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7 11:14:04

초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초선(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중국 4대 미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uby(서시,ruby=西施)] [ruby(왕소군,ruby=王昭君)] [ruby(초선*,ruby=貂蟬)] / [ruby(우미인,ruby=虞美人)] [ruby(양귀비,ruby=楊貴妃)]
침어(浸魚) 낙안(落雁) 폐월(閉月) 수화(羞花)
* 초선은 소설 《삼국지연의》에서 창작된 가공의 인물이기에 초선 대신 우미인을 포함하기도 한다.
}}}}}}}}} ||

파일:external/img0.ph.126.net/2865133787955766758.jpg

백백화(白伯驊)의 초선배월도(貂蟬拜月圖)
貂蟬/Diao Chan
1. 개요2. 정사3. 연의4. 기타5. 대중매체에서

1. 개요

삼국지연의에 등장하는 가공의 인물. 가공 인물이지만 그야말로 삼국지히로인으로, 강동이교와 더불어서 삼국지연의에서 가장 결정적인 역할을 한 여성이다.[1]

지혜와 담력, 그리고 자신의 정조까지 내버리는 희생 정신을 갖춘 초선의 인물상은 대단히 독특했으며, 덕분에 엄청난 인기가 있어서 가공인물임에도 불구하고 서시, 왕소군, 양귀비와 함께 중국 4대 미녀로 일컬어진다.[2] 이 4대 미인을 가리켜 '침어낙안(浸魚落雁)의 용모, 폐월수화(閉月羞花)의 아름다움'이라고 일컫는데 그 중 폐월(閉月)이 초선을 나타낸다.[3]

2. 정사

초선이 가공의 인물이기는 하지만, 완전한 창작은 아니고 실제 모티브가 있는 인물이다. 초선이 나오게 된 배경은 삼국지 정사 여포전에 실려 있는 한 줄의 글귀다.
여포동탁의 시비와 사사로이 통정하여, 이 일이 발각될까 두려워하여, 마음속으로 불안해하였다.
- 삼국지 위서 여포전
정사 삼국지여포와 밀통한 동탁시녀가 있었고, 여포가 이를 들킬까 두려워하여 동탁을 죽이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고대 중국에는 초선관이라는 관모가 있었고, 원나라 시대의 연극 '금운당암정연환계(錦雲堂暗定連環計)'에서 여포와 밀통한 시녀가 초선관을 관리해서 '초선'이라 불렸다고 설정되었는데, 이로써 '초선' 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3. 연의

가공인물이긴 하지만 그렇다고 나관중의 창작은 아니고 연의 탄생 이전의 삼국지 문화에서부터 등장하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초선상으로 이미지가 완전히 정립된 것은 나관중의 공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전 삼국지 문화에선 초선이 원래부터 여포의 아내였는데 전란으로 헤어졌고, 왕윤이 동탁을 청해 초선을 바치겠다고 한 뒤 여포를 초대하여 부부를 다시 만나게 하여 갈등을 일으키는 식의 이야기였다. 나관중은 이를 손봐서 자신을 돌봐준 왕윤을 위해 지혜를 발휘하는 소녀 지사의 모습과 함께 천하무쌍인 여포를 자신의 치맛자락으로 마음대로 쥐락펴락하는 요부의 모습이 혼재된 팜 파탈 캐릭터로 만들었다.

삼국지연의에서 왕윤의 시비인 10대 소녀로 등장하며, 왕윤에게 부탁을 받아 동탁여포 사이를 이간질하는 계략에 동원된다.

우선 여포에게 선을 보여 이 되기로 약속한 후, 동탁의 첩으로 들어가서 여포를 분기하게 한 다음, 둘 사이를 갈라놓아 여포로 하여금 동탁을 처치하게 만드는 계략이다. 연환계라고 불리는 대목으로 삼국지에서 가장 흥미진진한 부분 중 하나. 그야말로 고전 소설 범주에서는 극에 달한 심리전이라 할 수 있다.
  • 장안으로 천도한 후, 포로 학살과 장온 살해 등의 만행을 저지르는 동탁을 본 왕윤은 집에 돌아와 수심에 잠긴다.
  • 이때 양녀 초선의 탄식 소리가 들려오고, 누구와 몰래 정을 통하기라도 했냐는 왕윤의 질문에 왕윤을 걱정해서 탄식했다고 대답한다.
  • 왕윤은 초선에게 머리를 조아려 절하며 한나라를 위해 몸을 바쳐달라 부탁하고, 왕윤의 은혜와 천하의 대의를 위해 초선은 받아들인다..
  • 먼저 왕윤이 여포를 불러들이고 초선을 보여준 다음, 초선을 여포에게 첩으로 주겠다고 말을 띄워둔다.
  • 다음에는 동탁을 초청하여 동탁에게 가무를 보여주면서 그의 첩이 되도록 만든다.
  • 여포가 '초선을 나에게 주기로 했는데 왜 동 태사(관직명)에게 보내느냐'라고 항의하자 왕윤은 동탁이 며느릿감으로 제대로 삼으려고 한다면서 데려갔다고 거짓말을 한다.
  • 그러나 동탁은 자기의 침소로 초선을 데려갔고, 여포는 시녀에게 그걸 듣고 격분한다. 이 때 여포가 동탁에겐 모른 척 하고서 초선을 흘끗흘끗 쳐다보다가 동탁이 그 사실을 깨닫고 여포를 내쫓는다.
  • 이유가 나서서 동탁과 여포를 화해시키려 한 덕분에 약간 화해한다.[4]
  • 동탁이 궁궐에서 헌제를 보고 있을 동안 봉의정으로 달려가서 초선과 만난다. 뒤늦게 알아차린 동탁이 그 곳에 도착, 여포를 발견하고 뒤쫓다 방천화극을 던지기까지 하지만 여포는 피하고 도망친다. 그 와중에 이유가 도착하고, 심복 장수가 더 중요하다는 이유의 간언[5]에 따라 초선을 여포에게 주는 쪽으로 일단 얘기를 끝낸다.
  • 그러나 동탁이 초선에게 이 얘기를 꺼내자 또 초선이 "이미 높으신 분을 모셨는데 지금 다시 가노(家奴, 노비)에게 몸을 맡기는 일은 죽어도 못하겠다"라며 자살소동을 벌이고 동탁은 장난이었다며 달랜다. 이에 초선은 이유가 여포와 친해서 태사님 체면은 생각도 안한다며 이유와의 관계까지도 벌려놓고, 동탁은 마음을 고쳐먹고 없었던 얘기로 한다.
  • 다음날 이유가 정한 대로 실행하라고 하자 동탁이 "넌 네 마누라를 남한테 줄 수 있냐"라면서 화를 내고는 쫓아낸다. 비로소 동탁과 여포 사이를 틀어지게 하려고 초선이 무슨 이유로인지는 몰라도 계교를 부리고 있다는 사실을 얼추 짐작한 이유는 "이제 우리는 한낱 여자 하나 때문에 패망하는구나"라며 홀로 탄식한다.
  • 여포가 또 찾아올가봐 두렵다는 초선의 말에 동탁은 집을 아예 미오성으로 옮기고, 초선도 같이 데려간다. 여포는 언덕에서 미오성으로 옮겨가는 동탁의 행렬을 보고 있다가 초선이 가기 싫다는 듯 눈물을 흘리는 걸 보고 다시금 격분한다.
  • 여기서 왕윤이 나타나 여포에게서 사정을 듣고, 자신은 동탁이 여포에게 초선을 주려고 데려간 줄만 알았는데, 며느리 뻘 되는 아이를 자기가 취할 줄은 몰랐다며 오리발을 내밀면서 여포의 화를 더욱 부채질한다. 급기야 여포가 "그냥 확 동탁을 죽여버릴까?"라고 혼잣말을 하자 왕윤은 여포를 충동질하여 동탁은 역적이니 죽일 대의명분이 충분히 있다고 꼬드긴다.
  • 여포는 왕윤에게 완전히 넘어가서 연애 감정과 충성심 버프로 동탁을 죽이기로 결심, 왕윤의 동지들(황완 등), 그리고 친구 이숙과 함께 계략을 꾸며 헌제가 동탁에게 황위를 넘기려 한다는 거짓 칙서를 미오성의 동탁에게 보내고, 여기에 혹한 동탁이 궁궐에 도착하자 기습하여 참살한다.

여기에서 초선은 단순히 계략의 도구로서 이용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 교묘한 말솜씨를 발휘해 동탁과 여포를 속여 이간질하는 지혜로움을 보여주기도 한다. 거의 대부분 남자들의 이야기인 삼국지에서, 여성이 드라마의 중심을 차지하는 몇 안 되는 장면이다.

그러나 본래의 삼국지연의에서는 그 뒤로는 그냥 여포의 첩이 되어버리면서 연환지계 때의 능동적 면모는 완전 증발하고 엑스트라로 전락한다. 원본 삼국지연의 16회에서 여포의 가족을 언급하면서[6] 초선이 다시 언급 되는데 자녀를 낳지 못했다고 한다.

심지어 나중에 서주에서 재등장할 때는 엄씨와 함께 진궁의 계책을 따르려는 여포를 붙잡고 말려서 결국 여포를 패망으로 몰고가는 역할을 맡게 된다. 하비성에서 진궁이 기각지계를 제안하는데[7] 헌데 만일 여포가 성 밖으로 나간 사이 성 안의 장수들이 배신을 하면 어떻게 하냐는 엄씨와 초선의 간청에 의해[8] 이 작전은 결국 무산되고, 여포는 엄씨와 초선을 끼고 술만 마신다.

이후 여포가 죽자 엄씨, 초선, 여씨 등 여포의 가족들은 허창으로 옮겨졌다.
장군은 여포의 처와 딸을 싣고 허도로 돌아왔다.
將呂布妻女載回許都。
삼국지연의 모종강본 20회
아주 살짝만, 그것도 이름이 아니라 그냥 간접적으로 여포의 가족들이라고만 언급되기 때문에 초선이 어떻게 되었는지 언급조차 안 되었다고 착각하는 독자들도 있다. 연의에서 초선의 행적이 서술되는 것은 이것이 끝이다.[9]

4. 기타

  • 연의에서는 여포가 패망한 후에 초선은 여포의 식구들과 함께 조조가 데려갔다고 언급하고 있는데, 이후의 이야기는 전혀 쓰여 있지 않아서 후세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하였다. 그래서 조조가 관우의 마음을 얻기 위해 적토마와 한 세트로 보냈으나, 관우가 초선은 요물이라며 베어버렸다고 하는 '관운장월하참초선'(관우 운장이 달 아래에서 초선을 참하다)이라는 경극이 태어났다. 물론 이 외에도 아예 관우의 아내가 된다든가(비본 삼국지) 조조군에 합류해버린다든가(삼국지 조조전) 하는 해석이 나오는 경우도 있다.
  •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를 시초로 초선이 연환계가 성공한 후 자결하는 것으로 각색된 작품이 여럿 있는데 (요시카와 에이지 삼국지, 카츠마타 토모하루 삼국지, 고우영 삼국지, 정비석 삼국지,김산호 삼국지 등) 아마도 초선의 캐릭터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창작으로 추측된다. 상술되었지만 여포의 아내가 된 이후의 초선은 기각지계를 말리면서 독자가 보기에는 어리석은 모습으로 나타나면서 캐릭터성이 아예 달라져 버리고 임팩트도 없기 때문이다. 그럴 바에야 자살시켜서 비극성을 충족시키는 편이 완결성이 있다. 그런데 요시카와 에이지의 영향을 받아 초선을 자살시켜버리면 삼국지연의에 초선이 분명히 그 뒤에도 나온다는 설정 오류가 생겨버린다. 때문에 다른 평역작에서는 여포가 초선과 닮은 여자를 새로 첩으로 들여 이름을 초선이라고 불렀다며 초선 MK2를 만들어내는 경우도 있다. 고우영 삼국지정비석 삼국지가 그 예 중 하나다. 물론 연환계 이후 초선의 비중은 공기에 가깝게 그려지고, 기껏 비중있게 나오는 장면이 진궁이 기각지계를 제안을 했을 때 이를 말리는 역할로 등장하는 정도다. 하지만 이 역할도 실제 정사에서 여포를 말렸다는 기록이 있는 정실 부인이 버젓이 있기 때문에 이 사람에게 그 역할을 맡겨버리면 그만이다. 더군다나 연의에서도 초선만 말리는 것이 아니라 정실부인도 함께 말리는 데다가, 여포의 유일한 소생도 이 정실 부인이 낳은 딸이라서 아예 초선은 배제해버려도 스토리 전개가 충분히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여포는 정사에서도 자신의 딸을 원술의 아들과 혼인시키려고 하는데, 아무리 혼인을 빨리하던 시대였음을 감안해도 최소 10살은 되었을 것이다. 그런데 동탁은 192년에 죽고 여포는 198년에 죽었으니 딸은 초선을 만나기 훨씬 전에 낳은 것이 되기 때문에 초선이 죽은 뒤에 정실부인이 갑자기 나타난다고 해도 크게 문제될 것이 없다. 그동안 등장한 적 없을 뿐 이미 혼인한 지 오래되었다고 하면 되니까.

5. 대중매체에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초선/기타 창작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초선의 연환계미인계로 인해 동탁이 죽음으로써 군웅할거의 시대가 도래했으며, 조조이교를 탐냈던 것으로 인해 오나라의 도독이었던 주유가 개전의지를 밝히고 그 결과로 유비가 형주를 먹고 입촉해서 삼국이 정립되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강동이교는 사실상 아무것도 한 게 없이 주유가 움직이는 계기만 마련해준 것이지만, 초선은 남성들의 시대에 적극적으로 자신의 양아버지를 위해 몸을 바쳤으며 교묘한 말솜씨를 통해 당대 최고의 권력을 휘두르는 동탁을 끌어내리는 일등공신으로 활약했다.[2] 가공인물이기 때문에 간혹 우미인을 초선 대신 넣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3] 조식의 낙신부에서 유래한 표현이다.[4] 동탁은 전날의 일은 맨정신이 아니었다고 말하며 여포에게 금과 비단을 하사하였다. 하지만 이미 초선에게로 간 여포의 마음은 그 정도로 흔들리지 않았다.[5] 이때 이유가 든 고사가 바로 절영지연이다.[6] 여포는 정실 엄씨가 낳은 딸 여씨가 유일한 자식이라 애지중지했고, 첩 초선은 자식이 없었고, 둘째 부인 조표의 딸은 일찍 죽어 자식을 낳지 못했다.[7] 우선 여포가 병력의 일부를 이끌고 성 밖으로 나가 조조군의 주력을 끌어들이면 그 사이 성에 남아있던 나머지 장수들이 출진하여 적의 등을 치고자 한 작전이었다. 반대로 만일 적이 성을 공격하면 여포의 별동대가 조조군의 등을 치고 하다못해 그게 뜻대로 잘 안 되었더라도 밖으로 나와있던 여포가 이끄는 별동대가 허창에서 올 군량 보급을 적절히 끊어주기만 하면 추운 겨울이라 지친 적은 결국 전의를 잃을 것이라는 게 진궁의 전망이었다.[8] 사실 이후 나오는 여포와 부하들 간의 관계를 보면 틀린 말은 아니다. 사실 그것도 여포의 자업자득이긴 하지만...[9] 근데 원문에서는 '여포의 처와 딸'이라고만 했기 때문에 '처'가 아닌 '첩'인 초선은 여기에 포함되지 않았다는 반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