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02:02:21

FPX/리그 오브 레전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FPX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FPX/리그 오브 레전드/2024 시즌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wiki style="margin: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_2020_white_notext.pngLPL
참가팀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파일:Ninjas_in_Pyjamas_2021_neon_logo.png
Bilibili Gaming Top Esports JDG Intel Esports Club Ninjas in Pyjamas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블랙.svg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 파일:Team_WE.png
FunPlus Phoenix Weibo Gaming TapTap LNG Ninebot Esports Team WE
파일:Oh_My_Godlogo.pn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png파일:Anyone%27s_Legendlogo_profile_textwhite.png 파일:LGD_Gamingnewlogo.png파일:LGD_Gamingnewlogo_white.png
Oh My God Invictus Gaming Anyone's Legend LGD Gaming
파일:TT_%28Chinese_Team%29logo_square.png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1200px-Rare_Atom_allmode_full.p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Thunder Talk Gaming Royal Never Give Up Rare Atom Edward Gaming Hycan
파일:Ultra_Prime.png
Ultra Prime
LDL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파일:FPX 로고 2021.svg
<colbgcolor=#000><colcolor=#fa0f00> 펀플러스 피닉스
FunPlus Phoenix
창단 2017년 12월 20일
소속 리그 LPL
모기업 파일:FunPlus_horizontal_logo.png
CEO 양옌
Emily
어시스턴트 량차오
Jerah
매니저 차오펑
Denny
리더 취안중허
Damon
감독 [[연형모|연형모
Sin
]]
코치 천위하오
Mouse
분석 김근형
ikryong
약칭 FPX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우승 기록
Worlds
(1회)
2019
LPL
(1회)
2019 서머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a0f00> 파일:TOP_icon_100.png
TOP
파일:중국 국기.svg [[핑샤오후|핑샤오후
Xiaolaohu
]]
파일:중국 국기.svg [[자오융줘|자오융줘
TheNiu
]]
파일:JGL_icon_100.png
JGL
파일:중국 국기.svg [[차이쯔쥔|차이쯔쥔
milkyway
]]
파일:MID_icon_100.png
MID
파일:중국 국기.svg [[양제(프로게이머)|양제
Care
]]
파일:ADC_icon_100.png
BO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대길|서대길
deokdam
]]
파일:SUP_icon_100.png
SPT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정민(2000)|김정민
Life
]]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파일:FPX 로고 2021.svg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league-of-legends.png FunPlus Phoenix
FunPlus Phoenix Blaze
파일:포트나이트 아이콘white.png FPX
<colbgcolor=#000000> 파일:CODM_Logo_Yellow.png FPX
파일:valorantlogo.png FPX
파일:wildriftwhitelogo.png FPX
파일:제5인격_로고.png FunPlus Phoenix Zhuque
}}} ||

1. 개요2. 상세3. 주요 경력4. 역사 및 역대 시즌5. 플레이 스타일
5.1. 2019 ~ 20215.2. 2022
6. 멤버7. FunPlus Blaze8. 기타9.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 스킨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FPX 로고 2021.svg
파일:FPX_2024_Spring_Playoffs.jpg
#Fly!PhoenixFly!
FPX 소속 중국의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팀 약자는 FPX.

2. 상세

2019 롤드컵 결승전에서 알려진 사실로 이 FPX의 CEO가 무려 라이엇 게임즈 미국 본사 초창기 개발자였으며 트린다미어 원챔으로 elo를 2400까지 올린 유저였다. 라이엇 본사 개발자 시절 닉네임은 RiotChun.[1]

2019 시즌 도인비의 영입을 기점으로 각 멤버들이 성장이 두드러지며 LPL을 비롯한 다른 메이저 리그에서도 강팀으로 평가받았다. 롤드컵 우승을 거머쥔 이후에도 구단에서 아낌없이 투자하는 것으로 유명하며 LPL 내에서도 손꼽힐 만큼 적극적인 영입 행보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 너구리로 이어지는 정상급 한국산 탑 라이너 용병들의 치명적인 부진, 21-22 시즌 월즈 그룹 스테이지 탈락-진출 실패를 연속으로 맞으면서 23 스프링에는 15위를 기록하며 쇠퇴기에 접어들고 있다. 팀 차원에서도 점점 지원을 축소하고 있어 과거의 영광을 뒤로 한채 새로운 길을 걷는 중인 IG와 비슷한 흐름을 밟고 있다.#

3. 주요 경력

우승 경력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19 Summer 우승
Invictus Gaming FunPlus Phoenix JD Gaming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 우승
Invictus Gaming FunPlus Phoenix DAMWON Gaming
준우승 경력
2019 Rift Rivals KR-CN-LMS-VN 준우승
LCK
(KZ, AFs, KT, SKT)
LPL
(IG, JDG, FPX, TES)
폐지
2020 Mid-Season Cup 준우승
출범 FunPlus Phoenix 폐지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준우승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준우승
JD Gaming FunPlus Phoenix Top Esports
2021 Demacia Cup 준우승
Team WE FunPlus Phoenix Thunder Talk Gaming
NEST 2022 준우승
Team WE FunPlus Phoenix Oh My God
수상 경력
LPL 연간 어워드 2019년 올해의 팀
Invictus Gaming FunPlus Phoenix Top Esports

4. 역사 및 역대 시즌

파일:funplus-phoenix-2qc3y9b8.png 파일:FPX_LoL_new_logo.png 파일:FPX 로고 2021.svg
FunPlus Phoenix FunPlus Phoenix FunPlus Phoenix
펀플러스 피닉스 펀플러스 피닉스 펀플러스 피닉스

5. 플레이 스타일

5.1. 2019 ~ 2021

팀 컬러는 LPL에서도 손꼽히는 운영의 대가. 2019 월드 챔피언십 우승 이후로는 현 시점에서 세계구급 강팀들이 구사하는 보편적인 선턴잡기 운영을 제시한 팀이다.

오래 전부터 LCK를 시청하던 팬들에게는 공격적인 성향의 LPL 소속답게 난전유도의 팀처럼 보이지만, 보편적인 시각에서 FPX는 LPL내에서도 비교적 별종으로 수비적으로 걸어 잠그는 운영을 선호하는 팀이다. 물론 2018시즌 이전의 LCK식 운영처럼 라인전 단계에서의 리스크를 최대한 줄이고 오브젝트 앞 한타 이전까지 교전을 회피하며 성장을 도모하는 수비적 운영과는 차이가 있는데, FPX는 초반 라인전에서 조금 손해를 보더라도 상대보다 미드 - 정글이 먼저 움직여서 상대 바텀과 탑, 상대 정글을 압박하는 플레이를 적극적으로 시도한다. 즉, 19 FPX를 기점으로 이제 운영은 교전과 운영중에 선택이 아니라 교전의 방식으로써 변화하였고 난전과 운영 중 하나라는 선택지가 되었다.

19 FPX가 LCK에게 준 충격은 18 IG에 못지 않은데 2018 시즌 패배 이후 교전에서 무력이 부족하다, 메타에서 뒤쳐진것이다 자체판단하던 LCK에게 너희는 운영도 부족하며 게임 실력이 부족해서 진것이라는 사형 선고를 내린 팀이다. 운영을 위해서 교전을 회피하는 LCK의 강팀들에게 현 시점에서 정석 운영은 교전의 우선권을 먼저 가지고있는 것임을 상기시켜준 팀.

2020 시즌 세계 리그의 강팀들을 보면 FPX, G2, C9 등 2019 롤드컵을 기점으로 방식의 차이는 있지만 FPX식 운영을 받아들이고 구사하는 팀들이 많다. 롤드컵 우승 후 연구가 정립된 FPX 스타일의 운영은 구 ROX 및 2017 서머 롱주의 속도전 운영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킨 빠른 합류를 통한 잦은 난전 유도와 오브젝트 주도권 선점에 특화되어 있다. 탑에서 김군이 버텨주고 미드-정글인 도인비-티안이 중간다리 해결사 역할로 보험인 Lwx를 시팅하는, 어찌 보면 지극히 정석적인 EU스타일 운영을 선보이는 듯하면서도 라인전 및 로밍 단계에서 위의 팀들보다 훨씬 능동적인 움직임을 보여주는 팀이다. 드래곤-전령 등 오브젝트 중심으로 뭉치는 한타를 선호하는 LCK, 스플릿과 시야 장악에 극도로 치중하는 G2와는 달리, 그 이전에 산발적인 로밍과 갱킹으로 오브젝트 선취 이전에 주도권 먼저 잡기를 철저히 우선시하는 소위 견제 위주의 운영을 지향한다.

이는 2018 롤드컵 우승팀인 IG나 2019 LPL 서머 준우승팀 RNG와도 차별화된 부분인데, IG가 피지컬을 앞세운 교전 승리와 이로써 얻은 킬값을 바탕으로 체급을 불리는 것을 선호하고, RNG는 라인전 단계에서 최대한 손해를 줄이고 전성기 시절의 우지와 샤오후를 앞세운 정면 한타에 강점을 보이는 팀이라면 FPX는 킬이나 오브젝트에 연연하지 않고, 라인전 단계에서부터 스노우볼을 굴려나간 다음, 오브젝트 타이밍 이전부터 미리 판을 깔아놓고 합류전으로 이득을 보고 운영으로 게임을 매듭짓는 것을 선호하는 팀이다. 실제로 19 서머에 우승할 때도 교전 중심의 리그인 LPL 팬들에게서도 'FPX는 다른 LPL 팀들과 달리 이질적이다, LCK 팀을 보는 것 같다.'는 평을 종종 듣곤한다.

2021시즌에는 화려한 정규성적과 탄탄한 플옵 경기력에도 불구하고 결승전마다 미끄러지며 2연 준우승에 머물더니 롤드컵에서는 그룹 스테이지 탈락이라는 충격적인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이후 팀의 주축이었던 도인비, 크리스피가 각각 LNG, BLG로 떠났으며 티안 역시 TES로 이적하며 너구리는 한 시즌 휴식 후 친정팀 LCK의 담원 기아로 복귀하면서 결국 Lwx를 제외한 멤버들이 팀을 떠났다.

5.2. 2022

2022시즌, LCK에서 클리드와 고리를 영입하고 LPL 서폿 최대유망주인 항을 데려오며 생각보다 준수한 로스터를 구축한다. 린웨이샹-항의 캐리력을 통해 게임을 굴리는 전형적인 바텀 캐리팀으로 초기에는 기대 이상의 활약을 보이는 탑 유망주 샤오라오후와 뒤늦게 합류했으나 좋은 퍼포먼스를 보이는 클리드의 존재로 탄탄한 중상위권팀이라는 평가를 받았다.[2] 다만 샤오라오후가 신인다운 기복을 보이고 린웨이샹-항이 이전만 못한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플옵 막차 싸움을 할 것이라는 사전예상에 들어맞는 경기력을 선보이고 있다.

서밋의 등장과 함께 후에 서머 우승팀이 되는 징동을 때려잡으며 떡상했지만, 갑작스레 서밋과 클리드가 저점을 노출하면서 정규시즌 후반 우르르 무너지더니 포스트시즌도 좋지 않게 마무리했다. 정작 가장 우려했던 케어는 라인전 스노우볼은 못 굴려도 04년생이라고는 믿기 힘들만큼 팀게임을 잘 해냈으나... 팀은 뭔가 맞지 않았다.

6. 멤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FPX/리그 오브 레전드/멤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FunPlus Blaze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EF4923><tablebgcolor=#EF4923> 파일:LDL_white.pngLDL
참가팀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Group A
파일:EDward_Gaming_Youth_Teamlogo_square.png 파일:Young_Glorylogo_square.png 파일:FPB_New_logo.png 파일:LGD.Ylogo_square.png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Joy_Dreamlogo_square.png
EDG YOUTH TEAM Invictus Gaming Young FunPlus Blaze LGD Gaming
Young Team
Joy Dream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300px-Royal_Clublogo_square.png 파일:TT.Y logo.png 파일:Oh_My_God_Academylogo_square.png 파일:LNG_Academylogo_square.png 파일:Bilibili_Gaming_Juniorlogo.png
Royal Club Thunder Talk
Gaming Young
Oh My God Academy LNG Academy Bilibili Gaming Junior
Group B
파일:MiaoJinglogo_square.png 파일:Anyone's_Legend.Younglogo_profile.png 파일:MAX_Teamlogo_square.png 파일:Weibo_Gaming_Youth_Teamlogo_profile.png 파일:Ji_Jie_Haologo_square.png
MiaoJing Anyone's Legend.Young MAX Weibo Gaming Youth Team Ji Jie Hao
파일:Top_Esports_Challengerlogo_square.png 파일:Team_WE_Academylogo_square.png 파일:Rare_Atom_Period_logo_square.png 파일:Ultra_Prime_Academy_logo_square.png
Top Esports
Challenger
Team WE Academy Rare Atom Period Ultra Prime Academy
LPL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 ||


파일:FPB_New_logo.png
<colbgcolor=#000><colcolor=#fa0f00> 펀플러스 블레이즈
FunPlus Blaze
창단 2018년 12월 21일
소속 리그 LDL
모기업 파일:FunPlus_horizontal_logo.png
매니저 뤄거린
Green
감독 뤄펑
yondaime
약칭 FPB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파일:X Corp 아이콘(화이트).svg 파일:시나 웨이보 아이콘.svg
우승 기록
LDL
(1회)
2022 서머
로스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a0f00> 파일:TOP_icon_100.png
TOP
파일:JGL_icon_100.png
JGL
파일:중국 국기.svg 리더밍
sorrow
파일:MID_icon_100.png
MID
파일:중국 국기.svg 양쯔판
Yummy
파일:중국 국기.svg 서신위안
Ashes
파일:ADC_icon_100.png
BOT
파일:중국 국기.svg 천쩌
Xingye
파일:SUP_icon_100.png
SPT
파일:중국 국기.svg [[당보린|당보린
Lele
]]
파일:중국 국기.svg 왕쯔이
fled
}}}}}}}}}
팀 컬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우승 기록
2022 LDL Summer 우승
Bilibili Gaming Junior FunPlus Blaze Royal Club
준우승 기록
2021 LDL Spring 준우승
Shu Dai Xiong Gaming FunPlus Blaze Royal Club

팀 약자는 FPB.

8. 기타

팀의 분위기는 매우 좋으나 밈으로서는 악의적으로 왜곡되는 IG와 180도 다르게, 이쪽은 진짜로 멤버들이 서로의 부모님 안부를 매번 물어보는 저세상 팀워크를 지니고 있다. 특히, 김군은 평소의 과묵한 이미지와는 다르게 인터넷 방송에서는 탑신병자 그 자체로 돌변하며, 팀원이고 뭐고 한번씩 패드립은 꼭 박고 만다. 근데 더 저세상인건 다른 팀원들도 이를 적절하게 패드립으로 받아치고 있다. 김군과 티안은 심지어 차오니마를 툭하면 차오니마를 사이좋게 주고받는 수준. 아마시절 인성갑 중 하나였던 도인비가 오히려 이들을 말리며 양쪽에서 쏟아지는 패드립에 시달리는 정도. 그야말로 IG보다 더 갤주에 어울리는 팀이다.[3] 여기에 새로 영입된 칸마저 한국 시절과 달리 점점 예전의 노빠꾸 성향이 커지고 있다...

다만 팀의 정신적 지주 김군이 떠나고 2021 시즌을 겪으며 팀도 몰락하고, 특유의 저세상 팀워크는 농담식으로 주고받는 패드립에서 점점 선을 넘고 서로 다투더니 진짜 불화까지 이어지고 말았다는게 티안과 도인비의 다툼로 인해 밝혀졌다. 결국 19FPX 멤버들은 월즈 우승팀 멤버들 중에서도 유일하게 서로서로 저격하고 불화가 이어지며 불구대천의 원수가 되고 말았다.[4]

FPX가 여태까지 국제대회[5]에서 공통적으로 보인 기묘한 특징이 있는데, 첫 경기는 반드시 패배한다는 것이다.[6]

9.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우승 스킨

파일:FPX_LoL_new_logo.png
2019 시즌[7]
파일:2020_FPX.jpg
파일:TOP_icon_black.png
GimGoon
파일:JGL_icon_black.png
Tian
파일:MID_icon_black.png
Doinb
파일:ADC_icon_black.png
Lwx
파일:SUP_icon_black.png
Crisp
갱플랭크 리 신 말파이트 베인 쓰레쉬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black>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우승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10602, #220401, #120200)"
{{{#!wiki style="color: white;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시즌1 시즌2 시즌3 2014
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파일:Fnatic_old_logo_full_darkmode.png 파일:Taipei_Assassinslogo_square.png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Samsung white.png
Fnatic
Taipei Assassins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White
2015 2016 2017 2018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파일: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 로고.png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SK telecom T1
Samsung Galaxy
Invictus Gaming
2019 2020 2021 2022
파일:FPX_LoL_new_logo.png 파일:DAMWON.p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DRX 로고(2020~2022).svg
FunPlus Phoenix
DAMWON Gaming
Edward Gaming
DRX
2023 2024 2025 2026
파일:T1 LoL 로고.svg
T1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파일:LPL_2020_white1.png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역대 우승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3 스프링 2013 서머 2014 스프링 2014 서머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OMGlogo300.png 파일:Positiv_Energy_oldlogo.png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Oh My God
Positive Energy
Edward Gaming
2015 스프링 2015 서머 2016 스프링 2016 서머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파일:900px-LGD_Gaming_Org_logo.png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RNG.png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Edward Gaming
LGD Gaming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2017 스프링 2017 서머 2018 스프링 2018 서머
파일:Team WE old.pn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RNG 로고 2017.svg
Team WE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2019 스프링 2019 서머 2020 스프링 2020 서머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600px-FunPlus_Phoenix_oldlogo_square.png 파일:JD_Gaming.png 파일:TES 로고 2019.svg
Invictus Gaming
FunPlus Phoenix
JD Gaming
Top Esports
2021 스프링 2021 서머 2022 스프링 2022 서머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파일:RNG 로고 2017.svg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Royal Never Give Up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JDG Intel Esports Club
2023 스프링 2023 서머 2024 스프링 2024 서머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
}}}}}}}}} ||



{{{#!wiki style="margin:-10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 파일:LPL_2020_white1.pngLeague of Legends
Pro League

연간 어워드 최고의 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14 2015 2016 2017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OMGlogo300.png 파일: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edwardgamig-oldlogowhite.png 파일:RNG 로고 2017.svg
Oh My God Edward Gaming Royal Never Give Up
2018 2019 2020 2021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파일:FPX_LoL_new_logo.png 파일:TES 로고 2019.svg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 화이트.svg
Invictus Gaming FunPlus Phoenix Top Esports Edward Gaming
2022 2023 2024 2025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
}}}}}}}}} ||




[1] 그 유명한 Better Nerf Irelia 밈의 시작이 된 리메이크 전 이렐리아 7회 연속 너프를 이 사람이 한것이라고한다.[2] 일각에서는 미드에 도인비가 남았거나 UP에서 고통롤 중인 크라인을 데려왔으면 확실한 상위권팀이었을 것이라며 안타까워할 정도.[3] 그래서 한국 팬들에게 새롭게 얻은 팀 별명이 중국판 프로스트다(...). 미드가 로밍에 강점이 있고 한타에 강한 팀이란 점이 묘하게 공통점. 그러나 기본적으로 멤버들 기량 자체가 그 시절 프로스트보다 다재다능하며, 정글은 성향 자체가 정 반대다.[4] 그나마 유일하게 아무하고도 싸우지 않고 모두하고 친하게 지내는 김군이 있긴하다.[5] 2019 리프트 라이벌즈, 2019 롤드컵, 2020 MSC, 2021 롤드컵[6] 2019 리프트 라이벌즈에서는 당시 스폰서 관련 문제를 겪으며 LCK 내에서 연패를 쌓아가던 킹존에게 첫 경기에서 패배했고, 2019 롤드컵에서는 결과적으로 구 와일드카드 지역인 베트남 팀을 제외하면 조 최하위(3위)를 기록한 대만의 J Team에게 첫 경기부터 패배하면서 꿀조를 배정받았니 1위 직행은 확정이니 하는 이야기가 한 번에 날아갔으며, 2020 MSC에서는 마찬가지로 조 최하위(4위)를 기록한 T1에게 첫 경기에서 패배하였다. 그리고 2021 롤드컵에서는 시작부터 담원을 만나 백중세를 펼칠 것이라는 대부분의 예상을 뒤엎고 원 사이드로 털렸다.[7] 2014 시즌 이후 5년만에 식스맨 스킨이 없는 롤드컵 우승팀 스킨이다. 식스맨인 Xinyi가 한 경기도 출전하지 못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