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8:46:39

지심도

지심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거제시 CI_White.svg 거제9경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남부면 해금강 바람의 언덕신선대 홍포여차해안
일운면 외도 보타니아 동백섬 지심도 공곶이내도
동부면 학동흑진주몽돌해변
고현동 거제도포로수용소유적공원
장목면 거가대교
}}}}}} ||

파일:거제시 CI_White.svg 거제시의 관광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d22027> 도심 <colbgcolor=#fff,#191919>거제 포로수용소거제관광 모노레일 ‧ 고현시장 ‧ 옥포국제시장 ‧ 장승포항 ‧ 독봉산 웰빙공원
외곽 거가대교바람의언덕신선대해금강외도 보타니아학동몽돌해변구조라해변지심도홍포여차해안공곶이매미성맹종죽 테마파크거제 씨월드소매물도장사도 해상공원거제 정글돔 ‧ 와현 해변 ‧ 이수도 ‧ 망치 몽돌해변 ‧ 저도 ‧ 지세포항 ‧ 저구항 ‧ 거제 자연휴양림 ‧ 산방산 비원 ‧ 구조라성 ‧ 서이말 등대 ‧ 청마기념관 ‧ 김영삼 대통령 생가 ‧ 문재인 대통령 생가 ‧ 옥포대첩 기념관 ‧ 거제 조선해양박물관 ‧ 거제 어촌민속전시관 ‧ 칠천량 해전공원 ‧ 문동폭포 ‧ 가조도 수협효시공원 ‧ 근포땅굴 ‧ 지세포성 라벤더공원 ‧ 우제봉 ‧ 내촐 유채꽃밭
행사 대금산 진달래 축제(4월 초) ‧ 거제 옥포대첩 축제(6월 중순) ‧ 남부면 수국 축제(6월 말) ‧ 바다로 세계로(7월말)‧ 청마 꽃들 축제(9월 말) ‧ 거제 섬꽃 축제(10월 말)
※ 관광객들이 명소로 많이 찾는 곳은 굵게 표시함.
행사 날짜는 시작 일 기준이며 바뀔 수 있음.
}}}}}}}}}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경상남도의 섬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하동군갈사도 · 넓은섬 · 대도 · 둥글섬 · 마도 · 장도 · 주지섬
사천시비토섬 · 진도 · 저도 · 마도 · 신도 · 늑도 · 초양도 · 신수도
고성군자란도 · 와도
통영시미륵도 · 사량도 · 욕지도 · 한산도 · 추봉도 · 용호도 · 비진도 · 좌도 · 죽도 · 송도 · 비산도 · 매물도 · 소매물도 · 수우도 · 상노대도 · 하노대도 · 두미도 · 연화도 · 우도 · 추도 · 오비도 · 곤리도 · 학림도 · 저도 · 송도 · 연대도 · 만지도 · 오곡도 · 연도 · 읍도 · 지도 · 수도 · 입도 · 어의도
거제시거제도 · 가조도 · 칠천도 · 산달도 · 화도 · 내도 · 외도 · 지심도 · 이수도 · 저도
창원시음지도 · 우도 · 저도 · 양도 · 송도 · 잠도
남해군남해도 · 창선도 · 노도 · 조도 · 호도}}}}}}}}}
지심도
只心島
Jisimdo
파일:지심도.jpg

1. 개요2. 상세3. 논란

1. 개요

경상남도 거제시 일운면에 있는 섬.

2. 상세

지세포, 장승포 여객터미널에서 하루 5번 정기 출항한다. 성수기에는 수시 출항 하니 사전에 일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지심도(只心島)는 하늘에서 내려다보면 섬의 생긴 모양이 마음 심(心)자를 닮았다 하여 지심도(只心島)라고 불리고 있다. 남해안섬들 중 어느 곳보다 동백나무의 묘목수나 수령이 압도적이어서 '동백섬'이란 이름이 여타 섬들보다 훨씬 잘 어울리는 섬이다. 실제 동백숲을 둘러보면 현재 국내에서 원시상태가 가장 잘 유지되어온 곳으로 알려져 있다. 숲으로 들어하면 한낮에도 어두컴컴하게 그늘진 동백숲동굴로 이어지고, 11월부터 이듬해 4월까지 피고 지는 동백꽃의 특성 때문에 숲길을 걸을 때마다 바닥에 촘촘히 떨어진 붉은 꽃을 일부러 피해가기도 힘들 정도로 동백꽃이 무성하다.

조선 시대 현종 때 15 가구가 거주하였다는 기록이 있고, 현재에도 상주하는 주민들이 펜션, 식당 등 지심도를 찾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하는 숙박업, 요식업에 종사하며 생활하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1개 중대가 주둔하였고, 그로 인해 일제가 남긴 군사시설의 흔적이 곳곳에 존재한다. 광복 이후에는 해군에서 관리하였으며 2017년 거제시로 소유권이 이전되었다.

1박 2일에서 2009년 6월 17일 방송으로 방문한 바 있다.

2022년 MBC 광복절 특집 다큐로 소개되었으며, 헌병대 본부 및 전등소장 관사, 해안포대와 포대 관측소 등의 구 일본군 유적이 경상남도 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아래 서술된 주민 강제 이주 문제가 원만히 해결되었다는 내용이 나온다. 거제시 측에서 향후 복원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한다.

3. 논란

2017년 이후로 거제시가 섬의 원주민을 무단 점유자 취급하고 행위를 해왔다는 명목하에 섬에서 쫓아내려한다. 70년간 섬에서 살아온 주민들과 외부인 입장에서도 어처구니 없는 상황. 심지어 길 조성과 섬을 가꾸기는 주민들이 다 해놨다 관광명소로 만들려 한다는데 주민 주거구역을 따로 나누지 않고 불법을 강조하며 필요시 철거를 단행하겠다며 협박아닌 협박을 하고있다.

그러나 이는 일본 육군의 강제 점용으로 인해 조선시대부터 거주하던 원주민이 해방 이후 다시 섬에 되돌아가며 벌어진 일로, 지심도는 1938년부터 일본 육군성 소속, 광복 이후 2017년까지 국방부 소속의 토지였다고 한다. 그렇기에 사실상 국유지에 무단 점용을 한 셈. 그러나 섬 곳곳에 당시 일본군의 유적이 고스란히 확인되고, 일부 주민들이 사용하던 민가 역시 당시의 유적임이 확인되어 이후 지심도 주민들은 거제시가 개최한 공청회에서 거제시와 강제 이주 없이 문화재 복원을 진행하기로 합의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