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rgba(150,150,150,.2) 0%, transparent 30%, transparent 70%, rgba(150,150,150,.2))" {{{#!wiki style="min-height: 26px; 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181818,#e5e5e5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2003 일본 | 2005 대한민국 | 2008 중국 | 2010 일본 | 2013 대한민국 |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2015 중국 | 2017 일본 | 2019 대한민국 | 2022 일본 | 2025 대한민국 |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2028 중국 | 2030 일본 | 미정 | 미정 | 미정 | |
}}}}}}}}}}}}}}}}}} |
2010 EAFF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 ||
東アジアサッカー選手権2010 2010 East Asian Football Championship | ||
| ||
대회 기간 | 2010년 2월 6일 ~ 2010년 2월 14일 | |
개최국 | 일본 | |
공인구 | 자블라니 (Jabulani)[1] | |
진출팀 | 동아시아 축구 연맹 소속 4개팀[2] | |
대회 결과 | ||
우승 | 중국 | |
준우승 | 대한민국 | |
3위 | 일본 | |
4위 | 홍콩 |
1. 개요
2010년 2월 6일부터 2월 14일까지 일본의 도쿄도에서 개최된 네 번째 동아시아 대회이다. 리그전을 통해 최종 순위에 따라 50만 달러, 30만 달러, 20만 달러, 15만 달러의 상금이 차등적으로 지급된다. # 따라서 예선을 통과한 홍콩은 본선에 진출한 것만으로도 최소 15만 달러를 확보한 셈이 되었다.2. 대회 참가국
2.1. 예선
2.1.1. 1라운드
경기 일자[요나] | 경기 시간[요나] | 홈 | 경기 결과 | 원정 | 경기장 |
2009. 03. 11. (수) | 13:30 | 마카오 | 6 : 1 | 북마리아나 제도 | 레오 팔라스 리조트, 요나 |
16:00 | 괌 | 1 : 0 | 몽골 | ||
2009. 03. 13. (금) | 13:30 | 마카오 | 1 : 2 | 몽골 | |
16:00 | 괌 | 2 : 1 | 북마리아나 제도 | ||
2009. 03. 15. (일) | 13:30 | 북마리아나 제도 | 1 : 4 | 몽골 | |
16:00 | 괌 | 2 : 2 | 마카오 |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 괌 | 3 | 2 | 1 | 0 | 5 | 3 | +2 | 7 |
2 | | 몽골 | 3 | 2 | 0 | 1 | 6 | 3 | +3 | 6 |
3 | | 마카오 | 3 | 1 | 1 | 1 | 9 | 5 | +4 | 4 |
4 | | 북마리아나 제도 | 3 | 0 | 0 | 3 | 3 | 12 | -9 | 0 |
■ 2라운드 출전 |
- 2009년 3월 11일부터 3월 15일까지 예선 1라운드를 진행하였다. 레오 팔라스 리조트에서 4개국이 풀리그를 거쳐 1위에게 예선 2라운드 진출권을 부여한다. 예선 1라운드는 괌, 몽골, 마카오, 북마리아나 제도까지 총 4개국이 참여하였다. 예선 1라운드 결과 괌이 3경기 2승 1무 5득점 3실점 승점 7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예선 2라운드에 진출하였다.
2.1.2. 2라운드
경기 일자[가오슝] | 경기 시간[가오슝] | 홈 | 경기 결과 | 원정 | 경기장 |
2009. 08. 23. (일) | 16:30 | 북한 | 9 : 2 | 괌 | 가오슝 국립경기장, 가오슝 |
19:00 | 대만 | 0 : 4 | 홍콩 | ||
2009. 08. 25. (화) | 16:30 | 홍콩 | 0 : 0 | 북한 | |
19:00 | 대만 | 4 : 2 | 괌 | ||
2009. 08. 27. (목) | 16:30 | 홍콩 | 12 : 0 | 괌 | |
19:00 | 대만 | 1 : 2 | 북한 |
순위 | 국가 | 경기수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
1 | | 홍콩 | 3 | 2 | 1 | 0 | 16 | 0 | +16 | 7 |
2 | | 북한 | 3 | 2 | 1 | 0 | 11 | 3 | +8 | 7 |
3 | | 대만 | 3 | 1 | 0 | 2 | 5 | 8 | -3 | 3 |
4 | | 괌 | 3 | 0 | 0 | 3 | 4 | 25 | -21 | 0 |
■ 본선 출전 |
- 2009년 8월 23일부터 8월 27일까지 예선 2라운드를 진행하였다. 가오슝 국립경기장에서 4개국이 풀리그를 거쳐 1위에게 결승 대회(본선) 진출권을 부여한다. 예선 2라운드는 홍콩, 북한, 대만, 괌까지 총 4개국이 참여하였다. 예선 2라운드 결과 홍콩이 3경기 2승 1무 16득점 무실점 승점 7점으로 1위를 차지하여 결승 대회에 진출하였다.
3. 1경기 일본 0 vs 0 중국
[[파일:East Asian Football Championship 2010.gif | height=50]] 2010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제1경기 2010. 02. 06.(토) 19:15(UTC+9) |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일본, 도쿄) | |||
주심: 스트레버 델로프스키 (호주) | |||
| 0 : 0 | | |
- | | - |
4. 2경기 대한민국 5 vs 0 홍콩
[[파일:East Asian Football Championship 2010.gif | height=50]] 2010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제2경기 2010. 02. 07.(일) 19:15(UTC+9) | ||
도쿄 국립경기장 (일본, 도쿄) | |||
주심: 사토 류지 (일본) | |||
| 5 : 0 | | |
| | ||
10' 김정우 24' 구자철 32' 이동국 37' 이승렬 90+3' 노병준 | | - | |
경기 영상 |
5. 3경기 중국 3 vs 0 대한민국
[[파일:East Asian Football Championship 2010.gif | height=50]] 2010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제3경기 2010. 02. 10.(수) 19:15(UTC+9) | ||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일본, 도쿄) | |||
주심: 응카이람 (홍콩) | |||
| 3 : 0 | | |
| |||
5' 위하이 27' 가오린 60' 덩줘샹 | | - | |
경기 영상 |
한편 중국전에서 대한민국의 허정무 감독은 상당히 실험적인 포메이션을 선보였는데 4-4-2 전형에서 미드필더 4명 구성이 김두현 - 구자철 - 김정우 - 오장은으로, 모두 중미를 기용한 것. 사실상 평가전 성격의 대회이니 전술 실험을 할 수 있긴 한데, 결과를 요약하자면 중국을 너무 만만히 봐서 흑역사를 남겼다.
6. 4경기 일본 3 vs 0 홍콩
[[파일:East Asian Football Championship 2010.gif | height=50]] 2010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제4경기 2010. 02. 11.(목) 19:15(UTC+9) | ||
도쿄 국립경기장 (일본, 도쿄) | |||
주심: 자오량 (중국) | |||
| 3 : 0 | | |
| |||
41', 82' 다마다 65' 다나카 | | - |
7. 5경기 홍콩 0 vs 2 중국
[[파일:East Asian Football Championship 2010.gif | height=50]] 2010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제5경기 2010. 02. 14.(일) 16:30(UTC+9) | ||
도쿄 국립경기장 (일본, 도쿄) | |||
주심: 김종혁 (대한민국) | |||
| 0 : 2 | | |
| |||
- | | 44', 74' (P) 취보 |
2010년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우승 |
|
[[중국 축구 국가대표팀| |
8. 6경기 일본 1 vs 3 대한민국
[[파일:East Asian Football Championship 2010.gif | height=50]] 2010 동아시아 축구 선수권 대회 제6경기 2010. 02. 14.(일) 19:15(UTC+9) | ||
도쿄 국립경기장 (일본, 도쿄) | |||
주심: 스트레버 델로프스키 (호주) | |||
| 1 : 3 | | |
| |||
23' (P) 엔도 | | 33' (P) 이동국 39' 이승렬 70' 김재성 | |
경기 영상 |
최종전인 한일전은 그 전부터 꾸준히 까임 게이지를 축적한 일본의 오카다 다케시 감독과 월드컵 최종예선에서 승승장구하다가 중국전에서 한방에 까임권을 벌어버린 허정무 감독의 단두대 매치가 되었다. 또한 날짜가 2010년 설날 당일이었다 보니 부디 한국 누리꾼들은 제발 이 경기를 이겨서 즐거운 설날이 되고 유종의 미라도 거둬주기를 빌고 또 빌었다. 저 유명한 도쿄 대첩의 무대인 도쿄 국립경기장에서 열린 한일전에서 전반 일찌감치 강민수가 내준 페널티킥을 PK 마스터 엔도 야스히토가 성공시키며 대한민국은 0:1로 끌려가게 된다. 그러나 잠시 후 대한민국도 김보경이 페널티 박스 안에서 영리한 플레이로 페널티킥을 유도해냈고 이를 이동국이 성공시키며 동점이 되었다.
승부의 저울추는 예상치 못한 선수에 의해 기울어졌는데, 당시 신예에 불과했지만 선발 출전한 이승렬이 먼 거리에서 뜬금없이 기습적인 중거리슛을 때린 것이 일본 수비수 맞고 붕 뜨면서 골키퍼 키를 넘어가 만세골이 된 것이다. 전반을 2:1로 앞선 채 마친 대한민국은 비록 후반전 초반 김정우가 경고누적으로 퇴장당하면서 수세에 몰리기도 했으나, 일본 공격수들은 번갈아 가면서 삽질을 반복했고, 결국 후반 25분에 찾아온 역습 찬스에서 김재성이 깔끔하게 감아찬 슈팅으로 쐐기골을 박았다. 3:1 시원한 역전승을 거뒀다.
일본은 대한민국 상대로 이길 경우 점수차에 따라 대회 우승까지 바라볼 수 있었지만, 대한민국이 고춧가루를 뿌리며 중국에 우승을 내준 것은 물론 대한민국한테도 밀려나 3위에 그쳤다. 후일담이지만, 이 때 단두대 매치를 벌인 두 감독은 4개월 후 남아공에서 나란히 반전을 보여준다. 허정무호/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및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일본 항목 각각 참고.
대회 MVP는 두웨이[7]가 수상했고, 이동국과 이승렬은 중국의 취보, 일본의 다마다 게이지와 함께 공동 득점왕을 수상했다.
개최국은 우승을 못 한다는 대회 징크스가 이번에도 이어진 것도 특기할 만한 사항이다.
9. 수상
페어플레이상 | 최우수 골키퍼상 | 최우수 수비수상 | 득점상 | 대회 MVP |
| | | | |
10. 최종 순위
순위 | 국가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득실차 | 승점 | 비고 | |
1 | | 중국 | 3 | 2 | 1 | 0 | 5 | 0 | +5 | 7 | 우승 |
2 | | 대한민국 | 3 | 2 | 0 | 1 | 8 | 4 | +4 | 6 | 준우승 |
3 | | 일본 | 3 | 1 | 1 | 1 | 4 | 3 | +1 | 4 | 3위 |
4 | | 홍콩 | 3 | 0 | 0 | 3 | 0 | 10 | -10 | 0 | 4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