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체스 세계 챔피언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2대 엠마누엘 라스커 | 4대 알렉산더 알레킨 | ||
5대 막스 오이베 | 6대 미하일 보트비닉 | 8대 미하일 탈 | ||
10대 보리스 스파스키 | 11대 바비 피셔 | 12대 아나톨리 카르포프 | ||
13대 가리 카스파로프 | 14대 블라디미르 크램닉 | 15대 비스와나탄 아난드 | 16대 망누스 칼센 | |
17대 딩리런 | 18대 구케시 돔마라주 | }}}}}}}}} |
Tigran Vartanovich Petrosian Տիգրան Վարդանի Պետրոսյան 티그란 바르타노비치 페트로샨 | |
<colbgcolor=#000><colcolor=#fff> 출생 | 1929년 6월 17일 |
사망 | 1984년 8월 13일 (향년 55세) |
국적 | (現 |
타이틀 | GM (1952) |
세계 챔피언 | 1963-69 |
Elo 레이팅 | 2645 (최대 레이팅) |
[clearfix]
1. 개요
티그란 페트로시안은 소련(아르메니아) 출신 9번째 체스 세계 챔피언이다.2. 기풍
나는 (상대의)변수를 피하려 한다. 변수에 기대는 사람들은 카드게임이나 룰렛 따위나 해야 한다.
- 그의 어록.
미하일 탈이 최고의 공격수였다면 페트로시안은 최고의 수비수였다. 그래서 별명도 강철의 티그란(Iron Tigran). 방어와 예방에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 그의 어록.
이것이 페트로시안이 공격이 약하다는 소리는 아니다. 바비 피셔가 말하길 자기가 아는 사람 중에 가장 전술이 강한 사람이었다고 한다. 그 능력을 공격이 아니라 방어에 썼을 뿐. 성향 때문인지 무승부 비율이 다른 플레이어들에 비해 높은 편이었다.[1] 그의 이런 성향은 대회에서 최상위권을 노리기 힘들고 가끔 챔피언답지 않게 밋밋하다는 비판도 받았지만, 그래도 3~4위는 먹고 들어갈 정도로 실력이 좋았고 그 또한 더 '흥미롭게' 플레이할 수도 있지만 질 수도 있다며 자신의 기풍을 지켰기에 그 결과로 그는 매우 꺾기 힘든 선수였다.
당시 유행했던 "탈이 기물을 희생한다면, 잡아라. 하지만 페트로시안이 기물을 희생한다면 잡으면 안된다."는 말이 두 플레이어의 성향을 잘 나타내준다. 탈은 성향상 될 것 같으면 일단 희생을 지르고 봤기 때문에 뻥카일 확률이 있지만, 안전제일인 페트로시안이 희생을 했다는 건 이미 완전히 계산이 끝난 상태라는 뜻. 실제로 페트로시안은 교환 희생 전술의 성공률이 매우 높았다.
[include(틀:체스게임, info=Samuel Rezhevsky v. Tigran Petrosian(1953),
a8=, b8=, c8=, d8=Rb, e8=Qb, f8=, g8=Kb, h8=,
a7=, b7=, c7=, d7=, e7=, f7=Pb, g7=Pb, h7=Pb,
a6=, b6=, c6=Nb, d6=, e6=Rb, f6=, g6=Bb, h6=,
a5=Pb, b5=Pb, c5=, d5=, e5=Pw, f5=, g5=, h5=,
a4=, b4=, c4=Pb, d4=Pw, e4=, f4=Qw, g4=Bw, h4=,
a3=Pw, b3=, c3=Pw, d3=, e3=Rw, f3=, g3=, h3=,
a2=, b2=Bw, c2=, d2=, e2=, f2=, g2=Pw, h2=Pw,
a1=, b1=, c1=, d1=, e1=Rw, f1=, g1=Kw, h1=,
caption=25. Rfe1 Re6!)]
흑을 잡은 티그란 페트로시안은 백이 넓은 중앙 공간과 폰 우위, h4-h5 폰 전진 등 다양한 공격 수단을 쓸 수 있음을 인지하고는 25...Re6으로 교환을 일부러 내주려고 한다. 이는 나이트가 e7-d5으로 재전개할 수 있도록 하면서 백의 강력한 밝은 색 비숍을 교환하겠다는 의도이다. 백은 이를 무시하고 26.a4?로 퀸사이드를 공략하려 하나 이는 실수로 흑이 26...Ne7로 Nd5를 위협하게 되어 27.Bxe6 fxe6를 강제한다. 백은 흑의 fxe6-Nd5이 중앙 폰을 막아버려 돌파가 어렵고 밝은 색 비숍이 사라져 흑의 d5 나이트를 제거하기도, 흑의 약점인 e6폰도 공략하기 힘들어졌다. 경기는 28.Qf1으로 백이 Nd5 포크를 피하고 28...Nd5 29.Rf3 Bd3로 흑의 포지션이 살아나게 된다. 백은 이에 30.Rxd3 cxd3 31.Qxd3[2]로 기물을 돌려주었고 이후 경기는 무승부로 끝났다.
3. 기타
아르메니아에 체스 붐을 일으킨 장본인으로 국가적 영웅으로 취급된다.청력이 좋지 않아 경기를 위해 보청기를 착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흑으로 시실리안 나이도프, 프렌치 디펜스 등에서 백이 곧바로 공격하지 못하도록 포지션을 굳게 닫는 오프닝을 선호했다. 백으로도 킹즈 인디언 디펜스를 상대로 포지션을 일찍 닫고 흑의 반격을 방지하는 수를 고안했다.
아르메니아 2000드람 지폐의 인물이다.
4. 둘러보기
역대 세계 체스 챔피언십 및 참가자 | ||||||
{{{#!folding FIDE 이전 타이틀 (1886~1946)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tablebgcolor=#fff>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886 | | | 10 | 5 | | |
1889 | | | 10½ | 6½ | | |
1890 | | | 10½ | 8½ | | |
1892 | | | 12½ | 10½ | | |
1894 | | | 7 | 12 | | |
1896 | | | 12½ | 4½ | | |
1907 | | | 10½ | 5½ | | |
1908 | 뮌헨 | | 10½ | 5½ | | |
1910 | | | 9½ | 1½ | | |
1921 | | | 5 | 9 | | |
1927 | | | 3 | 6 | | |
1929 | | | 15½ | 10½ | | |
1934 | | | 15½ | 10½ | | |
1935 | | | 14½ | 15½ | | |
1937 | | | 9½ | 15½ | |
{{{#!folding FIDE 타이틀 (1948~1993)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948* | | 14 | | |||
1951 | | | 12 | 12 | | |
1954 | | | 12 | 12 | | |
1957 | | | 9½ | 12½ | | |
1958 | | | 10½ | 12½ | | |
1960 | | | 8½ | 12½ | | |
1961 | | | 8 | 13 | | |
1963 | | | 9½ | 12½ | | |
1966 | | | 12½ | 11½ | | |
1969 | | | 10½ | 12½ | | |
1972 | | | 8½ | 12½ | | |
| - | | | |||
1978 | | | 6 | 5 | | |
1981 | | | 6 | 2 | | |
1984*** | | | 5 | 3 | | |
1985 | | | 11 | 13 | | |
1986 | | | 12½ | 11½ | | |
1987 | | | 12 | 12 | | |
1990 | | | 12½ | 11½ | | |
*: 챔피언의 사망으로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5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치러졌다. **: 타이틀 방어 포기 ***: 중단 |
{{{#!folding PCA 타이틀 (1993~2006)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1993 | | | 12½ | 7½ | | |
1995 | | | 10½ | 7½ | | |
2000 | | | 6½ | 8½ | | |
2004 | | | 7 | 7 | |
{{{#!folding 통합 타이틀 (2006~ ) {{{#!wiki style="margin:-5px -2px -11px" | 연도 | 장소 | 디펜딩 챔피언 | 도전자 | ||
2006 | | | 6 [2½] | 6 [1½] | (FIDE 챔피언) | |
2007* | | | 8 | 9 | | |
2008 | | | 6½ | 4½ | | |
2010 | | | 6½ | 5½ | | |
2012 | | | 6 [2½] | 6 [1½] | | |
2013 | | | 3½ | 6½ | | |
2014 | | | 6½ | 4½ | | |
2016 | | | 6 [3] | 6 [1] | | |
2018 | | | 6 [3] | 6 [0] | | |
2021 | | | 7½ | 3½ | | |
2023** | | | 7 [1½] | 7 [2½] | | |
2024 | | | 6½ | 7½ | | |
2026 | ||||||
*: 챔피언 vs 도전자 1:1 대전이 아닌 8인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개최했다. **: 챔피언의 타이틀 방어 포기로 도전자 결정전 1, 2위가 대결 |
[1] 예시로 1959년 세계 체스 챔피언 도전자 결정전 토너먼트에서 미하일 탈이 16승 8무 4패, 파울 케레스가 15승 7무 6패로 각 1, 2위로 마쳤을 때 티그란은 7승 17무 4패로 3등에 들었다.[2] 30.Qf2? 30...b4 31.cxb4 axb4 32.a5 Ra8 이후 흑이 연결된 통과한 폰을 통해 유리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