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1 21:06:48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bordercolor=#002395>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svg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괌 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네팔 대만 대한민국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마카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북한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필리핀 호주 홍콩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아세안축구연맹.png 아세안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000;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동티모르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베트남
브루나이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캄보디아
태국
필리핀
호주 }}}}}}}}}

파일:attachment/singapore.png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Pasukan bola sepak kebangsaan Singapura[1]
<colbgcolor=#b61117><colcolor=#fff> FIFA 코드 SGP
축구 협회 싱가포르 축구 협회 (FAS)
대륙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 연맹 아세안 축구 연맹 (AFF)
홈 구장 싱가포르 국립 경기장
(Singapore National Stadium / 55,000석)
별칭 The Lions (사자)
감독 파일:일본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오구라 츠토무 (Ogura Tsutomu)
주장
C
하리스 하룬 (Hariss Harun)
FIFA 랭킹 161위 (2024년 11월 28일 기준 / #)
Elo 랭킹 172위 (2024년 11월 20일 기준/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b61117> A매치 최다 출전 다니엘 베넷 (Daniel Bennett) - 146경기 / 7골
A매치 최다 득점 판디 아흐마드 (Fandi Ahmad) - 92경기 / 55골
첫 국제경기 출전
파일:싱가포르 식민지 국기.svg
싱가포르 vs [[대만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대만 국기.svg
중화민국]] 1:0
(싱가포르 / 1948년 5월 22일)
최다 점수차 승리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vs [[라오스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11:0
(싱가포르 / 2007년 1월 15일)
최다 점수차 패배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vs [[미얀마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버마 연방 국기.svg
버마]] 0:9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 1969년 11월 9일)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b61117> 대륙대회
아시안컵 [진출] 1회
[최고] 7위/조별리그[2] (1984)
아시안 게임 [진출] 4회
[최고] 4위 (1966)
AFF컵 [진출] 12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998, 2004, 2007, 2012)
SEA 게임 [진출] 16회
[최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1983, 1985, 1989)
}}}}}}}}}}}} ||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하의 7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17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
양말

1. 개요2. 코칭 스태프3. 상세4.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5. 선수 명단6. 역대전적7. 연령별 대표팀

[clearfix]

1. 개요

싱가포르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루는 문서.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73위(1993년 8월 8일), 최저 순위는 173위[3]이다.

2. 코칭 스태프

  • 감독 : 파일:일본 국기.svg 오구라 츠토무
  • 테크니컬 디렉터 :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마이클 브라운
  • 코치 : 파일:일본 국기.svg 나카무라 코세이 | 파일:일본 국기.svg 츠보이 켄타로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나즈리 나시르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개빈 리
  • 골키퍼 코치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라미쉬팔 싱
  • 인디비주얼 코치 :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모토 유키
  • 피지컬 코치 : 파일:독일 국기.svg 옌스 아이베르거
  • 전력분석관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다니엘 라우 | 파일:일본 국기.svg 리즈카 고이치로

3. 상세

2024년 11월 기준 FIFA 랭킹 161위의 약체다. 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의 홈구장은 칼링 스타디움(Kallng Stadium)의 (뉴) 싱가포르 국립경기장이며 감독은 오구라 츠토무다.

사자들(The Lions)이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 싱가포르의 국가 상징인 상상의 동물 멀라이언이 사자와 물고기를 합친 동물로 설정되어서이다.

선수층이 거의 말레이인이다. 주장 하리스 하룬도 말레이인이며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다수 인구 비중과 달리 중국계 선수가 안 보이는데 거기는 이유가 있다.

나무위키를 비롯한 한국 네티즌들에게는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70%의 다수 인구 비중만 보고 싱가포르에 대해 중화권이라는 인식을 갖지만 싱가포르는 중국계만 사는 나라가 아니다. 인도계 싱가포르인말레이인들도 나머지 30%로 상당수이며 특히 축구의 경우 중국계는 하지 않아서 거의 말레이인의 스포츠로 인식되는 형편이다. 그래서 2026 북미 월드컵 2차예선에서의 싱가포르와의 경기에서 많은 축구팬들이 '중화권이라더니만 왜 중국인은 안보이고 아랍어 이름 쓰는 동남아인만 보이냐'고 놀라기도 했고 일부는 이들도 용병 아니냐는 추측을 하지만 용병이 아닌 버젓한 싱가포르인말레이인들이다. 오직 송의영만 한국계 싱가포르인으로 말레이인이 아니다. 싱가포르는 인종마다 좋아하는 스포츠가 다 달라서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은 주로 탁구, 육상 등 개인 종목들이나 세팍타크로[4], 수영 등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인도계 싱가포르인들은 영연방 국가답게 크리켓을 선호한다. 이런 연유로 축구선수는 거진 말레이인들이다.[5]

사실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도 절대 영국계가 축구를 하지 않아서 영국계 호주인의 다수 인구 비중과 달리 이탈리아계 호주인, 크로아티아계 호주인, 그리스계 호주인 등 소수민족들이 주로 보이는 것도 그렇고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남아메리카아프리카 이민자들 투성이긴 것도 그렇지만 영미권은 스포츠 종목에 따라 선수층이 바뀌는 경우가 굉장히 많아 이상한 일은 아니다.

또한 요시다 다츠마, 니시가야 타카유키, 오구라 츠토무 등 연달아 일본 국적의 감독을 선임하는 등 일본인 감독을 선호하고 있다.

동남아 강호로서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를 2012년까지 4번 우승하여 최다 우승국가였으나 태국이 이후 역전하며 2위로 내려왔다. 지역대회인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는 2002년부터 21경기 연속 무패를 기록하는 등 제대로 동남아 여포였다. 이 때가 제일 황금기. 지금은 지역 최강 자리를 태국에게 내준 상황.

그러나 전성기 시절에도 동남아 밖에서는 약체였다. 2002년 한일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바레인,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에게 2무 4패, 2006년 독일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일본, 오만, 인도에게 1승 5패,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1차예선 팔레스타인에게 2승, 2차예선 타지키스탄에게 1승 1무로 제법 선전하며 3차예선에 진출했고, 같은 조 레바논에게 2승을 뺐었지만, 우즈베키스탄, 사우디아라비아에게 처참히 발리며 조 3위로 탈락했다. 2014년 브라질 월드컵 지역예선에선 말레이시아를 상대로 1승 1패를 기록, 골득실 우위로 3차 예선에 진출했으나 요르단, 이라크, 중국과 같은 조에서 6전전패 2득점 20실점을 당하며 일찌감치 탈락했다. 이때 같이 탈락한 중국에게도 0:4, 1:2로 지면서 3회 연속 월드컵 예선 조기탈락한 중국의 승점 상대가 되었다. 2014년 11월 23일에 벌어진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태국에게 1:2로 졌다. 그리고 말레이시아에게도 1:3으로 지면서 전대회 우승국답지 않게 일찌감치 탈락했다.

그리고 2016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도 인도네시아에게 1:2, 태국에게 0:1로 지면서 조 꼴지로 탈락했다.

사실 정확히 말하자면 싱가포르가 동남아시아에서 강호로 떠오른 것은 최근의 일인데, 동남아시아 축구 자체가 90년대 중후반 태국 축구를 마지막으로 아시아에서 경쟁력을 크게 상실한 상태다.

아직까지 월드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은 없다. AFC 아시안컵은 1984년에 본선 진출한 것이 전부이다. 이마저도 개최국 자격으로 본선에 진출한거라 자력으로 예선을 통과한 적도 없다.

한국과 역대 성적은 28전 2승 3무 23패. 그나마 거둔 2승은 1953년 친선경기(3:1승)와 1968년 친선경기(4:3승)로 호랑이 담배 피우던 시절의 이야기다. 1972년 메르데카컵에서 1:4로 진 뒤로 현재까지 한국에게 승리는커녕 단 한 골도 넣어본 적이 없고, 2023년 11월 16일, 1990 베이징 아시안 게임 이후 33년 만에 2026 북중미 월드컵 2차예선에서 다시 만났으며, 전반 44분까지 0:0이었고 전반전까지는 0-1로 선전했으나 후반전에 와르르 무너지며 0-5 대패를 당했다.[6] 이어 2024년 6월 6일 홈에서 열린 재대결에서도 0-7로 학살당했다.

2000년 U-19 대표팀이 한국에게 0:12로 대패했으며 2008년에는 여자 U-19 대표팀이 한국 여자팀에게 0:24로 진 적이 있다.

2015년 6월 16일, 2018 러시아 월드컵 지역예선에서 일본을 상대로 0:0 무승부로 승점 1점을 얻는 이변을 만들어냈다. 그것도 일본 원정 경기에서 일본 1군을 상대로 이루어낸 무승부 승점 1점이기 때문에 더욱 더 값진 승리같은 무승부였다. 이로서 싱가포르는 소중한 승점 1점을 얻게 되었고 일본은 홈구장 팬들의 야유를 들어야 했다.

2022 카타르 월드컵 2차예선에서도 비록 최종예선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예멘과 팔레스타인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고 조 1위 사우디아라비아를 상대로도 80분 간 무실점으로 막다가 아쉽게 지는 등 전력이 점차 상승하고 있다.

주요 선수로는 최다 득점자 판디 아흐마드의 아들인 센터백 이르판 판디와 공격수 이크산 판디, 일한 판디 형제가 있는데 3형제 중 막내인 일한 판디는 싱가포르 대표팀 가운데 유일한 유럽파 선수이며 현재 벨기에 2부 리그인 챌린저 프로 리그의 KMSK 데인저에서 활동 중이며 2021년 8월부터는 싱가포르에 10년 이상 거주하여 현지의 열렬한 지지로 시민권을 취득한 한국계 싱가포르인 송의영이 새로 소집되었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나이키다.

4.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left, #fff 1.5%, #b61117 1.5%, #b61117 3%, #a30e12 3%, #a30e12 3.25%, #b61117 3.25%, #b61117 3.5%, #a30e12 3.5%, #a30e12 3.75%, transparent 3.75%), linear-gradient(to right, #fff 1.5%, #b61117 1.5%, #b61117 3%, #a30e12 3%, #a30e12 3.25%, #b61117 3.25%, #b61117 3.5%, #a30e12 3.5%, #a30e12 3.75%, #b61117 3.75%)"<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b61117><tablebgcolor=#b61117> 파일:attachment/singapore.png싱가포르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다니엘 베넷 146회 2002.12.11 2017.11.14
2 샤흐릴 이삭 144회 2003.3.4 2018.11.13
3 바이하키 카이잔 143회 2003.8.4 2021.6.11
4 카이룰 암리 135회 2004.6.9 2019.6.11
5 하리스 하룬 132회 2007.6.24 2024.6.11
6 에이드 이스칸달 121회 1995.2.21 2007.9.12
7 슌무그함 수브라마니 115회 1996.6.27 2007.2.4
하산 서니 2004.2.18 2024.6.11
9 인드라 사흐단 다우드 113회 1997.4.26 2013.9.10
사푸완 바하루딘 2010.1.17 2024.6.11
11 나즈리 나시르 100회 1990.9.13 2004.7.12
}}}}}}}}}}}}}}} ||

5. 선수 명단

6. 역대전적

6.1. FIFA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해협식민지의 일부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FIFA 비회원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싱가포르 식민지
파일:브라질 국기.svg
1950년 브라질
FIFA 비회원국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불참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 싱가포르 공화국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불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파일:독일 국기.svg
2006
독일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중미
본선 진출 실패[48개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6.2. AFC 아시안컵

  •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28위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싱가포르 식민지
파일:영국령 홍콩 기(1955~1959).svg
1956년 홍콩
기권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960년 대한민국
본선 진출 실패[4강]
말레이시아의 일부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64년 이스라엘
기권
※ 싱가포르 공화국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1968년 이란
본선 진출 실패[12]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1972년 태국
기권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svg
1976년 이란
본선 진출 실패[6강]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80년 쿠웨이트
본선 진출 실패[10강]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984년 싱가포르
조별리그[15] 7위 4 1 1 2 3 4 3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년 카타르
기권
파일:일본 국기.svg
1992년 일본
본선 진출 실패[8강]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년 UAE
본선 진출 실패[12강]
파일:레바논 국기.svg
2000년 레바논
파일:중국 국기.svg
2004년 중국
본선 진출 실패[16강]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7년 아세안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1년 카타르
파일:호주 국기.svg
2015년 호주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9년 UAE
본선 진출 실패[24강]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3년 카타르
본선 진출 실패[24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년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1회 4 1 1 2 3 4 3

6.3. 동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1996
조별리그 5위 4 2 1 1 7 2 7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1998
우승 1위 5 4 1 0 9 2 13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태국 2000
조별리그 5위 4 2 0 2 4 2 6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인도네시아&싱가포르 2002
조별리그 6위 3 1 1 1 3 6 4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말레이시아&베트남 2004
우승 1위 8 6 2 0 23 10 20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싱가포르&태국 2007
우승 1위 7 2 5 0 18 6 11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인도네시아&태국 2008
4강 3위 5 3 1 1 10 2 1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인도네시아&베트남 2010
조별리그 5위 3 1 1 1 3 3 4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말레이시아&태국 2012
우승 1위 7 4 1 2 11 6 13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싱가포르&베트남 2014
조별리그 6위 3 1 0 2 6 7 3
파일:미얀마 국기.svg 파일:필리핀 국기.svg
미얀마&필리핀 2016
조별리그 7위 3 0 1 2 1 3 1
파일:ASEAN 깃발.svg
홈&어웨이 2018
조별리그 6위 4 2 0 2 7 5 6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2020
4강 4위 6 3 1 2 10 8 10
파일:ASEAN 깃발.svg
홈&어웨이 2022
조별리그 5위 4 2 1 1 6 6 7
합계 우승(4회) 14/14 66 33 16 17 118 68 115

7. 연령별 대표팀

7.1. U-23 대표팀

7.1.1. AFC U-23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2014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16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2018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2020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2022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2024
굵은 글씨는 올림픽 진출권이 걸려있는 대회
합계 본선진출 없음 0/6[21]

7.2. U-20 대표팀

7.2.1. AFC U-20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youth 챔피언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9 말레이시아
순위결정전 7위 4 5 1 1 3 15 18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0 말레이시아
조별리그 8위 0 3 0 0 3 6 16
파일:태국 국기.svg
1961 태국
조별리그 7위 4 4 1 1 2 2 10
파일:태국 국기.svg
1962 태국
조별리그 10위 0 4 0 0 4 1 16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3 말레이시아
조별리그 8위 6 5 2 0 3 10 14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64 남베트남
불참
파일:일본 국기.svg
1965 일본
파일:필리핀 국기.svg
1966 필리핀
조별리그 11위 4 4 1 1 2 5 13
파일:태국 국기.svg
1967 태국
4강 4위 9 6 3 0 3 6 1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 대한민국
1라운드 9위 3 3 1 0 2 4 9
파일:태국 국기.svg
1969 태국
조별리그 12위 0 2 0 0 2 2 11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0 필리핀
조별리그 14위 0 3 0 0 3 2 13
파일:일본 국기.svg
1971 일본
조별리그 14위 0 3 0 0 3 1 6
파일:태국 국기.svg
1972 태국
8강 8위 9 5 3 0 2 10 6
파일:이란 국기.svg
1973 이란
8강 8위 3 3 1 0 2 2 4
파일:태국 국기.svg
1974 태국
8강 5위 7 4 2 1 1 6 2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5 쿠웨이트
조별리그 15위 3 4 1 0 3 1 11
파일:태국 국기.svg
1976 태국
조별리그 13위 1 3 0 1 2 3 8
파일:이란 국기.svg
1977 이란
조별리그 10위 1 2 0 1 1 0 8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1978 방글라데시
조별리그 17위 1 4 0 1 3 3 15
파일:태국 국기.svg
1980 태국
예선 탈락
파일:태국 국기.svg
1982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5 UAE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6 사우디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기권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0 인도네시아
불참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2 UAE
예선 탈락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4 인도네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2000 이란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04 말레이시아
파일:인도 국기.svg
2006 인도
AFC U-19 챔피언십 대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8 사우디[22]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2010 중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 UAE
파일:미얀마 국기.svg
2014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6년 바레인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년 인도네시아
AFC U-20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년 우즈베키스탄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2025년 중국
합계 4강 (1회) 18/42[23] 21 67 16 7 44 79 190

7.3. U-17 대표팀

7.3.1. AFC U-17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U-16 Championship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5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6년 카타르
파일:태국 국기.svg
1988년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0년 아랍에미리트
불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1992년 우디아라비아
예선 탈락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4년 카타르
불참
파일:태국 국기.svg
1996년 태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8년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0년 베트남
AFC U-17 Championship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2년 아랍에미리트
예선 탈락
파일:일본 국기.svg
2004년 일본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06년 싱가포르
조별리그 10위 2 3 0 2 1 2 4
AFC U-16 Championship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08년 우즈베키스탄
조별리그 15위 0 3 0 0 3 1 14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0년 우즈베키스탄
예선 탈락
파일:이란 국기.svg
2012년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2014년 태국
파일:인도 국기.svg
2016년 인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년 말레이시아
AFC U-17 아시안컵
파일:태국 국기.svg
2023년 태국
예선 탈락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5년 사우디
합계 조별리그 (2회) 2/19[24] 2 6 0 2 4 3 18


[1] 말레이어: Pasukan bola sepak kebangsaan Singapura
중국어: 新加坡國家足球隊
영어: Singapore National Football Team
타밀어: சிங்கப்பூர் தேசிய கால்பந்து அணி
[2] 10강 조별리그로 1980~88 아시안컵은 10강 조별리그 다음 4강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8강전이 없었다.)[3] 2017년 10월 16일 ~ 11월 22일(1차, 1개월), 2018년 1월 18일 ~ 3월 14일(2차, 2개월), 총합 약 3개월[4] 태국 내진 말레이시아가 종주국인 족구 비슷한 구기 운동이다.[5] 이웃 말레이시아 축구 국가대표팀에는 중국계 말레이시아인인도계 말레이시아인들도 선수로 활약한다.[6] 물론 싱가포르 치곤 잘한 결과다. 동남아에서 태국 다음으로 수준 높은 베트남도 한국 원정서 1명 퇴장+ 0:6으로 패한 점과 후반전 세트피스에서 옵사트랩에 걸렸지만 골망을 흔든 걸 감안한다면 상당히 선방한 것이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48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4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2] 5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6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0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5] 10강 조별리그로 1980~88 아시안컵은 10강 조별리그 다음 4강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8강전이 없었다.)[8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2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1] AfC U-23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22] 이 대회부터 3.4위전 폐지[23] AfC U-20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24] AFC U-17 아시안컵 본선 진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