성인 논바이너리일 가능성을 가장 높게 보고 있긴 한데, 작품 자체가 블랙 코미디 계열이라 중성 혹은 인터섹스 쪽으로 꺾어버릴 가능성도 무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애초에 원작자가 더 이상의 설정을 풀지 않아서 모두 추측의 영역이기도 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