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17:31:31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002395>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2025).png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괌 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네팔 대만 대한민국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마카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북한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필리핀 호주 홍콩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West_Asian_Football_Federation_logo_(2023).png 서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레바논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예멘
오만
요르단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이라크
카타르
쿠웨이트
팔레스타인 }}}}}}}}}

<nopad> 파일: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منتخب فلسطين لكرة القدم‎
<colbgcolor=#ff0000><colcolor=#fff> [[FIFA 코드|{{{#fff FIFA 코드 }}}]] PLE
축구 협회 팔레스타인 축구 협회 (PFA)
대륙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 연맹 서아시아 축구 연맹 (WAFF)
홈 경기장 파이살 알-후세이니 국제경기장
(Faisal Al-Husseini International Stadium / 12,500석)
별명 الفدائي (구세주)
الفرسان (기사)
أسود كنعان (가나안의 사자)
감독
[[튀니지|]][[틀:국기|]][[틀:국기|]] 마크람 다부브 (Makram Dabboub)
주장
C
무사브 알바타트 (Musab Al-Battat)
FIFA 랭킹 101위 (2024년 12월 19일 기준 / #)
Elo 랭킹 105위 (2024년 11월 20일 기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0000><colcolor=#fff> A매치 최다 출전 압델라티프 바흐다리 (Abdelatif Bahdari)
- 82경기 / 9골
A매치 최다 득점 오다이 다바그 (Oday Dabbagh)
- 39경기 / 17골
첫 국제경기 출전
[[팔레스타인|]][[틀:국기|]][[틀:국기|]] 팔레스타인 vs
[[이집트 왕국|]][[틀:국기|]][[틀:국기|]] 이집트 1:8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 1953년 7월 26일)
최다 점수차 승리
[[팔레스타인|]][[틀:국기|]][[틀:국기|]] 팔레스타인 vs [[괌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괌 기.svg
괌]] 11:0
(방글라데시 다카 / 2006년 4월 1일)
최다 점수차 패배
[[팔레스타인|]][[틀:국기|]][[틀:국기|]] 팔레스타인 vs
[[이집트 왕국|]][[틀:국기|]][[틀:국기|]] 이집트 1:8
(이집트 알렉산드리아 / 1953년 7월 26일)

[[팔레스타인|]][[틀:국기|]][[틀:국기|]] 팔레스타인 vs
[[이란|]][[틀:국기|]][[틀:국기|]] 이란 0:7
(이란 테헤란 / 2011년 10월 5일)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0000> 대륙대회
아시안컵 [진출] 3회
[최고] 15위/16강 (2023)
WAFF컵 [진출] 9회
[최고] 파일:트위터 동메달 이모지.svg(2019)
아랍컵 [진출] 5회
[최고] 5위/조별리그 (1966, 1992)
}}}}}}}}}}}} ||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하의 7 11
양말
1. 개요2. 내용3. 역대전적4. 연령별 대표팀5. 국가별 전적
5.1. 대한민국과 전적

[clearfix]

1. 개요

팔레스타인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문서.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73위(2018년 2월 15일 ~ 4월 11일), 최저 순위는 191위(1999년 4월 21일 ~ 9월 14일)이다.

2. 내용

홈구장은 파이잘 알 후세이니 인터내셔널 스타디움이며 감독은 마크람 다부브다. 전사(Al-Fida'i), 기사(Al-Fursan), 가나안의 사자(Osoud Canaan)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이스라엘의 압력으로 오랫동안 제대로 국가대표팀으로 인정받지 못하던 눈물겨운 역사를 가지고 있다. 오슬로 협정이 맺어지면서 1995년에 FIFA에 가입해 국제적 인정을 받았으나 현재까지도 이스라엘 눈치를 봐가며 유지되고 있다고 하며 심지어 해외 출국을 하려고 하면 이런저런 핑계로 못 나가게 한 일도 다반사였다고 한다. 이러다 보니 당연히 축구실력은 크게 뒤떨어질 수 밖에 없었다. 중동에서도 압도적으로 정세가 불안한 지역이기때문에 홈경기를 제대로 치르지 못하고 있다.

1960년, 1992년 아랍컵에서 꽤 준수한 성적[1]을 거두었지만 국제대회에 꾸준히 참여하지 못해 점차 실력이 약해졌었던 것으로 보인다.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이 건국 이래 가장 큰 대회 우승이다.

동년 2014 인천 아시안게임에서는 같은 조에서 유력한 강호인 오만을 깨고 무려 조 1위로 16강에 올랐다! 허나 일본한테 0:4로 패하며 탈락(14위)했다.

2014년 10월 2일, 디에고 마라도나가 감독직으로 부임한다는 기사가 실렸으나 협상이 결렬된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2015년 아시안컵에서는 사에브 젠데야 감독이 팔레스타인 팀의 감독을 맡았다. 2015 호주 아시안컵[2] 16개국 본선에 사상 처음 진출했는데 또 일본에게 0-4로 패했고 3전 전패 최다실점으로 아시안컵 16위를 기록했다.

2019아시안컵부터 지역예선에서 본선에 들어 갈 자리가 16자리에서 24자리로 확대되고 2019년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 오만, 몰디브, 부탄과 한 조가 되었고 3차 예선 진출 팀들 중에 맨 먼저 2연속 아시안컵 본선(24개국) 진출에 성공했다.

그동안 서아시아에서도 그다지 강한 팀은 아니었지만, 점점 전력이 보강되면서 마냥 무시할 수 없는 팀이 되어가고 있다. 이들의 "전력보강" 방법은 바로 남미 출신 이중국적 선수들의 대표팀 합류.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의 침공과 분쟁 과정에서 수많은 난민들이 발생했는데 이들의 대다수가 남미, 특히 칠레로 많이 피난을 떠나 그곳에서 정착했다. 따라서 이들의 후손들이 팔레스타인계 칠레인으로서 생활하는데, 남미에서도 한끗빨 날리는 칠레 축구계에 진출한 팔레스타인계 칠레인들이 2010년대 후반부터 점차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들로 등장하기 시작한다. 아예 CD 팔레스티노라는 이름만 봐도 딱 정체성이 드러나는 구단이 칠레 프로리그에서 활동할 정도. 이 팀은 칠레 1부리그에서 잔뼈가 굵은 팀으로 우승을 차지한 적도 있고 칠레 내에서 나름 명문팀으로 평가받는다. 호나탄 칸티야나, 알렉시스 노람부에나, 파블로 탐부리니 등 팔레스타인 대표팀 최근 소집명단에서 알~자 돌림의 특유의 중동식 이름과는 이질감이 드는 남미식 이름을 많이 볼 수 있는 이유가 이것 때문. 칠레계 선수들의 합류 이후 다른 유럽, 아시아 등지에서도 나즈미 알바다위, 아마르 카두라 등 팔레스타인계 선수들을 찾아내어 대표팀에 영입하는 전략을 쓰기 시작하면서 꽤 무시할 수 없는 전력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다. 그 결과 (비록 약체들 위주이긴 하지만) 2017년에 치른 A매치 7경기에서 전승을 하는 기염을 토한다. 앞서 서술된 2019 AFC 아시안컵 예선에서도 25득점 2실점 5전 전승의 압도적 성적으로 통과한다. 첫 진출이었던 지난 대회와 달리 이번 대회에서는 그리 만만하지는 않을 것이라는 예측은 바로 최근의 이러한 흐름에서 기인한다.

현재 대표팀의 차기 에이스로는 벨기에 프로 리그로얄 샤를루아에서 활약하고 있는 오다이 다바그가 있다.

그렇게 진출한 2019 아시안컵[3] 본선 첫번째 경기에서 만만치 않은 시리아를 만나 걸어잠그는 축구를 시전하며 한명이 퇴장당했음에도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이렇게 따낸 승점 1점이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의 아시안컵 첫 승점이다.[4]

참고로 이때까지 한국과는 A매치를 치르지 않은 단 셋 뿐인 AFC 소속 국가대표팀 중 하나였는데[5] 연령별 대표팀으로 범위를 넓히면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 3차전에서 한국이 윤빛가람, 박주영, 박희성의 골로 3:0으로 이긴 것이 전부였다.

2023 아시안컵 24개국 본선에 진출하여 이란에 패했으나, 아랍에미리트와 무승부, 홍콩에 3:0 대승을 거두며 이 대회부터 2라운드가 8자리에서 16자리로 확대되어서 C조 3위를 기록하고 와일드카드로 사상 첫 2라운드 진출과 2015아시안컵 16위 이후 아시안컵 16위 안에 들고 아시안컵 최종 15위로 최고 순위를 달성했다.[6]

이후 2026년 월드컵 2차예선에서 레바논을 밀어내고 역사상 처음으로 3차 예선에 진출하게 되었다.

본토 출신 핵심 선수들은 이집트,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로 진출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들어서는 리비아 리그로 많이 진출하고 있다.

남미계 팔레스타인인 외에도 의외로 동유럽계 팔레스타인인들이 존재하고,[7] 스웨덴계 팔레스타인인 축구선수들이 팔레스타인 국가대표를 택하기도 하고[8] 이들은 팔레스타인 대표팀 전력에 큰 영향을 준다.

북아프리카 출신 감독이 맡아서 그런지 수비적인 축구를 하지 않고 적극적인 압박 축구를 한다. 대량 실점을 감수하더라도 전반적으로 공격축구를 하는 편이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켈미(Kelme)이다.

3. 역대전적

3.1. FIFA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의 일부 (이스라엘에 승계)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독립 이전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요르단이집트의 분할 점령기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축구협회 창립 이전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FIFA 비회원국
이스라엘의 점령기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FIFA 비회원국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 팔레스타인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FIFA 비회원국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3.2. AFC 아시안컵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25위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요르단이집트의 분할 점령기
파일:영국령 홍콩 기(1955~1959).svg
1956년 홍콩
축구협회 창립 이전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960년 대한민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64년 이스라엘
AFC 비회원국
이스라엘의 점령기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1968년 이란
AFC 비회원국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1972년 태국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1976년 이란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80년 쿠웨이트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984년 싱가포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년 카타르
※ 팔레스타인
파일:일본 국기.svg
1992년 일본
AFC 비회원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년 아랍에미리트
파일:레바논 국기.svg
2000년 레바논
본선 진출 실패[12개팀]
파일:중국 국기.svg
2004년 중국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7년 아세안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1년 카타르
파일:호주 국기.svg
2015년 호주
조별리그[12] 16위 3 0 0 3 1 11 0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9년 아랍에미리트
조별리그 19위 3 0 2 1 0 3 2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3년 카타르
16강 15위 4 1 1 2 6 7 4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3회 / 16강 1회 10 1 3 6 7 21 6

2000년부터 아시안컵 예선에 참가하여 2014년까지 예선에서 고배를 마셨으나 2014년 AFC 챌린지컵 우승팀 자격으로 2015 아시안컵[13]에 첫 진출을 하게 되었다.

3.3. 서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00
조별리그 7위 3 0 1 2 3 5 1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2002
조별리그 5위 2 0 0 2 1 4 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04
조별리그 5위 2 0 1 1 2 3 1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07
조별리그 5위 2 0 0 2 0 3 0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2008
조별리그 6위 2 0 0 2 0 4 0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2010
조별리그 9위 2 0 0 2 1 6 0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2012
조별리그 8위 3 1 0 2 3 4 3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14
조별리그 7위 2 0 1 1 0 1 1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2019
조별리그 3위 4 2 1 1 6 5 7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2023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9회 / 3위 1회 22 3 4 15 16 35 13

3.4. FIFA 아랍컵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1963
불참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1964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1966
조별리그 5위 3 1 1 1 8 3 4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1985
불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1988
파일:시리아 아랍 공화국 국기.svg
시리아 1992
조별리그 5위 2 0 1 1 1 2 1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1998
예선 탈락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2002
조별리그 9위 4 0 3 1 7 9 3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2012
조별리그 9위 2 0 1 1 2 4 1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21
조별리그 15위 3 0 1 2 2 10 1
합계 본선진출 5회[14] 14 1 7 6 20 28 10

4. 연령별 대표팀

4.1. U-23 대표팀

4.1.1. AFC U-23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오만 국기.svg
2014년 오만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6년 카타르
파일:중국 국기.svg
2018년 중국
8강 7위 4 4 1 1 2 8 6
파일:태국 국기.svg
2020년 태국
예선 탈락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2년 우즈베키스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4년 카타르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6년 사우디
? ? ? ? ? ? ? ? ?
굵은 글씨는 올림픽 진출권이 걸려있는 대회
합계 본선진출 1회 / 8강 1회 4 4 1 1 2 8 6

4.2. U-20 대표팀

4.2.1. AFC U-20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youth 챔피언십 대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9년 말레이시아
비회원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0년 말레이시아
파일:태국 국기.svg
1961년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2년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3년 말레이시아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64년 남베트남
파일:일본 국기.svg
1965년 일본
파일:필리핀 국기.svg
1966년 필리핀
파일:태국 국기.svg
1967년 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년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9년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0년 필리핀
파일:일본 국기.svg
1971년 일본
파일:태국 국기.svg
1972년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3년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1974년 태국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5년 쿠웨이트
파일:태국 국기.svg
1976년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7년 이란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1978년 방글라데시
파일:태국 국기.svg
1980년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82년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5년 UAE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6년 사우디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년 카타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0년 인도네시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2년 UAE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4년 인도네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년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98년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2000년 이란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04년 말레이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2006년 인도
AFC U-19 챔피언십 대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8년 사우디
실격
파일:중국 국기.svg
2010년 중국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년 UAE
파일:미얀마 국기.svg
2014년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6년 바레인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년 인도네시아
AFC U-20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년 우즈베키스탄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2025년 중국
합계 본선진출 없음

4.3. U-17 대표팀

4.3.1. AFC U-17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U-16 Championship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5년 카타르
비회원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6년 카타르
파일:태국 국기.svg
1988년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0년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92년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4년 카타르
파일:태국 국기.svg
1996년 태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8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0년 베트남
불참
AFC U-17 Championship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2년 아랍에미리트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2004년 일본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06년 싱가포르
AFC U-16 Championship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08년 우즈베키스탄
예선 탈락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0년 우즈베키스탄
파일:이란 국기.svg
2012년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2014년 태국
파일:인도 국기.svg
2016년 인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년 말레이시아
AFC U-17 아시안컵
파일:태국 국기.svg
2023년 태국
예선 탈락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5년 사우디
합계 본선진출 없음

5. 국가별 전적

5.1. 대한민국과 전적

<rowcolor=#ffffff>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팔레스타인전 역대 전적
경기 득점 실점 득실차 최다 득점자
2 0 2 0 1 1 0 손흥민(1)
2026년 월드컵 2차예선에서 레바논을 밀어내고 역사상 처음으로 3차 예선에 진출하게 되었고, 이 3차예선에서 드디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함께 B조에 배정되면서 A매치 첫 맞대결이 성사되었다. 그리고, 2024년 9월 5일 한국 원정경기에서 0-0으로 비기면서 승점 1점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해냈다. 거기에다 11월에 열렸던 한국과의 2차전서도 1-1무승부로 승점 1점을 얻으면서 월드컵 예선에서 대(對)한국전 2무 승점 2점을 거두는 기염을 토했다. 심지어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과의 전쟁통으로 위험한 상황[15]임에도 한국 상대로 2번이나 좋은 모습을 보이며 전쟁으로 지치고 상처를 입은 국민들에게 희망을 심어주었다.
남자 축구 국가대표팀 A매치 역대 경기 결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PLE
<rowcolor=#ffffff> 날짜 장소 대회 점수 결과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득점 파일: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득점 비고
<rowcolor=#ffffff> 2024년
11월 19일
요르단, 암만,
암만 인터네셔널 스타디움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1:1
(1:1)
손흥민(16') 자이드 쿤바르 (12')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17]
<rowcolor=#ffffff> 2024년
9월 5일
대한민국, 서울,
서울월드컵경기장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3차예선
0:0 -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H][19]
: 월드컵 본선, 컨페드컵 | : 대륙컵 본선
: 올림픽 본선 | : 아시안 게임 본선
: 월드컵 예선(직행) | : 월드컵 예선 | : 기타 예선

[1] 1960년 5위, 1992년 5위[2] 마지막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3] 첫 24개국 본선 진출 대회[4] 2019 아시안컵 대회 최종 19위.[5] 나머지 둘은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부탄 축구 국가대표팀. 그나마 동티모르와 팔레스타인은 연령별 대표팀에서 한국과 마주친 경험이라도 있지만, 부탄은 연령별 대표팀에서조차 단 한 번도 한국과 만난 적이 없다.[6] 아시안컵 지역예선에서 본선에 들어 갈 자리가 16자리에서 24자리로 확대되고 15위(16강)을 기록했다.[7] 파블로 압달라라는 아르헨티나-크로아티아계 선수와 자카 이베이셰흐라는 슬로베니아계 선수가 과거 팔레스타인 대표로 뛰었고, 최근에 보스니아-크로아티아계 선수인 무함마드 알굴도 팔레스타인 대표를 택하였다. 이 외에도 팔레스타인 대표는 아니지만 크로아티아 대표로도 뛰었던 아나스 샤비니가 가장 유명하다.[8] 대표적으로 압둘 칼릴리가 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2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2] 마지막 16강 조별리그 진출 체제[13] 마지막 16개국 본선 진출 대회[14] 최고순위 5위(1966, 1992)[15] 당장 팔레스타인 대표팀 인원 중에서도 이 전쟁 때문에 사망한 선수가 있었을 정도이다.[H] 하이라이트[17] 쿠팡플레이 스포츠[H] 하이라이트[19] 쿠팡플레이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