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2 08:58:59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2395>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2025).svg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괌 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중화 타이베이 올림픽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네팔 대만 대한민국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동티모르 라오스 레바논 마카오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파일:몽골 국기.svg 파일:미얀마 국기.svg
말레이시아 몰디브 몽골 미얀마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부탄 국기.svg
바레인 방글라데시 베트남 부탄
파일:북마리아나 제도 기.svg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북마리아나 제도 북한 브루나이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파일:시리아 국기.svg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스리랑카 시리아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예멘 오만 요르단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이라크 이란 인도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인도네시아 일본 중국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캄보디아 쿠웨이트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태국 투르크메니스탄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필리핀 호주 홍콩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남자 풋살 · 여자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 파일:중앙아시아축구연맹.png 중앙아시아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 ||
{{{#!wiki style="color:#fff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000000; margin:-6px -1px -11px"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우즈베키스탄
이란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تيم ملى فوتبال افغانستان
정식명칭 [1]تيم ملى فوتبال افغانستان
FIFA 코드 AFG
FIFA 랭킹 161위[2]
Elo 랭킹 179위[3]
협회 아프가니스탄 축구 연맹 (AFF)
연맹 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연맹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 (CAFA)
감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빈센초 알베르토 안네세 (Vincenzo Alberto Annese)
주장 젤피 나자리 (Zelfy Nazary)
최다출전자 조히브 이슬람 아미리 (Zohib Islam Amiri) - 70경기
최다득점자 파이살 샤에스테 (Faysal Shayesteh) - 10골
홈 구장 아프가니스탄 국립 경기장 (Afghanistan Football Federation Stadium, 25,000석)[4]
첫 국제경기 출전 VS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 이란 (0:0 무)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카불 (1941년 8월 25일)
최다 점수차 승리 VS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8:1 승)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뉴델리 (2011년 12월 7일)
최다 점수차 패배 VS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0:11 패)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아시가바트 (2003년 11월 19일)
별칭 أسود خراسان (호라산의 사자들)
올림픽 진출 1회(1948)[5]
SAFF 챔피언십 진출: 7회
최고 성적: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회[6]
유니폼 컬러 어웨이
상의
빨강
하양
하의 빨강 하양
양말
1. 개요2. 상세3. 역사4. 현황5. 역대전적6. 연령별 대표팀7. 국가별 전적
7.1. 대한민국과 전적

1. 개요

아프가니스탄축구 국가대표팀으로 감독은 이탈리아 출신의 빈센초 알베르토 안네세이며 역대 FIFA 랭킹 최고 순위는 122위(2014년 4월 10일), 최저 순위는 204위(2003년 1월 15일)이다.

2. 상세

호라산의 사자들(The Lions of Khorasan)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져 있으며 아직까지도 FIFA 월드컵AFC 아시안컵 본선에 진출한 기록이 단 한 번도 없는 아시아 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최약체로 평가되고 있는 팀들 중 하나다.

과거 탈레반 치하 아프간 당시엔 축구를 포함한 스포츠도 탄압하기 급급했으나 2021년 탈레반 재집권 이후에는 스포츠부가 직접 축구 경기를 관람까지 하며 어느 정도 허용하고 있는 듯 하다.[7]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아래 하술.

2024년에도 탈레반 치하의 아프가니스탄 상황에도 불구하고 꾸준히 청소년과 성인 대표팀, 심지어 여성 인권이 바닥인 국가임에도 여자 대표팀까지 소집되어 경기를 하는 등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며 2023년과 2024년에 걸쳐서 열렸던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도 참가했으나 홈 경기는 여전히 불가능에 가까워 제3국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치러졌다.

다만 탈레반 정권은 스포츠에서 정식으로 인정되지 않기에[8] 축구에서도 탈레반 깃발이 아닌 아프가니스탄의 옛 국기인 이슬람 공화국 시절의 국기[9]를 사용하고 있다.

3. 역사

오랜 전란 끝에 집권한 탈레반축구를 금지하며 축구장을 처형장으로 쓰는 정신나간 행각을 벌이는 바람에 그 어떤 국제 대회에도 나올 수 없었다.

그나마 2002년 아시안 게임을 통해 오랜만에 국제 대회에 모습을 드러냈지만 이란(0-10), 레바논(0-11), 카타르(0-11)와 같은 조에 속해 1골도 넣지 못하고 0득점 32실점으로 깔끔하게 광탈한 채 승점자판기 노릇만 제대로 했고 특히 레바논과 카타르의 역대 최다 득점승 기록까지 세워주는 불명예를 떠안았다.

하지만 2008년 하계 올림픽 아시아 지역 1차 예선에서 비록 탈락했음에도 불구하고 2007년 2월 14일 열린 베트남과의 2차전 원정 경기에서 0-2로 패하면서 선전했는데 당시 아프가니스탄 올림픽 대표팀은 훈련도 제대로 못했고 베트남으로 갈 비행기값도 마련하지 못하면서 이를 보다 못한 FIFA가 모든 돈을 부담하여 가까스로 경기하러 가는 등 여러 가지로 어려운 처지였기 때문이었으며 참고로 이 당시 아프가니스탄 올림픽팀을 이끌던 사령탑이 한국인 이성제 감독이었다.

2010년 8월 당시 피파랭킹이 195위였던 아프가니스탄은 2011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A조 최종전에서 같은 최약체급인 부탄을 8-1로 대파하면서 아프간 축구 역사상 국제 경기 최다골차 승리를 거두었고 이 대회에선 결승까지 진출하여 이 대회 개최국이자 최다 우승팀인 인도에 이어 준우승을 차지했으며 2011년 8월에는 피파랭킹은 181위, 2012년 8월에는 164위에 올랐다.

그리고 2년 뒤 열린 2013년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를 통해 2회 연속 결승 진출에 성공한 뒤 결승전에서 인도를 2-0으로 꺾고 2년 전 패배 설욕과 동시에 아프가니스탄 축구 협회 설립 이후 장장 80년만에 사상 처음으로 국제 대회 우승을 차지했고 또한 이 덕분에 2013년 8월 피파랭킹도 139위까지 올랐으며 2014년 2월에는 피파랭킹이 127위까지 올랐다.

2014년에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으로 이적하면서 더 이상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는 참가하지 않게 되었고 2015년 인도 대회까지만 디펜딩 챔피언으로서 마지막으로 참가하여 이 대회에서 인도에 이어 준우승하며 남아시아권에서는 그래도 제법 강하다는 것을 보여주었고 전년도에 열린 2014년 AFC 챌린지컵에서도 아프가니스탄 축구 역사상 첫 AFC 주관 대회 4강 진출의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그러나 새로 편입한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에는 이란, 우즈베키스탄이라는 강호 듀오가 있는데다가 다른 팀들인 투르크메니스탄, 타지키스탄, 키르기스스탄도 남아시아 축구연맹 가입국들보다 훨씬 강호급이라 동네북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래도 2016년 우즈베키스탄에서 열린 CAFA U-19 챔피언십(CAFA U-19 Mens Championship)에서 비록 4팀 가운데 (이란과 타지키스탄이 불참) 꼴찌에 머물렀지만 3위 투르크메니스탄에게 1-2로 석패하며 선전했고 2017년 타지키스탄 두샨베에서 열린 중앙아시아 U-15 챔피언십(CAFA U-15 Boys Championship)에서 예상을 뒤엎고 결승에 올라 우즈베키스탄을 결승에서 이기며 우승하는 이변을 일으키면서 2018년 8월 피파랭킹이 145위가 됐다.

그리고 2018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E조 8경기에서 3승 5패·조 4위로 아프가니스탄 축구 역사상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 역대 최고 성적을 기록한 뒤 2019년 AFC 아시안컵 최종 예선 C조에서도 같은 최약체팀인 캄보디아와의 최종전을 2-1 승리로 장식했으며 베트남, 요르단 등 한수 위의 팀들과도 비기는 등 1승 3무 2패·조 3위로 선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하계 올림픽에서는 1948 런던 올림픽 1라운드(16강전) 하기 전인 예비 라운드에 출전했으나 그나마도 룩셈부르크에게 0-6으로 대패하면서 탈락의 고배를 마셨으며 이후의 하계 올림픽 본선 기록은 전무한 상태이다.

대한민국과의 전적은 1전 1패로 열세로 1954년 아시안 게임 본선이 유일한 경기였는데 이 당시 사상 첫 월드컵 본선 무대를 앞두었던 대한민국이 8-2 대승을 거두었다.[10]

2021년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공세로 인해 국가대표팀의 존폐의 기로에 놓였으며 아프가니스탄 축구계에는 비극적인 소식이 이어졌고 아프가니스탄을 탈출하는 국민들이 수송기에 미어터질 정도로 탑승한 것도 모자라 밖에 매달려서 아프가니스탄을 탈출하는 사태가 벌어졌는데 이 과정에서 U-20 대표선수 중 한 명인 자키 안와리(Zaki Anwari, 2002~2021) 선수가 수송기에서 떨어져서 추락사한 것이다. #

여자 대표팀은 "여자가 축구를 하는 것을 원하지 않는 탈레반이 우리를 죽일 것이라는 메시지를 아프가니스탄 현지 선수에게서 받았다"라고 하며 FIFA는 각국에게 도와달라는 서한을 보내고 있고 # 주장 칼리다 포팔은 탈레반의 통치 속에 살아남기 위해선 SNS와 신분증을 없애고 축구 장비 또한 태워버리라고 호소하기도 했으며 #, # 여자 축구 대표팀은 이미 포르투갈로 탈출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

탈레반의 재집권 이후 아프가니스탄 축구 협회는 외국 카타르 도하에 망명한 것으로 확인되었음에도 아프가니스탄 축구 협회의 공식 SNS들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었고 남자 축구의 경우에는 자국 리그 팀들의 경기 결과가 계속 나오고 있었으며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의 스포츠부 인사의 연설문도 업로드한 적이 있다.

2024년 현재 탈레반 인사가 자국 축구 경기장에서 축구 경기 관람을 하고 축하인사를 하는 것으로 보아# 아프간 축협은 본국으로 복귀하여 행정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 또한 2023년 중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연령별 국제대회 등 다양한 국제대회에 참가하고 있는 것으로 봐서 현재 탈레반은 축구를 탄압하던 태도를 바꾸어 스포츠에 대한 기초적인 지원은 수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국가대표팀의 선수 수급에선 이야기가 다른데 아프간 축구 리그는 부정기적으로 진행되어 선수의 기량을 유지하기 매우 어려운 환경이라 거의 대부분 해외 리그 소속 선수들로 대표팀 스쿼드를 채우고 있는 상황이다.[11]

이 때문에 해외 각지에서 경기 장소로 날아오는 선수들의 이동 비용 문제 등으로 한 경기 치르는 것조차 상당히 어려운 것으로 보여지며# 이는 현재 FIFA에서 아프간 홈경기 개최를 막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탈레반의 재집권 이후 대표팀 기량을 유지하기 매우 어려운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2026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 예선에서는 과거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여러 차례 맞대결을 펼친 바 있는 인도를 상대로 1승 1무(1차전 0-0 무, 2차전 2-1 승)를 기록한 뒤 아시안컵 2회 연속 우승팀인 카타르에게도 0:0 무승부를 거두며 예선 통과 가능성을 최종전까지 살려두었음에도 2027년 아시안컵 최종 예선으로 밀려나긴 했지만 앞으로의 정세 변화에 따라 아프가니스탄 축구의 선전을 기대하는 것도 꿈은 아닐 것이다.

4. 현황

자국의 사정이 불안정하다보니 대표팀 선수로는 해외 리그의 2세 선수들을 대표팀으로 많이 선출하는데 대표적으로 독일계 선수 하산 아민과 네덜란드계 선수 나짐 하이다리, 러시아계 선수 샤리프 무함마드가 있다.

그리고 노르웨이 6부 리그의 IK 그라네에서 활약하고 있는 발랄 아레주, 인도 I리그의 스리니디 데칸에서 활약하고 있는 파이살 샤예스테흐 뿐만 아니라 잉글랜드, 호주, 스웨덴, 스위스 등 해외의 하부 리그에서 뛰고 있는 선수들은 물론 북마케도니아 프르바 리가 보스카 스포츠 소속의 하비불라 아스카르, 조지아 에로브눌리리가 토르페도 쿠타이시 소속의 라흐마트 아크바리 등 해외 축구 중·약소국의 최상위 리그에서 뛰고 있는 선수들도 존재한다.

현재 유니폼 스폰서는 JAKO이다.

홈 구장은 카불의 가지 스타디움과 아프가니스탄 축구협회 경기장이긴 하지만 윗 문단에서의 언급했듯이 탈레반 정권이 들어서며 국내 치안이 매우 불안정한 관계로 현재는 사우디아라비아, 타지키스탄 등 다른 국가들에서 중립 홈 경기를 치르고 있다.

협회 로고는 탈레반 집권 이후에도 기존 이슬람 공화국 시기 국기 형상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FIFA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아프가니스탄 축협 소개 시 국기는 탈레반기가 아닌 이슬람 공화국의 것을 사용하고 있다.[12]

5. 역대전적

5.1. FIFA 월드컵

연도 결과 순위 경기 승점 득점 실점
아프가니스탄 왕국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 우루과이
FIFA 비회원국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 이탈리아
파일:프랑스 제3공화국 국기.svg
1938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 브라질
불참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 스위스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 스웨덴
파일:칠레 국기.svg
1962 칠레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 잉글랜드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 멕시코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파일:독일 국기.svg
1974 서독
불참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1861-2010).svg
1978 아르헨티나
불참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 스페인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 멕시코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1990 이탈리아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파일:미국 국기.svg
1994 미국
불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 프랑스
불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 한일
불참
파일:독일 국기.svg
2006 독일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 남아공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 브라질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 러시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 카타르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본선 진출 실패[48개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5.2. AFC 아시안컵

대회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아프가니스탄 왕국
파일:영국령 홍콩 기(1955~1959).svg
1956 홍콩
기권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1960 대한민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1964 이스라엘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
1968 이란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1972 태국
아프가니스탄 공화국
파일:이란 국기(1964-1980).svg
1976 이란
본선 진출 실패[6개국]
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80 쿠웨이트
본선 진출 실패[10개국]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1984 싱가포르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불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국
파일:일본 국기.svg
1992 일본
불참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6 UAE
불참
파일:레바논 국기.svg
2000 레바논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파일:중국 국기.svg
2004 중국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1917~2017).svg.png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7 아세안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1 카타르
불참
파일:호주 국기.svg
2015 호주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9 UAE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토후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3 카타르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없음

5.3. 남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1993
불참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1995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1997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1999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003
조별리그 7위 3 0 0 3 0 6 0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파키스탄 2005
조별리그 6위 3 1 0 2 3 11 3
파일:네팔 국기.svg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몰디브&아프가니스탄 2008
조별리그 7위 3 0 2 1 5 7 2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2009
조별리그 7위 3 0 0 3 1 7 0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11
준우승 2위 5 3 1 1 13 7 10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2013
우승 1위 5 4 1 0 9 1 13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2015
준우승 2위 5 4 0 1 17 3 12
합계 본선진출 7회 / 우승 1회 27 12 4 11 48 42 40
  • 2015년에 중앙아시아축구연맹으로 소속을 옮기면서 2018년 방글라데시 대회부터는 참가하지 않음.

5.4. 중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대회 결과 순위 경기 득점 실점 승점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키르기스스탄 2023
조별리그 7위 2 0 0 2 1 9 0
합계 본선진출 1회 2 0 0 2 1 9 0

6. 연령별 대표팀

6.1. U-23 대표팀

6.1.1. AFC U-23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U-23 챔피언십 대회
파일:오만 국기.svg
2014 오만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2016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2018 중국
파일:태국 국기.svg
2020 태국
AFC U-23 아시안컵 [21]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2 우즈베키스탄
기권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4 카타르
예선 탈락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6 사우디아라비아
합계 본선진출 없음

6.2. U-20 대표팀

6.2.1. AFC U-20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youth 챔피언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59 말레이시아
불참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0 말레이시아
파일:태국 국기.svg
1961 태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2 태국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3 말레이시아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64 남베트남
파일:일본 국기.svg
1965 일본
파일:필리핀 국기.svg
1966 필리핀
파일:태국 국기.svg
1967 태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8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69 태국
파일:필리핀 국기.svg
1970 필리핀
파일:일본 국기.svg
1971 일본
파일:태국 국기.svg
1972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1973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1974 태국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1975 쿠웨이트
조별리그 18위 1 4 0 1 3 3 12
파일:태국 국기.svg
1976 태국
불참
파일:이란 국기.svg
1977 이란
8강 8위 1 3 0 1 2 1 8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1978 방글라데시
조별리그 15위 0 3 0 0 3 0 11
파일:태국 국기.svg
1980 태국
불참
파일:태국 국기.svg
1982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85 UAE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86 사우디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8 카타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0 인도네시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2 UAE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1994 인도네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6 대한민국
파일:태국 국기.svg
1998 태국
파일:이란 국기.svg
2000 이란
파일:카타르 국기.svg
2002 카타르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04 말레이시아
예선 탈락
파일:인도 국기.svg
2006 인도
불참
AFC U-19 챔피언십 대회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08 사우디
실격
파일:중국 국기.svg
2010 중국
예선 탈락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12 UAE
불참
파일:미얀마 국기.svg
2014 미얀마
예선 탈락
파일:바레인 국기.svg
2016 바레인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2018 인도네시아
기권
AFC U-20 아시안컵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23 우즈베키스탄
예선 탈락
파일:중국 국기.svg
2025 중국
합계 본선진출 3회 / 8강 1회 2 10 0 2 8 4 31

6.3. U-17 대표팀

6.3.1. AFC U-17 아시안컵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AFC U-16 Championship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5 카타르
불참
파일:카타르 국기.svg
1986 카타르
파일:태국 국기.svg
1988 태국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1990 아랍에미리트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1992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4 카타르
파일:태국 국기.svg
1996 태국
파일:카타르 국기.svg
1998 카타르
파일:베트남 국기.svg
2000 베트남
AFC U-17 Championship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2002 아랍에미리트
불참
파일:일본 국기.svg
2004 일본
예선 탈락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2006 싱가포르
불참
AFC U-16 Championship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08 우즈베키스탄
기권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2010 우즈베키스탄
예선 탈락
파일:이란 국기.svg
2012 이란
파일:태국 국기.svg
2014 태국
파일:인도 국기.svg
2016 인도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2018 말레이시아
조별리그 16위 0 3 0 0 3 1 13
AFC U-17 아시안컵
파일:태국 국기.svg
2023 태국
조별리그 10위 3 3 1 0 2 3 11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5 사우디아라비아
조별리그 16위 0 3 0 0 3 0 1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6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7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8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29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3회[22] 3 9 1 0 8 4 34

7. 국가별 전적

7.1. 대한민국과 전적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E6002D>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국가별 상대전적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 화이트(2025).svg 중앙아시아
}}} ||
{{{#002395,#6b90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555,#ABABAB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중앙아시아축구연맹.png 중앙아시아 축구 연맹(CAFA)
<colcolor=#fff> 대표팀 국가 최다득점 최근 전적
<colcolor=#fff>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colcolor=#fff> + <colcolor=#fff> - <colcolor=#fff> ±
<rowcolor=#fff>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성낙운(4) 8:2 승 (1954)
1 1 0 0 8 2 +6
<rowcolor=#fff>
파일:우즈베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이동국(4) 4:0 승 (2018)
16 11 4 1 34 14 +20
<rowcolor=#fff>
파일: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손흥민 등 8명(2) 2:0 승 (2022)
33 10 10 13 36 34 +2
<rowcolor=#fff>
파일:키르기스스탄 축구 연합 로고 화이트.pn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김민재(1) 1:0 승 (2019)
1 1 0 0 1 0 +1
<rowcolor=#fff>
파일:타지키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pn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김도훈(2) 4:1 승 (1997)
1 1 0 0 4 1 +3
<rowcolor=#fff> 파일:투르크메니스탄 대표팀 로고.pn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김두현(3) 5:0 승 (2021)
5 4 0 1 16 4 +12
: 우세 | : 백중세 | : 열세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 EAFF | ASEAN | SAFF | WAFF | CAFA
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CFA |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OFC |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UEFA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CONCACAF | 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CONMEBOL
}}}}}}}}}}}}}}} ||
파일:Afghanistan_Football_Federation_logo.png <colcolor=#fff> 역대 전적 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svg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AFG A매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KOR
<nopad> 1 [🏟️]
<colbgcolor=#000><colcolor=#fff> 0 <nopad> 0 <colbgcolor=#000><colcolor=#fff> 1
2 득점 (-6) <nopad>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우세
8 득점 (+6)
<rowcolor=#fff> (기록불명) 최다득점자 성낙운(4)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24]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선수 기록 파일:득점 아이콘.svg 득점 순위[25]
파일:퇴장 카드 아이콘.svg 누적 퇴장(0)
<nopad> 최근경기: 대한민국 승 (1954)

아프가니스탄의 정세가 오랜기간 불안정해 같은 아시아권에서도 경기 전적을 가진 경우가 드물지만 놀랍게도 한국은 아프가니스탄과 경기를 한 적이 있다.

그것은 매우 오래전인 1954년 한국이 처음으로 출전한 아시안 게임인 마닐라 대회로 당시 홍콩과 같은 조에 묶여 조별리그에서 맞상대했다. 결과는 한국이 8-2로 대승을 거두었다. 다만, 안타깝게도 워낙 오래전 기록이라 아프가니스탄의 기록이 소실되어 현재 찾아보기가 어렵다.[26]

현재 탈레반 집권 하에 의외로 축구가 허용되며 어느 정도 안정화를 찾고 있지만 인프라가 워낙 열악하고 축구 수준 차이가 크기 때문에 다시 맞불게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nopad> 1954-05-02 파일:아프가니스탄 왕국 국기(1931-1973).svg 아프가니스탄
<nopad> 8:2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1954 아시안게임 본선 경기 상세내용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attachment/5624002454.jpg 1954 마닐라 아시안 게임 12강 조별리그 D조 2경기
일시: 1954년 5월 4일 장소: [[필리핀|{{{#fff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마닐라
주심: [None] 경기장: 리잘 메모리얼 스타디움
<colbgcolor=#fff><colcolor=#3366CC> 최정민 파일:득점 아이콘.svg 7’
최광석 파일:득점 아이콘.svg 22’
성낙운 파일:득점 아이콘.svg 23‘, 45’
정남식 파일:득점 아이콘.svg 42’
8:2
([None])
<colbgcolor=#fff><colcolor=#3366CC> [None] 파일:득점 아이콘.svg [None]
[None] 파일:득점 아이콘.svg [None]

[33]
정국진 파일:득점 아이콘.svg 49’[34]
성낙운 파일:득점 아이콘.svg 55’[3G], 80’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이유형 감독: [None]

조별리그 3경기 종료 후 D조 최종 순위
<rowcolor=#fff> 국가 R <colcolor=#14f> P M <colcolor=#0f0> W <colcolor=#ff0> D <colcolor=#f00> L + - ±
<rowcolor=#fff>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KOR • 1 3 2 1 1 0 11 5 +6
<rowcolor=#fff> 파일:영국령 홍콩 국기.svg HKG 파일:하강 아이콘.svg 2 3 2 1 1 0 7 5 +2
<rowcolor=#fff> 파일:아프가니스탄 왕국 국기(1931-1973).svg AFG • 3 0 2 0 0 2 4 12 -12
}}}}}}}}} ||

[1] 파슈토어[2] 2025년 9월 18일 기준[3] 2025년 8월 30일 기준[4] 가지 스타디움(Ghazi Stadium)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기도 한다.[5] 1라운드(16강전) 하기 전 예비라운드에 출전하였으며, 룩셈부르크에게 6:0으로 패하여 바로 탈락했다.[6] 2013[7] 사실 탈레반이 탄압해도 어차피 해외 망명선수들로 대표팀을 꾸리는 것도 가능하다.[8] 반면 UN에선 탈레반 정권하 아프간을 2024년 UN 기후회의에 초대하면서 사실상 탈레반 정권을 인정하는 뉘앙스이다.[9] 좌측부터 검정-빨강-초록 순의 국기이다.[10] 당시 대한민국은 휴전한지 단 1년밖에 안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954년 아시안 게임에서 은메달을 차지했고 1954년 FIFA 월드컵 아시아 지역 예선에서도 일본을 1·2차전 합산 7:3으로 격파하며 16개국 본선에 진출할 정도로 강팀이었다.[11] 이 해외 리그 소속 선수들은 거의 대부분 해외 2세 또는 이중국적 상태라 아프간 본국으로 돌아가지 않는다.[12] FIFA가 탈레반 치하의 아프가니스탄을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이전 국기를 계속 쓰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불명확하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48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6개국] (6강)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0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16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아시안컵에 진출 실패했다.[21] 2028 대회 부터는 4년 주기로 변경 (올림픽 예선)[22] 최고순위 10위(2023 태국)[🏟️] 중립 경기: 1
AFG 홈 경기: 0
KOR 홈 경기: 0
[24]
2골, 기록불명
[25]
4골, 성낙운
1골, 최정민, 최광석, 정남식, 정국진
[26] 당시는 아프가니스탄 왕국 시절로 근대화를 추진하고 산업이 발전하기 시작하던 나름 안정적인 시기였다. 이후 1973년 쿠데타가 일어나 왕국이 무너지고 1979년 소련이 침공한 이후부터는 온갖 내전, 전쟁, 테러에 휘말려 온 국토가 황폐해지고 지금까지도 불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None] [None] [None] [None] [None] [None] [33] 득점자 및 득점 시간 그리고 한국팀이 기록한 아프가니스탄 선수의 자책골(여기선 49분 정국진 선수 득점으로 기재되어 있음) 모두 기록이 존재하지 않는다. 아프가니스탄의 정세가 워낙 역사적으로 내전을 비롯해 소련, 미국 등의 전쟁으로 계속 불안정했고 그로 인해 축구협회의 맥이 많이 끊기는 바람에 기록소실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한국 역시 당시 열악했던 행정 기록이 맞물리며 오늘날까지도 찾아내지 못한 안타까운 기록이다.[34] 영문 위키피디아에 기록된 내용으로 KFA 공식 기록에는 자책골로 기록되어 있으며, 자책골 득점자는 불명이다.[3G] [N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