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2 != null
, [[]]
#!if 문서명3 != null
, [[]]
#!if 문서명4 != null
, [[]]
#!if 문서명5 != null
, [[]]
#!if 문서명6 != nul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 제1회 고속도로 배틀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 | }}}}}}}}} |
<colbgcolor=#000><colcolor=#00ffa3> 제2회 치지직 레이싱 동아리: 포뮬러 그랑프리 The 2nd CHZZK Racing Club: Formula Grand Prix | |
<bgcolor=#fff,#1c1d1f> | |
주최 | 남궁혁, 형독 |
게임 종목 | 그란 투리스모 7 |
일정 | 6월 22일 (일) 19시 - 시청자 설명회 6월 29일 (일) 18시 - 예선 및 경매 7월 6일 (일) 17시 - 본선 |
공식 중계 | |
해설진 | 해설 - 신짱게이밍 캐스터 - 락동민 |
참가자 | 치지직 스트리머 20명 팀장 - 남궁혁, 형독, 요나, 강지형 참가자 - 노돌리, 케인, 박인수, 문호준, 박지, 제황, 김토키, 서애덕, 김레오, 햄쿠비, 오단밍, 쵸쵸우, 헤라, 양메이, 뽀구미, 이글콥 |
후원 및 지원 | BenQ MOBIUZ, 치지직,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코리아 |
#!if 남궁혁="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5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형독="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5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강지형="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5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요나="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5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1. 개요
2025년 6월 29일과 7월 6일에 개최하는 그란 투리스모 7 슈퍼 포뮬러 클래스로 펼치는 5인 1팀 레이싱 배틀이다.레이싱을 좋아하는 치지직 스트리머들의 정기 레이싱 콘텐츠로, 이번 대회는 6월 25일 개봉하는 F1 더 무비의 개봉일에 맞춰 테마를 포뮬러로 잡았으며 지난 대회와는 달리 김토키를 제외한 전원이 레이싱 휠을 사용하여 참여한다.
남궁혁이 구상 중인 대규모 오픈 토너먼트[2]와 중~소규모 정기 대회[3] 중, 중~소규모 정기 대회에 해당하기 때문에 비교적 소규모로 진행되고 '연습 기간은 짧게, 그리고 간단하게'라는 모토 하에 준비부터 경기까지 일주일 내로 끝내는 가벼운 레이싱 대회를 추구한다.
1.1. 링크
<colbgcolor=#000><colcolor=#00ffa3> 발표 및 포스터 | 치지직 남궁혁 채널 | | |
공식 중계 | | ||
설명회 | 치레동 2회 발표 | | |
다시보기 | 치레동2 포뮬러 그랑프리 - 예선 | | |
치레동2 포뮬러 그랑프리 - 본선 | | | |
기타 링크 | 치지직 공식 라운지 | |
1.2. 주요 변경 사항
- 경기 진행{{{#!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000><rowcolor=#00ffa3><colcolor=#00ffa3> | 제1회: 고속도로 배틀 |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 |
참가자 | <colcolor=#808080,#808080> 12명 | 20명 |
상금 | 총 210만 원 | 총 500만 원 |
예선 | X | O |
팀 결정 | 팀장 제외 전체 랜덤 | 팀장 경매 |
경기 방식 | 전체 팀전 | 5:5 팀전 토너먼트 |
경기 차량 | GT 차량 | 포뮬러 차량 |
레이싱 게임 장비 | 자유 | 레이싱 휠 |
레이스 랩 수 | 13랩 | 20랩[4] |
의무 피트인 | X | O |
페널티 | 인게임 페널티 | 심판제 페널티[5] |
- 그란 투리스모 7 세부 설정{{{#!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000><rowcolor=#00ffa3><colcolor=#00ffa3> | 제1회: 고속도로 배틀 |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 |
부스트 | <colcolor=#808080,#808080> O | X |
레이스 중 고스트 화 | O | X |
플래그 룰[6] | X | O |
타이어 마모 | OFF | 3~5배 |
사용 의무 타이어 | - | 레이싱 타이어 하드(RH) & 소프트(RS) |
2. 경기 정보
- 제작 지원: 치지직[7]
- 총상금: 500만 원
- 1등 팀: 1인당 50만 원 (총 250만 원)
- 2등 팀: 1인당 30만 원 (총 150만 원)
- 3등 팀: 1인당 20만 원 (총 100만 원)
- 스폰서: BenQ MOBIUZ
- 스폰서 후원 상품
- 예선 MVP 상품: BenQ EX251 모니터
- 최종 MVP 상품: BenQ EX271 모니터
- 기타 지원: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코리아[8]
- 포스터
2.1. 라인업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 | [[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00ffa3; border-radius: 4px; color: #000"]] 선수카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 60px" 평균 퀄리파잉 순위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 60px" 평균 레이스 순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CE1FF, #FFFFFF, #CBEBEA, #ACE1FF, #F6C3FF);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남궁혁| 14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 남궁혁{{{#!wiki style="margin: -10px -7px"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5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5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ACE1FF, #FFFFFF, #CBEBEA, #ACE1FF, #F6C3FF);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형독| 07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 형독{{{#!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5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5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2A361, #B69D70, #675741);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V-llage#s-3.2| 02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요나{{{#!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3.0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3.5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2A361, #B69D70, #675741);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강지형(인터넷 방송인)| 38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강지형{{{#!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4.5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3.5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2A361, #B69D70, #675741);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25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 김레오{{{#!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4.5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5.0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9BBBB, #A8A8A8, #635b5c);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오버더월#1기생 러브다이아| 77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양메이{{{#!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7.5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8.0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9BBBB, #A8A8A8, #635b5c);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쵸쵸우| 03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쵸쵸우{{{#!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0.0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6.5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B9BBBB, #A8A8A8, #635b5c);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헤라(인터넷 방송인)| 66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 헤라{{{#!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9.0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8.5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766045, #745946, #544838);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서애덕| 99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서애덕{{{#!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6.5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1.0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766045, #745946, #544838);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팬픽#2기생 CLEF| 61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오단밍{{{#!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1.5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1.0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766045, #745946, #544838);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햄쿠비| 99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 ]]햄쿠비{{{#!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1.5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11.0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585347, #54504F, #413D32);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노돌리| 72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노돌리{{{#!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585347, #54504F, #413D32);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케인(인터넷 방송인)| 11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케인{{{#!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585347, #54504F, #413D32);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박인수| 06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박인수{{{#!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585347, #54504F, #413D32);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문호준| 97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문호준{{{#!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585347, #54504F, #413D32);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박지| 69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박지{{{#!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585347, #54504F, #413D32);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제황| 21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제황{{{#!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585347, #54504F, #413D32);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김토키| 08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김토키{{{#!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585347, #54504F, #413D32);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뽀구미| 92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뽀구미{{{#!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wiki style="width: 30%; max-width: 155px; 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585347, #54504F, #413D32); border-radius: 15px; padding: 5px; margin: 7px 5px"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100%; color: #fff; border-radius: 10px 10px 10px 10px; padding: .5em .5em .9em; background-image: repeating-linear-gradient(45deg, #000 1%, #000 2%, #1c1d1f 2%, #1c1d1f 3%)" [[이글콥| 89 ]][[치레동: 제1회 고속도로 배틀#티어 결정|이글콥{{{#!wiki style="margin: -10px -7px" | <tablewidth=100%><tablebgcolor=transparent><tablebordercolor=transparent><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nopad> {{{#!wiki style="background-color: #fff; color: #4B4B4B;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3px; width:90%" -- | }}}}}}}}}}}} | }}}}}}}}} |
||<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00ffa3,#00ffa3><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0,#000><rowbgcolor=#000,#000><rowcolor=#00ffa3><colcolor=#00ffa3><width=10%><|3>
구분
||<|3> No. ||<|3><width=10%> 이름 ||<-5> 치레동 전적 ||<|3> 비고[9][10] ||<rowcolor=#00ffa3> 티어 | 참가 횟수 | 직전 대회 평균 순위[11] | 우승 횟수 | |||||
<rowcolor=#00ffa3> 퀄리파잉 | 레이스 | |||||||
팀장 | 38 | 강지형 | ★★★ | 1회 | 4.5 | 3.5 | 스레리 준우승[12] | |
14 | 남궁혁 | ★★★★ | 1회 | 1.5 | 1.5 | 제1회 MVP[13] | ||
02 | 요나 | ★★★ | 1회 | 3.0 | 3.5 | 고갯길 배틀 준우승[14] | ||
07 | 형독 | ★★★★ | 1회 | 1.5 | 1.5 | 1회 | 제1회 MVP[15] | |
참가자 | 25 | 김레오 | ★★★ | 1회 | 4.5 | 5.0 | 1회 | 스레리 예선 1위 |
08 | 김토키 | Unranked | 첫 참가 | 스레리 예선 5위 | ||||
72 | 노돌리 | Unranked | 첫 참가 | |||||
97 | 문호준 | Unranked | 첫 참가 | 前 카트 프로[16] | ||||
06 | 박인수 | Unranked | 첫 참가 | 前 카트 프로[17] | ||||
69 | 박지 | Unranked | 첫 참가 | |||||
92 | 뽀구미 | Unranked | 첫 참가[18] | 現 프로 레이서[19] | ||||
99 | 서애덕 | ★ | 1회 | 6.5 | 11.0 | 스레리 예선 2위 | ||
77 | 양메이 | ★★ | 1회 | 7.5 | 8.0 | 스레리 예선 9위 | ||
61 | 오단밍 | ★ | 1회 | 11.5 | 11.0 | 스레리 예선 11위 | ||
89 | 이글콥 | Unranked | 첫 참가 | 前 정비소 사장[20] | ||||
21 | 제황 | Unranked | 첫 참가 | 카트 스트리머[21] | ||||
03 | 쵸쵸우 | ★★ | 1회 | 10.0 | 6.5 | 스레리 예선 4위 | ||
11 | 케인 | Unranked | 첫 참가 | |||||
44 | 햄쿠비 | ★ | 1회 | 11.5 | 11.0 | 1회 | 스레리 예선 17위[22] | |
55 | 헤라 | ★★ | 1회 | 9.0 | 8.5 | 스레리 예선 12위 |
3. 페널티
- 지난 대회와 달리 5명의 심판진 투입.
- 경기 종료 직후 15~20분 이내에 최종 경기 결과 발표를 목표로 함.
- 본선뿐만 아니라, 예선에도 심판제 페널티가 부과된다.
- 컷팅에 대해서는 인게임 페널티 적용, 그 외 아래 상황에 대해서는 심판이 실시간으로 모든 구역을 보고 페널티를 적용하여 인게임 기록에 페널티 가산.
- 같은 팀끼리 일어난 사고에는 페널티를 적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 사고로 인해 순위 변동이 있는 경우에 페널티를 엄격하게 적용할 것이라고 한다.
#!if 페널티="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E81763; border-radius: 4px; color: #fff\""
===# 수정 전 페널티 #===
아래의 수정 전 페널티 규정은 치레동 발표 PPT 내용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 '''컨텍 후 추월 - {{{#!wiki @페널티@
- 상대 차량과 접촉이 생긴 직후, 해당 상대 차량을 추월했을 경우 부과
- 접촉의 경중과 관계 없이 이득을 본 주행이 명확할 경우 부과
- 단, 사이드바이사이드 상황에서의 경미한 컨텍은 예외
- '''후방 컨텍으로 인한 스핀 유발 - {{{#!wiki @페널티@
- 선두 차량의 리어를 후방에서 들이받아 해당 상대 차량이 스핀한 경우 부과
- 피해 차량이 완전히 제어력을 잃고 회전, 코스이탈 할 경우에 부과
- 차량의 스핀 여부가 중요하다.
- '''라인 박탈 추월 - {{{#!wiki @페널티@
- 코너 진입 시 선행 차량의 주행 라인을 바깥으로 밀어내고 추월한 경우 부과
- 명확한 라인 침해 및 포지션 이득이 있기 때문
- 충돌 없이도 라인 강탈로 추월했을 경우에 적용
- '''다중 충돌 유발 - {{{#!wiki @페널티@
- 단일 행동으로 인해 2대 이상의 차량에 영향을 주는 사고가 발생한 경우, 원인 제공 가해 차량 1인에 부과
- 단, 단순히 사고에 휘말린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음
- '''브레이크 미스 - {{{#!wiki @페널티@
- 브레이크 타이밍을 놓쳐 충돌한 경우에 부과
- 충돌 후 추월 시 - 2초 페널티 부과
- 충돌 후 추월하지 않을 시 - 경고 부과
- 사고 이후 태도가 페널티 유무를 결정
- '''투무브 사고 유발 - {{{#!wiki @페널티@
- 주행 중 한 차량이 진로를 2번 이상 변경 또는 진로 변경 후 사고가 발생한 경우 부과
- 방어 중 2차 이동 후 상대를 방해할 경우 강력히 적용
- 라인 1회 변경은 허용, 재이동이 사고로 이어지면 적용
- '''반복적인 투무브 행위 - {{{#!wiki @페널티@
- 사고가 발생하지 않더라도, 주행 중 지속적인 차선 변경은 불안정한 주행 및 상대 차량에 대한 방해 요소로 간주
- 1~2차례 경고 후 가벼운 페널티로 판정
- '''사이드바이사이드 상황에서 라인 차단 - {{{#!wiki @페널티@
- 후행 차량이 선행 차량의 옆으로 차체 길이 50% 이상 붙은 상황에서 라인을 강제로 닫아 충돌을 유도, 코스 밖으로 밀어낼 경우 부과
3.1. 수정 후 페널티
예선 때 참가자들의 피드백과 의견을 반영하여 페널티 규정을 수정했다고 한다. 수정 된 페널티는 치레동 참가자들에게는 따로 공지 되었지만, 시청자들에게 따로 공개하거나 발표하지는 않았으며 경기가 끝난 이후 남궁혁의 7월 8일 방송에서 시청자들에게도 공개되었다.[23]또한 페널티 세부 내역도 따로 나왔다고 한다. 모든 컨택이 기록됐다고 하며, 경고로 처리된 것이 많았다고 한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는 후행차량이 선행차량의 50% 이상[24] 옆에 붙은 상황을 말한다.
아래의 수정 후 페널티 규정은 7월 8일 방송에서 공개한 내용을 그대로 가져온 것이다.
경고 - 2초 - 5초 - 10초 - 15초}}}
- 추돌 사고 발생 이후 피해 차량(들)의 순위가 변동 된다면, 심판진의 판단과 사고의 경중에 따라 페널티를 부여함
- 다중 추돌 유발시 원인 제공자에게 최대 페널티 부여
- 2. 추월 시 상대를 밀어내어 코스이탈 시키는 행위 - 후행 차량이 선행 차량을 추월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상황
{{{#!wiki @페널티@
- 설명:
- 사바사 상황에서 추월 시 내가 라인을 그리겠다고 상대방에게 공간을 내어주지않으면서 코스아웃을 시켜버리면 사고의 경중에 따라 페널티를 부여함
- 예시:
- 인으로 들어가며 아웃 차량의 라인을 닫아버리고 추월
- 상대 차량이 클리핑 포인트를 향해 주행 중인데, 안쪽에서 밀어 추월
- 바깥 차량이 언더스티어를 피할 공간이 없음
- 3. 사바사 상황에서 과도한 라인 방어행위 - 선행 차량이 후행 차량의 추월을 막는 과정에서 생기는 상황
{{{#!wiki @페널티@
- 설명:
- 이미 차량이 50% 이상 옆에 붙은 상황에서 선행 차량이 추월 도전 차량의 진로를 과도하게 막아 충돌을 야기하거나 코스 이탈을 시킬 경우 페널티 적용
- 예시:
- 후행 차량이 절반 이상 진입했는데 인쪽 라인을 차단
- 사이드 바이 사이드 진입 중, 선행 차량이 푸시하여 퇴출
- 주의사항:
- 후행 차량이 충분히 붙어 있어야 적용됨
- 4. 투무브 사고 유발
{{{#!wiki @페널티@
- 사고의 경중에 따라 페널티 부여
- 설명:
- 주행 중 한 차량이 진로를 2번 이상 변경하거나,
- 진로 변경 후 사고가 발생했을 경우
- 특히 방어 중 2차 이동 후 상대를 막았을 경우 강력히 적용됩니다.
- 예시:
- 직선에서 방어 → 다시 이동하며 접촉 유도
- 코너 진입 전 차선을 연속 변경하여 후행 차량 진입 막음
- 5. 반복적인 투무브 행위
{{{#!wiki @페널티@
- 경고 1회 후 2번째부터 2초 페널티 부여, 중복적용 가능 (또 하면 2초 또 준다는 이야기)
- 설명:
- 사고가 발생하지 않았더라도, 주행 중 지속적인 차선 변경은 불안정한 주행 및 상대에 대한 방해 요소로 간주되어 페널티 부과된다
- 예시:
- 직선에서 핑퐁처럼 라인 변경
- 방어 중 잦은 라인 변경으로 후행 차량 진입 방해
- [심판장의 노심초사 코멘트]{{{#!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공통사항: 축구 어깨싸움처럼 조그만 컨택 정도는 레이스 몸싸움 경합으로 넘어갈 예정. (옆에서 퉁퉁치는거. 뒷빵 쿵쿵은 축구 백태클처럼 경고 or 페널티 들어갈수도있음)
- 허나 감정싸움, 보복운전, 악의를 담은 의도적인 블로킹, 미사일, 여타 비 신사적인 행위는 비매너플레이로 간주, 심판 재량에 따라 최대 페널티 부여할 수 도있음.
e.q) A 규정의 최대 페널티가 15초여도 심판 판단하에 +a로 추가할수도있음 (15초 + 5초) - 직선주로에서 바퀴끼리 통통 정도는 괜찮으나, 직선에서 열받아서 서로 "八" ← 이런 모양으로 가면 둘 다 혼날예정. (둘 다 경고 or 페널티)
- 레이스인 만큼 빈틈을 찔러들어가거나 약간의 몸싸움으로 멋진 추월을 이뤄내는건 좋으나(= 너무 사리면서 레이스 하라는 이야기가 아님. 몸싸움도 레이스의 일환) 무지성 레이트 브레이크, 의도성이 다분한 미사일 행위 (=우리팀 꼴찌가 팀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 위해 희생해서 미사일로 1, 2등 선두 담궈버리기)같은 비매너 플레이는 지양해주시기 바랍니다.
- 모터 '스포츠'에 걸맞게 멋진 페어플레이와 그 안에서의 열정적인 배틀은 환영입니다! 양심껏 달려주세요!
- 이 컨택이 실수인지, 일부러인지, 경고 정도로 넘어갈만한 가벼운 컨택인지, 페널티가 부과되어야할 큰 사고인지는 심판진분들이 판단해드립니다.
- 페널티 받을 컨택은 받게 되어있으니 선수분들은 규칙을 지키며 '빈틈 파고들기, 멋진 라인그리기로 크로스 추월을 만들어보기, 두뇌싸움으로 멋지게 라인 디펜스를 하기' 등 너무 걱정말구 본인만의 레이스를 펼쳐주시면 됩니다!
- (에잇 그냥 5초 페널티 받아버리고 내 페이스로 5초 벌려버려야지 → ok 행위.
페어플레이로 폐 끼친 사람 기다려주든 일어난 사고는 일어난거지 하고 페널티 받는건 본인선택
다만 그러한 행위를 너무 악용하지 말라는 것. 심판진한테 무브먼트가 다 보임. 악용시 괘씸죄로 심판 재량 최대 페널티 초에 +a 가산도 가능)}}}
4. 예선
4.1. 진행 방식 및 규정
- 팀장을 제외한 참가자 16명이 진행하며, 탈락이 없다.
- 일시: 2025년 6월 29일 (일) 18:00
- 진행 방식: 예선 참가자 16명을 반으로 나누어 8인 1조로 예선 진행
- 경기 구성
- 퀄리파잉: 20분
- 레이스: 15랩
- 경기 트랙: 레드불링[27]
- 예선 레이스에서는 본선과 달리 의무 피트인 규정이 없다고 한다.
- 예선 MVP는 A조와 B조를 합쳐 가장 빠른 퀄리파잉 랩타임을 기록한 1명을 뽑는다.
- 예선 조 편성{{{#!if 예선="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5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00ffa3\" dark-style=\"border: 1px solid #00ffa3; background-color: #010101\""
||<tablewidth=700><tablebordercolor=#00ffa3,#00ffa3><tablebgcolor=#fff,#1c1d1f><colbgcolor=#000,#000><rowbgcolor=#000,#000><colcolor=#00ffa3><width=20%> A조 ||<colbgcolor=#fff,#1c1d1f>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김레오|
||#!wiki @예선@
{{{#00ffa3,#00ffa3 '''김레오'''}}}
]][[쵸쵸우|#!wiki @예선@
{{{#00ffa3,#00ffa3 '''쵸쵸우'''}}}
]][[오버더월#양메이|#!wiki @예선@
{{{#00ffa3,#00ffa3 '''양메이'''}}}
]][[서애덕|#!wiki @예선@
{{{#00ffa3,#00ffa3 '''서애덕'''}}}
]][[케인(인터넷 방송인)|#!wiki @예선@
{{{#00ffa3,#00ffa3 '''케인'''}}}
]][[박인수|#!wiki @예선@
{{{#00ffa3,#00ffa3 '''박인수'''}}}
]][[박지|#!wiki @예선@
{{{#00ffa3,#00ffa3 '''박지'''}}}
]][[문호준|#!wiki @예선@
{{{#00ffa3,#00ffa3 '''문호준'''}}}
]]B조 | [[헤라(인터넷 방송인)| ]][[오단밍| ]][[햄쿠비| ]][[김토키| ]][[노돌리| ]][[뽀구미| ]][[제황| ]][[이글콥| ]] |
4.2. 예선 A조
- 퀄리파잉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선수 | 랩타임 |
1 | 박인수 | 1:13.024 |
2 | 김레오 | 1:13.690 (+00.666) |
3 | 문호준 | 1:13.697 (+00.673) |
4 | 양메이 | 1:14.272 (+01.248) |
5 | 박지 | 1:14.920 (+01.896) |
6 | 서애덕 | 1:15.381 (+02.357) |
7 | 쵸쵸우 | 1:16.148 (+03.124) |
8 | 케인 | 1:17.937 (+04.913) |
- 레이스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이름 | 최종 페널티 | 인게임 기록 | 최종기록 | 베스트 랩 |
1 | 박인수 | - | 18:50.917 (+03.475) | 18:50.917 | 1:12.649 |
2 | 문호준 | 5초 | 18:47.442 | 18:52.442 | 1:13.950 |
3 | 김레오 | - | 19:09.841 (+22.399) | 19:09.841 | 1:14.706 |
4 | 박지 | - | 19:17.824 (+30.382) | 19:17.824 | 1:15.586 |
5 | 쵸쵸우 | - | 19:30.516 (+43.074) | 19:30.516 | 1:15.452 |
6 | 서애덕 | 5초 | 19:46.516 (+59.776) | 19:51.516 | 1:16.073 |
7 | 양메이 | - | 19:56.885 (+1:09.443) | 19:56.885 | 1:14.932 |
8 | 케인 | 6초 | 20:00.000[백마커] | 1:17.207 |
- 13랩에서 케인이 문호준에게 1바퀴 따라잡혀 블루 플래그가 나왔다.
4.3. 예선 B조
- 퀄리파잉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선수 | 랩타임 |
1 | 제황 | 1:12.500 |
2 | 노돌리 | 1:14.237 (+01.737) |
3 | 김토키 | 1:14.449 (+01.949) |
4 | 오단밍 | 1:15.220 (+02.720) |
5 | 뽀구미 | 1:15.616 (+03.116) |
6 | 헤라 | 1:15.670 (+03.170) |
7 | 햄쿠비 | 1:15.941 (+03.441) |
8 | 이글콥 | 1:19.065 (+06.565) |
- 레이스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이름 | 최종 페널티 | 인게임 기록 | 최종기록 | 베스트 랩 |
1 | 제황 | - | 18:28.444 | 18:28.444 | 1:13.039 |
2 | 노돌리 | - | 18:48.559 (+20.115) | 18:48.559 | 1:14.135 |
3 | 김토키 | - | 19:12.016 (+43.572) | 19:12.016 | 1:14.017 |
4 | 오단밍 | 6초 | 19:08.773 (+40.329) | 19:14.773 | 1:14.942 |
5 | 뽀구미 | - | 19:29.307 (+1:00.863) | 19:29.307 | 1:15.374 |
6 | 헤라 | - | 19:41.655 (+1:13.211) | 19:41.655 | 1:15.903 |
7 | 햄쿠비 | 6초 | 20:28.444[백마커] | 1:15.451 | |
8 | 이글콥 | 5초 | 20:38.444[백마커] | 1:17.615 |
- 10랩에서
- 제황이 폴투윈으로 1위를 기록했다.
4.4. 예선 퀄리파잉 전체 순위
||<tablewidth=500><tablebordercolor=#00ffa3><tablebgcolor=#fff,#1c1d1f><rowbgcolor=#000,#000><rowcolor=#00ffa3><width=10%> 순위 ||<width=40%> 선수 ||<width=35%> 랩타임 ||<width=15%> 예선 조 ||
1 | 제황예선 MVP | 1:12.500 | B |
2 | 박인수 | 1:13.024 | A |
3 | 김레오 | 1:13.690 | A |
4 | 문호준 | 1:13.697 | A |
5 | 노돌리 | 1:14.237 | B |
6 | 양메이 | 1:14.272 | A |
7 | 김토키 | 1:14.449 | B |
8 | 박지 | 1:14.920 | A |
9 | 오단밍 | 1:15.220 | B |
10 | 서애덕 | 1:15.381 | A |
11 | 뽀구미 | 1:15.616 | B |
12 | 헤라 | 1:15.670 | B |
13 | 햄쿠비 | 1:15.941 | B |
14 | 쵸쵸우 | 1:16.148 | A |
15 | 케인 | 1:17.937 | A |
16 | 이글콥 | 1:19.065 | B |
5. 팀원 경매
5.1. 진행 방식
- 예선 경기 종료 후 경기를 지켜 본 팀장 4인(강지형, 남궁혁, 요나, 형독)이 포인트 경매 경쟁으로 각각 선수 4명을 영입해서, 총 5인으로 이루어진 팀을 만들어야 한다.
- 경매는 일반적인 자낳대식 실시간 공개 입찰이 아닌, 포인트를 적어둔 뒤 MC의 진행 후에 공개되는 비공개 입찰이다.
- 디스코드 상에서 별도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진행한다.
- 일시: 2025년 6월 29일 (일) 예선 종료 후
- 초기 예산
- 4성급 팀장(남궁혁, 형독): 1,000pt
- 3성급 팀장(강지형, 요나)[31]: 1,100pt
- 경매 진행 순서
- 1성급(4티어) → 2성급(3티어) → 3성급(2티어) → Unranked(무등급) 순서로 진행한다.
- 동일 티어 내에서의 순서는 랜덤으로 정한다.
- 유찰될 경우, 맨 뒷 순서로 가게 된다.
- 경매 종료 후 남은 예산이 있더라도 딱히 혜택은 없다고 한다.[32]
5.2. 진행 내역 및 결과
#!if 줄간격="style=\"font:1em/0.3 math; font-family:revert\""
- 경매 진행 내역{{{#!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경매 순서 | 티어 | 선수 | 입찰가 | |||
남궁혁 | 형독 | 요나 | 강지형 | |||
1 | ★ | 햄쿠비 | 0 | 0 | 0 | 0 |
2 | 서애덕 | 0 | 10 | 0 | 0 | |
3 | 오단밍 | 250 | 0 | 61 | 40 | |
4 | ★★ | 헤라 | 50 | 0 | 61 | 20 |
5 | 쵸쵸우 | 0 | 0 | 11 | 30 | |
6 | 양메이 | 0 | 12 | 0 | 0 | |
7 | ★★★ | 김레오 | 201 | 0 | 302 | 232 |
8 | Unranked | 제황 | 501 | 229 | 303 | 672 |
9 | 노돌리 | 101 | 229 | 36 | 388 | |
10 | 이글콥 | 0 | 0 | 0 | 10 | |
11 | 김토키 | 101 | 0 | 36 | - | |
12 | 케인 | 0 | 0 | 0 | - | |
13 | 문호준 | 401 | 277 | 650 | - | |
14 | 박인수 | 639 | 650 | 87 | - | |
15 | 뽀구미 | 329 | 328 | 87 | - | |
16 | 박지 | 320 | 328 | 87 | - | |
유찰 경매 | ||||||
17 | ★ | 햄쿠비 | 320 | - | 87 | - |
18 | Unranked | 케인 | - | - | 87 | - |
- 경매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000><rowcolor=#00ffa3><colcolor=#00ffa3> 팀 이름 | 팀장 시작 예산 | 팀원 낙찰가 | ||||||||
TEAM 투자는 {{{#!wiki style="font:1em/0.7 math; font-family:revert" | [[남궁혁| ]] | [[오단밍| ]][[김토키| ]][[뽀구미| ]][[햄쿠비| ]] | ||||||||
TEAM 오버테이크 | [[형독| ]] | [[서애덕| ]][[오버더월#양메이| ]][[박인수| ]][[박지| ]] | ||||||||
TEAM 레요헤호케 |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요나| ]] | [[헤라(인터넷 방송인)|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김레오| ]][[문호준| ]][[케인| ]] | ||||||||
TEAM 이글콥 {{{#!wiki style="font:1em/0.7 math; font-family:revert" | [[강지형(인터넷 방송인)| ]] | [[쵸쵸우| ]][[제황| ]][[노돌리| ]][[이글콥| ]] | }}}
| <rowcolor=#00ffa3> 순위 | 선수 | 랩타임 | 예선 조 | |||
1 |
| 1:12.500 | B | |||||||
2 |
| 1:13.024 | A | |||||||
3 |
| 1:13.690 | A | |||||||
4 |
| 1:13.697 | A | |||||||
5 |
| 1:14.237 | B | |||||||
6 |
| 1:14.272 | A | |||||||
7 |
| 1:14.449 | B | |||||||
8 |
| 1:14.920 | A | |||||||
9 |
| 1:15.220 | B | |||||||
10 |
| 1:15.381 | A | |||||||
11 |
| 1:15.616 | B | |||||||
12 |
| 1:15.670 | B | |||||||
13 |
| 1:15.941 | B | |||||||
14 |
| 1:16.148 | A | |||||||
15 |
| 1:17.937 | A | |||||||
16 |
| 1:19.065 | B |
6. 팀 로스터
6.1. TEAM 남궁혁 - 투자는남궁혁처럼
#!if 팀 == "투자는남궁혁처럼"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40cfff,#40cfff><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40cfff.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40c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40cfff;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남궁혁 - 투자는남궁혁처럼|{{{#40cfff,#40cfff '''{{{+1 TEAM 투자는남궁혁처럼}}}'''}}}]] ||
}}} ||
||<nopad><rowbgcolor=#fff,#1c1d1f> [[남궁혁|{{{#!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14[br]'''남궁혁'''}}}}}}]] ||<nopad> [[오단밍|{{{#!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61[br]'''오단밍'''}}}}}}]] ||<nopad> [[김토키|{{{#!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08[br]'''김토키'''}}}}}}]] ||<nopad> [[뽀구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92[br]'''뽀구미'''}}}}}}]] ||<nopad> [[햄쿠비|{{{#!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44[br]'''햄쿠비'''}}}}}}]] ||
#!if 팀 == "오버테이크"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d47fff,#d47fff><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d47fff.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d47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d47fff;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형독 - 오버테이크|{{{#d47fff,#d47fff {{{+1 '''TEAM 오버테이크'''}}}}}}]] ||
}}} ||
||<rowbgcolor=#fff,#1c1d1f><nopad> [[형독|{{{#!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07[br]'''형독'''}}}}}}]] ||<nopad> [[서애덕|{{{#!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99[br]'''서애덕'''}}}}}}]] ||<nopad> [[오버더월#러브다이아|{{{#!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77[br]'''양메이'''}}}}}}]] ||<nopad> [[박인수|{{{#!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06[br]'''박인수'''}}}}}}]] ||<nopad> [[박지|{{{#!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69[br]'''박지'''}}}}}}]] ||
#!if 팀 ==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fbbf5b,#fbbf5b><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fbbf5b.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fbbf5b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fbbf5b;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강지형 - 이글콥1등하면페라리|{{{#fbbf5b,#fbbf5b {{{+1 '''TEAM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
}}} ||
||<nopad><rowbgcolor=#fff,#1c1d1f> [[강지형(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38[br]'''강지형'''}}}}}}]] ||<nopad> [[쵸쵸우|{{{#!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03[br]'''쵸쵸우'''}}}}}}]] ||<nopad> [[제황|{{{#!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21[br]'''제황'''}}}}}}]] ||<nopad> [[노돌리|{{{#!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72[br]'''노돌리'''}}}}}}]] ||<nopad> [[이글콥|{{{#!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89[br]'''이글콥'''}}}}}}]] ||
#!if 팀 == "레요헤호케"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ff5173,#ff5173><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ff5173.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ff5173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ff5173;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요나 - 레요헤호케|{{{#ff5173,#ff5173 {{{+1 '''TEAM 레요헤호케'''}}}}}}]] ||
}}} ||
||<nopad><rowbgcolor=#fff,#1c1d1f>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요나|{{{#!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02[br]'''요나'''}}}}}}]] ||<nopad> [[헤라(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55[br]'''헤라'''}}}}}}]] ||<nopad>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김레오|{{{#!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25[br]'''김레오'''}}}}}}]] ||<nopad> [[문호준|{{{#!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97[br]'''문호준'''}}}}}}]] ||<nopad> [[케인(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11[br]'''케인'''}}}}}}]] ||
대회가 여러번 개최되어 참가자들의 실력이 상향평준화된 것 같아서 재밌다. 포뮬러 대회다 보니 고출력에서 오는 사고들이 재미있었다. - 경매 전 팀장 인터뷰 |
예상한대로 진행됐고, 사람들이 오단밍 선수를 너무 비싸게 산 것 아니냐는 말을 하는데, 절대 동의하지 않는다. 250 포인트 값어치를 해줄 것이다. "그래야만 한다. 그래야만 해!!!" 처음에는 단밍 선수를 50 포인트 정도에 싸게 얻어오려고 했는데, 눈독 들이는 팀장들이 많다보니 말려서 무리한 것 같다.[33] 하지만 우리 팀 라인업 나쁘지 않다. - 경매 후 팀장 인터뷰 |
- 김토키가 Suno를 이용해서 팀 투자는남궁혁처럼의 테마곡을 만들었다.
- 이번 대회 유일한 패드 유저인 김토키가 신짱게이밍에게 도움을 요청했는데, 핸들이 느리게 꺾이도록 패드 설정이 되어있어서 신짱게이밍이 설정을 조정해줬다고 한다.
6.2. TEAM 형독 - 오버테이크
#!if 팀 == "투자는남궁혁처럼"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40cfff,#40cfff><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40cfff.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40c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40cfff;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남궁혁 - 투자는남궁혁처럼|{{{#40cfff,#40cfff '''{{{+1 TEAM 투자는남궁혁처럼}}}'''}}}]] ||
}}} ||
||<nopad><rowbgcolor=#fff,#1c1d1f> [[남궁혁|{{{#!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14[br]'''남궁혁'''}}}}}}]] ||<nopad> [[오단밍|{{{#!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61[br]'''오단밍'''}}}}}}]] ||<nopad> [[김토키|{{{#!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08[br]'''김토키'''}}}}}}]] ||<nopad> [[뽀구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92[br]'''뽀구미'''}}}}}}]] ||<nopad> [[햄쿠비|{{{#!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44[br]'''햄쿠비'''}}}}}}]] ||
#!if 팀 == "오버테이크"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d47fff,#d47fff><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d47fff.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d47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d47fff;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형독 - 오버테이크|{{{#d47fff,#d47fff {{{+1 '''TEAM 오버테이크'''}}}}}}]] ||
}}} ||
||<rowbgcolor=#fff,#1c1d1f><nopad> [[형독|{{{#!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07[br]'''형독'''}}}}}}]] ||<nopad> [[서애덕|{{{#!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99[br]'''서애덕'''}}}}}}]] ||<nopad> [[오버더월#러브다이아|{{{#!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77[br]'''양메이'''}}}}}}]] ||<nopad> [[박인수|{{{#!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06[br]'''박인수'''}}}}}}]] ||<nopad> [[박지|{{{#!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69[br]'''박지'''}}}}}}]] ||
#!if 팀 ==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fbbf5b,#fbbf5b><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fbbf5b.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fbbf5b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fbbf5b;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강지형 - 이글콥1등하면페라리|{{{#fbbf5b,#fbbf5b {{{+1 '''TEAM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
}}} ||
||<nopad><rowbgcolor=#fff,#1c1d1f> [[강지형(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38[br]'''강지형'''}}}}}}]] ||<nopad> [[쵸쵸우|{{{#!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03[br]'''쵸쵸우'''}}}}}}]] ||<nopad> [[제황|{{{#!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21[br]'''제황'''}}}}}}]] ||<nopad> [[노돌리|{{{#!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72[br]'''노돌리'''}}}}}}]] ||<nopad> [[이글콥|{{{#!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89[br]'''이글콥'''}}}}}}]] ||
#!if 팀 == "레요헤호케"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ff5173,#ff5173><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ff5173.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ff5173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ff5173;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요나 - 레요헤호케|{{{#ff5173,#ff5173 {{{+1 '''TEAM 레요헤호케'''}}}}}}]] ||
}}} ||
||<nopad><rowbgcolor=#fff,#1c1d1f>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요나|{{{#!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02[br]'''요나'''}}}}}}]] ||<nopad> [[헤라(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55[br]'''헤라'''}}}}}}]] ||<nopad>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김레오|{{{#!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25[br]'''김레오'''}}}}}}]] ||<nopad> [[문호준|{{{#!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97[br]'''문호준'''}}}}}}]] ||<nopad> [[케인(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11[br]'''케인'''}}}}}}]] ||
이번 대회를 보니 생각보다 다들 잘했다. 원래 추린 경우의 수가 더 혼란스러워졌고 예선 참가자들 보다 더 긴장된다. 미래의 팀원들에게 한마디 하겠다. "본선 레이스까지 일주일 남았다. 우리 팀원이 됐는데 연습 안하면 가만히 안둘 것이다. 무조건 연습량이 중요하다." - 경매 전 팀장 인터뷰 |
예상했던 경매 결과와 완전히 다르게 나왔다. 사실 케인이 먼저 나오면 케인을 뽑으려 했는데,[34] 서애덕을 10 포인트에 뽑아버려 슬롯이 채워졌다. 우리 팀 조합은 최고인 것 같다. - 경매 후 팀장 인터뷰 |
- 서애덕
양메이와 함께 연습을 진행하고 있다. 기록은 무난한 편.
- 양메이
오토매틱이라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으나, 그 외의 주행에선 안정감을 갖고 있다. 일일 코치를 섭외해[35] 코칭까지 받는 열의를 보였다.
- 박지
형독에 의해 진동 패드 사용을 금지당했다.[36] 그 외에는 작가로써의 본업이 있기 때문에 바쁘긴 하지만 박인수와 함께 연습을 진행하고 있다.
- 박인수
7월 2일 형독과의 합방이 예정되어 있으며, 그 전에는 중국 카트라이더 대회에 참여하는 등 바쁜 일정이 있었음에도 연습을 꾸준히 하고 있다.
6.3. TEAM 요나 - 레요헤호케
#!if 팀 == "투자는남궁혁처럼"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40cfff,#40cfff><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40cfff.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40c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40cfff;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남궁혁 - 투자는남궁혁처럼|{{{#40cfff,#40cfff '''{{{+1 TEAM 투자는남궁혁처럼}}}'''}}}]] ||
}}} ||
||<nopad><rowbgcolor=#fff,#1c1d1f> [[남궁혁|{{{#!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14[br]'''남궁혁'''}}}}}}]] ||<nopad> [[오단밍|{{{#!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61[br]'''오단밍'''}}}}}}]] ||<nopad> [[김토키|{{{#!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08[br]'''김토키'''}}}}}}]] ||<nopad> [[뽀구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92[br]'''뽀구미'''}}}}}}]] ||<nopad> [[햄쿠비|{{{#!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44[br]'''햄쿠비'''}}}}}}]] ||
#!if 팀 == "오버테이크"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d47fff,#d47fff><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d47fff.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d47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d47fff;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형독 - 오버테이크|{{{#d47fff,#d47fff {{{+1 '''TEAM 오버테이크'''}}}}}}]] ||
}}} ||
||<rowbgcolor=#fff,#1c1d1f><nopad> [[형독|{{{#!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07[br]'''형독'''}}}}}}]] ||<nopad> [[서애덕|{{{#!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99[br]'''서애덕'''}}}}}}]] ||<nopad> [[오버더월#러브다이아|{{{#!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77[br]'''양메이'''}}}}}}]] ||<nopad> [[박인수|{{{#!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06[br]'''박인수'''}}}}}}]] ||<nopad> [[박지|{{{#!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69[br]'''박지'''}}}}}}]] ||
#!if 팀 ==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fbbf5b,#fbbf5b><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fbbf5b.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fbbf5b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fbbf5b;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강지형 - 이글콥1등하면페라리|{{{#fbbf5b,#fbbf5b {{{+1 '''TEAM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
}}} ||
||<nopad><rowbgcolor=#fff,#1c1d1f> [[강지형(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38[br]'''강지형'''}}}}}}]] ||<nopad> [[쵸쵸우|{{{#!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03[br]'''쵸쵸우'''}}}}}}]] ||<nopad> [[제황|{{{#!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21[br]'''제황'''}}}}}}]] ||<nopad> [[노돌리|{{{#!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72[br]'''노돌리'''}}}}}}]] ||<nopad> [[이글콥|{{{#!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89[br]'''이글콥'''}}}}}}]] ||
#!if 팀 == "레요헤호케"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ff5173,#ff5173><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ff5173.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ff5173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ff5173;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요나 - 레요헤호케|{{{#ff5173,#ff5173 {{{+1 '''TEAM 레요헤호케'''}}}}}}]] ||
}}} ||
||<nopad><rowbgcolor=#fff,#1c1d1f>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요나|{{{#!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02[br]'''요나'''}}}}}}]] ||<nopad> [[헤라(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55[br]'''헤라'''}}}}}}]] ||<nopad>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김레오|{{{#!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25[br]'''김레오'''}}}}}}]] ||<nopad> [[문호준|{{{#!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97[br]'''문호준'''}}}}}}]] ||<nopad> [[케인(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11[br]'''케인'''}}}}}}]] ||
너무 긴장되소이다. 다짐이 있다. 나는 팀장 자리에 있을 깜냥이 안된다. 나보다 잘하는 사람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나보다 잘하는 사람을 뽑아서 그분에게 팀장 자리를 넘기겠다. 그리고 "미소녀 팀을 만들고 싶다." 참고로 김토키와 케인도 미소녀 라인업에 들어와있다.[37] - 경매 전 팀장 인터뷰 |
TEAM 미소녀의 팀장 요나다. 팀 결성에 완전 만족 대만족하며, 원래의 팀 계획과 비슷하게 됐다. - 경매 후 팀장 인터뷰 |
- 7월 3일 22:42 스크림에서 남궁혁이 다들 팀 이름이 정해졌는지 물어보자, 요나가 '레요헤호케'로 정해졌다고 했다. 남궁혁이 이름이 너무 어려운 것 아니냐고 하자, 요나가 제오페구케 같은 것이라고 답했다. 제오페구케처럼 팀 구성원 이름에서 하나씩 따와서 (김레오, 요나, 헤라, 문호준, 케인) 지은 것으로 보인다.
- 본선에서 김레오가 직전 대회보다 부진한 모습을 보였는데, 경기가 끝난 직후 팀 인터뷰에서 김레오가 한쪽 눈이 보이지 않는 상태로 이번 치레동에 참가했다고 밝혔다.
6.4. TEAM 강지형 -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if 팀 == "투자는남궁혁처럼"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40cfff,#40cfff><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40cfff.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40c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40cfff;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남궁혁 - 투자는남궁혁처럼|{{{#40cfff,#40cfff '''{{{+1 TEAM 투자는남궁혁처럼}}}'''}}}]] ||
}}} ||
||<nopad><rowbgcolor=#fff,#1c1d1f> [[남궁혁|{{{#!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14[br]'''남궁혁'''}}}}}}]] ||<nopad> [[오단밍|{{{#!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61[br]'''오단밍'''}}}}}}]] ||<nopad> [[김토키|{{{#!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08[br]'''김토키'''}}}}}}]] ||<nopad> [[뽀구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92[br]'''뽀구미'''}}}}}}]] ||<nopad> [[햄쿠비|{{{#!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40cfff,#40cfff No.44[br]'''햄쿠비'''}}}}}}]] ||
#!if 팀 == "오버테이크"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d47fff,#d47fff><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d47fff.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d47fff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d47fff;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형독 - 오버테이크|{{{#d47fff,#d47fff {{{+1 '''TEAM 오버테이크'''}}}}}}]] ||
}}} ||
||<rowbgcolor=#fff,#1c1d1f><nopad> [[형독|{{{#!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07[br]'''형독'''}}}}}}]] ||<nopad> [[서애덕|{{{#!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99[br]'''서애덕'''}}}}}}]] ||<nopad> [[오버더월#러브다이아|{{{#!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77[br]'''양메이'''}}}}}}]] ||<nopad> [[박인수|{{{#!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06[br]'''박인수'''}}}}}}]] ||<nopad> [[박지|{{{#!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d47fff,#d47fff No.69[br]'''박지'''}}}}}}]] ||
#!if 팀 ==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fbbf5b,#fbbf5b><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fbbf5b.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fbbf5b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fbbf5b;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강지형 - 이글콥1등하면페라리|{{{#fbbf5b,#fbbf5b {{{+1 '''TEAM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
}}} ||
||<nopad><rowbgcolor=#fff,#1c1d1f> [[강지형(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38[br]'''강지형'''}}}}}}]] ||<nopad> [[쵸쵸우|{{{#!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03[br]'''쵸쵸우'''}}}}}}]] ||<nopad> [[제황|{{{#!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21[br]'''제황'''}}}}}}]] ||<nopad> [[노돌리|{{{#!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72[br]'''노돌리'''}}}}}}]] ||<nopad> [[이글콥|{{{#!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fbbf5b,#fbbf5b No.89[br]'''이글콥'''}}}}}}]] ||
#!if 팀 == "레요헤호케"
||<-5><tablealign=center><width=698><tablebordercolor=#ff5173,#ff5173><tablebgcolor=#000>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tablebgcolor=#000><width=50%> {{{#!wiki style="margin: +10px 0px"
[[치레동|[[파일:치레동 로고_ff5173.svg|height=35]]]]}}}||<width=50%>[[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ff5173 {{{-1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text-align: center; margin: 4px 2px; padding: 0px 5px; background: #ff5173; border-radius: 4px; color: #000"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br][[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TEAM 요나 - 레요헤호케|{{{#ff5173,#ff5173 {{{+1 '''TEAM 레요헤호케'''}}}}}}]] ||
}}} ||
||<nopad><rowbgcolor=#fff,#1c1d1f>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요나|{{{#!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02[br]'''요나'''}}}}}}]] ||<nopad> [[헤라(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55[br]'''헤라'''}}}}}}]] ||<nopad>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김레오|{{{#!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25[br]'''김레오'''}}}}}}]] ||<nopad> [[문호준|{{{#!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97[br]'''문호준'''}}}}}}]] ||<nopad> [[케인(인터넷 방송인)|{{{#!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55px; background-color: #000; display: inline-block; padding: 1px 3px; margin: 5px 0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ff5173,#ff5173 No.11[br]'''케인'''}}}}}}]] ||
예선 A조는 무난하게 봤는데, 예선 B조에서 예상외의 뛰어난 분들이 갑자기 튀어나와서 경매 전략이 섞여버렸다. 예선 시작 전에는 예선 B조 참가자 중 노돌리, 뽀구미, 제황을 눈여겨 봤는데 오단밍이 의외로 너무 잘했다고 생각한다. 1등도 좋지만 재미있게 달리는게 좋다. 라인 타는 것, 스키드 소리가 그냥 재미있는 것이다. "져도 괜찮으니까 열심히, 화이팅." - 경매 전 팀장 인터뷰 |
2명은 계획대로 낙찰 받았다. 콥황의 기록이 가장 낮았었는데, 나와 제황이 알려주면 올라갈 수 있는 고점이 높다고 생각한다. 팀 강지형에는 3명의 황제가 있다. 제황, 돌황, 콥황까지 쓰리황이다. 사실 쵸황과 봉황까지 합쳐 5황이다. 특히 쵸쵸우는 지난 대회에서도 굉장히 잘했다. 이글콥은 알려주면 엔간하면 3성까지는 깎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3성은 내가 잡고, 4성은 제황이 잡는다. 화이팅!" - 경매 후 팀장 인터뷰 |
- 경매 직후 팀장 강지형이 디스코드 방을 파서 팀 연습 방향에 관해 논의했는데, 이 때 강지형을 제외한 모든 인원이 제대로 된 레이싱 환경을 갖추지 못한 채로 레이싱을 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 노돌리
컴퓨터 의자는 바퀴 때문에 밀려서 바퀴와 등받이가 없는 의자에 앉아 레이싱을 하고 있다.[39] 또한 레이싱 휠의 페달이 고정되지 않아 한쪽 발로 페달을 조작할 때 다른 한쪽 발로 페달을 고정시키면서 운전하고 있다. - 제황
한발운전을 하고 있다.[40] 양발운전을 하면 페달이 고정되지 않아 왼발로 페달을 고정하고 오른발로만 페달을 조작하고 있다. 또한 방음부스가 좁아(일명 뒤주) 에어컨 없이 방송하고 있다. - 이글콥
책상이 좁아서 레이싱 휠의 핸들이 고정되지 않아, 책상에 레이싱 휠을 청테이프로 고정해서 사용하고 있다.[41] - 쵸쵸우
기둥 때문에 책상에 레이싱 휠이 고정이 안돼서 레이싱 휠을 책으로 받쳐서 레이싱을 하고 있다.
7. 스크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스크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치레동: 제2회 포뮬러 그랑프리/스크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8. 본선
8.1. 진행 방식 및 규정
- 5인 1팀, 2팀 1조로 진행[42]
- 4강 진행 후 3·4위전 및 결승전 진행. 대진표는 본선 당일에 뽑는다.
- 경기 트랙
- 4강전: 예선 트랙과 동일한 레드불 링
- 결승전 및 3·4위전: 몬차 서킷 (시케인 없음)[43]
- 경기 구성
- 퀄리파잉: 15분
- 레이스: 20랩
- 본선 순위 산정 방식: 포인트 합산 후 동점이 나올 경우, 각 팀의 1위 포인트 비교 후 더 높은 팀이 승리 {{{#!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포인트 | 순위 | 포인트 | |||||
1위 | 20 | 6위 | 9 | |||||
2위 | 17 | 7위 | 7 | |||||
3위 | 15 | 8위 | 4 | |||||
4위 | 13 | 9위 | 2 | |||||
5위 | 11 | 10위 | 0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rowcolor=#00ffa3><colbgcolor=#000,#000><colcolor=#00ffa3> | 슈퍼 포뮬러 | F1 | |
<rowcolor=#00ffa3> 오버테이크(OTS) | KERS(ERS) | DRS | ||||||
작동 방식 | 엔진 연료 분사량을 늘려 일시적으로 엔진 출력 높임 | 하이브리드 자동차 처럼 운동 에너지를 배터리에 전기로 저장해서 재활용 | 리어 윙 플랩을 열어 공기저항을 감소시킴 | |||||
사용 제한 | 사용 시간을 기준으로 제한 | 사용 에너지를 기준으로 제한 | 사용 조건으로 제한 | |||||
한 경기에 총 200초, 1회 최대 20초, 쿨타임 100초 | 1랩 당 4MJ (≈ 1.1kWh) | DRS 존에서 & 앞차와 1초 이내 간격일 때만 사용 가능 | ||||||
비고 | 추월 시도 및 방어 모두에 사용 가능 | 에너지를 사용할지 충전할지를 조절 가능하며, 엔진 출력을 조절하는데 사용할 수도 있고, 추월 시도 및 방어에 사용할 수도 있음.[46] | 추월 시도에만 사용 가능 | |||||
퀄리파잉 때 사용 불가 | 퀄리파잉 때 사용 가능 |
8.2. 4강 A조: 레요헤호케 VS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 경기 트랙: 레드불 링
||<-3><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00ffa3,#00ffa3><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0,#000><color=#00ffa3> 4강 A조 ||
TEAM 레요헤호케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color: #ff5173" | VS | TEAM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color: #fbbf5b" |
8.2.1. 퀄리파잉
- 퀄리파잉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선수 | 랩타임 |
1 |
| 1:12.652 |
2 |
| 1:12.654 |
3 |
| 1:13.025 |
4 |
| 1:13.201 |
5 |
| 1:13.204 |
6 |
| 1:13.365 |
7 |
| 1:13.674 |
8 |
| 1:14.077 |
9 |
| 1:14.789 |
10 |
| 1:15.125 |
8.2.2. 레이스
- 레이스 진행 내역
- 1랩
차량들이 많이 모여있는 상태로 제황이 언더스티어로 스핀하며 9위까지 하락했으나 아무와도 컨택하지 않고 이후 7랩에서 선두권에 합류했다. - 2랩
1위로 달리던 노돌리가 크게 스핀하며 8위까지 밀렸다. 이 여파로 팀 이일페의 강지형을 제외한 상위권이 하위권으로 밀려나며 선두권이 요나-강지형-김레오-문호준으로 형성되어 레요헤호케의 강세가 이어졌다. - 8랩
제황과 김레오가 경합하며 코너에 진입후 빠져나왔는데, 이 때 김레오가 스핀나며[47] 6위까지 밀렸다. 그리고 이 바로 다음 코너에서 김레오가 이번에는 노돌리와 경합했는데, 이 상황에서 이번에는 노돌리가 스핀했고 김레오가 페널티를 받았다.[48] - 9랩
요나가 1위, 강지형이 2위로 경합 하던 중, 강지형이 요나의 슬립스트림을 받으며 추월했다. 이후 요나가 오버테이크를 소모하며 강지형을 따라잡으려 했으나, 마모된 소프트 타이어로 인해 코스를 벗어나 12랩에서 0.5초, 14랩에서 1.5초의 인게임 페널티를 받으며 강제 감속되어 강지형을 따라잡지 못하고 오히려 제황에게 추월당한 후 피트인하여 하드 타이어로 교체했다. - 15랩
요나의 피트인 직후 강지형도 피트인해서 하드 타이어로 교체했으며[49] 강지형이 피트인한 동안 1위를 했던 제황이 16랩까지 소프트 타이어를 쓰다가 피트인하여 선수 중 마지막으로 하드 타이어로 교체했다. - 파이널 랩
강지형-제황-요나가 체커 플래그를 받은 직후 마지막 코너에서 문호준과 노돌리가 경합했는데, 문호준이 여기서 라인을 너무 크게 그려 코스 밖으로 살짝 이탈했다. 이 때 문호준에게 인게임 페널티가 0.5초 부과되어, 노돌리보다 0.382초 먼저 결승선을 통과했음에도 인게임 기록이 노돌리 4위, 문호준 5위로 기록됐다.[50]
- 개인 레이스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이름 | 최종 페널티 | 인게임 기록 | 최종기록 | 베스트 랩 | 포인트 |
1 |
| - | 25:18.580 (+02.096) | 25:18.580 | 1:12.620 |
|
2 |
| 5초 | 25:16.484 | 25:21.484 | 1:12.988 |
|
3 |
| - | 25:23.410 (+06.926) | 25:23.410 | 1:12.955 |
|
4 |
| - | 25:59.074 (+42.590) | 25:59.074 | 1:13.607 |
|
5 |
| 5초 | 25.59:696 (+43.212) | 26.04:696 | 1:13.042 |
|
6 |
| - | 26:08.676 (+52.192) | 26:08.676 | 1:14.153 |
|
7 |
| - | 26:19.274 (+1:02.790) | 26:19.274 | 1:14.350 |
|
8 |
| 15초 | 26:06.116 (+49.632) | 26:21.116 | 1:12.714 |
|
9 |
| 2초 | 26:24.391 (+1:07.907) | 26:26.391 | 1:14.830 |
|
10 |
| - | 26:26.484 (+1:10.000) | 26:26.484 | 1:15.926 |
|
8.2.3. 결과
- 4강 A조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결과 | 팀 선수별 포인트 | 포인트 합산 |
결승전 진출 | TEAM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color: #fbbf5b" | 57 |
3·4위전 진출 | TEAM 레요헤호케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color: #ff5173" | 41 |
8.3. 4강 B조: 오버테이크 VS 투자는남궁혁처럼
- 경기 트랙: 레드불 링
||<-3><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00ffa3,#00ffa3><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0,#000><color=#00ffa3> 4강 B조 ||
TEAM 오버테이크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color: #d47fff" | VS | TEAM 투자는남궁혁처럼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color: #40cfff" |
8.3.1. 퀄리파잉
- 퀄리파잉 진행 내역
- 퀄리파잉 시작 후 4분 57초 시점에 남궁혁이 랩타임 1:12.102를 찍으며 형독의 1:12.103 보다 "0.001초" 빠르게 FL을 경신하여 직전 대회 양대 MVP의 치열한 싸움을 예고했다.
- 8분 22초 시점에 박인수가 대회 공식 기록 중 최초로 1분 11초대를 찍으며 FL을 경신했다.
- 이후 남궁혁이 다시한번 랩타임을 경신하기 위해 오단밍의 슬립스트림까지 이용했지만, FL 경신에는 실패했다.
- 퀄리파잉 중 오단밍의 레이싱 휠의 십자키가 인식되지 않는 문제가 간헐적으로 발생했다.
- 15분 30초 시점에 형독이 마지막에 삐끗했음에도 1:11.992를 찍으며 남궁혁을 제치고 퀄리파잉 2위를 기록했다.
- 퀄리파잉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선수 | 랩타임 |
1 |
| 1:11.941 |
2 |
| 1:11.992 |
3 |
| 1:12.102 |
4 |
| 1:12.217 |
5 |
| 1:13.357 |
6 |
| 1:13.686 |
7 |
| 1:13.703 |
8 |
| 1:14.156 |
9 |
| 1:14.780 |
10 |
| 1:15.121 |
8.3.2. 레이스
- 레이스 진행 내역
- 팀 투자는남궁혁처럼의 오단밍과 김토키가 하드 타이어로 시작하는 전략을 택했다.
- 1랩
폴 포지션으로 출발한 박인수가 출발 실수를 하며 5위까지 밀렸다. - 4랩
형독-남궁혁-박인수의 구도가 만들어졌는데, 이 때 남궁혁이 2:1 구도를 막기 위해 형독 추월을 시도하며 박인수의 라인을 예상하고 그 라인을 막아 전략적으로 스핀을 유도했고, 박인수가 이 노림수에 걸려 스핀이 나며 7위까지 밀렸다.[51] 이 이후로 형독 VS 남궁혁이 선두권을 형성하며 고착화되었고, 이 둘의 무한배틀로 이어지게 됐다. 7위까지 밀린 박인수는 이후 7랩에서 뽀구미를, 8랩에서 박지를 따라잡으며 원래 순위를 회복했다. - 6랩
7랩 직전에 서애덕의 레이싱 휠 핸들이 빠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서애덕이 바로 대처를 해서 핸들 빠짐으로 인한 큰 코스 이탈이나 사고는 없었다. 하지만 이후 13랩에서 피트인을 잘못하는 바람에 큰 사고가 났고, 14랩에서 하드 타이어로 교체 후 이 여파로 10위로 마무리했다. - 17랩
15랩에서 형독보다 먼저 피트인 한 남궁혁과, 16랩에서 피트인 후 17랩에서 피트아웃한 형독이 0.223초 차이로 만나며 명장면을 만들었다. 이 때 남궁혁보다 형독이 더 빨랐기 때문에 남궁혁의 언더컷 전략이 간발의 차로 실패했으나, 다다음 코너에서 남궁혁이 형독보다 먼저 열이 오른 하드 타이어를 활용해서 추월하는데 성공한다. - 파이널 랩
형독 VS 남궁혁이 마지막 코너까지도 무한배틀을 하며 0.22초 차이로 경합하다가 남궁혁이 마지막에 극적으로 1위를 하는 명장면을 뽑아냈다. 추후 남궁혁이 밝히길, 마지막 코너 직전에 형독과 경합할 때 계속 우측 하단의 레이더를 보며 형독이 인코스를 택할지 아웃코스를 택할지 가늠하고 있었다고 한다.[52] 형독은 이 때 인코스를 택했고, 남궁혁은 바로 가운데로 달리며 형독에게 인코스 활용에 불리한 라인을 강요하다가 브레이크를 일찍 밟으며 바깥쪽으로 빠져 가속 시작을 형독보다 빠르게 했다. 이 덕에 마지막 코너에서 남궁혁의 탈출속도가 형독보다 빨랐고, 형독이 코너를 빠져나오며 생긴 오른쪽 빈공간으로[53] 남궁혁이 치고 나가면서 라인 크로스를 만들어냈다. 마지막 직선 구간에서 형독이 남궁혁의 슬립스트림을 받으며 추월을 노렸으나, 남궁혁이 그때까지 남겨둔 마지막 1회분의 오버테이크를 사용하여 확실하게 배틀의 마무리를 지었다.[54]
- 개인 레이스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이름 | 최종 페널티 | 인게임 기록 | 최종기록 | 베스트 랩 | 포인트 |
1 |
| - | 25:09.809 | 25:09.809 | 1:12.236 |
|
2 |
| - | 25:11.026 (+01.217) | 25:11.026 | 1:12.931 |
|
3 |
| - | 25:20.175 (+10.366) | 25:20.175 | 1:11.887 |
|
4 |
| 2초 | 25:24.571 (+14.762) | 25:26.571 | 1:11.833 |
|
5 |
| - | 25:38.133 (+28.324) | 25:38.133 | 1:12.699 |
|
6 |
| - | 25:46.984 (+37.175) | 25:46.984 | 1:14.546 |
|
7 |
| - | 25:48.600 (+38.791) | 25:48.600 | 1:13.753 |
|
8 |
| - | 25:51.056 (+41.247) | 25:51.056 | 1:14.174 |
|
9 |
| - | 26:00.618 (+50.809) | 26:00.618 | 1:14.431 |
|
10 |
| - | 26:17.523 (+1:07.714) | 26:17.523 | 1:13.954 |
|
8.3.3. 결과
- 4강 B조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결과 | 팀 선수별 포인트 | 포인트 합산 |
결승전 진출 | TEAM 투자는남궁혁처럼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color: #40cfff" | 53 |
3·4위전 진출 | TEAM 오버테이크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color: #d47fff" | 45 |
8.4. 3·4위 결정전
- 경기 트랙: 몬차 서킷 (시케인 없음)
||<-3><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00ffa3,#00ffa3><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0,#000><color=#00ffa3> 3·4위 결정전 ||
TEAM 레요헤호케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color: #ff5173" | VS | TEAM 오버테이크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color: #d47fff" |
8.4.1. 퀄리파잉
- 퀄리파잉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선수 | 랩타임 |
1 |
| 1:22.186 |
2 |
| 1:22.959 |
3 |
| 1:23.060 |
4 |
| 1:23.146 |
5 |
| 1:23.613 |
6 |
| 1:23.664 |
7 |
| 1:24.163 |
8 |
| 1:24.266 |
9 |
| 1:25.200 |
10 |
| 1:25.784 |
8.4.2. 레이스
- 레이스 진행 내역
- 3랩
헤라의 핑이 튀어 옆에서 달리던 양메이를 코스아웃 시켰다.[55] - 5랩
형독이 크게 스핀하며 3위에서 6위로 내려오고, 케인이 양메이를 추월하여 7위로 올라와서 '크로마키 미팅'이 성사됐다.[56] 이후 형독은 9랩에서 4위까지 회복했다. - 6랩
김레오가 인게임 페널티 3초를 받아 요나와 순위를 교환했으며, 이 이후로 상위권은 1위 박인수, 2위 문호준, 3위 요나로 레이스가 끝날 때까지 이 셋은 큰 실수 없이[57] 안정적으로 주행하며 순위가 고정되었고 김레오도 이 이후로 인게임 페널티를 많이 받았음에도 순위를 굳혔다.
8위로 달리던 박지가 핑이 튄 헤라에 의해 크게 스핀하며 10위로 내려왔다.[58] 이후 8랩에서 양메이와 박지가 함께 달렸는데, 이 때 양메이가 같은 팀인 박지에게 라인을 양보하다가 실수를 해 사고를 당했다. - 7랩
케인의 방송이 터졌으나 바로 다음 랩인 8랩에서 다시 방송이 켜졌다. - 15랩
박지가 케인을 추월하며 8위를 회복했다. - 파이널랩
6위로 달리던 헤라가 스핀했고, 이를 활용해 서애덕과 박지가 헤라를 추월하며 각각 6위와 7위로 체커 플래그를 받았다.
- 개인 레이스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이름 | 최종 페널티 | 인게임 기록 | 최종기록 | 베스트 랩 | 포인트 |
1 |
| - | 28:16.934 | 28:16.934 | 1:21.990 |
|
2 |
| 2초 | 28:28.969 (+12.035) | 28:30.969 | 1:22.576 |
|
3 |
| - | 28:32.026 (+15.092) | 28:32.026 | 1:22.937 |
|
4 |
| - | 28:42.972 (+26.038) | 28:42.972 | 1:23.043 |
|
5 |
| - | 28:57.505 (+40.571) | 28:57.505 | 1:23.616 |
|
6 |
| - | 29:08.792 (+51.858) | 29:08.792 | 1:23.418 |
|
7 |
| - | 29:13.928 (+56.994) | 29:13.928 | 1:22.848 |
|
8 |
| - | 29:25.975 (+1:09.041) | 29:25.975 | 1:25.138 |
|
9 |
| 10초 | 29:17.156 (+1:00.222) | 29:27.156 | 1:24.394 |
|
10 |
| - | 29:39.211 (+1:22.277) | 29:39.211 | 1:24.353 |
|
8.4.3. 결과
- 3·4위전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결과 | 팀 | 포인트 합산 |
최종 3위 | TEAM 오버테이크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color: #d47fff" | 49 |
최종 4위 | TEAM 레요헤호케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color: #ff5173" |
- 치레동 역사상 처음으로 팀별 포인트 합산이 동점이 나와서 사전에 공지한, 1위가 있는 팀이 해당 경기에서 우승한다는 룰에 따라 박인수가 1위를 한 오버테이크 팀이 최종 3위를 차지하게 되었다.
8.5. 결승전
- 경기 트랙: 몬차 서킷 (시케인 없음)
||<-3><tablealign=center><tablewidth=700><tablebordercolor=#00ffa3,#00ffa3><tablebgcolor=#fff,#1c1d1f><bgcolor=#000,#000><color=#00ffa3> 결승전 ||
TEAM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color: #fbbf5b" | VS | TEAM 투자는남궁혁처럼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color: #40cfff" |
8.5.1. 퀄리파잉
- 퀄리파잉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선수 | 랩타임 |
1 |
| 1:22.629 |
2 |
| 1:22.961 |
3 |
| 1:23.193 |
4 |
| 1:23.600 |
5 |
| 1:23.631 |
6 |
| 1:24.548 |
7 |
| 1:25.922 |
8 |
| 1:25.408 |
9 |
| 1:25.901 |
10 |
| 1:25.996 |
8.5.2. 레이스
- 레이스 진행 내역
- 1랩
뽀구미가 레이스 시작 17초만에 코스를 벗어나며 크게 스핀했다.[59] 이후 2랩에서 8위로 달리던 이글콥을 지속적으로 뒤에서 밀다가 컨택 후 추월을 했다.[60] 6랩 후반에서는 버그성 스핀을 당했다.
스크림 때의 경험을 바탕으로 시작부터 하드 타이어로 달리며 경합과 컨택을 피하고, 후반에 소프트 타이어로 교체하여 순위를 끌어올리는 전략을 세웠던 쵸쵸우가 뽀구미에게 추월당한 직후 하드 타이어에 적응하지 못하며 6랩에서 피트인할 때까지 여러번 스핀했고, 9위 이글콥과 25초차까지 벌어졌다.[61] - 6랩
1위로 주행하던 강지형이 코스이탈 후 복귀하다 그 사이에 1위가 된 남궁혁을 들이받아 남궁혁이 코스이탈했다. 하지만 이 직후 강지형은 남궁혁을 추월하지 않고 남궁혁이 원래 코스로 복귀할 때까지 기다렸고, 따라서 이 컨택으로 인한 상대팀 순위변동이 없었으므로 강지형에게 페널티가 부과되지 않았다.
1위로 주행하던 노돌리와 2위로 주행하던 남궁혁 사이에 남궁혁의 과실로 컨택이 있었고, 이 직후 남궁혁이 1위로 올라가며 순위 변동이 생겨 남궁혁에게 2초 페널티가 부과됐다.[62] - 7랩
팀 이일페의 노돌리·강지형·제황이 앞에서는 슬립스트림을 주고, 뒤에서는 작은 컨택으로 밀어주며 서로를 가속시키는 일명 '러브버그' 전략을 구사하며 3대가 나란히 1위로 달리던 남궁혁을 추월하는 명장면을 보였다. 그러나 이 직후 연속 코너 직전 제황이 노돌리·강지형과의 혹시 모를 컨택을 예방하기 위해 원래의 브레이크 포인트 보다 일찍 브레이크를 잡았고, 남궁혁은 이것을 예상하지 못해 레이트 브레이크로 앞의 제황과 컨택이 났다.[63] 이 때 제황이 강지형과 2차 컨택 후 경로가 리셋됐는데,[64][65] 이 경로 리셋의 여파로 제황은 햄쿠비·오단밍·김토키·뽀구미에 밀려 8위까지 떨어졌으나, 14랩에서 3위까지 회복하며 팀 이일페의 방어에 기여했다. - 10랩
팀 이일페의 노돌리·강지형이 1·2위를 하며 3위 남궁혁과 선두권 그룹을 형성했으나, 연속코너에서 노돌리가 브레이크를 너무 늦게 밟아 언더스티어가 나고 있던 상황에서 강지형과 컨택이 발생했고, 결국 노돌리가 크게 스핀하며 대형사고가 터졌다.[66] 이 사고 직후 감속된 강지형과 뒤에서 오던 남궁혁의 컨택이 있었다.[67] 노돌리는 스핀 후 8위까지 내려갔고, 남궁혁과 0.9~2초 차로 경합하던 강지형이 13랩에서 스핀하며 9초까지 벌어졌으며[68] 파이널 랩에서도 스핀을 내며 최종적으로 남궁혁과 19초295 차이로 체커 플래그를 받았다. - 14랩
남궁혁을 제외한 팀 투자는남궁혁처럼의 팀원 전원이 피트인 했다.[69] 오단밍·햄쿠비·김토키·뽀구미가 한번에 피트인했고, 또 한번에 피트아웃하면서 이 넷은 뭉쳐다니게 됐다. 그렇게 서로 슬립스트림을 주고 받으며 가속 및 서로의 실수를 커버하는[70] 전략적인 팀플레이를 보이며 중위권에 벽을 쌓았다. 이로 인해 노돌리가 이들을 따라잡으며 원래 순위로 복귀하는 것이 어려워졌고, 이들이 따라잡히지 않자 멘탈이 흔들린 노돌리가 18랩에서 스핀하며 원래 순위를 회복하지 못하고 8위로 체커 플래그를 받았다.
- 개인 레이스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순위 | 이름 | 최종 페널티 | 인게임 기록 | 최종기록 | 베스트 랩 | 포인트 |
1 |
| 17초 | 28:34.804 | 28:51.804 | 1:23.408 |
|
2 |
| - | 28:54.099 (+19.295) | 28:54.099 | 1:22.544 |
|
3 |
| - | 29:07.619 (+32.815) | 29:07.619 | 1:22.840 |
|
4 |
| - | 29:13.638 (+38.834) | 29:13.638 | 1:24.819 |
|
5 |
| - | 29:13.904 (+39.100) | 29:13.904 | 1:24.915 |
|
6 |
| - | 29:23.024 (+48.220) | 29:23.024 | 1:23.589 |
|
7 |
| 5초 | 29:18.335 (+43.531) | 29:23.335 | 1:23.786 |
|
8 |
| 5초 | 29:19.248 (+44.444) | 29:24.248 | 1:24.911 |
|
9 |
| - | 29:33.317 (+58.513) | 29:33.317 | 1:26.585 |
|
10 |
| - | 29:34.804 (+1:00.000) | 29:34.804 | 1:28.245 |
|
8.5.3. 결과
- 결승전 결과{{{#!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결과 | 팀 | 포인트 합산 |
최종 우승 | TEAM 투자는남궁혁처럼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color: #40cfff" | 55 |
최종 준우승 | TEAM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color: #fbbf5b" | 43 |
- 4강전에서 중하위권 라인을 성공적으로 방어하며 결승전 진출에 공헌한 오단밍과 김토키가 결승전 레이스에서도 각각 4·5위를 차지하며 팀 우승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 특히 남궁혁 팀의 팀 이름이 '투자는남궁혁처럼'이 된 이유가 남궁혁이 경매에서 오단밍에게 250 포인트, 김토키에게 101 포인트를 베팅하며 타 팀장보다 과하게 투자했고 그 여파로 잔여 포인트가 부족해 제황과 양대 카트 프로 선수 영입에 실패한 것을 놀리는 의미였는데, 오단밍과 김토키가 각각 결승전에서 낙찰가 이상의 역할을 해내며 남궁혁의 투자가 진짜 성공한 것으로 재평가 받았다.
9. 최종 결과
- 최종 팀 순위{{{#!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결과 | 팀 | 상금 |
우승 | TEAM 투자는남궁혁처럼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40cfff; color: #40cfff" | 250만 원 |
준우승 | TEAM 이글콥1등하면페라리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bbf5b; color: #fbbf5b" | 150만 원 |
3위 | TEAM 오버테이크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d47fff; color: #d47fff" | 100만 원 |
4위 | TEAM 레요헤호케 {{{#!wiki style="text-align: center; width: 45px; display: inline-block; margin: 3px 3px; border-radius: 5px; border: 1px solid #ff5173; color: #ff5173" | - |
10. 임시 티어 및 본선 MVP 결정
- 티어지수 계산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th({티어지수}=\displaystyle \frac{1}{n} \sum_{i=1}^{n} \left(0.3Q_i + 0.7R_i \right))][71] | ||||||||||
[math(n)]: 해당 대회에서 라운드의 개수 [math(Q_i)]: 라운드 [math(i)]의 퀄리파잉 순위 [math(R_i)]: 라운드 [math(i)]의 레이스 순위 | }}}
| <rowcolor=#00ffa3,#00ffa3> 기준 | 티어 | 비고 | ||||||
1 [math(\leq)] 티어지수 [math(\leq)] 3 |
| 포디움권 멤버 (기준 유지) | ||||||||
3 [math(<)] 티어지수 [math(<)] 6 |
| (기준 변경) | ||||||||
6 [math(\leq)] 티어지수 [math(<)] 8 |
| (기준 변경) | ||||||||
8 [math(\leq)] 티어지수 |
| (기준 변경) | ||||||||
티어지수 없음 |
| 신규 동아리 멤버 등 | }}} | <rowcolor=#00ffa3><colbgcolor=#000><colcolor=#00ffa3> 순위 | 선수 | 세션 별 순위 | 티어지수 | |||
<rowcolor=#00ffa3> 4강 (=라운드1) | 결승 or 3·4위 결정 (=라운드2) | |||||||||
<rowcolor=#00ffa3> 퀄리파잉 (30%) | 레이스 (70%) | 퀄리파잉 (30%) | 레이스 (70%) | |||||||
1 = {{{#!wiki style="font:1em/0.9 math; font-family:revert; letter-spacing: -1px" |
| 3 | 1 | 1 | 1 | ▲1.30 | ||||
2 |
| 1 | 3 | 1 | 1 | 1.70 | ||||
3 |
| 2 | 1 | 2 | 3 | 2.00 | ||||
4 |
| 6 | 2 | 3 | 2 | ▲2.75 | ||||
5 |
| 2 | 2 | 3 | 4 | ▼2.85 | ||||
6 |
| 3 | 3 | 6 | 3 | ▼3.45 | ||||
7 |
| 5 | 5 | 2 | 2 | 3.50 | ||||
8 |
| 1 | 4 | 4 | 6 | 4.25 | ||||
9 |
| 4 | 4 | 5 | 7 | 5.20 | ||||
10 |
| 4 | 8 | 4 | 5 | ▼5.75 | ||||
11 |
| 6 | 5 | 5 | 7 | 5.85 | ||||
12 |
| 8 | 7 | 6 | 5 | 6.30 | ||||
| 7 | 8 | 7 | 4 | ▲6.30 | |||||
14 |
| 5 | 10 | 7 | 6 | ▲7.40 | ||||
15 |
| 7 | 6 | 8 | 9 | ▲7.50 | ||||
16 |
| 9 | 6 | 10 | 8 | ▲7.75 | ||||
17 |
| 8 | 7 | 8 | 10 | ▼8.35 | ||||
18 |
| 10 | 9 | 10 | 8 | 8.95 | ||||
19 |
| 9 | 10 | 9 | 9 | 9.35 | ||||
20 |
| 10 | 9 | 9 | 10 | ▼9.50 |
- 티어 결과: 7월 11일 남궁혁 방송에서 임시로 정한 티어 결정 기준을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74]
{{{#!wiki style="word-break: keep-all"
<rowcolor=#00ffa3> 티어 | 선수 및 티어지수 | |||
| [[남궁혁| ]][[박인수| ]][[제황| ]][[강지형(인터넷 방송인)| ]][[형독| ]] | |||
|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요나| ]][[문호준| ]][[노돌리| ]][[뽀구미| ]][[버츄얼 유튜버/목록/한국#김레오| ]][[박지| ]] | |||
| [[오단밍| ]][[김토키| ]][[서애덕| ]][[헤라(인터넷 방송인)| ]][[햄쿠비| ]] | |||
| [[쵸쵸우| ]][[케인| ]][[이글콥| ]][[오버더월#양메이| ]] | }}}11. 여담
|
라고 '투자는남궁혁처럼'이라는 팀 이름에 맞춰 깨알같이 적혀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참고로 남궁혁은 공식 카카오톡 플러스친구 계정이 없다.
11.1. 향후 계획
- 다음 치레동은 11월 말에서 12월 초 중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한다.
- 치레동 2회 이후로 F1 더 무비가 장기 흥행하고 포뮬러 1에 대한 관심이 늘어난 것을 고려하여 다음 치레동은 그란 투리스모 7이 아닌 F1 25로 진행하는 것도 논의 중이라고 한다. 이렇게 되면 플스 사용이 강제되지 않으므로, 보다 다양하고 새로운 참가자들이 치레동에 참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F1 25는 그란 투리스모에 비해 팀요소가 강조되고 실제 F1 용어를 사용한 기능이 있어, 본격적인 F1 테마의 치레동이 가능해진다. 하지만 그란 투리스모에 비해 관전 기능과 비주얼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어 고민중이라고 한다.[84]
- 팀장 기피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다음 치레동에는 하위권 선수들(혹은 저티어 선수)이 팀원을 뽑게 하는 역순 드래프트로 팀을 구성할 것이라고 한다.
- 이번 대회나 지난 대회처럼 같은 팀이 한 경기에서 달리는 것이 아니라 레이싱 숙련도에 따라 리그를 나눠 고인물은 고인물끼리 뉴비는 뉴비끼리 경기하되, 포인트는 같은 팀끼리 합산해서 팀 순위를 결정할 수도 있다고 한다. 이렇게 되면 뉴비들도 포디움에 드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고 뉴비들이 경기하는 동안 고인물은 뉴비를 실시간으로 코칭하며 더 나은 경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중계도 고인물의 배틀에 편중되지 않고 뉴비들도 비춰줄 수 있게 된다.[85]
- 향후 치레동에서는 가벼운 느낌의 레이싱 컨텐츠도 할 생각이 있다고 한다.
- 2025년 중으로 대규모 오픈 토너먼트[86]도 기획 중이라고 한다.
- 이번 대회에서는 한 경기의 페널티를 모두 계산하고 포인트 합산까지 시청자들에게 발표한 후에 다음 경기의 퀄리파잉을 시작했는데, 다음 치레동에서도 심판제 페널티를 도입한다면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심판들이 페널티를 채점하는 동안 다음 경기의 퀄리파잉을 진행하는 것도 고려하고 있다고 한다.
[1] 남궁혁의 개인 시점은 남궁혁의 부계정으로 별도 송출.[2] 치레동 그랑프리라고 불린다.[3] 치레동이라고 불린다.[4] 20랩은 본선 기준으로, 예선 레이스는 15랩이다.[5] 심판은 스트리머 레이싱 리그 때와 동일하게 5명이며, 컷팅에 대해서는 인게임 페널티를 적용한다.[6] 코스 가장자리의 마셜이 흔드는 깃발이 유효해지는 기능으로, 해당 설정을 켜면 사고 차량(옐로 플래그 - 황색기)이나, 1바퀴 이상 뒤처진 차량(블루 플래그 - 청색기)에 투명화가 적용된다.[7] 총 상금 500만 원 지원[8] PlayStation 총 6대 대여[9] 전현직 여부는 2025년 6월 중순 기준.[10] 스레리 예선에는 총 36명이 참가했다.[11] 직전 대회에는 12명이 참가했다.[12] 봉누도 레이싱 대회 오토바이 이벤트전 우승[13] 그란투리스모7 와크-무런 대회 우승, 왁타버스 아세토 코르사 고갯길 배틀 준우승, 봉누도 레이싱 대회 주최[14] 스레리 Away Challengers 참가, 평소에도 포뮬러 1을 꼬박꼬박 챙겨본다고 한다.[15] 前 카트라이더 준 프로게이머, 스레리 준우승[16] 前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프로게이머[17] 前 카트라이더: 드리프트 프로게이머[18] 제1회 치레동 참가자 명단에도 올라갔으나 명단 발표 직후 부상으로 인해 결장했고, 김레오로 교체됨.[19] 現 현대 엑스티어 레이싱 소속, 前 DCT Racing 소속, 2024 현대 N 페스티벌 5라운드 아반떼 N2컵(챌린지) 부문 3위, 스레리 게스트 참가[20] GTA 스트리머 서버 콩밥특별시의 야스테이션 차량 정비소 사장이었으며, 콩밥특별시에서 정비소 주최 레이싱 대회를 열기도 했다.[21] 카트라이더 러쉬플러스 주력[22] 스레리 참가 당시 예선 통과인줄 알았으나 타 참가자의 마지막 랩 기록이 추가로 인정되는 바람에 16위까지 본선에 진출하는 예선에서 최종 17위로 탈락했다. 이후 남궁혁이 미안한 마음에 사비로 레이싱휠을 따로 선물했고, 이를 빌미로 치레동에 섭외했다고 한다.[23] 이 수정된 페널티 규정이 본선에 적용된 것은 확실하지만, 예선에도 적용됐는지는 확실하지 않다.[24] 이 50%를 어떻게 판단하냐는 의문이 있을 수 있는데, 치레동 경기 종료 이후 심판진 중 한명인 냉채해파리가 리플레이를 분석하며 선행 차량의 시점에서 스틱을 정확하게 90도로 꺾어 중앙선(계기판에서 속도와 기어 단수 사이에 있는 그 선)을 기준으로 후행 차량이 50%를 넘었냐 안넘었냐를 판단하는 모습을 보였다.[25] 수정 전 페널티가 너무 복잡하게 나뉘어진거 같다는 피드백을 받고, 컨텍 후 추월 규정과 다중 충돌 유발 규정을 통합했다고 한다.[26] 4강 B조에서 남궁혁과 형독이 이 경우에 걸리기도 했는데, 이 경우에는 남궁혁과 형독이 같은 행위를 서로 주고받았기 때문에 경고로 처리됐다고 한다. 이후 결승전에서 남궁혁에게 이 항목의 2초 페널티와 15초 페널티가 함께 적용되어 총 17초의 페널티를 받게 되었다고 한다.[27] 실제로 오스트리아의 슈필베르크에 존재하는 레드불링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그란 투리스모 7 내 트랙이며, 실제로 같은 날인 6월 29일 오스트리아에서 열리는 F1 11R 오스트리아 GP의 경기 트랙과 같다.[백마커] 백마커로 기록 임의 부여[백마커] [백마커] [31] 티어 차이에 의해 100pt를 추가로 부여한다.[32] 참고로 이번 치레동과 비슷하게 경매를 통해 팀을 짠 2025 자낳대: 발로란트 대회에서는 경매 종료 후 잔여 포인트가 많은 팀이 4강전에서 원하는 상대 팀을 고를 수 있도록 하는 혜택을 줬다.[33] 이후 요나가 밝히길, 팀장들 디스코드 방에서 강지형이 오단밍에게 올인하겠다며 블러핑 아닌 블러핑을 했다고 한다. 강지형의 블러핑에 요나는 말리지 않고 적절하게 61포인트를 투자했고, 남궁혁은 여기에 말려 오단밍에게 250 포인트라는 많은 투자를 한 것으로 보인다.[34] 케인을 빠르게 섭외하고 싶었던 이유는 깎으면 잘할 것 같고, 항상 내 피드백을 잘 들어줬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사실 케인을 초대한게 형독이라, 양방 시청자 모두 케인은 웬만하면 형독 팀에 들어갈 거라고 예상했다.[35] 형독의 시청자인데 멀티플레이에서 항상 최상위권을 유지하는 일반인 초고수 유저이다.[36] 이게 똘똘똘이의 육축 모션 장비처럼 레이싱 휠까지 진동에 대응되는 게 아니라 오로지 바닥만 움직이는 그런 유형이라 오히려 주행에 방해만 되는 요소이다. 형독에 의하면 근육도 없는 사람이 저런 거 쓰면 안 된다고.[37] 케인은 이미 여장을 여러 번 한 적 있다.[38] 거기다 예선의 부진도 페달 문제와 본인의 세팅 실수로 벌어진 일이었던 터라 페달을 교체한 이후로 성적이 눈에 띄게 상승하고 있다.[39] 이후 쵸쵸우가 바퀴달린 의자를 고정시켜주는 스토퍼를 추천했다.[40] 원래 공도에서 하는 일반적인 차량 운전은 당연히 한발운전을 해야하지만, 레이싱과 같은 모터스포츠에서는 기본적으로 양발운전을 한다.[41] 이후 해설인 신짱게이밍이 이글콥의 레이싱 휠 세팅을 봤는데, 책상이 너무 두껍고 모서리가 곡선이 져있기 때문에 고정장치가 들어가지 않아서 책상을 바꾸지 않는 한 방법이 없어보인다는 말을 했다.[42] 직전 대회에서는 모든 참가자가 함께 경기했으므로 사고가 발생할 경우 그 피해자가 같은 팀일 확률이 2/11(≈ 18.2%)밖에 안됐지만, 이번 대회에서는 4/9(≈ 44.4%)로 2.4배 이상 늘어나므로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좀 더 조심해서 주행하게 되며, 좋은 전략을 짜는 것이 중요해진다.[43] 실제로 이탈리아 몬차에 존재하는 아우토드로모 나치오날레 몬차에서 시케인이 빠진 구 레이아웃 트랙이며, 9월 5일에서 7일에 열리는 F1 15R 이탈리아 GP의 경기 트랙과 같다.[44] 타이어가 소모되면 차량에 그립이 떨어지면서 제동능력이 떨어진다.[45] 따라서 팀별로 전후반에 각각 어떤 타이어를 사용할지, 그리고 언제 피트인할 지에 관한 전략을 세워야 한다.[46] 즉, ERS 내에 별도의 부스트 모드(=오버테이크 모드)가 따로 있다.[47] 이 때 코너에서 제황이 김레오의 옆으로 붙은 후 김레오가 스핀이 났는데, 당시 상황을 보면 제황은 연석을 밟아 오른쪽에 공간이 없었고, 김레오는 아웃쪽에 아직 공간이 충분하게 남아있어 김레오는 자신의 라인을 선택할 수 있었다. 또한 코너를 빠져나올 때 제황이 김레오 앞으로 이미 간 상태였기 때문에 김레오가 제황에게 양보해야하는 상황이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레오가 코너를 빠져나올 때 핸들을 정위치 시키지 못하고 오른쪽 끝까지 둔 채로 제황의 앞으로 가기 위해 풀악셀을 밟아 스핀이 났기 때문에 제황의 과실은 없는 것으로 처리되었다.
레이싱 도중에는 이러한 선후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레요헤호케 측에서는 제황의 과실로 김레오의 스핀이 났다고 생각하여 제황에게 페널티 5초가 부과될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었고, 따라서 요나는 레이스 후반에 3위로 달리며 2위인 제황과의 간격이 좁혀지지 않자 제황과의 간격을 5초 이내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8] 이 때는 노돌리가 김레오보다 더 앞에 있어서 김레오가 노돌리의 라인을 존중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또한 김레오는 인쪽에 공간이 남아 자신의 공간을 선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레오가 노돌리의 라인을 침범하며 노돌리를 대각선으로 들이받아 노돌리가 스핀했고, 노돌리와 컨택 직후에도 핸들을 노돌리 반대방향으로 두지 않고 그대로 밀고나가 페널티를 받았다.[49] 강지형이 피트아웃한 직후 강지형과 요나의 간격이 4초 였으므로, 만약 요나가 앞서 12랩과 14랩에서의 인게임 페널티를 받지 않았더라면 이 때 강지형의 바로 뒤에 1초 이내의 간격으로 붙을 수 있었을 것이고, 여기서 요나가 강지형의 슬립스트림을 받아 후반부에 추월을 노려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신짱게이밍의 해설이 있었다.[50] 단, 경기 종료 이후 문호준에게 심판진 페널티 5초가 추가로 부과됐으므로 문호준이 마지막 코너에서 이탈하지 않았어도 노돌리가 4위를 차지했을 것이다.[51] 하필 박인수가 스핀난 코너는 레코드 라인을 밟게 되면 스핀나기 쉬운 코너였고, 남궁혁은 해당 코너에서 스핀이 나기 쉽다고 판단하여 일부러 4강 경기 내내 레코드 라인을 피해서 바깥쪽으로 해당 코너를 돌았다고 한다. 4랩에서 남궁혁의 노림수에 걸려 스핀한 박인수는 12랩에서도 같은 코너에서 스핀했다.[52] 만약 형독이 인코스를 찌르면 아웃으로 빠졌다가 라인 크로스를 노리고, 아웃으로 온다면 레이트 브레이킹을 하여 라인을 틀어막으며 나아갈 생각을 했다고.[53] 남궁혁은 이미 직전 대회와 8랩 코너에서 형독의 움직임을 분석해서 형독이 인코스를 선호하고, 인코스를 찌른 직후에는 무조건 안쪽에 빈공간이 나온다는 것을 파악하고 있었다.[54] 남궁혁은 라인크로스가 한번 더 일어나서 나란히 달릴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따라서 마지막에 쓸 수 있도록 오버테이크 딱 1회분을 남겨두고 있었고, 그 1회분을 활용하여 형독을 확실하게 제쳤다. 이 시점에서 형독은 오버테이크를 전부 소진한 상태였다.[55] 핑 때문에 발생한 사건이라서 고의는 없지만 양메이가 코스 이탈해서 피해를 봤기 때문에 경기 종료 이후 헤라에게 페널티 5초가 부과됐다고 한다.[56] 형독이 치레동에 케인을 섭외해놓고 경매에서 케인을 유찰시켜 배경에 크로마키를 깔아두고 케인에게 사과 방송을 한 것에서 유래했다.[57] 특히 요나가 문호준의 슬립스트림을 받으며 문호준을 뒤에서 밀어주는 일명 러브버그 전략을 여러번 썼음에도 결승전과는 달리 큰 사고 없이 주행했다.[58] 3랩에서 헤라의 핑 문제로 양메이가 코스아웃 해서 헤라에게 5초 페널티가 부과된 상황이었는데, 같은 문제로 헤라가 박지도 스핀시키면서 5초가 추가로 부과되어 헤라에게 이 경기에서 총 10초의 페널티가 부과되었다. 이 문제 하나로 심판진이 페널티를 심사하는데 5분 이상을 소요했다고 하며, 3·4위전의 페널티 심사 전체가 오래 걸리게 된 원인이 되었다고 한다.[59] 팀 인터뷰에서 밝히길, 이 때 차가 많아 앞이 안보여서 정신을 차려보니 코스 밖을 달리고 있었다고 한다.[60] 여기에서 페널티 5초를 받은 것으로 추정.[61] 경기 종료 후 팀 인터뷰에서 초반에 하드 타이어를 사용한 자신의 잘못 때문에 팀이 졌다며 자책하는 모습을 보였다.[62] 이 당시 상황을 보면 노돌리가 남궁혁보다 먼저 앞에 가는 상황에서 남궁혁이 인코스를 찌르려 해서 2/3 정도 사이드바이사이드 상태였다. 완전한 사바사(후행 차량이 선행 차량의 50% 이상으로 들어온 상황)가 아니었기 때문에, 남궁혁은 노돌리의 라인을 존중해야했는데 그러지 못하고 컨택을 내서 노돌리의 자세를 흐트렸고, 이후 순위가 변동되었으므로 남궁혁에게 2초 페널티가 부과됐다고 한다.[63] 바로 앞이 연속 코너이고 앞의 2명이 제황과 같은 팀이었으므로 제황이 혹시 모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일찍 브레이크를 잡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신이 보다 여유있게 다른 라인을 잡았어야 했다고 남궁혁 본인이 분석했다.[64] 남궁혁이 제황과 컨택을 유발했고, 직후 제황과 강지형의 컨택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페널티 규정의 1번 항목 중 '다중 추돌 유발시 원인 제공자에게 최대 페널티 부여'가 적용되어 남궁혁에게 15초 페널티가 부과되었다.[65] 추후 남궁혁은 리플레이를 분석하며 제황이 이 때 악셀과 브레이크를 오인하여 풀악셀을 밟은 것으로 분석했고, 실제로도 리플레이를 보면 제황의 악셀 게이지가 꽉차있고 그 직후 강지형과 2차 추돌이 일어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시 상황을 보면 제황이 남궁혁에게 컨택당하기 직전 기어를 6단에서 3단까지 내리며 악셀 게이지가 올라갔고 남궁혁은 이것을 보고 제황이 컨택 직후 풀악셀을 밟는 실수를 했다고 분석했는데, 이것은 '오토 블립(auto blip), 혹은 오토 쓰로틀 블립(auto throttle blip)'이라는 차량 자체의 특성으로 높은 속도에서 기어를 빠르게 내릴 때 적절 RPM을 맞추기 위해 차량 시스템이 알아서 힐앤토를 자동으로 해주는 것이며, 이 때 들어가는 악셀로는 차가 앞으로 나가지 않는다고 한다. 즉, 제황은 남궁혁과 컨택 직후 풀악셀을 밟은 적 없다.[66] 다만, 러브버그를 의도해서 강지형이 고의로 노돌리를 코너에서 민 것은 아니다. 사고가 나기 직전, 노돌리는 너무 늦게 브레이크를 밟아서 언더스티어가 나고 있었고, (사고 전에 노돌리가 그립을 잃고 있는 것이 이미 남궁혁의 시야에서도 보여서 남궁혁도 노돌리의 움직임에 이상함을 느끼고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풀악셀을 밟아야 하는 구간에서 언더스티어를 잡기 위해 오히려 브레이크를 밟아 강지형과 가속 타이밍이 어긋나서 사고로 이어졌다. 게다가 러브버그 전략으로 강지형이 노돌리를 밀려고 했다면 해당 시점에 강지형이 브레이크를 밟지 않았을 것인데, 리플레이를 보면 해당 사고 구간이 풀악셀을 밟아야 하는 구간이라 노돌리가 브레이크 밟을 것을 예상하지 못한 강지형이 오히려 노돌리와의 충돌에 대비해 풀브레이크를 밟는 것이 확인된다.[67] 이미 노돌리와 강지형이 사고가 난 상태에서 남궁혁이 여기에 휘말린 것이기 때문에, 해당 컨택에서는 페널티가 부과되지 않았다.[68] 이 때 강지형은 남궁혁과 경합하면서도 18랩까지 오버테이크를 단 한번도 쓰지 않았다. 이것에 대해 해설인 신짱게이밍은 밑에서 올라오는 제황에게 슬립스트림을 주기 위한 의도적인 행동으로 분석했다. 팀 인터뷰가 끝나고 시청자들이 강지형에게 그 이유를 물었는데, 실제로 제황을 올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오버테이크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69] 7랩에서의 사고로 인해 8위까지 떨어졌던 제황이 슬슬 오단밍과 햄쿠비를 따라잡고 있었고, 이 상황을 보던 남궁혁이 어차피 제황이 올라오는 것을 막을 수 없다면 상위권으로의 진출을 조금이라도 늦춰야겠다고 판단하여 제황에게 슬립스트림을 주지 않기 위해 한번에 피트인할 것을 오더했다고 한다.[70] 15랩에서 오단밍-햄쿠비-김토키 순으로 달리던 와중에, 오단밍의 슬립스트림을 받으며 달리던 햄쿠비가 실수하며 오단밍과 멀어지자, 오히려 햄쿠비가 가까워진 김토키에게 슬립스트림을 주며 김토키를 가속시키는 식의 팀플레이가 끝없이 이어졌다.[71] 쉽게 말해, 평균 퀄리파잉 순위에 0.3을 곱하고, 평균 레이스 순위에 0.7을 곱한 값을 더하라는 의미이다.[72] 단, 지난 대회는 총 참가자 수가 12명이었고, 이번처럼 4강전 토너먼트 방식이 아니라 참가자 12명이 라운드 1과 라운드 2 경기 각각에 모두 참가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감안해서 볼 필요가 있다. 이번 대회는 한 경기에 10명씩 참가했으므로 한 경기에 12명씩 참가했던 지난 대회보다 티어지수가 개개인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계산된다. 티어지수의 최댓값이 12에서 10으로 바뀌기 때문.[73] 단, 지난 대회는 총 참가자 수가 12명이었고, 이번처럼 4강전 토너먼트 방식이 아니라 참가자 12명이 라운드 1과 라운드 2 경기 각각에 모두 참가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감안해서 볼 필요가 있다. 이번 대회는 한 경기에 10명씩 참가했으므로 한 경기에 12명씩 참가했던 지난 대회보다 티어지수가 개개인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계산된다. 티어지수의 최댓값이 12에서 10으로 바뀌기 때문.[74] 직전 대회의 티어 결정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면 2성급은 너무 많고 1·3성급은 너무 적은 점을 반영하여 7월 11일 남궁혁 방송에서 티어 결정 기준을 임시로 변경했다.[75] 그란 투리스모 6까지는 아일톤 세나가 탑승했던 머신 여러 대와 그 외의 F1 머신도 몇 대 있었으며, 그란 투리스모 스포트에도 일부 F1 머신이 있었지만 7에 들어서면서 아일톤 세나가 탑승한 구 맥라렌 머신과 과거 F1을 컨셉으로 잡은 자체 커스텀 포뮬러만이 존재해서 어쩔 수 없이 F2급인 슈퍼 포뮬러를 택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다고 F1 25와 같은 게임으로 하기엔 너무 마이너하고 게임 커스텀이 어려우며(한국어 미지원 게임이다.), 아세토 코르사 등지에는 F1 모드가 있지만 말 그대로 모드이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다.[76] 포뮬러 1 12R인 영국 그랑프리 2025가 7월 4일~6일에 영국의 실버스톤 서킷에서 개최된다.[77] 1948년에 개장해서 최초의 F1 그랑프리가 열린 유서깊은 서킷이다.[78] 1대에 약 35만 원 정도 한다.[79] 이후 김토키가 방송에서 휠을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를 밝혔는데, 체격이 너무 커서 별도의 거치대 없이는 휠을 사용하기 어렵고 방음부스 내 바닥 재질이 카페트라서 페달을 고정시키기 어려워서라고 한다.[80] 페달에 문제가 발생했다.[81] 이 이미지는 치레동이 끝나고 심판진 중 한명인 냉채해파리가 7월 11일 방송에서 일부 공개한 내용을 캡쳐한 것으로, 주석 작성 시간과 내용을 봤을 때 4강 A조 페널티 주석으로 보인다.[82] 노퍼더는 No Further Action으로, 컨택 기록만 해두는 것을 말하며 컨택이 있었어도 순위 변동이나 코스 이탈이 없는 경우 등을 노퍼더로 처리한다고 한다.[83] 명정남은 레이싱 대회에서 남궁혁의 개인 시점을 송출하기 위한 치지직 부계정 이름인 '명문정파남궁혁'을 줄인말이다.[84] 또한 대회 주최 중 한명인 남궁혁도 F1 25를 2025년 9월 초부터 플레이하기 시작해서 적응하는 중이라고 한다. 따라서 남궁혁이 F1 25를 충분히 플레이한 이후에 다음 치레동을 해당 게임으로 할지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85] 단, 이렇게 리그를 나눠 경기할 경우 순위를 기반으로 티어를 결정하는 현행 티어 산정 방법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86] 즉, 이번 치레동과 지난 치레동처럼 주최 측에서 스트리머를 섭외하는 것이 아닌, 일정 팔로우 컷을 충족하는 다수의 스트리머가 주최 측에 참가를 신청하는 스트리머 레이싱 리그와 같은 대규모 콘텐츠.
레이싱 도중에는 이러한 선후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기 때문에 레요헤호케 측에서는 제황의 과실로 김레오의 스핀이 났다고 생각하여 제황에게 페널티 5초가 부과될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었고, 따라서 요나는 레이스 후반에 3위로 달리며 2위인 제황과의 간격이 좁혀지지 않자 제황과의 간격을 5초 이내로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48] 이 때는 노돌리가 김레오보다 더 앞에 있어서 김레오가 노돌리의 라인을 존중해야 하는 상황이었다. 또한 김레오는 인쪽에 공간이 남아 자신의 공간을 선택할 수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김레오가 노돌리의 라인을 침범하며 노돌리를 대각선으로 들이받아 노돌리가 스핀했고, 노돌리와 컨택 직후에도 핸들을 노돌리 반대방향으로 두지 않고 그대로 밀고나가 페널티를 받았다.[49] 강지형이 피트아웃한 직후 강지형과 요나의 간격이 4초 였으므로, 만약 요나가 앞서 12랩과 14랩에서의 인게임 페널티를 받지 않았더라면 이 때 강지형의 바로 뒤에 1초 이내의 간격으로 붙을 수 있었을 것이고, 여기서 요나가 강지형의 슬립스트림을 받아 후반부에 추월을 노려볼 수 있었을 것이라는 신짱게이밍의 해설이 있었다.[50] 단, 경기 종료 이후 문호준에게 심판진 페널티 5초가 추가로 부과됐으므로 문호준이 마지막 코너에서 이탈하지 않았어도 노돌리가 4위를 차지했을 것이다.[51] 하필 박인수가 스핀난 코너는 레코드 라인을 밟게 되면 스핀나기 쉬운 코너였고, 남궁혁은 해당 코너에서 스핀이 나기 쉽다고 판단하여 일부러 4강 경기 내내 레코드 라인을 피해서 바깥쪽으로 해당 코너를 돌았다고 한다. 4랩에서 남궁혁의 노림수에 걸려 스핀한 박인수는 12랩에서도 같은 코너에서 스핀했다.[52] 만약 형독이 인코스를 찌르면 아웃으로 빠졌다가 라인 크로스를 노리고, 아웃으로 온다면 레이트 브레이킹을 하여 라인을 틀어막으며 나아갈 생각을 했다고.[53] 남궁혁은 이미 직전 대회와 8랩 코너에서 형독의 움직임을 분석해서 형독이 인코스를 선호하고, 인코스를 찌른 직후에는 무조건 안쪽에 빈공간이 나온다는 것을 파악하고 있었다.[54] 남궁혁은 라인크로스가 한번 더 일어나서 나란히 달릴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다. 따라서 마지막에 쓸 수 있도록 오버테이크 딱 1회분을 남겨두고 있었고, 그 1회분을 활용하여 형독을 확실하게 제쳤다. 이 시점에서 형독은 오버테이크를 전부 소진한 상태였다.[55] 핑 때문에 발생한 사건이라서 고의는 없지만 양메이가 코스 이탈해서 피해를 봤기 때문에 경기 종료 이후 헤라에게 페널티 5초가 부과됐다고 한다.[56] 형독이 치레동에 케인을 섭외해놓고 경매에서 케인을 유찰시켜 배경에 크로마키를 깔아두고 케인에게 사과 방송을 한 것에서 유래했다.[57] 특히 요나가 문호준의 슬립스트림을 받으며 문호준을 뒤에서 밀어주는 일명 러브버그 전략을 여러번 썼음에도 결승전과는 달리 큰 사고 없이 주행했다.[58] 3랩에서 헤라의 핑 문제로 양메이가 코스아웃 해서 헤라에게 5초 페널티가 부과된 상황이었는데, 같은 문제로 헤라가 박지도 스핀시키면서 5초가 추가로 부과되어 헤라에게 이 경기에서 총 10초의 페널티가 부과되었다. 이 문제 하나로 심판진이 페널티를 심사하는데 5분 이상을 소요했다고 하며, 3·4위전의 페널티 심사 전체가 오래 걸리게 된 원인이 되었다고 한다.[59] 팀 인터뷰에서 밝히길, 이 때 차가 많아 앞이 안보여서 정신을 차려보니 코스 밖을 달리고 있었다고 한다.[60] 여기에서 페널티 5초를 받은 것으로 추정.[61] 경기 종료 후 팀 인터뷰에서 초반에 하드 타이어를 사용한 자신의 잘못 때문에 팀이 졌다며 자책하는 모습을 보였다.[62] 이 당시 상황을 보면 노돌리가 남궁혁보다 먼저 앞에 가는 상황에서 남궁혁이 인코스를 찌르려 해서 2/3 정도 사이드바이사이드 상태였다. 완전한 사바사(후행 차량이 선행 차량의 50% 이상으로 들어온 상황)가 아니었기 때문에, 남궁혁은 노돌리의 라인을 존중해야했는데 그러지 못하고 컨택을 내서 노돌리의 자세를 흐트렸고, 이후 순위가 변동되었으므로 남궁혁에게 2초 페널티가 부과됐다고 한다.[63] 바로 앞이 연속 코너이고 앞의 2명이 제황과 같은 팀이었으므로 제황이 혹시 모를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일찍 브레이크를 잡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자신이 보다 여유있게 다른 라인을 잡았어야 했다고 남궁혁 본인이 분석했다.[64] 남궁혁이 제황과 컨택을 유발했고, 직후 제황과 강지형의 컨택으로 이어졌기 때문에 페널티 규정의 1번 항목 중 '다중 추돌 유발시 원인 제공자에게 최대 페널티 부여'가 적용되어 남궁혁에게 15초 페널티가 부과되었다.[65] 추후 남궁혁은 리플레이를 분석하며 제황이 이 때 악셀과 브레이크를 오인하여 풀악셀을 밟은 것으로 분석했고, 실제로도 리플레이를 보면 제황의 악셀 게이지가 꽉차있고 그 직후 강지형과 2차 추돌이 일어난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당시 상황을 보면 제황이 남궁혁에게 컨택당하기 직전 기어를 6단에서 3단까지 내리며 악셀 게이지가 올라갔고 남궁혁은 이것을 보고 제황이 컨택 직후 풀악셀을 밟는 실수를 했다고 분석했는데, 이것은 '오토 블립(auto blip), 혹은 오토 쓰로틀 블립(auto throttle blip)'이라는 차량 자체의 특성으로 높은 속도에서 기어를 빠르게 내릴 때 적절 RPM을 맞추기 위해 차량 시스템이 알아서 힐앤토를 자동으로 해주는 것이며, 이 때 들어가는 악셀로는 차가 앞으로 나가지 않는다고 한다. 즉, 제황은 남궁혁과 컨택 직후 풀악셀을 밟은 적 없다.[66] 다만, 러브버그를 의도해서 강지형이 고의로 노돌리를 코너에서 민 것은 아니다. 사고가 나기 직전, 노돌리는 너무 늦게 브레이크를 밟아서 언더스티어가 나고 있었고, (사고 전에 노돌리가 그립을 잃고 있는 것이 이미 남궁혁의 시야에서도 보여서 남궁혁도 노돌리의 움직임에 이상함을 느끼고 있었다고 한다.) 따라서 풀악셀을 밟아야 하는 구간에서 언더스티어를 잡기 위해 오히려 브레이크를 밟아 강지형과 가속 타이밍이 어긋나서 사고로 이어졌다. 게다가 러브버그 전략으로 강지형이 노돌리를 밀려고 했다면 해당 시점에 강지형이 브레이크를 밟지 않았을 것인데, 리플레이를 보면 해당 사고 구간이 풀악셀을 밟아야 하는 구간이라 노돌리가 브레이크 밟을 것을 예상하지 못한 강지형이 오히려 노돌리와의 충돌에 대비해 풀브레이크를 밟는 것이 확인된다.[67] 이미 노돌리와 강지형이 사고가 난 상태에서 남궁혁이 여기에 휘말린 것이기 때문에, 해당 컨택에서는 페널티가 부과되지 않았다.[68] 이 때 강지형은 남궁혁과 경합하면서도 18랩까지 오버테이크를 단 한번도 쓰지 않았다. 이것에 대해 해설인 신짱게이밍은 밑에서 올라오는 제황에게 슬립스트림을 주기 위한 의도적인 행동으로 분석했다. 팀 인터뷰가 끝나고 시청자들이 강지형에게 그 이유를 물었는데, 실제로 제황을 올리기 위해 의도적으로 오버테이크를 사용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69] 7랩에서의 사고로 인해 8위까지 떨어졌던 제황이 슬슬 오단밍과 햄쿠비를 따라잡고 있었고, 이 상황을 보던 남궁혁이 어차피 제황이 올라오는 것을 막을 수 없다면 상위권으로의 진출을 조금이라도 늦춰야겠다고 판단하여 제황에게 슬립스트림을 주지 않기 위해 한번에 피트인할 것을 오더했다고 한다.[70] 15랩에서 오단밍-햄쿠비-김토키 순으로 달리던 와중에, 오단밍의 슬립스트림을 받으며 달리던 햄쿠비가 실수하며 오단밍과 멀어지자, 오히려 햄쿠비가 가까워진 김토키에게 슬립스트림을 주며 김토키를 가속시키는 식의 팀플레이가 끝없이 이어졌다.[71] 쉽게 말해, 평균 퀄리파잉 순위에 0.3을 곱하고, 평균 레이스 순위에 0.7을 곱한 값을 더하라는 의미이다.[72] 단, 지난 대회는 총 참가자 수가 12명이었고, 이번처럼 4강전 토너먼트 방식이 아니라 참가자 12명이 라운드 1과 라운드 2 경기 각각에 모두 참가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감안해서 볼 필요가 있다. 이번 대회는 한 경기에 10명씩 참가했으므로 한 경기에 12명씩 참가했던 지난 대회보다 티어지수가 개개인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계산된다. 티어지수의 최댓값이 12에서 10으로 바뀌기 때문.[73] 단, 지난 대회는 총 참가자 수가 12명이었고, 이번처럼 4강전 토너먼트 방식이 아니라 참가자 12명이 라운드 1과 라운드 2 경기 각각에 모두 참가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감안해서 볼 필요가 있다. 이번 대회는 한 경기에 10명씩 참가했으므로 한 경기에 12명씩 참가했던 지난 대회보다 티어지수가 개개인에게 상대적으로 유리하게 계산된다. 티어지수의 최댓값이 12에서 10으로 바뀌기 때문.[74] 직전 대회의 티어 결정 기준을 그대로 적용하면 2성급은 너무 많고 1·3성급은 너무 적은 점을 반영하여 7월 11일 남궁혁 방송에서 티어 결정 기준을 임시로 변경했다.[75] 그란 투리스모 6까지는 아일톤 세나가 탑승했던 머신 여러 대와 그 외의 F1 머신도 몇 대 있었으며, 그란 투리스모 스포트에도 일부 F1 머신이 있었지만 7에 들어서면서 아일톤 세나가 탑승한 구 맥라렌 머신과 과거 F1을 컨셉으로 잡은 자체 커스텀 포뮬러만이 존재해서 어쩔 수 없이 F2급인 슈퍼 포뮬러를 택할 수밖에 없었다. 그렇다고 F1 25와 같은 게임으로 하기엔 너무 마이너하고 게임 커스텀이 어려우며(한국어 미지원 게임이다.), 아세토 코르사 등지에는 F1 모드가 있지만 말 그대로 모드이기 때문에 사용하기 어렵다.[76] 포뮬러 1 12R인 영국 그랑프리 2025가 7월 4일~6일에 영국의 실버스톤 서킷에서 개최된다.[77] 1948년에 개장해서 최초의 F1 그랑프리가 열린 유서깊은 서킷이다.[78] 1대에 약 35만 원 정도 한다.[79] 이후 김토키가 방송에서 휠을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를 밝혔는데, 체격이 너무 커서 별도의 거치대 없이는 휠을 사용하기 어렵고 방음부스 내 바닥 재질이 카페트라서 페달을 고정시키기 어려워서라고 한다.[80] 페달에 문제가 발생했다.[81] 이 이미지는 치레동이 끝나고 심판진 중 한명인 냉채해파리가 7월 11일 방송에서 일부 공개한 내용을 캡쳐한 것으로, 주석 작성 시간과 내용을 봤을 때 4강 A조 페널티 주석으로 보인다.[82] 노퍼더는 No Further Action으로, 컨택 기록만 해두는 것을 말하며 컨택이 있었어도 순위 변동이나 코스 이탈이 없는 경우 등을 노퍼더로 처리한다고 한다.[83] 명정남은 레이싱 대회에서 남궁혁의 개인 시점을 송출하기 위한 치지직 부계정 이름인 '명문정파남궁혁'을 줄인말이다.[84] 또한 대회 주최 중 한명인 남궁혁도 F1 25를 2025년 9월 초부터 플레이하기 시작해서 적응하는 중이라고 한다. 따라서 남궁혁이 F1 25를 충분히 플레이한 이후에 다음 치레동을 해당 게임으로 할지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85] 단, 이렇게 리그를 나눠 경기할 경우 순위를 기반으로 티어를 결정하는 현행 티어 산정 방법에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86] 즉, 이번 치레동과 지난 치레동처럼 주최 측에서 스트리머를 섭외하는 것이 아닌, 일정 팔로우 컷을 충족하는 다수의 스트리머가 주최 측에 참가를 신청하는 스트리머 레이싱 리그와 같은 대규모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