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align=center><width=700><table bordercolor=#C10F30><colcolor=#fff><table bgcolor=#C10F30><bgcolor=#000000,#00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60px; display:inline-block"; color:#fff" {{{#!folding [ 제너레이션 1 세계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미국 스토리라인 | 일본 스토리라인 | ||||
<colbgcolor=#ffffff,#191919> 트랜스포머(시즌 1~2) (1983~1986) | ||||||
극장판 시즌 3 (1986) | <colbgcolor=#ffffff,#191919> 스크램블 시티 (1986) | |||||
리버스(시즌 4) (1987) | 헤드마스터즈 (1987) | |||||
- | 마스터포스 (1988) | |||||
트랜스포머 V (1989~1993) 트랜스포머 존 | ||||||
비스트 워즈 (1996~1998) | ||||||
비스트 머신즈 (1999~2000) | 비스트 워즈 세컨드 (1998) | |||||
비스트 워 네오 (1999) | ||||||
트랜스포머 카로봇 (2000) | ||||||
로봇 마스터즈 (2004) | ||||||
프라임 워즈 (2016~2018) | ||||||
WFC (2020~2022) |
- [ 유니크론 트릴로지 ]
- ||<-3><bgcolor=#ffffff,#191919><table width=100%><width=2000> 아마다 / 마이크론 전설
(2002) ||<width=33%><-2><bgcolor=#ffffff,#191919> 에너존 / 슈퍼 링크
(2004) ||<width=33%><bgcolor=#ffffff,#191919><-2> 사이버트론 / 갤럭시포스
(2005) ||
- [ 얼라인드 세계관 ]
- ||<-6><bgcolor=#000><color=#C10F30><table width=100%><width=2000> 본편 ||
트랜스포머 프라임
(2010~2013)트랜스포머 어드벤처
(2015~2017)외전 트랜스포머 GO
(2013)레스큐 봇
(2010~2016)
- [ 기타 세계관 ]
- ||<colbgcolor=#ffffff,#191919><table width=100%><width=2000> 애니메이티드
(2007~2009) ||<-2><width=50%><bgcolor=#ffffff,#191919> Q 트랜스포머
(2015) ||<-2><width=50%><bgcolor=#ffffff,#191919> 사이버버스
(2018~2021) ||어스스파크
(2022~)봇봇
(2022)
| ||||
프라임 워즈 트릴로지 | ||||
트랜스포머: 컴바이너 워즈 | → | 트랜스포머: 타이탄즈 리턴 | → | 트랜스포머: 파워 오브 더 프라임 |
1. 개요
Transformers: Power of the Primesパワーオブザプライム
해즈브로와 타카라토미에서 전개하는 트랜스포머 완구 및 미디어 믹스 시리즈. 트랜스포머: 타이탄즈 리턴의 후속작이며, 프라임 워즈 트릴로지의 세 번째이자 마지막 작품이다. 약칭은 POTP.
이후 G1 프랜차이즈 완구의 계보는 트랜스포머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로 이어진다.
해즈브로는 구판 완구 고증, 타카라토미는 애니메이션 고증으로 서로 차이를 두었던 이전 프라임 워즈 트릴로지의 컴바이너 워즈 / 유나이트 워리어즈나 타이탄즈 리턴 / 레전즈때와 달리 해즈브로제와 타카라토미제의 도색이나 금형 차이가 없어졌고, 이후 전개된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나 레거시에서도 계속해서 이 기조를 이어가고 있다.[1]
2. 애니메이션
3. 완구
전작에 이어 '프라임 마스터'라는 기믹이 도입되었다.4. 제품 목록
대한민국에 정발된 제품들은 (*)표시.국내에 인증은 받았으나 정발되지 않은 제품은 (@)표시.
4.1. 프라임 마스터
4.1.1. 웨이브 1
4.1.2. 웨이브 2
4.1.3. 웨이브 3
4.2. 레전드 클래스
4.2.1. 웨이브 1
* 스크래프넬
Thrilling 30 레전드 클래스 스크래프넬의 리데코 제품. Thrilling 30와 마찬가지로 이름이 상표권 문제로 인해 슈라프넬이 아닌 스크래프넬으로 바뀌었다.
4.2.2. 웨이브 2
4.2.3. 웨이브 3
* 신더소어
파워 오브 더 프라임 레전드 클래스 다이노봇 슬래시의 리툴 제품.
4.3. 디럭스 클래스
4.3.1. 웨이브 1
4.3.2. 웨이브 2
* 오토봇 문레이서
4.3.3. 웨이브 3
4.3.4. 웨이브 4
* 오토봇 노바스타
파워 오브 더 프라임 디럭스 클래스 문레이서의 리툴 제품. 상표권 문제로 인해 파이어스타가 아닌 노바스타로 나왔다.
4.4. 보이저 클래스
4.4.1. 웨이브 1
4.4.2. 웨이브 2
* 엘리타 원
파워 오브 더 프라임 보이저 클래스 스타스크림의 리툴 제품. 문레이서, 노바스타, 제네레이션 셀렉츠 랜서, 워 포 사이버트론: 시즈 그린라이트와 합체해 신규 컴바이너 오르시아로 합체할 수 있다. 다만, 그린라이트가 구하기 매우 힘든 한정판 제품이어서 재현한 사례는 드문편.
4.4.3. 웨이브 3
4.5. 리더 클래스
4.5.1. 웨이브 1
4.5.2. 웨이브 2
4.5.3. 웨이브 3
4.6. 타이탄 클래스
프레데킹 | |
다이브봄 | 렘페이지 |
헤드스트롱 | 토록스[2] |
레이저클로 |
4.7. 한정판
특이하게도 일본은 전부 일반판으로 출시되었다.4.7.1. 여름 컨벤션 한정판
* 프라임의 왕좌
본체는 파워 오브 더 프라임 리더 클래스 옵티멀 옵티머스의 리컬러 제품이며, 추가로 왕관과 지팡이, 아말가머스 프라임, 넥서스 프라임, 프라이마 프라임, 13번째 프라임이 들어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