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6 13:32:26

죽은 자들의 군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얼음과 불의 노래/왕좌의 게임에 나오는 세력에 대한 내용은 아더(얼음과 불의 노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external/cs313520.vk.me/KwHLIEf6AQk.jpg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Army_of_the_dead_WIP_2_copy.jpg

1. 개요2. 행적3. 미디어믹스

[clearfix]

1. 개요

Army of the Dead

반지의 제왕에 등장하는 유령 군대. 다만 죽은 자들의 군대는 영화에서 나온 명칭이고 원작에서는 '맹세를 어긴 자들(Oathbreakers)' 내지는 '검산오름의 넋들(Dead Men of the Dunharrow)' 이라고 불린다.

2. 행적

본래는 백색산맥에 살던 토착민들로, 원래 곤도르가 위험에 빠지게 되면 곤도르를 위해 싸워줄 것을 이실두르에게 맹세했었다. 그러나 과거에 이들은 이미 사우론에게 충성의 맹세를 했던 적이 있었기 때문에 사우론에게 보복당할까 두려워했고 결국 이들은 최후의 동맹 전투이실두르와의 맹세를 어겼다. 이후 이실두르는 분노하여 그들의 왕에게
"그대는 마지막 왕이 될 것이며, 만약 곤도르어둠의 군주보다 강함이 증명된다면, 그대들은 맹세를 이행할 때까지 편히 쉬지 못할 것이다. 이 전쟁은 헤아릴 수 없을 오랜 시간동안 끝나지 않을 것이며, 그대와 그들의 군대는 끝이 당도하기 전에 다시 한번 부름을 받을 것이다."
(Thou shalt be the last king, and if the west prove mightier than thy Black Master, this curse I lay upon thee and thy folk; to rest never until your oath is fulfilled. For this war will last through years uncounted, and you shall be summoned once again ere the end.)
라고 저주를 한 뒤 떠난다. 이에 그들은 두려워하며 사우론 편도 들지 못한 채 산속에 숨어들었고, 이실두르가 사우론의 손가락을 베고 반지를 얻음으로써 저주가 실현되어 죽어 잠들지 못한 채로 영원히 남게 된다. 이들의 악명은 로한 왕조가 들어서게 된 순간까지도 계속되어, 로한의 왕 브레고의 장남 발도르가 에도라스에 세워진 왕궁 메두셀드의 완공축하연회에서 술김에 검산오름을 돌파해 보겠다는 서약을 하는 바람에 필마단기로 계곡에 들어갔다가 다시는 돌아오지 못했다는 전설이 내려오고 있었다.

하지만 훗날 반지전쟁 당시, 말베스의 예언에 따라 이실두르의 후계자가 이들이 숨어들어간 사자의 길로 가서[1] 죽은 자들의 왕을 소환한다. 이때 곤도르 왕의 깃발[2]을 그에게 보여주며 이실두르의 후계자임을 증명, 죽은 자들은 아라고른에게 복종하게 된다. 아라고른은 죽은 자들과 함께 남곤도르를 공격하던 움바르 해적들을 모두 몰아내고 그들의 배를 탈취할 수 있었다. 그리고 아라고른은 해적들 때문에 발이 묶여 미나스 티리스로 증원을 가지 못했던 남부 영지 군대를 규합하고 안두인 대하를 통해 펠렌노르 평원으로 향한다. 그리고 아라고른이 여기서 이끌고 간 곤도르 증원군이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의 전세를 뒤집는다.

전쟁에 결정적인 도움을 주게 된 이들은 맹세를 이행한 것으로 간주되었고, 아라고른은 이들에게 자유를 주었다. 죽은 자들의 왕은 아라고른에게 절을 한 뒤, 그의 부하들과 함께 사라지게 된다.

3. 미디어믹스

3.1. 실사영화 시리즈

영화판에서는 상당히 각색이 많이 되었는데, 확장판 기준으로 아라고른 일행이 딤홀트에서 아무 성과도 없이 그냥 빠져나오게 되자 무너져가는 펠라르기르를 보고 아라고른이 좌절하게 된다.[3] 그 순간 죽은 자들의 왕이 나타나 돕겠다면서 나타나고 이후 움바르의 해적선을 탈취하여[4] 펠렌노르 평원에 당도한다. 그리고 모르도르 군대를 싹 쓸어버린다. 이 때의 장면을 보면 정말 개미 떼처럼 몰려온다는 게 무슨 뜻인지 알 수 있다. 무마킬에 올라가더니 그냥 쓰러져버리고 거대한 초록색 파도가 펠렌노르 평원을 청소해버린다. 이 전투로 맹세를 이행했으므로 이들은 아라고른에게 이제 자신들을 자유롭게 풀어달라고 하고, 이 때 김리는 유용하니 아직 안 된다며 반대한다. 그러자 아라고른이 혹시나 김리의 말대로 약속을 어길까봐 겁이 나서 다급한 얼굴로 "약속했잖소!"라고 약속을 언급하며 재촉하고, 아라고른은 이내 맹세를 훌륭히 지켰다고 말하며[5] 평온하게 안식을 취하라고 인정해주고 이들은 아라고른이 약속대로 자유를 주자 모두 안도하면서 자유를 만끽하는 평온한 얼굴로 햇살 속으로 녹아들듯이 사라진다.

원작과 달리 죽은 자들의 군대가 펠렌노르 전투에 직접 참가하게 된 것은 아무래도 "죽은 자들의 군대로 남부의 해적들을 청소 → 남부의 곤도르군 결집 → 펠렌노르 전투에 참가"보다는 "죽은 자들의 군대가 펠렌노르 전투에 참가"가 영화 플롯 상으로도 간결하고 임팩트 면에서도 강렬하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피터 잭슨 감독은 원작에서 죽은 자들의 군대가 움바르 해적들만 소탕하고 퇴장하는 게 마음에 들지 않았다고 밝힌 바 있고, 안 그래도 무지막지하게 긴 왕의 귀환 영화에 '남부군을 결집시키는' 과정까지 포함되려면 설명할 것이 너무 많아지기도 했을 것이다.

단, 죽은 자들의 군대가 임팩트를 남긴 댓가로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가 시시하게 끝났다는 평도 받는다. 원작에서는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는 어디까지나 아라고른이 인솔한 곤도르 남부군과 순찰자 부대의 증원으로 승리할 수 있었던 대 혈전으로, 이름난 용사들이 무수히 죽어나간 처절한 전투였는데, 영화에서는 막바지에 도착한 죽은 자들의 군대가 무마킬이고 수만 대군이고 우수수 쓸어버리는 통에 긴장감이 팍 사라지고 만다. 죽은 자들이 불러일으키는 공포와 그로 인한 막강한 힘 자체는 원작에 어긋나는 것이 아니지만, 타이밍과 활약의 내용이 너무 나쁘다고나 할까.[6] 또한 원작에선 아라고른이 남부 영지에서 모아온 지원군을 데리고 그대로 최종장인 모란논 전투에 참여하며 이젠 정말 긁어올 군대도 없는 절망적인 전투의 상황이 연출되지만 영화버전에서는 라이트팬들이 "그냥 유령 군대 걔네들 데려가면 편하겠구만;;" 라고 생각하게되는 부작용이 발생하게되었다. 그래도 무시무시한 유령군대의 등장과 아라고른이 선박에서 뛰어내리며 백성들을 구원하는 장면은 엄청난 시각적 임팩트와 전율을 부르는 명장면이긴하다.

사실, 죽은 자들의 군대의 먼치킨화와 시시한 결말은 영화의 흐름을 위해 어쩔수 없는 것이었다. 3편 내내 언급도 없는 임라힐 대공이 갑툭튀 한다면 영화의 개연성에 상당한 타격이 올 것이고, 영화의 흐름 자체가 로한의 창기병 6천명 정도로 모르도르 군대 20만에 맞서야 하는 위기를 연출하던 상황이었다. 때문에 부족한 군대를 증원하기 위해 아라곤 일행은 공포스로운 유령 군대를 위험을 무릅쓰고 만나야 했던 것. 이는 영화상에서도 충실히 흐름을 보여준다.

그리고 6번째 각주의 절망적인 상황의 전투는 뒤의 모란논 전투로 충실히 모여준다. 모르도르의 잔여 오르크가 1만명인데 모란논 전투 당시 인간들의 군대는 문자 그대로 완전히 포위당하며, 반지가 파괴되지 않았다면, 말 그대로 포위 섬멸을 당할 절체절명의 위기였다. 아라고른 역시 올로그하이에 짓밟히고 레골라스가 위급하게 달려오는 모습으로 대체된다. 즉, 펠렌노르 평원의 전투의 위기감을 영화의 한정적 시간을 위해 모란논 전투로 가져온 것. 그렇지 않고 임라힐 대공, 펠레노르 평원에서의 처절한 전투 뒤, 모란논 전투도 처절하게 묘사해 시간을 투자하면, 가뜩이나 3시간이 넘어가는 영화가 확장판도 아니고 극장용이 4시간에 달할 수 있다. 이러하면 관객이 너무 피곤해하며, 외적으로 영화 흥행에 크나큰 부담이 되어 피터 잭슨 감독이 각색을 한 것이다.

실사영화에서의 각색 때문에 김리가 말한대로 모란논 전투에서도 죽은 자들의 군대를 이끌어 오르크들을 쓸어버리면 될 일이 아닌가 싶을수 있지만, 사실 사우론이 호빗 시점에서부터 쓰던 명칭이 강령술사(Necromancer)인 만큼 분노한 죽은자들의 군대가 역으로 사우론에게 충성해 아라고른과 자유민 진영을 배신하는 상황이 나올수도 있었다. 게다가 위의 서약도 곤도르의 영토를 보호하라는 서약이지 곤도르의 영토 바깥의 적국을 침략하라는 서약이 아니기에 아라고른이 서약을 어겨 죽은 자들의 군대들과 똑같은 결말을 맞이했을수도 있었다. 한마디로 죽은 자들의 군대의 효용성을 알아봤지만 그 군대의 역사적 배경을 몰랐던 김리의 무지에 비롯한 대사이다.

3.2. 게임

RTS 게임 반지의 제왕: 중간계 전투에서도 역시나 등장하는데, 여기선 아라고른이 만렙을 찍으면 소규모로 부를 수도 있고, 이븐스타의 끝판왕으로 등장하여 대규모로 부를 수도 있다. 위력은 역시나 영화에서의 묘사처럼 막강하여 발로그도 이긴다.[7] 반지의 제왕: 중간계 전투 2에서도 그 위용은 여전. 지속시간이 짧은 게 아쉬운 점이다.

왕의 귀환 비디오 게임 버전에서도 등장하여 왕의 길에서 적들로 나오는데, 첫번째 스테이지인데도 엄청나게 강한데다 마지막 보스인 죽은 자들의 왕조차도 상대하기가 매우 버겁다. 거기다 왕을 물리친 후 동굴이 무너져내려 탈출을 해야하는데, 이때 들어온 길을 기억하거나 운이 좋지 않는이상 나가는 도중에 몇번은 죽게 된다. 웬만한 스테이지보다 끔찍한 난이도를 자랑한다 평소에는 영혼 상태로 날아다니다가 시체에 들어가 이를 조종하는 방식으로 싸우며 시체를 물리치면 다시 영혼이 뛰쳐나온다.

실사영화 시리즈의 스핀오프 게임인 미들 어스: 섀도우 오브 워에는 다른 형태의 유령 군대가 등장한다. 해당 게임의 시점은 미나스 이실이 막 점령당한 시점으로 해당 게임의 주인공이 나중에 나즈굴의 반지 중 하나를 얻어 언데드를 부리는 힘을 얻고 곤도르의 유령 군대를 부리는 모습을 보인다.

미디블2 토탈워의 모드 TATW의 확장팩 격인 DaC에서 등장한다. 안두릴 복원 이벤트 후 아몬 술에서 간달프를 만나는 이벤트를 띄우면 간달프가 죽은 자들의 군대에 대한 이야기를 해주며 이들을 이끌어 곤도르를 구원하라는 미션을 주는데 아라고른이 던해로우로 가면 다음 턴에 이벤트와 함께 산맥 반대편으로 나오며 죽은 자의 군대도 한부대가 같이 나온다. 250명짜리 한 부대지만 능력치가 절륜하여 미나스 티리스에 몰려 있는 모르도르 군대 수만명도 한명도 안 죽고 학살해 버릴 수 있을 만큼 강하다. 영화의 전개대로 미나스 티리스 근처의 모르도르 군대를 전멸 시키면 맹세를 이행 하였다는 이벤트와 함께 사라진다.


[1] 이때 그들은 브레고의 장남 발도르로 생각되는 유해(금으로 장식된 벨트와 투구를 쓰고 있는)를 발견한다.[2] 곤도르 깃발인 백색 성수 위에 팔란티르를 상징하는 7개의 별 위에 왕관이 있는 형태의 깃발로, 아르웬이 아라고른을 위해 만들었다고 한다. 해당 장면에서는 검은색이었으며 문장이 있었을지라도 어둠 속이어서 보이지 않았다고 설명한다.[3] 굉장히 큰 각색이다. 검산오름에서 죽은 자들의 도시를 거쳐 백색산맥을 통과하면 그대로 곤도르 내륙 지방이 나오는데, 여기서 아라고른 일행은 움바르 해적들을 제때 막기 위해 죽을 둥 살 둥 달려 안두인 대하 하구의 펠라르기르에 도착했다. 전쟁이 망해가는 게 눈앞에서 보이는 셈이라 자연스러운 반응 같아보이지만 아라고른이 '좌절하고 울먹거린다'는 것 자체가 캐붕이다. 원작의 아라고른은 완전무결한 영웅에 가까운 인물상이기 때문이다. 실사영화화를 하면서 관객들에게 공감을 사는 캐릭터를 만들기 위해 캐릭터성을 변경한 것이다.[4] 이때 레골라스가 해적대장을 위협하며 활을 쏘는데, 여기서 빗나간 화살에 맞아 죽은 해적이 바로 감독인 피터 잭슨이다.[5] 이 순간 죽은 자들의 군대의 왕의 표정이 다급하던 얼굴에서 안도감이 서린 기쁜 미소를 짓는다.[6] 사실 원작에서는 죽은자의 군대가 검을 뽑아 하라드의 군대에게 달려들었다는 묘사는 나오지만, 영화처럼 이 검이 상대편에게 물리적인 영향을 끼치며, 반대로 적군의 공격이 통하지 않았다는 묘사는 없다. 이 일을 설명해주는 레골라스 본인부터가 '검이 정말로 힘을 발휘했는지는 모르겠다'면서 사실 그들은 공포외에 아무런 무기가 필요없었고, 아무도 그들에게 맞서지 않았다고 설명하고 있기때문. 하라드의 군대는 모두 도망치다가 바다에 빠져죽거나, 아니면 그들의 나라가 있는 남쪽으로 도망쳐버렸다고 묘사되지 검으로 죽었다는 묘사는 없다. 물론 수만에 달하는 군대가 제대로 싸워보지도 않고 차라리 물에 빠져 죽는 것을 선택하는 공포를 준다는 것도, 영화만큼이나 밸런스 파괴다.[7] 다만 발로그 역시 무적이나 다름없는 죽은 자들을 해치울 수 있는 거의 유일한 유닛이다. 보통 이븐스타로 불러온 대규모 죽은 자들에겐 지고, 아라고른이 불러오는 소규모 죽은 자들은 이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