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1 20:21:26

팔레스타인 인민당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50px><tablebordercolor=#fff> 파일:팔레스타인 입법평의회 심볼.png팔레스타인 입법평의회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하마스|하마스[1]
74석
]]
[[파타|파타[2]
45석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해방인민전선
3석
]]
[[팔레스타인 국민계획|팔레스타인 국민계획
2석
]]
[[제3의 길(정당)|제3의 길
2석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해방민주전선
1석
]]
[[팔레스타인 인민당|인민당
1석
]]
무소속
4석
재적
132석
}}}
[1] 가자 지구에서는 하마스가 실질적으로 여당 역할을 하고 있다. 가자 지구의 현 총리인 야히야 신와르는 하마스 소속이다.[2] 요르단 강 서안 지구에서는 파타가 여당이다. 따라서 팔레스타인 현직 대통령 마흐무드 압바스는 정식 수도가 있는 요르단 강 서안 지구의 여당, 파타 소속이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5deg, #cf0921 11%,transparent 11%), linear-gradient(to bottom, #000 50%, #fff 5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cf0921 29px, transparent 29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colcolor=#fff><colbgcolor=#cf0921>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올리브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 파타-하마스 분쟁 ·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팔레스타인/행정구역 · 하마스 · 파타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 팔레스타인 인민당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 팔레스타인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관계 · 영국 방안 · 일국 방안 · 양국 방안 · 삼국 방안
경제 경제 전반 · 이스라엘 신 셰켈 · 요르단 디나르 · 이집트 파운드
군사 팔레스타인 보안군
문화 문화 전반(케피예) · 요리 · 후무스 · 쿠나파 · 마클루바 · 무삭칸 ·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 예루살렘 총대주교(정교회)
인물 아민 알후세이니 · 야세르 아라파트 · 마흐무드 압바스 · 쉬린 아부 아클레
지리 가자 지구 · 요르단 강 서안 지구 · 베들레헴
민족 팔레스타인인 · 팔레스타인계 칠레인 }}}}}}}}}}}}
파일:팔레스타인 인민당 당기.png
حزب الشعب الفلسطيني
한글명칭 팔레스타인 인민당
상징색
빨간색
창당일 1982년 2월
이념 팔레스타인 내셔널리즘
공산주의
양국 방안
정치적 스펙트럼 극좌
서기장 바삼 알-살히
국제 조직

정당 연합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민주 동맹 명단
입법평의회 의석 수
1석 / 132석
웹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성향

[clearfix]

1. 개요

팔레스타인의 공산주의 정당으로 팔레스타인 공산당(الحزب الشيوعي الفلسطيني)의 후신 정당이다.

2. 상세

전신은 1923년 창당한 팔레스타인 공산당으로 1970년대 이후 지지도가 낮아지자 당시 이집트가 점령한 가자지구에서 공산주의 조직을 참여하다가 1982년에 재건 방식으로 창당한 것이다. 1987년에 PLO와 관계 맺으면서 가입하였다. 제1차 인티파다 당시에는 봉기 지원하는데 참여했다는 점이다.

1991년에 현재의 당명으로 변경하였다. 당명 변경에 대해서 무슬림에게 적대적인 공산주의 이미지로부터 멀어질 수 있다는 생각으로 바뀌었다는 점이다. 그러나 마르크스-레닌주의를 정치적 철학으로 포기하지는 않았다.

3. 성향

오슬로 협정 당시 몇 안되는 지지했던 팔레스타인의 정당이었다. 또, 몇 안되는 서안지구와 가자지구를 포함한 독립된 팔레스타인 건설을 지지함에 따라 양국 방안을 지지하고 있기도 한다.

민족 해방 운동을 벌이기 때문에 팔레스타인의 계급 투쟁에 대해서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둘 다 팔레스타인 공산주의 세력이라 겹칠것 같지만 PFLP와는 확실하게 다른 세력이고, 양자간 사이도 좌파 내부 총질이 늘 그렇듯 마냥 좋은것만은 아니다. 팔레스타인 인민당은 본질적으로 1948년 이스라엘 건국 이전엔 아랍인, 유대인 양쪽 모두 포괄했던 팔레스타인 공산당이 이스라엘 건국과 민족 문제로 쪼개지면서 뛰쳐나온 아랍쪽의 후신, 즉 역사적 계통으로 따지면 코민테른의 인정 받은 옛날 소련 시절 국제 공산당들의 팔레스타인 지부 직계 후손이다. PFLP는 반면 50년대 창설자 조지 하바쉬가 주도한 학생운동이 70년대에 시리아의 지원을 받아 무장 테러단체화 된 것이다. 팔레스타인 인민당은 알려진 무장조직이 없고, PFLP는 반대로 대외적인 민간 정당으로서 정치국도 있지만 본질은 무력 게릴라 단체이다. 현대 와서는 서로 가끔 합당한다 만다 얘기 나오다가 권력 배분 문제 등으로 관두는 뜨뜻미지근한 관계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