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 및 카리브해의 경제 | |||||||||||||||||||||||||||||||||||||||||||||||||||||||||||||||||||||||||||||||||||||||||||||||||||||||||||||||||||||||||||||||||||||||||||||||||||||||||||||||||||||||||||||||||||||||||||||||||||||||||||||||||
중앙아메리카 | |||||||||||||||||||||||||||||||||||||||||||||||||||||||||||||||||||||||||||||||||||||||||||||||||||||||||||||||||||||||||||||||||||||||||||||||||||||||||||||||||||||||||||||||||||||||||||||||||||||||||||||||||
[[과테말라/경제| 과테말라]] | [[니카라과/경제| 니카라과]] | [[엘살바도르/경제|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경제| 온두라스]] | [[벨리즈/경제| 벨리즈]] | [[코스타리카/경제| 코스타리카]] | [[파나마/경제| 파나마]] | |||||||||||||||||||||||||||||||||||||||||||||||||||||||||||||||||||||||||||||||||||||||||||||||||||||||||||||||||||||||||||||||||||||||||||||||||||||||||||||||||||||||||||||||||||||||||||||||||||||||||||
카리브해 | |||||||||||||||||||||||||||||||||||||||||||||||||||||||||||||||||||||||||||||||||||||||||||||||||||||||||||||||||||||||||||||||||||||||||||||||||||||||||||||||||||||||||||||||||||||||||||||||||||||||||||||||||
[[바하마/경제| 바하마]] | [[도미니카 공화국/경제| 도미니카 공화국]] | [[아이티/경제| 아이티]] | [[자메이카/경제| 자메이카]] | [[쿠바/경제| 쿠바]] | [[그레나다/경제| 그레나다]] | ||||||||||||||||||||||||||||||||||||||||||||||||||||||||||||||||||||||||||||||||||||||||||||||||||||||||||||||||||||||||||||||||||||||||||||||||||||||||||||||||||||||||||||||||||||||||||||||||||||||||||||
[[도미니카 연방/경제|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경제| 바베이도스]] | [[앤티가 바부다/경제| 앤티가 바부다]] | [[세인트루시아/경제|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경제|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 네비스/경제| 세인트키츠 네비스]] | [[트리니다드 토바고/경제| 트리니다드 토바고]] |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경제 정보 | ||
인구 | 1,534,937명 | 2023년[1] |
경제 규모(명목 GDP) | 281.4억 달러 | 2023년[2] |
경제 규모(PPP) | 484.6억 달러 | 2023년[3] |
1인당 명목 GDP | 18,333달러 | 2023년[4] |
1인당 PPP | 31,572.1달러 | 2023년[5] |
경제성장률 | 2.1% | 2023년[6] |
소비자 물가 인플레이션 | 4.6% | 2023년[7] |
고용률 | 52.7% | 2023년[8] |
실업률 | 4.2% | 2023년[9] |
GDP 대비 정부부채 비율 | 15.9% | 2007년[10] |
무디스 국가 신용등급 | Ba2 | 2025년 1월[11] |
1. 개요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카리브해의 섬나라로 2023년 기준 카리브해 도서국가 가운데 도미니카 공화국, 쿠바 다음으로 GDP가 높다. 세계은행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60년부터 1985년까지는 1인당 GDP가 세계평균을 상회했으며, 1960년에는 632달러로 한국은 물론, 일본, 스페인, 포르투갈, 그리스 보다도 1인당 GDP가 높았었다. 그러나 1980년대 중반 이후 세계평균 수준으로 감소하여 1990년대에는 세계평균을 하회하기도 했다. 그래도 이후로는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거치고 2000년대 국제 유가 상승의 혜택을 톡톡히 입어 중남미 기준으로 비교적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카리브 국가들 중에서는 바하마, 바베이도스, 세인트 키츠 네비스, 앤티가 바부다 다음으로 높은 축에 들어간다.2. 경제사
수도 포트오브스페인의 전경 |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사탕수수, 카카오, 감귤류, 야자, 커피 등을 대규모로 재배하는 플랜테이션 농업이 주요 산업이었으나 1910년 석유가 발견되면서 석유 산업이 주요 산업으로 떠올랐다. 이후 농업은 경쟁력을 잃고 몰락하여 오늘날 식량의 대부분은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독립 후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1964년 독자 통화로 트리니다드 토바고 달러를 도입하고, 1973년까지 수입대체산업화 정책을 실시하여 석유산업 이외의 제조업들을 정책적으로 육성하여 다각화를 시도했다. 그러나 수입대체산업화의 필연적인 비능률과 협소한 국내시장으로 인해 석유산업 이외의 제조업 성장이 기대에 못 미쳤으므로, 1974년부터 자원에 의존한 산업화를 병행하고 오일쇼크로 얻은 재원을 투입해 경제 전반에 대한 정부의 개입을 강화했다. 그러나 2차 오일쇼크 이후 국제유가가 폭락하면서 석유 수출을 통한 재원 조달이 어렵게 되었고 따라서 무리한 산업화 정책을 유지하는 것도 한계에 도달했다. 이에 정부는 1982년부터 수출주도산업화로 노선을 전환하는 한편 탈규제 정책을 시행했다. 1993년에는 환율제도를 고정환율제에서 관리변동환율제로 바꾸었다.[12]
결론적으로 석유에 크게 의존하는 경제구조는 독립 후 오늘날에도 크게 변하지 않았다. 1982년 이후 구조조정으로 채산성이 없는 산업들이 대거 정리되었기 때문이다. 제조업(석유 제외)이 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68년 8.2%에서 1973년 11.3%까지 증가했다가 1993년 8.0%로 줄어들었다. 그 중에서도 식료품과 담배 산업만 유지되고 의류, 섬유, 제화, 목재 산업은 도태했다. 2015년 자료에 따르면 GDP의 37%가 석유 및 석유화학 산업에서 나왔고 수출의 70%가 광업 부문(원광, 광물연료)에서 나왔다.
그러나 제조업 부문의 쇠퇴가 곧 경제의 쇠퇴로 직결되진 않았다. 채산성이 없는 산업을 정리하여 자연스레 낭비가 줄었고, 석유와 천연가스 산업에 대한 투자가 이루어지면서 2000년대 원자재 붐의 혜택을 톡톡히 누릴 기반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2000~2007년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8%로 같은 기간 라틴아메리카와 카리브해의 3.7%보다 훨씬 높았다.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사례는 이른바 제조업 발전과 산업 다각화를 위해 정부가 개입하는 것이 오히려 경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3. 경제분야
트리니다드 토바고 통계청(CSO) 자료에 따르면 2023년 1차산업[13]은 GDP의 0.8%를 기여했고, 2차산업[14]은 35.0%[15]를 기여했으며, 3차산업[16]은 59.9%를 기여했다.# 세계은행 자료에 따르면 2022년 1차산업[17]은 GDP의 1.1%를 기여했고, 2차산업[18]은 48.9%[19]를 기여했으며, 3차산업은 47.8%를 기여했다.3.1. 제조업
CSO 자료에 따르면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제조업은 2023년 GDP의 14.3%를 기여하며 에너지 부문과 연관이 깊다. 같은 해 석유 및 화학품(Petroleum and chemical products)은 제조업 GDP의 55.7%를 기여했다. 경공업은 석유 및 화학품 다음으로 중요한 제조업 분야로 식품, 음료, 담배가 제조업 GDP의 32.4%를 기여하며 이외에 섬유, 의류, 가죽, 목재, 제지, 인쇄 산업 등이 있다.3.2. 에너지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탄화수소 매장지와 파이프라인 지도 |
트리니다트 토바고의 유일한 정유공장이었던 푸앵타피에르(Pointe-à-Pierre) 정유공장. 2018년 구조조정의 일환으로 폐쇄되었다. |
1908년 트리니다드 섬 남서해안 피치 호(Pitch Lake)에서 상업적인 석유 채굴을 시작하고 2년 뒤 수출이 이루어지면서 에너지 산업이 태동했다. 역사적으로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경제는 석유 및 천연가스로 이루어진 에너지 부문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해당 부문의 성과에 따라 경기가 좌우되었다. 1960년대 원유 생산이 호조였을 때와 1972년부터 트리니다드 섬 동쪽의 해저유전이 생산을 시작하고 1973년 1차 오일 쇼크로 유가가 4배 급등했을 때는 급격한 경제성장을 이루었다.[20] 1차 오일 쇼크 중인 1975년 석유 산업은 GDP의 50%, 수출의 83%, 세입의 70%를 기여하는 효자 산업이었다. 반면에 기존 유전이 고갈되면서 원유 생산이 감소했던 1960년대 말과 2차 오일쇼크(1979~1981) 이후 역(逆) 오일쇼크 시기에는 1978년 시작된 원유 생산 감소까지 겹치면서 심각한 불경기를 맞이했다.#
2000년대 원자재 붐이 발생했을 때 다시 경제호황을 누렸지만 2010년대 원자재 붐이 끝나고 비슷한 시기 미국발 셰일혁명으로 에너지 가격이 대폭 하락하자 2014년부터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석유 및 천연가스 생산량은 2023년 기준 과거 최고 수준 대비 각각 75% 및 40% 감소하였으며,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GDP 또한 2015년부터 8년간 약 18% 하락했다. 에너지 부문이 침체를 빚으면서 GDP와 수출 기여분도 갈수록 낮아지고 있다. CSO 자료에 따르면 에너지 부문은 2013년 GDP의 33.6%, 수출의 79.96%를 기여했으나 2019년에는 GDP의 20.8%, 수출의 69.72%만 기여했다. 정부는 유일한 정유공장, LNG 수출 터미널 4개, 석유화학공장 3개를 폐쇄하여 에너지 부문을 구조조정하고 원자재 중심 경제에서 지식기반 경제로 구조적 변화를 꾀하고 있다.#
세계은행의 2024년 10월 MPO(Macro Poverty Outlook) 보고서에 따르면 오늘날 에너지 부문은 고용의 2.4%만 기여하지만 GDP의 1/3 이상, 수출의 2/3 이상을 기여하며#, CSO 자료에서도 2023년 GDP의 22.8%[21], 수출의 70.61%[22]를 기여한 것으로 나타난다. 최근 석유정제 시설 가동 중지로 정제유의 수출 기여가 급감했다.
3.3. 서비스업
서비스업은 트리니다트 토바고에서 GDP와 고용을 가장 많이 창출하는 부문이다. 2023년 CSO 자료에 따르면 서비스업은 59.9%를 기여했으며 구체적으로 도소매 및 시설관리가 GDP의 25.3%로 가장 많이 기여하였고, 그 다음으로는 공공행정(7.8%), 금융 및 보험(7.5%), 운수 및 창고(4.4%), 관리 및 사업서비스(3.3%) 순으로 많았다. 미 국무부 투자환경보고서에 인용된 2021년 자료에 따르면 1차산업은 고용의 3%를 기여한 반면 서비스업은 70% 이상을 기여한다.#관광의 GDP와 고용 기여는 카리브해의 다른 국가들에 비해 낮다. 세계여행관광협회(WTTC) 자료에 따르면 2019년 관광은 카리브해 GDP의 13.9%, 고용의 15.2%를 기여한데 반해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GDP의 7.8%, 고용의 8.5%(52,700명)를 기여하여 비중이 상대적으로 작았다.# 연간 외래관광객도 50만 명 정도로 그렇게 많은 편이 아니며(2000~2019년 연간 관광객 평균 49.355만명) 절반 가량이 미국에서 온다. 2019년 외래관광객의 지출액은 4.974억 달러로 총 수출(상품수출+서비스수출)의 3.8%를 기여했다. 경제에 관광의 기여가 작은 이유는 에너지 부문이 상대적으로 거대하기 때문이지만 치안이 굉장히 좋지 않기 때문이다. 2022년 살인건수가 605건인데 10만명당 살인 건수로는 26명으로 이미 콜롬비아와 멕시코를 뛰어넘었다. 더욱이 2024년에는 8월 26일까지 이미 413건을 기록하여 2022년 살인건수를 넘을 것으로 확실시되고 있다.# 결국 2024년 12월 30일 13년 만에 국가비상사태(State of Emergency)를 선포했다.
주요 관광지는 트리니다드 섬 남서해안에 있는 천연 아스팔트 호수 피치 호(Pitch Lake), 북부 마라카스 만(Maracas Bay)의 백사장, 탐조(探鳥)와 생태관광으로 유명한 아사 라이드 자연센터(Asa Wright Nature Centre), 토바고 섬 피전 포인트(Pigeon Point)의 백사장 등이 있다. 재의 수요일(Ash Wednesday) 직전 월요일과 화요일에 펼쳐지는 카니발 축제도 볼거리다. 카니발은 18세기에 프랑스에서 이주한 가톨릭교 신자들이 전파했다고 한다.
4. 무역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2013~2022년 수출입 통계(단위: 천 달러)[23] | |||||
연도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수출 | 18,661,089 | 14,520,346 | 10,747,780 | 7,608,642 | 8,740,876 |
수입 | 12,583,602 | 11,246,127 | 9,238,864 | 8,048,588 | 6,898,750 |
연도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수출 | 10,530,263 | 7,191,889 | 5,519,378 | 8,620,229 | 11,529,005 |
수입 | 7,717,407 | 6,338,601 | 4,875,999 | 5,760,699 | 6,202,573 |
세계은행 WITS 무역통계에 따르면 2022년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115.29억 달러를 수출하고 62.03억 달러를 수입하여 53.26억 달러 흑자를 기록했다. 같은 해 주요 수출 대상국은 미국(42.18%) 벨기에(7.21%), 모로코(6.31%), 스페인(5.25%), 브라질(3.83%)이고, 주요 수입 대상국은 미국(39.44%), 중국(12.08%), 브라질(5.65%), 캐나다(3.66%), 터키(2.48%)이다. 같은 해 주요 무역흑자국은 미국(24.16억 달러), 벨기에(7.78억 달러), 모로코(7.21억 달러), 스페인(5.70억 달러), 프랑스(3.05억 달러)이고, 주요 무역적자국은 중국(-5.30억 달러), 터키(-1.49억 달러), 인도(-1.45억 달러), 일본(-1.11억 달러), 태국(-1.03억 달러)이다.#
무역수지는 풍부한 석유와 천연가스 자원 덕분에 흑자를 유지하고 있다. 무수 암모니아(Anhydrous ammonia), 메탄올 같은 화학물과 석유, LNG 등 연료가 주력 수출상품이다. 기계류와 전자기기, 교통수단, 화학물, 식료품을 주로 수입한다. 정부는 수입기반 확장, 무역 진흥 및 다각화, 민간부문 활성화를 위해 기존 1988년 자유지대법(1988 Free Zones Act)을 2022년 1월 통과된 2021년 트리니다드 토바고 특별경제지대법(TT Special Economic Zones Bill, 2021)으로 대체했다. 해당 지대를 관할할 정부기구(Special Economic Zone Authority) 구성은 2024년에 완료될 예정이다.
최근 중국이 적극적인 대외정책을 펼치면서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새로운 무역상대로 떠오르고 있다. 트리니다드 토바고는 2018년 5월 14일 일대일로에 참가했으며 이것은 카리브해의 영어권 국가 가운데 최초이다. 베네수엘라산 소비재 상당수가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 판매되기도 한다. 주로 베네수엘라 내에서 특정 품목에 대해 물가동결정책을 폈을 때 베네수엘라 기업과 상인들이 베네수엘라의 물가상승률이 가파른 만큼 얼마 지나면 제값을 못받을것이 뻔하니 해당 품목들을 트리니다드 토바고에 파는 것이다.[24] 그러다보니 베네수엘라인들이 쇼핑을 하러 바다를 건너오는 웃지못할 상황이 벌어지고 있고 있으며, 베네수엘라 물자부족 원인 중 하나가 이런 밀수행위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SP.POP.TOTL?end=2023&locations=TT&start=2000&view=chart[2]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MKTP.CD?locations=TT[3]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MKTP.PP.CD?locations=TT[4]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PCAP.CD?locations=TT[5]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PCAP.PP.CD?locations=TT[6]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NY.GDP.MKTP.KD.ZG?locations=TT[7]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FP.CPI.TOTL.ZG?end=2023&locations=TT&start=1960&view=chart[8]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SL.EMP.TOTL.SP.ZS?end=2023&locations=TT&start=1960&view=chart[9]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SL.UEM.TOTL.ZS?end=2023&locations=TT&start=1960&view=chart[10] https://data.worldbank.org/indicator/GC.DOD.TOTL.GD.ZS?end=2023&locations=TT&start=1960&view=chart[11] https://tradingeconomics.com/country-list/rating[12] 수입대체산업화는 고정환율제가 필수적이므로, 관리변동환율제를 채택한 것은 수출주도산업화에 대한 정부의 의지가 반영된 것이다.[13] 농업, 임업, 어업(Agriculture, forestry and fishing)[14] 광업(Mining and quarrying), 제조업(Manufacturing), 전기 및 가스(Electricity and gas), 수도 및 하수(Water supply and sewerage), 건설(Construction)[15] 광업 13.1%, 제조업 14.3%, 전기 및 가스 1.4%, 수도 1.3%, 건설 5.0%[16] 도소매 및 시설관리(Trade and repairs), 운수 및 창고(Transport and storage), 숙박 및 음식점(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s), 정보통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금융 및 보험(Financial and insurance activities), 부동산(Real estate activities), 전문직, 과학 및 기술(Professional, scientific and technical services), 관리 및 사업서비스(Administrative and support services), 공공행정(Public administration), 교육서비스(Education), 보건 및 사회복지(Human health and social work), 예술, 스포츠 및 여가(Arts, entertainment and recreation), 기타 서비스업(Other service activities), 가사노동 서비스(Domestic services)[17] 농업, 임업, 축산업, 어업[18] 제조업, 건설, 광업 및 전기·가스·수도[19] 제조업 22.3%[20] 1968년부터 1972년까지 기존 내륙유전과 해저유전의 일평균 원유 생산량은 182,800배럴에서 114,500배럴로 감소했다. 그런데 때마침 1972년부터 동쪽 바다 해저유전의 생산이 이루어졌고, 해당 유전의 생산량은 1972년 일평균 25,400배럴에서 1976년 117,500배럴로 급증하여 기존 유전의 생산 감소를 메꾸고도 남았다. 따라서 트리니다드 토바고의 원유 생산량은 1968년 일평균 182,800배럴에서 1972년 139,900배럴로 감소했다가 1976년 212,300배럴로 증가했다.#[21] CSO 국민계정 자료에는 석유 산업(Petroleum industry)으로 나타나는데, 원유 탐사 및 추출(Crude Oil Exploration & Extraction), 콘덴세이트 추출(Condensate Extraction), 천연가스 탐사 및 추출(Natural Gas Exploration & Extraction), 아스팔트(Asphalt), 석유 관련 서비스업(Petroleum support services), 정제(LNG 포함)(Refining (incl. LNG)), 석유화학제품(Manufacture of Petrochemicals), 석유 및 천연가스 유통(Petroleum and natural gas distribution)을 석유 산업으로 분류했다.#[22] CSO 국제무역 자료에는 에너지 부문(Energy)으로 나타난다. CSO는 SITC와 HS코드 두 기준으로 수출입 통계를 제시하는데 여기서는 SITC에 따른 통계를 참고한다. 해당 통계는 에너지 부문과 비에너지 부문(Non-Energy)으로도 수출입을 분류했다.#[23] 출처: 세계은행 WITS 무역통계# 흑자를 기록한 해는 검은 글씨, 적자를 기록한 해는 붉은 글씨로 하였다. 최대 수출과 최대 수입은 각각 볼드체로 하였다.[24] 브라질에서 한창 물가상승률이 높았을 때 기초생필품이나 식료품에 대해 물가통제를 하려다가 기업이나 상인들, 농민들이 소를 감추면서까지 이런 품목을 팔려고 하지 않았기 때문에 물자부족 현상이 일어나서 결국 포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