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002395> |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 |
괌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 | | | |
동티모르 | 라오스 | 레바논 | 마카오 | |
| | | |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
| | | |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
| | | | |
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
| | | |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 | | |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인도 | |
| | | | |
인도네시아 | 일본 | 중국 | 카타르 | |
| | | |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 | | |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
| | | ||
필리핀 | 호주 | 홍콩 | ||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 남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 | | | | |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 }}}}}}}}} |
<nopad> | |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 | |
नेपाल राष्ट्रीय फुटबल टोली | |
<colbgcolor=#16284e><colcolor=#fff> 정식명칭 | नेपाल राष्ट्रीय फुटबल टोली[1] |
FIFA 코드 | NEP |
FIFA 랭킹 | 176위[2] |
Elo 랭킹 | 195위[3] |
협회 | 전 네팔 축구 협회 (ANFA) |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지역연맹 | 남아시아 축구 연맹 (SAFF) |
감독 | |
주장 | 키란 쳄종 (Kiran Chemjong) |
최다출장자 | 키란 쳄종 (Kiran Chemjong) - 104경기 |
최다득점자 | 하리 카드카 (Hari Khadka) 니라잔 라야마지 (Nirajan Rayamajhi) 안잔 비스타 (Anjan Bista) - 13골 |
홈 구장 |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 (Dasarath Rangasala Stadium, 15,000석)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
SAFF 챔피언십 | 진출: 13회 최고 성적: |
별칭 | गोरखालीहरू (네팔 레드; The Gorkhalis) |
유니폼 | 홈 | 어웨이 |
상의 | 연청 | 빨강 |
하의 | 연청 | 빨강 |
양말 | 연청 | 빨강 |
1. 개요
네팔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으로 홈 구장은 다사라스 랑가살라 스타디움이며 감독은 2019년부터 2020년까지 대한민국 여자 대표팀의 수석 코치를 역임하며 2019년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준우승을 이끈 뒤 호주 여자 대표팀의 수석 코치로서 자국에서 열린 2023년 FIFA 여자 월드컵에서 남녀 대표팀을 통틀어 자국 축구 역사상 월드컵 4강 신화에 기여한 맷 로스이다.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124위(1993년 12월 23일 ~ 1994년 3월 14일), 최저 순위는 196위(2016년 1월 7일)이며 현재 네팔의 FIFA 랭킹은 175위이다.
2. 상세
축구 못하는 남아시아에서도 부탄 다음 가는 축구 최약체이며 당연히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과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최약체팀들만 모인 대회인 AFC 챌린지컵에서도 2006년에 4위의 성적을 거두며 2016년 AFC 솔리다리티컵 이전까지 AFC 주관 대회 종전 최고 성적을 남겼고 2012년 자국 대회에서는 팔레스타인에게 0:2로,투르크메니스탄에게는 0:3으로 패했으며 심지어 같은 남아시아팀인 몰디브에게도 0:1로 패하며 3전 전패 무득점 6실점, 조 꼴찌로 광탈했을 정도이다.
그 밖에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14번의 대회에 모두 출전하여 이 중 6번의 대회에서 4강에 올랐고 2023년 대회에서는 인도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하는 기염을 토했다.
201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선 동티모르를 상대로 2연승을 거두며 2차 예선에 올랐지만 2차 예선에서는 요르단에 1차전 원정 경기에서 0-9로 패하며 탈락했고 2차전 홈 경기에선 무승부였으나 요르단이 대충 경기를 하며 무재배를 거둔지라 네팔이 그렇게 선전한 건 아니었다.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서는 같은 남아시아팀인 인도에 1·2차전 합산 0-2로 패하며 자동적으로 2019년 AFC 아시안컵 최종 예선에 진출하지 못했었으나 괌의 기권과 쿠웨이트의 자격 정지 징계로 생긴 결원 보충으로 지역 예선에 합류했다.
월드컵 1차 예선 탈락 국가들끼리 모여서 치른 2016년 AFC 솔리다리티컵에서는 4경기 무패(2승 2무)의 성적으로 우승을 차지했는데 이는 네팔 축구 역사상 AFC 주관 대회 첫 챔피언 등극이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KELME이다.
FIFA 랭킹에서 네팔보다 순위가 낮은 나라들을 보면 대부분 산마리노 등 미니 국가거나 소말리아 같이 축구는 커녕 나라 자체가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경우가 많은데 네팔이 인구도 3000만명이 넘고 국토 면적도 한반도의 3분의 2는 되는 만큼 결코 작은 나라가 아닌데다 그렇다고 소말리아처럼 나라 자체가 막장인 것도 아닌데 축구를 못한다는 점이 특이사항이다.
여담으로 한국인이 네팔 국대의 감독을 맡기도 했는데 1973년 네팔 축구협회 요청으로 대한체육회에서 전 국가대표 축구팀 코치 등을 역임한 장경환(1925~2001)을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파견하면서 1호 한국인 외국 국가대표팀 감독인 셈이다.
당시 제3세계에 선진 축구를 전파하던 독일 출신 데트마어 크라머 감독을 빗대 네팔의 크라머 감독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장경환 씨에 따르면 당시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 수준은 한국의 중학교나 고등학교 수준이었다고 하는데 그나마 지원이 없어서 대한체육회로부터 축구공 20개를 지원받고 자신의 돈으로 트레이닝 셔츠를 사다가 입히기도 했다고 한다.
그 뒤 강한 훈련을 시키자 선수들이 반발하고 탈락이 빈번해졌는데 그 이유를 알고 보니 네팔은 점심을 먹지 않는 게 일반적이어서[5] 선수들 체력이 도저히 버티지 못했으며 아침밥으로 3~4 사발의 밥만 먹고 반찬도 소금이나 야채 한 가지 뿐이었다.
이에 네팔 당국에 요청해서 점심을 먹이고 매일 계란 1알을 특별히 공급하게 했으며 놀랍게도 1974년 태국 방콕에서 열린 AFC U-20 아시안컵 D조 1차전에서 대한민국을 상대로 1-2 역전패하는 선전을 펼치면서 그 결실이 맺어지게 되었는데 불과 2년 전인 1972년 도쿄 대회에선 대한민국에게 19골이나 먹은 반면 한 골도 못 넣었던 기억이 생생했기에 1-2 석패는 네팔 축구계에 신선한 충격을 안겼다.[6]
포천시민축구단 U-18팀 출신으로 현재 자국 리그인 네팔 슈퍼리그의 부트왈 룸비니에서 활동 중인 당기 머니스가 네팔 국가대표팀의 일원으로 뛰고 있으며 현재 네팔 대표팀의 해외파로는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몰디브, 방글라데시 등에서 뛰고 있는 선수들이 전부이며 나머지는 모두 자국 리그인 네팔 리그에서 뛰고 있는 선수들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3.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A2842, #1A2842 15%, #1A2842 85%, #1A2842)"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6284e> | 네팔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순서 | 선수 이름 | 출전 횟수 | 첫 경기 | 마지막 경기 |
1 | 키란 쳄종 | 105회 | 2008.5.24 | 2025.3.25 |
4. 역대전적
4.1. FIFA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 네팔 왕국 | ||||||||||
1930 우루과이 |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1934 이탈리아 | ||||||||||
1938 프랑스 | ||||||||||
1950 브라질 | ||||||||||
1954 스위스 | FIFA 비회원국 | |||||||||
1958 스웨덴 | ||||||||||
1962 칠레 | ||||||||||
1966 잉글랜드 | ||||||||||
1970 멕시코 | ||||||||||
1974 서독 | 기권 | |||||||||
1978 아르헨티나 | ||||||||||
1982 스페인 | ||||||||||
1986 멕시코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90 이탈리아 | ||||||||||
1994 미국 | 기권 | |||||||||
1998 프랑스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02 한일 | ||||||||||
2006 독일 | 기권 | |||||||||
※ 네팔 연방 민주 공화국 | ||||||||||
2010 남아공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14 브라질 | ||||||||||
2018 러시아 | ||||||||||
2022 카타르 |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본선 진출 실패[48개국] | |||||||||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 | ? | ? | ? | ? | |
2034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2. AFC 아시안컵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네팔 왕국 | |||||||||
1956 홍콩 | AFC 비회원국 | ||||||||
1960 대한민국 | |||||||||
1964 이스라엘 | |||||||||
1968 이란 | |||||||||
1972 태국 | 기권 | ||||||||
1976 이란 | |||||||||
1980 쿠웨이트 | |||||||||
1984 싱가포르 | 본선 진출 실패[10개팀] | ||||||||
1988 카타르 | |||||||||
1992 일본 | 기권 | ||||||||
1996 UAE | 본선 진출 실패[12개팀] | ||||||||
2000 레바논 | |||||||||
2004 중국 |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 ||||||||
2007 아세안 | 기권 | ||||||||
※ 네팔 연방 민주 공화국 | |||||||||
2011 카타르 |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 ||||||||
2015 호주 | |||||||||
2019 UAE | 본선 진출 실패[24개팀] | ||||||||
2023 카타르 | |||||||||
2027 사우디아라비아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3. SAFF 챔피언십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파키스탄 1993 | 4강 | 3위 | 3 | 0 | 2 | 1 | 1 | 2 | 2 |
스리랑카 1995 | 4강 | 4위 | 3 | 0 | 2 | 1 | 1 | 2 | 2 |
네팔 1997 | 조별리그 | 6위 | 2 | 0 | 0 | 2 | 1 | 5 | 0 |
인도 1999 | 4강 | 4위 | 4 | 1 | 0 | 3 | 6 | 9 | 3 |
방글라데시 2003 | 조별리그 | 6위 | 3 | 1 | 0 | 2 | 4 | 4 | 3 |
파키스탄 2005 | 조별리그 | 5위 | 3 | 1 | 0 | 2 | 4 | 5 | 3 |
몰디브&스리랑카 2008 | 조별리그 | 5위 | 3 | 1 | 0 | 2 | 5 | 9 | 3 |
방글라데시 2009 | 조별리그 | 6위 | 3 | 1 | 1 | 1 | 4 | 2 | 4 |
인도 2011 | 4강 | 4위 | 4 | 1 | 2 | 1 | 3 | 3 | 5 |
네팔 2013 | 4강 | 4위 | 4 | 2 | 1 | 1 | 5 | 3 | 7 |
인도 2015 | 조별리그 | 6위 | 2 | 0 | 0 | 2 | 1 | 5 | 0 |
방글라데시 2018 | 4강 | 3위 | 4 | 2 | 0 | 2 | 7 | 5 | 6 |
몰디브 2021 | 준우승 | 2위 | 5 | 2 | 1 | 2 | 5 | 7 | 7 |
인도 2023 | 조별리그 | 6위 | 3 | 1 | 0 | 2 | 2 | 5 | 3 |
합계 | 본선진출 14회 / 준우승 1회 | 46 | 13 | 9 | 24 | 49 | 66 | 48 |
5. 연령별 대표팀
5.1. U-23 대표팀
5.1.1. AFC U-23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U-23 챔피언십 대회 | |||||||||||
2014 오만 | 예선 탈락 | ||||||||||
2016 카타르 | |||||||||||
2018 중국 | |||||||||||
2020 태국 | |||||||||||
AFC U-23 아시안컵 [16] | |||||||||||
2022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2024 카타르 | 불참 | ||||||||||
2026 사우디아라비아 | 예선 탈락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5.2. U-20 대표팀
5.2.1. AFC U-20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youth championship 대회 | |||||||||||
1959 말레이시아 | 비회원국 | ||||||||||
1960 말레이시아 | |||||||||||
1961 태국 | |||||||||||
1962 태국 | |||||||||||
1963 말레이시아 | |||||||||||
1964 남베트남 | |||||||||||
1965 일본 | |||||||||||
1966 필리핀 | |||||||||||
1967 태국 | |||||||||||
1968 대한민국 | |||||||||||
1969 태국 | |||||||||||
1970 필리핀 | 불참 | ||||||||||
1971 일본 | 조별리그 | 16위 | 0 | 3 | 0 | 0 | 3 | 1 | 8 | ||
1972 태국 | 조별리그 | 16위 | 0 | 3 | 0 | 0 | 3 | 0 | 19 | ||
1973 이란 | 불참 | ||||||||||
1974 태국 | 조별리그 | 14위 | 0 | 3 | 0 | 0 | 3 | 4 | 14 | ||
1975 쿠웨이트 | 불참 | ||||||||||
1976 태국 | |||||||||||
1977 이란 | |||||||||||
1978 방글라데시 | |||||||||||
1980 태국 | 예선 탈락 | ||||||||||
1982 태국 | |||||||||||
1985 UAE | 불참 | ||||||||||
1986 사우디 | 예선 탈락 | ||||||||||
1988 카타르 | 불참 | ||||||||||
1990 인도네시아 | 예선 탈락 | ||||||||||
1992 UAE | |||||||||||
1994 인도네시아 | 불참 | ||||||||||
1996 대한민국 | 예선 탈락 | ||||||||||
1998 태국 | |||||||||||
2000 이란 | |||||||||||
2002 카타르 | |||||||||||
2004 말레이시아 | 조별리그 | 12위 | 3 | 3 | 1 | 0 | 2 | 1 | 6 | ||
2006 인도 | 예선 탈락 | ||||||||||
AFC U-19 챔피언십 대회 | |||||||||||
2008 사우디아라비아[17] | 예선 탈락 | ||||||||||
2010 중국 | |||||||||||
2012 UAE | 불참 | ||||||||||
2014 미얀마 | 예선 탈락 | ||||||||||
2016 바레인 | |||||||||||
2018 인도네시아 | |||||||||||
AFC U-20 아시안컵 | |||||||||||
2023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2025 중국 | |||||||||||
합계 | 본선진출 4회 | 3 | 12 | 1 | 0 | 11 | 6 | 47 |
5.3. U-17 대표팀
5.3.1. AFC U-17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U-16 Championship | |||||||||||
1985 카타르 | 예선 탈락 | ||||||||||
1986 카타르 | |||||||||||
1988 태국 | |||||||||||
1990 아랍에미리트 | |||||||||||
1992 사우디 | |||||||||||
1994 카타르 | |||||||||||
1996 태국 | |||||||||||
1998 카타르 | |||||||||||
2000 베트남 | 조별리그 | 10위 | 0 | 4 | 0 | 0 | 4 | 2 | 17 | ||
AFC U-17 Championship | |||||||||||
2002 아랍에미리트 | 예선 탈락 | ||||||||||
2004 일본 | |||||||||||
2006 싱가포르 | 조별리그 | 14위 | 1 | 3 | 0 | 1 | 2 | 0 | 8 | ||
AFC U-16 Championship | |||||||||||
2008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2010 우즈베키스탄 | |||||||||||
2012 이란 | |||||||||||
2014 태국 | 조별리그 | 9위 | 4 | 3 | 1 | 1 | 1 | 4 | 6 | ||
2016 인도 | 예선 탈락 | ||||||||||
2018 말레이시아 | |||||||||||
AFC U-17 아시안컵 | |||||||||||
2023 태국 | 예선 탈락 | ||||||||||
2025 사우디아라비아 | |||||||||||
2026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2027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2028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2029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3회 | 5 | 10 | 1 | 2 | 7 | 6 | 31 |
6. 국가별 전적
6.1. 대한민국과 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E6002D> | 국가별 상대전적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
<colcolor=#fff> 대표팀 | 국가 | 최다득점 | 최근 전적 | |||||
<colcolor=#fff>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colcolor=#fff> ± | ||
<rowcolor=#fff> | | 황선홍(8) | 7:0 승 (2003) | |||||
7 | 7 | 0 | 0 | 53 | 0 | +53 | ||
<rowcolor=#fff> | | 김두현, 이동국(1) | 2:0 승 (2004) | |||||
2 | 1 | 1 | 0 | 2 | 0 | +2 | ||
<rowcolor=#fff> | | 박성화(4) | 9:0 승 (1979) | |||||
2 | 2 | 0 | 0 | 13 | 0 | +13 | ||
<rowcolor=#fff> | | |||||||
A매치 전적없음 | ||||||||
<rowcolor=#fff> | | 김신욱(6) | 5:0 승 (2021) | |||||
3 | 3 | 0 | 0 | 19 | 0 | +19 | ||
<rowcolor=#fff> | | 차범근(6) | 4:1 승 (2011) | |||||
19 | 14 | 2 | 3 | 48 | 12 | +36 | ||
<rowcolor=#fff> | | 황선홍(3) | 7:0 승 (1990) | |||||
2 | 2 | 0 | 0 | 13 | 0 | +13 | ||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 ||||||||
|
| <colcolor=#fff> 역대 전적 | |
| A매치 | |
<nopad> 7 전[🏟️] | ||
<colbgcolor=#000><colcolor=#fff> 0 승 | <nopad> 0 무 | <colbgcolor=#000><colcolor=#fff> 7 승 |
0 득점 (-53) | <nopad> | 53 득점 (+53) |
<rowcolor=#fff> 없음 | 최다득점자 | 황선홍(8) |
| 선수 기록 | |
<nopad> 최근경기: 대한민국 승 (2003) |
한국과 역대 성적은 7전 전패 0득점 53실점으로 한국에게 한 골조차 넣어본 적이 없다.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에게는 나름 특별한(?) 존재인데, 한국이 32년 만에 월드컵에 진출한 1986 멕시코 월드컵 지역예선 첫 상대였으며 한국이 말레이시아 원정에서 발목을 잡혀 24개국 본선에 진출 위기에 빠진 상황에서 홈에서 말레이시아와 득점없이 비겨(원정에서는 0:5 패) 한국의 다음 라운드 진출 및 월드컵 진출에 어느 정도 이바지했다. 당시 한국에게는 홈에서 0:2, 원정에서 0:4로 졌다. 한국과 말레이시아는 서로 홈에서 승리하여 1승 1패를 주고받아서, 이 경기 때문에 한국이 말레이시아를 제치고 통과한 것. 네팔이 전패했으면 골 득실을 따질 상황이었다.
그리고 1994 히로시마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는 0:11로 져서 한국팀에게는 역대 최다득점 기록을 세워주고 자국팀에게는 역대 최다실점 기록이라는 오명을 남겼고,[20] 9년 뒤 2003년에 한국에서 열린 아시안컵 지역예선에서는 0:16으로 패하며 한국팀의 최다득점 기록을 갈아치우게 한 바 있다. 이 경기에서 박진섭이 5골을 몰아쳤고, 우성용과 김도훈이 각각 3골을 넣어 한 경기에서 세 명의 선수가 해트트릭을 달성하는 진귀한 기록을 남겼다. 당시 네이버 문자중계에서는 오히려 "(한국팀은) 골 좀 그만 넣어라" "네팔 한골 넣어라"(불쌍해서)라는 댓글이 많이 달렸고, 실제 현장에서도 네팔 공격수 한 명이 한국팀 진영까지 공을 몰고 오자 환호성을 질렀다. 또한 네팔 대표팀은 대한민국 축구 역사상 월드컵 예선 최다골 차 승리 기록도 안겨준 바 있는데, 1989년 5월 25일에 동대문운동장에서 열린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의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전의 9-0 승리가 바로 그것이다.
<nopad> 2003-10-24 | |||||
<nopad> 7: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4 아시안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04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E조 6차전 | ||||
일시: 2003년 10월 24일 22:15[UTC+4] | 장소: | ||||
주심: | 경기장: 로얄 오만 폴리스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00> 조재진 이기형 김도훈 정경호 | 7:0 (6:0) | <colbgcolor=#fff><colcolor=#000> - | |||
이기형 | - | ||||
감독: | 승 | 감독: |
E조 경기 결과 | | ||||||||
2004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6차전 종료 후 E조 최종 순위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15 | 6 | 5 | 0 | 1 | 24 | 2 | +22 |
<rowcolor=#fff> | • 2 | 12 | 6 | 4 | 0 | 2 | 30 | 4 | +26 |
<rowcolor=#fff> | • 3 | 9 | 6 | 3 | 0 | 3 | 8 | 13 | -5 |
<rowcolor=#fff> | •4 | 0 | 6 | 0 | 0 | 6 | 0 | 41 | -41 |
|
<nopad> 2003-09-29 | |||||
<nopad> 16: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2004 아시안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04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E조 3차전 | ||||
일시: 2003년 9월 29일 18:3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인천문학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000> 김대의 우성용 박진섭 | 16:0 (6:0) | <colbgcolor=#fff><colcolor=#000> - | |||
우성용 이을용 이관우 박진섭 김도훈 정경호 | 수닐 투라다르 | ||||
감독: | 승 | 감독: | |||
|
E조 경기 결과 | | ||||||||
2004 AFC 아시안컵 최종예선 3차전 종료 후 E조 순위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9 | 3 | 3 | 0 | 0 | 22 | 0 | +22 |
<rowcolor=#fff> | • 2 | 6 | 3 | 2 | 0 | 1 | 13 | 1 | +12 |
<rowcolor=#fff> | • 3 | 3 | 3 | 1 | 0 | 2 | 5 | 11 | -6 |
<rowcolor=#fff> | •4 | 0 | 3 | 0 | 0 | 3 | 0 | 28 | -28 |
<nopad> 1994-10-01 | |||||
<nopad> 11: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4 아시안게임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일시: 1994년 10월 1일 19:00[UTC+9] | 장소: [[일본|{{{#fff | ||||
주심: | 경기장: 오노미치 빙고체육공원 육상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36c> 하석주 황선홍 고정운 | 11:0 (7:0) | <colbgcolor=#fff><colcolor=#36c> - | |||
하석주 황선홍 | - | ||||
감독: | 승 | 감독: | |||
|
C조 타팀 결과 | | ||||||||
조별리그 1차전 종료 후 C조 순위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1 | 3 | 1 | 1 | 0 | 0 | 11 | 0 | +11 |
<rowcolor=#fff> | 2 | 1 | 1 | 0 | 1 | 0 | 2 | 2 | 0 |
<rowcolor=#fff> | = | 1 | 1 | 0 | 1 | 0 | 2 | 2 | 0 |
<rowcolor=#fff> | 4 | 0 | 1 | 0 | 0 | 1 | 0 | 11 | -11 |
<nopad> 1989-06-03 | | ||||
<nopad> 4: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0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90 FIFA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4조 4차전[1990Q1] | ||||
일시: 1989년 6월 3일 19:30[UTC+8] | 장소: | ||||
주심: | 경기장: 싱가포르 국립경기장 | ||||
<colbgcolor=#fff><colcolor=#060> 이학종 박경훈 김용세 | 4:0 (3:0) | <colbgcolor=#fff><colcolor=#060> - | |||
이태호 | - | ||||
감독: | 승 | 감독: |
4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1차예선 조별리그 4차전 종료 후 4조 순위[68]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8 | 4 | 4 | 0 | 0 | 19 | 0 | +19 |
<rowcolor=#fff> | • 2 | 5 | 4 | 2 | 1 | 1 | 5 | 5 | 0 |
<rowcolor=#fff> | • 3 | 3 | 4 | 1 | 1 | 2 | 5 | 6 | -1 |
<rowcolor=#fff> | • 4 | 0 | 4 | 0 | 0 | 4 | 0 | 18 | -18 |
<rowcolor=#fff> | 기권[69] |
<nopad> 1989-05-25 | | ||||
<nopad> 9: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90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90 FIFA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4조 2차전[1990Q1] | ||||
일시: 1989년 5월 25일 19: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동대문운동장 | ||||
<colbgcolor=#fff><colcolor=#060> 정용환 이태호 최상국 김용세 이영진 | 9:0 (5:0) | <colbgcolor=#fff><colcolor=#060> - | |||
노수진 최상국 김용세 조민국 | 비라트 준샤 바후두루 말라 우메쉬 프라드한 비그단 라지 샤르마 | ||||
감독: | 승 | 감독: | |||
|
4조 타팀 결과 | | ||||||||
월드컵 1차예선 조별리그 2차전 종료 후 4조 순위[76]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4 | 2 | 2 | 0 | 0 | 12 | 0 | +12 |
<rowcolor=#fff> | • 2 | 4 | 2 | 2 | 0 | 0 | 3 | 0 | +3 |
<rowcolor=#fff> | | 0 | 2 | 0 | 0 | 2 | 0 | 4 | -4 |
<rowcolor=#fff> | | 0 | 2 | 0 | 0 | 2 | 0 | 11 | -11 |
<rowcolor=#fff> | 기권[77] |
<nopad> 1985-04-06 | |||||
<nopad> 4:0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6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6 FIFA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3구역 A조 5경기[1986Q1] | ||||
일시: 1985년 4월 6일 15:00[UTC+9] | 장소: | ||||
주심: | 경기장: 동대문운동장 | ||||
<colbgcolor=#fff><colcolor=#060> 허정무 김석원 정종수 | 4:0 (0:0) | <colbgcolor=#fff><colcolor=#060> 드리렌드라 프라드한 | |||
허정무 | - | ||||
감독: | 승 | 감독: | |||
|
A조 타팀 결과 | (4경기) | ||||||||
월드컵 1차예선 조별리그 5경기 종료 후 3구역 A조 순위[82]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 1 | 5 | 3 | 2 | 1 | 0 | 6 | 0 | +6 |
<rowcolor=#fff> | • 2 | 4 | 3 | 2 | 0 | 1 | 6 | 1 | +5 |
<rowcolor=#fff> | • 3 | 1 | 4 | 0 | 1 | 3 | 0 | 11 | -11 |
<nopad> 1985-03-02 | |||||
<nopad> 0:2 | |||||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86 월드컵 예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1986 FIFA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3구역 A조 1경기[1986Q1] | ||||
일시: 1985년 3월 2일 15:30[UTC+05:45] | 장소: | ||||
주심: | 경기장: 다사랏 랑가살라 스타디움 | ||||
<colbgcolor=#fff><colcolor=#060> 만 말라 | 0:2 (0:1) | <colbgcolor=#fff><colcolor=#060> 드리렌드라 프라드한 | |||
드리렌드라 프라드한 | 최순호 이태호 | ||||
감독: | 승 | 감독: |
월드컵 1차예선 조별리그 1경기 종료 후 3구역 A조 순위[85] | |||||||||
<rowcolor=#fff> 국가 | R | <colcolor=#14f> P | M | <colcolor=#0f0> W | <colcolor=#ff0> D | <colcolor=#f00> L | + | - | ± |
<rowcolor=#fff> | 1 | 2 | 1 | 1 | 0 | 0 | 2 | 0 | +2 |
<rowcolor=#fff> | 2 | 0 | 0 | 0 | 0 | 0 | 0 | 0 | 0 |
<rowcolor=#fff> | 3 | 0 | 1 | 0 | 0 | 1 | 0 | 2 | -2 |
[1] 네팔어[2] 2025년 7월 10일 기준[3] 2025년 8월 30일 기준[4] 2021[5] 2000년대에 네팔을 취재하러 갔던 차 전문가 오카다 사치코도 네팔인들은 점심이라는 게 없다고 서술했다. 대신, 점심에 배가 고프니 간식을 먹긴 한다고. 차랑 누룽지죽같은 것으로 간단하게 먹는 게 일반적이라고 한다.[6] 경향신문 1077. 3.31., 1977. 03.29., 1977.4.01. 해외에 사는 한국인 (138~140) 네팔 왕국에 한국 축구 심는 장경환씨[24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48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0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2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 2028 대회 이후부터는 4년 주기로 변경 (올림픽 예선)[17] 이 대회부터 3.4위전 폐지[🏟️] 중립 경기: 3
NEP 홈 경기: 1
KOR 홈 경기: 3[19]
8골, 황선홍
6골, 김도훈
5골, 박진섭
3골, 이태호, 김용세, 우성용
2골, 허정무, 최상국, 하석주, 김대의, 정경호, 이기형
자책골, 1골[20] 참고로 이 경기에서 황선홍이 무려 8골을 득점해 한국 축구 역사상 한 경기에서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선수에 등극했다.[UTC+4] [3G] [2G] [24] 6차전 종료 후 확정(2003.10.24.)[UTC+9] [우성용] 우성용 도움[이관우] 이관우 도움[2G] [박진섭] 박진섭 도움[김대의] 김대의 도움[이관우] 이관우 도움[De] [김대의] 김대의 도움[이관우] 이관우 도움[3G] [정경호F] 정경호의 프리킥 유도[김대의] 김대의 도움[De] [김대의] 김대의 도움[3G] [41] 한국의 크로스를 네팔 수비진과 골키퍼가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박진섭에게 튕겼는데 이를 발리슛으로 득점했다.[김도훈] 김도훈 도움[5G] [정경호] 정경호 도움[박진섭] 박진섭 도움[최종범] 최종범 도움[3G] [최종범] 최종범 도움[De] [50] Maheshwor Mulmi[F] [MBC] [UTC+9] [고정운] 고정운 도움[하석주] 하석주 도움[3G] [한정국] 한정국 도움[2G] [한정국] 한정국 도움[8G] [61] Dhan Bahadur Basnet[H] [KBS] [H] [KBS] [1990Q1] 1990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4조에는 5개팀이 배정되었으나 인도가 기권하면서 4개팀이 각 6경기를 진행했으며, 1~3차전은 대한민국에서 4~6차전은 싱가포르에서 예선전이 진행되었다.[UTC+8] [68] 조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다. 4차전 종료 후 네팔과 싱가포르의 탈락이 확정되었다.[69] 인도는 내부사정으로 기권하였다.[1990Q1] 1990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4조에는 5개팀이 배정되었으나 인도가 기권하면서 4개팀이 각 6경기를 진행했으며, 1~3차전은 대한민국에서 4~6차전은 싱가포르에서 예선전이 진행되었다.[UTC+9] [De] [2G] [2G] [G] [76] 조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다.[77] 인도는 내부사정으로 기권하였다.[1986Q1] 1986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3구역 A조는 총 3팀으로 편성되어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각 4경기씩 총 6경기가 진행되며 경기 일정에 따라 경기 순번을 배정하였다.[UTC+9] [2G] [G] [82]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다. 조 1위만 월드컵 2차예선에 진출한다. 4경기 종료 후 네팔의 탈락이 확정되었다.[1986Q1] 1986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3구역 A조는 총 3팀으로 편성되어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각 4경기씩 총 6경기가 진행되며 경기 일정에 따라 경기 순번을 배정하였다.[UTC+05:45] [85]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다. 조 1위만 월드컵 2차예선에 진출한다.
NEP 홈 경기: 1
KOR 홈 경기: 3[19]
8골, 황선홍
6골, 김도훈
5골, 박진섭
3골, 이태호, 김용세, 우성용
2골, 허정무, 최상국, 하석주, 김대의, 정경호, 이기형
자책골, 1골[20] 참고로 이 경기에서 황선홍이 무려 8골을 득점해 한국 축구 역사상 한 경기에서 가장 많은 골을 넣은 선수에 등극했다.[UTC+4] [3G] [2G] [24] 6차전 종료 후 확정(2003.10.24.)[UTC+9] [우성용] 우성용 도움[이관우] 이관우 도움[2G] [박진섭] 박진섭 도움[김대의] 김대의 도움[이관우] 이관우 도움[De] [김대의] 김대의 도움[이관우] 이관우 도움[3G] [정경호F] 정경호의 프리킥 유도[김대의] 김대의 도움[De] [김대의] 김대의 도움[3G] [41] 한국의 크로스를 네팔 수비진과 골키퍼가 제대로 처리하지 못하고 박진섭에게 튕겼는데 이를 발리슛으로 득점했다.[김도훈] 김도훈 도움[5G] [정경호] 정경호 도움[박진섭] 박진섭 도움[최종범] 최종범 도움[3G] [최종범] 최종범 도움[De] [50] Maheshwor Mulmi[F] [MBC] [UTC+9] [고정운] 고정운 도움[하석주] 하석주 도움[3G] [한정국] 한정국 도움[2G] [한정국] 한정국 도움[8G] [61] Dhan Bahadur Basnet[H] [KBS] [H] [KBS] [1990Q1] 1990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4조에는 5개팀이 배정되었으나 인도가 기권하면서 4개팀이 각 6경기를 진행했으며, 1~3차전은 대한민국에서 4~6차전은 싱가포르에서 예선전이 진행되었다.[UTC+8] [68] 조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다. 4차전 종료 후 네팔과 싱가포르의 탈락이 확정되었다.[69] 인도는 내부사정으로 기권하였다.[1990Q1] 1990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4조에는 5개팀이 배정되었으나 인도가 기권하면서 4개팀이 각 6경기를 진행했으며, 1~3차전은 대한민국에서 4~6차전은 싱가포르에서 예선전이 진행되었다.[UTC+9] [De] [2G] [2G] [G] [76] 조 1위만 최종예선에 진출한다.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다.[77] 인도는 내부사정으로 기권하였다.[1986Q1] 1986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3구역 A조는 총 3팀으로 편성되어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각 4경기씩 총 6경기가 진행되며 경기 일정에 따라 경기 순번을 배정하였다.[UTC+9] [2G] [G] [82]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다. 조 1위만 월드컵 2차예선에 진출한다. 4경기 종료 후 네팔의 탈락이 확정되었다.[1986Q1] 1986년 월드컵 아시아 1차예선 3구역 A조는 총 3팀으로 편성되어 경기를 치르게 되었다. 각 4경기씩 총 6경기가 진행되며 경기 일정에 따라 경기 순번을 배정하였다.[UTC+05:45] [85] 이 당시 승리 승점은 2점이다. 조 1위만 월드컵 2차예선에 진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