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2 16:57:26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코비스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코비스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종족에 대한 내용은 코비스(월드 오브 워크래프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color=#737880>
파일:KOFIC.png
설립일 2003년 11월 19일 ([age(2003-11-19)]주년)
이용시간 09:00 ~ 18:00 (평일)
E-mail [email protected]
대표번호 02-6261-6573 (영화정보)
051-720-4796 (상영관 / 영화인)
주소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수영강변대로 130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전송사업자4. 기타

[clearfix]

1. 개요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39조(영화상영관입장권 통합전산망)
①영화진흥위원회는 공중이 전산시스템을 이용하여 영화상영관의 관객 수 그 밖의 영화상영관에 관한 사항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영화상영관입장권 통합전산망을 운영하여야 한다. <개정 2010. 3. 17., 2015. 5. 18.>
② 영화상영관 경영자는 영화진흥위원회가 운영하는 영화상영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가입하여야 한다. <신설 2010. 3. 17.>
③ 제2항에 따라 영화상영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가입한 자는 해당 영화상영관의 입장객 수, 입장권 판매액 등 문화체육관광부령으로 정하는 사항에 관한 자료를 고의적인 누락이나 조작 없이 영화상영관입장권 통합전산망에 전송하여야 한다. <개정 2015. 5. 18.>
④ 제1항부터 제3항까지에서 규정한 사항 외에 영화상영관입장권 통합전산망의 운영, 가입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신설 2015. 5. 18.>
영화진흥위원회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영화 관람객 수를 실시간으로 집계하는 전산망이다.

일반적으로 ‘영진위 통합전산망’이라 부른다. 현재 상영되는 영화의 전국 박스오피스 실시간 순위와 그 영화의 관객수, 흥행수입, 예매율을 알 수 있다. 과거 영화의 통계도 확인할 수 있다.

2. 상세

흥행 통계를 정확하게 산출하여 시장 규모를 파악하고 문화 산업 지원을 활발하게 하며, 배급과 유통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여 탈세를 막고[1] 고품질의 영화제작에 도움이 되게 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기 위함을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2003년 오픈하여 2004년에는 극장 가입율 50%를 달성하였으나 가입율 99%를 달성한 건 2011년 이후의 일이다. 현재는 100%라고 보아도 좋다. 그러므로 지금은 통합전산망 발표 수치가 실제 수치라고 봐도 무방하나, 그 이전에는 정확한 기록은 제작, 수입, 배급사의 발표를 통해 믿을 수밖에 없었다. 물론 배급사의 흥행성적 뻥튀기가 들어갈 가능성이 있었다. 이 때문에 제작, 수입, 배급사가 폐업한 오래된 영화들[2]은 정확한 국내 관객 수를 영원히 알 수 없다. 예를 들어 2006년 당시에만 해도 가입율이 아직 86%이라 통합전산망 통계에서는 괴물의 관객수가 1,091만여 명으로 기록되어 있다.[3] 물론 2010년까지의 영화들은 공식 통계으로 따로 제공되므로 이것을 확인하면 된다.

2015년 5월 26일 기준으로 가입 영화관은 402개, 스크린수는 2,392개이다.

특정 개봉작이 스크린을 확보했다고 말하는 기준은 하나의 스크린에서 하루에 한 번만 상영해도 인정하므로[4] 특정 일자의 개봉작 스크린 숫자 합계는 전체 스크린수보다 많아지게 된다. 이런 특성상 스크린 독과점의 정도를 보는 데는 스크린 숫자보다는 상영횟수가 알맞다. 일반적으로 오전 0시 2분경에 전일 통계가 업데이트된다. 단 이후로도 오전 중까지 조금씩 보정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당일 관객수에 익일 심야 상영분을 합쳐 계산하기 때문이다. 보정 작업은 오전 중이 아니라 각 영화관 체인들의 박스오피스 통계를 영화진흥위원회감사원, 공정거래위원회가 감독하여 수 개월 동안 이뤄진다. 정말로 한국의 영화관 체인 본사들에 영화진흥위원회감사원, 공정거래위원회 소속 공무원과 감사역들이 찾아와서 수치가 맞는지 밑도 끝도 없이 검증한다. 이래서 보통 한 영화의 최종 박스오피스가 정확한 수치로 1일차부터 상영 종료일까지 확정되기까지 무려 7개월의 시간이 걸린다.

제공하는 통계 정보가 매우 상세하며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영화나 영화인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부터 시작해서 연동 영화관 목록, 현황, 일별/기간별/역대 박스오피스 통계 정보, 해외 박스오피스 및 상영관수, 상영횟수, 좌석수, 점유율, 포맷별 관객수 등등 매우 깨알같다. 이용자가 확인가능한 정보량으로 치면 외국의 유명한 박스오피스 모조 사이트를 뛰어넘는다. 아쉬운 점이 있다면 직관성이 좀 떨어진다는 것인데, 이는 한국 영진위 통합전산망은 Raw Data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국제적인 비교를 위해 필요한 원달러 환율을 적용한 미국 달러화 환산 박스오피스가 없다. 참고로 대만台灣偶像劇場미국 달러화 환산 수치를 제공한다.

3. 전송사업자

현재 상설영화관을 1개소 이상 관리하고 있는 전송 사업자는 아래와 같다. 과거에는 인터파크, 맥스무비, YES24, 티켓링크, 씨스퀘어소프트[5] 등에서도 전산망을 운영했었고, 프리머스시네마와 씨너스, 만경관[6], 단성사[7] 등도 자체적으로 전산망을 사용했지만 현재는 모두 해당 사업자들의 전산망을 사용한 극장들이 폐업하거나, 다른 전산망으로 갈아타거나, 인수된 법인의 전산망에 통합되는 등의 사유로 인해 모두 사라졌다.

2009년에는 CGV에서 탈세용으로 의심되는 집계 누락이 발생하였다. 그 외에도 2008년2010년에 집계오류 사고가 났다. 현재까지도 집계 오류에 관한 의혹은 계속 받고 있다.

4. 기타

  • 오프라인 영화관과는 별개로 온라인 플랫폼의 판매 수를 집계하는 '온라인상영관 통합전산망(VKOBIS)'가 시험운영중이다. IPTV(KT, LG U+, SKB), 케이블TV의 판매건수와 OTT 플랫폼(Wavve, 왓챠, 시네폭스, 티빙)의 순위를 집계하고 있다. https://vkobis.or.kr/

[1]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 제25조의2(부과금의 징수) ①영화진흥위원회는 한국영화의 발전 및 영화·비디오물산업의 진흥을 위하여 영화상영관(비상설상영장을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에 입장하는 관람객에 대하여 입장권 가액의 100분의 5 이하의 범위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부과금을 징수할 수 있다.[2] 특히 헐리웃 영화사의 국내 직배가 이루어지기 이전에 국내 수입사에서 수입하여 개봉한 영화들[3] 실제 동원 관객수는 약 1,301만여 명이다.[4] 다른 회차는 전부 다른 영화를 상영해도 된다.[5] 한 때 부산 영화의전당과 대구 오오극장, 서울 KT&G 상상마당에서 씨스퀘어소프트의 전산망을 사용했으나 현재 부산 영화의전당은 자체 전산망을 사용중이고 오오극장은 인터파크를 거쳐 디트릭스로, KT&G 상상마당은 맥스무비로 각각 갈아탔다.[6]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1922년에 개업한 유서깊은 영화관. 2002년에 멀티플렉스로 개편하면서 MMC 브랜드로 동대문, 부천, 부산대 등에 지점을 냈으나 동대문 케레스타에 있었던 동대문점은 2009년에 폐점했고 부천점과 부산대점은 모두 3대 멀티플렉스 체인에 흡수되었다. 각각 현재의 CGV 동대문, CGV 부천역, 메가박스 부산대. 지금은 만경관도 MMC 브랜드를 버리고 그냥 만경관으로 돌아왔으며 전산망도 개별 전산망이 아니라 인터파크의 전산망을 사용한다. 결국 만경관도 2018년 4월 25일부터 롯데시네마가 되었다.[7]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었던 대한민국 역사상 최초의 근대식 극장. 2005년 멀티플렉스로 신축후 2008년씨너스 위탁을 받다가 아산엠그룹에 매각됐으나, 2010년 보석상가로 리모델링하는 과정에서 폐건물로 전락했다. 2015년 영안모자에 매각돼 이듬해에 '단성골드주얼리센터'가 들어섰고, 2019년부터 단성사 영화역사관이 개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