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3 07:15:18

트위크넘

그레이터 런던 제58대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rowcolor=#fff> 버킹 버터시 베커넘 버몬시&올드사우스워크 베스널그린&보우
데임 마거릿 홋지 마셔 드 코르도바 밥 스테워트 네일 코일 러샤너라 알리
벡슬리히스&크레이포드 베런트 센트럴 브렌트 노스 브렌트포드&이슬워스 브롬리&크리슬허스트
데이비드 에버넷 던 버틀러 배리 가디너 루스 캐드버리 밥 네일
캠버웰&페컴 찰스턴&웰링턴 첼시&풀럼 칭포드&우드포드그린 치핑 버넷
해리엇 허먼 엘리옷 콜번 그레그 핸즈 이언 덩컨 스미스 테레사 빌리어스
COL&웨스트민스터 크로이던 센트럴 크로이던 노스 크로이던 사우스 더겐햄&래인햄
니키 아이켄 사라 존스 스티브 리드 크리스 필립 존 크루더스
덜위치&웨스트노우드 얼링 센트럴&액턴 얼링 노스 얼링 사우설 이스트 햄
헬렌 해이스 루파 후크 제임스 머래이 버랜드라 샤르마 스테판 팀스
에드먼튼 엘섬 엔필드 노스 엔필드 사우스게이트 에리스&템스메드
케이트 오사모어 클리브 에포드 퍼이얼 클라크 밤보스 챌럼보스 어베나 애셔
펠섬&헤스턴 핀칠리&골더스그린 그리니치&울위치 HN&스토크 뉴잉턴 해크니사우스&쇼어디치
시마 말호트라 마이크 프리어 매튜 페니쿡 다이앤 애봇 메그 힐리어
해머스미스 햄프스테드&킬번 해로우 이스트 해로우 웨스트 혼시&우드 그린
앤드류 슬로터 튤립 시디크 밥 블랙맨 개러스 토머스 캐서린 웨스트
하예스&핼링턴 헨든 홀본&세인트 판크라스 혼처치&업민스터 일포드 노스
존 맥도넬 매튜 오포드 키어 스타머 줄리아 로페즈 웨스 스트리팅
일포드 사우스 이즐링턴 노스 IS&핀스버리 켄싱턴 킹스턴&서비턴
샘 태리 제러미 코빈 에밀리 손베리 펠리시티 부컨 에드 데이비
르위셤 데프포드 르위셤 이스트 르위셤 웨스트&펜지 레이턴&완스테드 미쳠&모든
비키 폭스크로프트 자넷 데이비 엘리 리브스 존 크라이어 쇼베인 맥도나
올드 벡슬리&시드컵 오핑턴 포플러&라임하우스 푸트니 리치먼드 파크
루이 프렌치 개러스 베이컨 엡사나 베굼 플러 앤더슨 사라 올니
롬포드 라이슬립&노스우드&피너 스트리섬 서튼&쳠 투팅
앤드루 로신델 데이비드 시몬즈 벨리베이로 애디 폴 스컬리 로세나 앨린 칸
토트넘 트위크넘 억스브릿지&SR 복설 월섬스토
데이비드 래미 무니라 윌슨 스티브 터크웰 플로렌스 에셜로미 스텔라 크리시
웨스트햄 웨스트민스터 노스 윔블던
린 브라운 카렌 벅 스티픈 해먼드
}}}
그레이터 런던 · 노스웨스트 잉글랜드 · 노스이스트 잉글랜드 · 사우스웨스트 잉글랜드 · 사우스이스트 잉글랜드 · 요크셔 험버 · 웨스트 미들랜즈 · 이스트 미들랜즈 · 웨스트 미들랜즈 · 이스트 오브 잉글랜드 · 스코틀랜드 · 웨일스 · 북아일랜드
}}}}}}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선거구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373151><tablebgcolor=#373151>
파일:영국 의회 흰색 아이콘.svg
트위크넘
Twickenham
}}}
파일:Twickenham2007Constituency.svg
<colbgcolor=#373151><colcolor=#ffffff> 유권자 수 75,889 (2023)
선거구
창설연도
1918년
이전 선거구 브렌트포드
상위 국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상위 카운티 그레이터 런던
의원 (MP)
무니라 윌슨

[clearfix]

1. 개요

그레이터 런던의 남서부 끝에 위치한 선거구이다. 현역 의원은 자민당 소속의 초선 의원 무니라 윌슨.

2. 상세

1917년 구)브렌트포드 선거구가 브렌트포드 & 치즈윅 선거구와 트위크넘 선거구로 나눠지면서 창설되었다. 선거구 창설이후 약 80년간 보수당 후보가 승리해왔는데, 자유민주당이 상당히 선전한 1997년 영국 총선에서 빈스 케이블이 승리하면서 이후로 2015년 총선[1]을 제외하면 모두 자유민주당이 승리하면서, 최근들어 준텃밭화가 진행되고 있다.
전형적인 런던 남서부 지역답게 소득 및 교육수준이 높으며,평균 집가격[2]도 런던평균에 비해 높다. 거기에 더해 강한 자유주의 성향을 띄어 브렉시트 잔류 여론이 국민투표 결과 69%나 달하였다.그렇다보니 19070년 이후로는 노동당이 고전하고, 보수당과 자유민주당 간의 양자대결이 주로 이뤄졌다. 이런 점에서 바로 옆에 위치한 리치먼드 파크선거구와 유사한 점이 많은 지역이다.
자유민주당의 6대 당수이자 캐머런-클레그 연립내각 당시 비지니스, 혁신 및 기술부 장관이었던 빈스 케이블 경이 1997년부터 5선을 하며 트위크넘 지역구의 자유민주당세를 강화시켰다. 당대표 시절 자유민주당의 두차례 선거(지방선거,유럽의회선거)의 승리를 이끌었으나 2019년 영국 총선을 앞두고 고령의 이유로 당대표를 사임하고, 차기 총선도 불출마하였다. 그러면서 해당 지역구의 지방의원을 거친 무니라 윌슨에게 후보직을 넘기고, 무니라 윌슨은 해당 선거에서 56.1%의 여유있는 득표율로 승리한다.

2023년 지역구 재책정 과정에서 Whitton 지역이 브렌트포드&이슬워스 지역구로 이동하게 된다.

3. 역대 국회의원

파일:영국 서민원 로고.svg 리치먼드 파크 지역구 역대 국회의원
<rowcolor=#006e46> 연도 선거 의원 명 소속 정당 의원 선수
1997 제52회 영국 총선 빈스 케이블 (Vince Cable)
1
2001 제53회 영국 총선 빈스 케이블 (Vince Cable)
2
2005 제54회 영국 총선 빈스 케이블 (Vince Cable)
3
2010 제55회 영국 총선 빈스 케이블 (Vince Cable)
4
2015 제56회 영국 총선 타니아 마티아스 (Tania Mathias)
1
2017 제57회 영국 총선 빈스 케이블 (Vince Cable)
5
2019 제58회 영국 총선 무니라 윌슨 (Munira Wilson)
1

4. 역대 선거 결과

4.1. 제55회 영국 총선

4.2. 제56회 영국 총선

4.3. 제57회 영국 총선

4.4. 제58회 영국 총선

<rowcolor=#000> 트위크넘
트위크넘, 햄튼, 테딩턴
후보 득표수 비고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영국 자민당 로고.png 무니라 윌슨
Munira Wilson
36,116표 1위

56.1% 당선
파일:보수당(영국) 흰색 아이콘.svg 이소벨 그란트
Isobel Grant
22,045표 2위

34.2% 낙선
파일:노동당(영국) 흰색 아이콘.svg 란지브 왈리아
Ranjeev Walia
5,476표 3위

8.5% 낙선
파일:브렉시트당 로고 white.svg 스튜어트 웰스
Stuart Wells
816표 4위

1.3% 낙선
유권자 수 84,906 투표율
76.3%
총 투표수 64,503

지난 총선에서 이 지역구를 탈환하며 5선고지에 성공한 빈스 케이블이 자유민주당 대표 시절 자유민주당의 두차례 선거(지방선거,유럽의회선거)의 승리를 이끌었으나 2019년 영국 총선을 앞두고 고령의 이유로 당대표를 사임하고, 차기 총선도 불출마하였다. 그러면서 해당 지역구를 관활하는 지방의원을 거친 무니라 윌슨에게 후보직을 넘기고, 무니라 윌슨은 해당 선거에서 56.1%의 여유있는 득표율로 승리한다.

4.5. 제59회 영국 총선

<rowcolor=#000> 트위크넘
트위크넘, 햄튼, 테딩턴
후보 득표수 비고
정당 득표율 당락
파일:영국 자민당 로고.png 무니라 윌슨[3]
Munira Wilson

파일:보수당(영국) 흰색 아이콘.svg 조나단 헐리
Jonathan Hulley

파일:노동당(영국) 흰색 아이콘.svg 톰 브루스
Tom Bruce

파일:개혁 UK 로고 하얀색 글자.png 알렉산드라 스탈링
Alexander Starling

WPGB 우마이르 말리크
Umair Malik

파일:녹색당(잉글랜드 웨일스) 흰색 아이콘.svg 챈털 커-셰파드
Chantal Kerr-Sheppard

유권자 수 투표율
총 투표수

[1] 자유민주당이 대패한 선거다[2] 745,163 파운드[3] 현역의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