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002395> | 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괌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동티모르 | 라오스 | 레바논 | 마카오 | |
말레이시아 | 몰디브 | 몽골 | 미얀마 |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부탄 | |
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 브루나이 | 사우디아라비아 |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
아프가니스탄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란 | 인도 | |
인도네시아 | 일본 | 중국 | 카타르 | |
캄보디아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태국 | 투르크메니스탄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
필리핀 | 호주 | 홍콩 | ||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 ||||
전세계 리그 및 대표팀 보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A500> | 동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 |||||
괌 | 대만 | 대한민국 | 마카오 | 몽골 | |
북마리아나 제도 | 북한 | 일본 | 중국 | 홍콩 | }}}}}}}}} |
몽골 축구 국가대표팀 | |
Монголын хөлбөмбөгийн үндэсний шигшээ баг | |
<colbgcolor=#125176><colcolor=#fff> 정식명칭 | Монголын хөлбөмбөгийн үндэсний шигшээ баг[1] |
FIFA 코드 | MNG |
FIFA 랭킹 | 188위[2] |
Elo 랭킹 | 214위[3] |
협회 | 몽골 축구 연맹 (MFF) |
연맹 | 아시아 축구 연맹 (AFC) |
지역연맹 | 동아시아 축구 연맹 (EAFF) |
감독 | 바야스갈랑긴 가리드마그나이 (Bayasgalangiin Garidmagnai) |
주장 | 센드 아유시 쿠렐바타르 (Tsend-Ayush Khürelbaatar) |
최다출전자 | 센드 아유시 쿠렐바타르 (Tsend-Ayush Khürelbaatar) - 44경기 |
최다득점자 | 냠어서링 나랑벌드 (Nyam-Osoryn Naranbold) - 9골 |
홈 구장 | 몽골축구연맹 축구 센터 (MFF Football Centre, 5,000석) |
첫 국제경기 출전 | VS 북베트남 (3:1 패) 북베트남 하노이 (1960년 10월 3일) |
최다 점수차 승리 | VS 북마리아나 제도 (9:0 승) 몽골 울란바토르 (2018년 9월 4일) |
최다 점수차 패배 | VS 우즈베키스탄 (0:15 패) 태국 치앙마이 (1998년 12월 5일) |
별칭 | Хөх чононууд/чонос (푸른 늑대) |
유니폼 컬러 | 홈 | 어웨이 |
상의 | 파랑 | 하양 |
하의 | 파랑 | 하양 |
양말 |
[clearfix]
1. 개요
몽골의 축구 국가대표팀을 다룬 문서.2. 상세
푸른 늑대들(Хөх чононууд/чонос)라는 별명을 가지고 있다.1959년에 몽골축구협회가 세워졌으나, 정작 FIFA 가입은 1998년에서야 이뤄졌다. 덕분에 1999년 당시 축구 최약체(2002년 한일 월드컵예선에서 0:31로 호주에 패한 미국령 사모아 이전까지 1998 월드컵 예선에서 최다 실점패 기록을 보유하고 있던[4] 몰디브에게 2003년 친선경기에서 0-12로 대패했다. 덕분에 몰디브 축구 국가대표팀은 10점차 이상 대패한 약체 나라치고는 겨우 몇 해 만에 다른 약체를 10점차 이상으로 이긴 기록을 가진 드문 나라가 되었다.
1998 방콕 아시안 게임 축구에서 쿠웨이트에 0-11, 우즈베키스탄에 0-15로 갈려나가면서 역대 아시안 게임 축구 실점 기록을 가지고 있다. 1998년 아시안 게임 당시에는 조 예선이 따로 있었기에 딱 세 나라가 참가하여 2전 전패 0득점 26실점을 당했다. 참고로 2002 부산 아시안 게임에 나온 아프가니스탄이 예선 3경기에서 대패하면서[5] 0득점 32실점을 당해 아시안 게임 축구 조 예선 통합 최다 실점기록을 가지고 있다. 여담인데 축구 말고도 아시안 게임 야구에서도 몽골은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야구에서 태국에게 0:25로 지며 축구,야구 아시안게임 최다실점패 기록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축구에서 맥을 못 추는 까닭은 기후 때문인데, 몽골은 여름에는 40도가 넘는 맹렬한 더위가, 겨울에는 반대로 영하 40도까지 떨어지는 맹렬한 추위가 들이닥치고, 거기에 거친 바람과 황사까지 가세해 제대로 축구 경기를 치르기 어렵기 때문이다. 덕분에 국내 리그인 몽골 프리미어리그가[6] 겨우 8월부터 10월 초까지 단 두 달 간 치러진다.
모두 10팀으로 구성된 리그에선 에르침(ERCHIM)이라는 구단이 우승을 주로 차지한다. 대부분 구단의 연고지는 물론 울란바토르. 사정이 이렇다보니 2012년이 되어서야 AFC프레지던트컵에 겨우 참가할 수 있었을 정도. 그리고 상당히 혹독한 추위와 더위 문제로 제대로 된 국제대회 예선을 비롯한 경기 개최 문제를 위하여 2017년에 수도인 울란바토르에 전천후형 돔 경기장을 지었다.
이렇다보니 월드컵 본선과 아시안컵 본선에 한 번도 진출하지 못했다. 아니, 본선은 둘째치고 번번이 1차 예선에서 광탈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2014 브라질 월드컵 1차 지역예선에선 미얀마와 1승 1패(1-0, 0-2)를 주고 받았으나, 골득실 차로 밀려 탈락했다. 2014년 7월 피파 랭킹은 189위. 2010년대 와서 줄곧 180위권에서 오르락 내리락하고 있다. 아시아에서 몽골보다 FIFA 랭킹이 낮은 나라는 캄보디아, 브루나이, 동티모르, 마카오, 부탄 뿐이었고, 심지어 2015년 1월 기준으로는 캄보디아, 동티모르, 마카오보다도 피파 랭킹이 낮았다.
2018 러시아 월드컵 1차 지역예선에서도 동티모르에게 1-4, 0-1로 패하며 일찌감치 탈락했다.[7]
2019 동아시안컵 예선에서 마카오, 북마리아나 제도를 상대로 각각 4-1, 9-0 대승을 거둔 후 괌과 1-1로 비기면서 2010년 1차예선이 생긴 후로는 처음으로 2차예선에 진출하는 나름의 쾌거를 만들었다.
2022년 카타르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예선에서 브루나이와 만났는데, 1차전에서는 2-0으로 승리했고 2차전에서는 1-2로 패했지만 총 스코어 3-2로 사상 최초로 아시아 2차 지역예선에 진출하는 쾌거를 누렸다. 그리고 2차 예선 첫 경기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전력으로 평가받던 미얀마를 1-0으로 이기며 2차 예선에서의 역사적인 첫 승을 기록했다. 비록 전력의 한계를 실감하며 2승 6패로 탈락했으나, 미얀마와 키르기스스탄을 꺾는 저력을 발휘하며 몽골 축구의 발전을 증명하기도 했다.
그리고 홈에서 개최된 2023년 AFC 아시안컵 최종 예선 B조 최종전에서도 같은 최약체팀인 예멘을 2-0으로 완파하며 괌과의 2004년 AFC 아시안컵 예선 예비라운드 F조 1차전 이후 19년만에 아시안컵 예선 승리의 기쁨을 맛보기도 했다.
A매치 최다 골을 넣은 선수는 8골의 도노로프 룸벵가라프. 유명한 선수로는 현재 슬로바키아 2부 리그에서 뛰고 있는 간볼드 간바야르와 체코 3부 리그에서 뛰고 있는 덴마크, 몽골 혼혈 선수인 필리프 안데르센이 있다. 또한 오스트리아 5부 리그에서 뛰고 있는 소그트바야르 바트바야르도 유럽파로서 국가대표팀을 뛰고 있다.
최근 성과를 보면 이제 슬슬 완벽한 승점자판기 타이틀을 뗄 조짐이 보이고 있으나, 아직은 지켜봐야하는 레벨 정도까지 왔다.
2026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1차예선에서 아프가니스탄을 상대로 원정경기와 홈경기 모두 0-1로 지며 합계 0-2로 탈락했다.
한국과는 2000년 4월 7일, 지금은 철거되고 없어진 동대문운동장에서 아시안컵 예선전을 치렀다. 당시 한국은 2000 시드니 올림픽을 준비하는 중이라 허정무 감독이 올림픽 대표팀 중심으로 A대표팀을 조직하여 몽골에 6-0 대승을 거뒀다. 이때 골을 넣은 선수는 안효연, 최태욱(각각 2골), 이천수, 최철우였다. 참고로 이 예선 경기 1차전 라오스전이 전설이 된 박지성의 국가대표 데뷔전이자, 몽골과 한국이 A매치로 붙은 유일한 경기다. 참고로 AFC U-19 챔피언십에서도 몽골과 3번 맞붙어 3전 전승 35득점 무실점을 기록하고 있다.
3. 선수 명단
{{{#!wiki style="color:#006000;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 <rowcolor=#ffd900>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골 | 소속 클럽 |
<colbgcolor=#0B090C><colcolor=#fff> GK | 22 | 아리운볼드 바트사이칸 (Ariunbold Batsaikhan) | 1990년 4월 3일 ([age(1990-04-03)]세) | 9 | 0 | 칸 쿤스 에르침 FC | |
1 | 사이칸출룬 아마르바야스갈란 (Saikhanchuluun Amarbayasgalan) | 1996년 8월 28일 ([age(1996-08-28)]세) | 7 | 0 | 코브드 FC | ||
13 | 세리쿠 바트막나이 (Sereekhuu Batmagnai) | 2002년 7월 24일 ([age(2002-07-24)]세) | 0 | 0 | 데렌 FC | ||
DF | 2 | 우간바트 바트-에르데네 (Uuganbat Bat-Erdene) | 1997년 2월 9일 ([age(1997-02-09)]세) | 1 | 0 | 데렌 FC | |
3 | 투르바트 다기나 (Turbat Daginaa) | 1992년 7월 31일 ([age(1992-07-31)]세) | 8 | 1 | FC 울란바토르 | ||
10 | 바야르트센겔 푸레브도르이 (Bayartsengel Purevdorj) | 1997년 1월 26일 ([age(1997-01-26)]세) | 8 | 0 | 캉가리드 FC | ||
12 | 오르콘 문크-오르질 (Orkhon Munkh-Orgil) | 1999년 1월 30일 ([age(1999-01-30)]세) | 8 | 1 | 데렌 FC | ||
5 | 필리프 안데르센 (Filip Andersen) | 2003년 2월 13일 ([age(2003-02-13)]세) | 2 | 0 | FC 슬라비아 칼로비 바리 | ||
15 | 카쉬출룬 나란바타르 (Khashchuluun Naranbaatar) | 2004년 8월 5일 ([age(2004-08-05)]세) | 0 | 0 | 데렌 FC | ||
21 | 암갈란바트 바트바타르 (Amgalanbat Batbaatar) | 2001년 1월 21일 ([age(2001-01-21)]세) | 3 | 0 | FC 울란바토르 | ||
MF | 4 | 게렐트-오드 바트-오르질 (Gerelt-Od Bat-Orgil) | 2002년 1월 23일 ([age(2002-01-23)]세) | 1 | 0 | FC 울란바토르 | |
16 | 간바트 부야네메크 (Ganbat Buyannemekh) | 2003년 6월 13일 ([age(2003-06-13)]세) | 2 | 0 | 코브드 FC | ||
19 | 소그트바야르 바트바야르 (Tsogtbayar Batbayar) | 2001년 7월 8일 ([age(2001-07-08)]세) | 2 | 0 | SU 레반란드 로이차흐 | ||
8 | 발진얌 바트문크 (Baljinnyam Batmunkh) | 1999년 12월 10일 ([age(1999-12-10)]세) | 0 | 0 | 데렌 FC | ||
6 | 세렌바트 바산야브 (Tserenbat Baasanjav) | 1999년 12월 31일 ([age(1999-12-31)]세) | 0 | 0 | 데렌 FC | ||
23 | 우누르-에르데네 에르데네치메그 (Unur-Erdene Erdenechimeg) | 1999년 1월 6일 ([age(1999-01-06)]세) | 2 | 0 | FC 울란바토르 | ||
7 | 간볼드 간바야르 (Ganbold Ganbayar) | 2000년 9월 3일 ([age(2000-09-03)]세) | 10 | 2 | KFC 코마르노 | ||
18 | 푸레브수렌 우간바야르 (Purevsuren Uuganbayar) | 2001년 10월 8일 ([age(2001-10-08)]세) | 5 | 0 | FC 울란바토르 | ||
10 | 센드-아유쉬 쿠렐바타르 (Tsend-Ayush Khurelbaatar) | 1990년 2월 22일 ([age(1990-02-22)]세) | 32 | 1 | 캉가리드 FC | ||
17 | 둘군 아마라 (Dulguun Amaraa) | 2001년 2월 20일 ([age(2001-02-20)]세) | 10 | 1 | FC 울란바토르 | ||
9 | 오윤바타르 미지도르이 (Oyunbaatar Mijiddorj) | 1996년 8월 22일 ([age(1996-08-22)]세) | 11 | 1 | FC 울란바토르 | ||
11 | 문크-에르데네 바트크야그 (Munkh-Erdene Batkhyag) | 1991년 2월 9일 ([age(1991-02-09)]세) | 4 | 0 | 코브드 FC | ||
20 | 바타르트소그트 남스라이 (Baatartsogt Namsrai) | 1998년 11월 21일 ([age(1998-11-21)]세) | 0 | 0 | SP 팔콘 | ||
FW | 14 | 테물렌 우간바트 (Temulen Uuganbat) | 2005년 5월 7일 ([age(2005-05-07)]세) | 0 | 0 | 데렌 FC | |
23 | 안크바야르 소드몬크 (Ankhbayar Sodmonkh) | 2004년 8월 7일 ([age(2004-08-07)]세) | 0 | 0 | FA | ||
출처: 트랜스퍼마크트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1월 30일 |
4. 역대전적
4.1. FIFA 월드컵
연도 | 결과 | 순위 | 경기 | 승점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몽골 인민공화국 | |||||||||
1930년 우루과이 |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1934년 이탈리아 | |||||||||
1938년 프랑스 | |||||||||
1950년 브라질 | |||||||||
1954년 스위스 | |||||||||
1958년 스웨덴 | |||||||||
1962년 칠레 | FIFA 비회원국 | ||||||||
1966년 잉글랜드 | |||||||||
1970년 멕시코 | |||||||||
1974년 서독 | |||||||||
1978년 아르헨티나 | |||||||||
1982년 스페인 | |||||||||
1986년 멕시코 | |||||||||
1990년 이탈리아 | |||||||||
※ 몽골국 | |||||||||
1994년 미국 | FIFA 비회원국 | ||||||||
1998년 프랑스 | 불참 | ||||||||
2002년 한일 | 본선 진출 실패 | ||||||||
2006년 독일 | |||||||||
2010년 남아공 | |||||||||
2014년 브라질 | |||||||||
2018년 러시아 | |||||||||
2022년 카타르 | |||||||||
2026년 북미 | |||||||||
2030년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2034년 사우디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2. AFC 아시안컵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 몽골 인민공화국 | |||||||||
1956년 홍콩 | 축구협회 창립 이전 | ||||||||
1960년 대한민국 | AFC 비회원국 | ||||||||
1964년 이스라엘 | |||||||||
1968년 이란 | |||||||||
1972년 태국 | |||||||||
1976년 이란 | |||||||||
1980년 쿠웨이트 | |||||||||
1984년 싱가포르 | |||||||||
1988년 카타르 | |||||||||
※ 몽골국 | |||||||||
1992년 일본 | AFC 비회원국 | ||||||||
1996년 UAE | |||||||||
2000년 레바논 | 본선 진출 실패[12개팀] | ||||||||
2004년 중국 |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 ||||||||
2007년 아세안 | 불참 | ||||||||
2011년 카타르 |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 ||||||||
2015년 호주 | |||||||||
2019년 UAE | 본선 진출 실패[24개팀] | ||||||||
2023년 카타르 | |||||||||
2027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4.3. EAFF E-1 풋볼 챔피언십
대회 | 결과 | 순위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승점 |
2003년 | 본선 진출 실패[4개국] | ||||||||
2005년 | |||||||||
2008년 | |||||||||
2010년 | |||||||||
2013년 | 회원국 자격 정지 | ||||||||
2015년 | 본선 진출 실패[4개국] | ||||||||
2017년 | |||||||||
2019년 | |||||||||
2022년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0 | 0 | 0 | 0 | 0 | 0 | 0 |
5. 연령별 대표팀
5.1. U-23 대표팀
5.1.1. AFC U-23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오만 2014 | 불참 | ||||||||
카타르 2016 | 예선 탈락 | ||||||||
중국 2018 | |||||||||
태국 2020 | |||||||||
우즈베키스탄 2022 | |||||||||
카타르 2024 | |||||||||
굵은 글씨는 올림픽 진출권이 걸려있는 대회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5.2. U-20 대표팀
5.2.1. AFC U-20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AFC youth championship 대회 | |||||||||||
1959년 말레이시아 | AFC 비회원국 | ||||||||||
1960년 말레이시아 | |||||||||||
1961년 태국 | |||||||||||
1962년 태국 | |||||||||||
1963년 말레이시아 | |||||||||||
1964년 남베트남 | |||||||||||
1965년 일본 | |||||||||||
1966년 필리핀 | |||||||||||
1967년 태국 | |||||||||||
1968년 대한민국 | |||||||||||
1969년 태국 | |||||||||||
1970년 필리핀 | |||||||||||
1971년 일본 | |||||||||||
1972년 태국 | |||||||||||
1973년 이란 | |||||||||||
1974년 태국 | |||||||||||
1975년 쿠웨이트 | |||||||||||
1976년 태국 | |||||||||||
1977년 이란 | |||||||||||
1978년 방글라데시 | |||||||||||
1980년 태국 | |||||||||||
1982년 태국 | |||||||||||
1985년 UAE | |||||||||||
1986년 사우디 | |||||||||||
1988년 카타르 | |||||||||||
1990년 인도네시아 | |||||||||||
1992년 UAE | |||||||||||
1994년 인도네시아 | |||||||||||
1996년 대한민국 | |||||||||||
1998년 태국 | |||||||||||
2000년 이란 | 불참 | ||||||||||
2002년 카타르 | 예선 탈락 | ||||||||||
2004년 말레이시아 | |||||||||||
2006년 인도 | |||||||||||
AFC U-19 챔피언십 대회 | |||||||||||
2008년 사우디[14] | 기권 | ||||||||||
2010년 중국 | 불참 | ||||||||||
2012년 UAE | |||||||||||
2014년 미얀마 | 기권 | ||||||||||
2016년 바레인 | 불참 | ||||||||||
2018년 인도네시아 | |||||||||||
AFC U-20 아시안컵 | |||||||||||
2023년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2025년 중국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5.3. U-17 대표팀
5.3.1. AFC U-17 아시안컵
연도 | 결과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AFC U-16 Championship | |||||||||
1985 카타르 | AFC 비회원국 | ||||||||
1986 카타르 | |||||||||
1988 태국 | |||||||||
1990 아랍에미리트 | |||||||||
1992 사우디아라비아 | |||||||||
1994 카타르 | |||||||||
1996 태국 | |||||||||
1998 카타르 | |||||||||
2000 베트남 | 예선 탈락 | ||||||||
AFC U-17 Championship | |||||||||
2002 아랍에미리트 | 예선 탈락 | ||||||||
2004 일본 | |||||||||
2006싱가포르 | |||||||||
AFC U-16 Championship | |||||||||
2008 우즈베키스탄 | 예선 탈락 | ||||||||
2010 우즈베키스탄 | 기권 | ||||||||
2012 이란 | 예선 탈락 | ||||||||
2014 태국 | |||||||||
2016 인도 | |||||||||
2018 말레이시아 | |||||||||
AFC U-17 아시안컵 | |||||||||
2023 태국 | 예선 탈락 | ||||||||
2025년 사우디 | |||||||||
합계 | 본선진출 없음 |
[1] 몽골어[2] 2024년 10월 24일 기준[3] 2024년 11월 16일 기준[4] 1997년 이란에게 0-17로 패배.[5] 이란전 0:10 패, 카타르전 0:11 패, 레바논전 0:11 패.[6] 니슬렐 리그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7] 그러나 나중에 이 두 경기에서 동티모르가 부정 선수들을 출전시킨 것이 드러나면서 결과가 모두 동티모르의 3-0 몰수패로 정정되었다. 그러나 한참 뒤에 밝혀진 탓에 몽골은 그러고도 2차 예선에 출전하지 못했다. 자세한 것은 동티모르 축구 국가대표팀 항목 참조.[12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팀]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4개국] 본선 대회에 진출 실패했다.[4개국] 본선 대회에 진출 실패했다.[14] 이 대회부터 3.4위전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