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15:07:19

평라선/역 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평라선

1. 들어가기 전2. 목록

1. 들어가기 전

평라선의 역을 다루는 문서.

우수리스크, 모스크바행 국제열차가 정차하는 역은 볼드체로 표시하였으며 두음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문화어규정을 준수하여 역명을 표기하였다. 개업 당시의 역명은 각주로 별도 표기했다.

2. 목록

기점거리 역간거리 역명 분기선 소재지
-19.1 0.0 평 양 平 壤 평부선
평남선
평덕선
평양시 중구역
-14.4 4.7 서평양 西平壤 평양시 형제산구역
-8.0 6.4 서 포 西 浦 화성선
-4.4 3.6 산 음 山 陰
0.0 4.4 간 리 間 里 평의선
8.2 8.2 중 이 中 二 평양시 룡성구역
15.3 7.1 동북리 東北里 화성선
20.5 5.2 배산점 裵山店 평양시 은정구역
25.0 4.5 평 성[1] 平 城 평안남도 평성시
31.3 6.3 봉 학 鳳 鶴
39.0 7.7 자 산 慈 山
47.3 8.3 순 천 順 川 만포선 평안남도 순천시
50.8 3.5 신련포[2] 新蓮浦 대건선 평안남도 은산군
56.8 6.0 은 산 殷 山 은산선
61.4 4.6 수 양 首 陽 천성탄광선
67.0 5.6 신 창 新 倉 천성탄광선
75.5 8.5 수 덕 修 德
83.7 8.2 신성천 新成川 평덕선 평안남도 성천군
91.8 8.1 거 흥 巨 興
96.5 4.7 장 림 長 林
104.5 8.0 신 양[3] 新 陽 평안남도 신양군
108.9 4.4 인 평 仁 平
115.9 7.0 지 수 智 水
123.9 8.0 양 덕 陽 德 평안남도 양덕군
131.7 7.8 내 동 內 洞
137.3 5.6 석탕온천 石湯溫泉
145.8 8.5 거 차 巨 次
151.8 6.0 천 을 天 乙 함경남도 고원군
158.1 6.3 운 곡 雲 谷
163.3 5.2 요 덕[4] 耀 德 함경남도 요덕군
169.3 6.0 토 령 土 嶺 함경남도 고원군
174.6 5.3 문 필[5] 文 筆
182.6 8.0 성 내 城 內
186.3 3.7 둔 전 屯 田 고원탄광선
188.2 1.9 팔 흥[6] 八 興
192.9 4.7 축 전 杻 田
198.0 5.1 미 둔 彌 屯
201.3 3.3 방 화 傍 花
205.9 4.6 부래산 浮來山
212.6 6.7 고 원 高 原 강원선
217.6 5.0 현 흥 玄 興
225.0 7.4 금 야[7] 金 野 금야선 함경남도 금야군
233.4 8.4 인 흥[8] 仁 興
240.7 7.3 범 포 范 浦
248.3 7.6 왕 장 旺 場
252.7 4.4 문 봉 文 峰 함경남도 정평군
257.6 4.9 신 상 新 上
264.4 6.8 부 평 富 坪
274.1 9.7 정 평 定 平
282.3 8.2 함 주[9] 咸 州 함경남도 함주군
288.2 5.9 주 서 州 西
294.5 6.3 함 흥 咸 興 신흥선
서호선
함경남도 함흥시
298.4 3.9 함흥조차장 咸興操車場
303.3 4.9 창 흥[10] 昌 興 창흥선
309.9 6.6 흥 남 興 南 서호선
312.5 2.6 서 호[11] 西 湖
317.0 4.5 마 전 麻 田
321.9 4.9 신 중 新 中 함경남도 락원군
326.7 4.8 려 호 呂 湖
330.9 4.2 락 원[12] 樂 園
336.2 5.3 세포리 細浦里
338.8 2.6 라 산 羅 山
344.0 5.2 삼 호 三 湖
352.1 8.1 룡 운[13] 龍 雲 함경남도 홍원군
357.1 5.0 홍 원[14] 洪 原
363.1 6.0 경 포 景 浦
370.5 7.4 운 포 雲 浦
376.4 5.9 풍 어[15] 豊 漁 함경남도 신포시
378.7 2.3 륙대동 六坮洞
382.9 4.2 신 포 新 浦
388.9 6.0 양 화 陽 化
396.0 7.1 강상리[16] 江上里 함경남도 금호군
403.0 7.0 속 후 俗 厚
407.8 4.8 양 지 陽 地
411.9 4.1 신북청 新北靑 북청선 함경남도 북청군
417.3 5.4 경 안[17] 景 安
425.5 8.2 거 산 居 山
430.6 5.1 건 자 乾 自
434.4 3.8 라 흥[18] 羅 興 리원선 함경남도 리원군
437.7 3.3 증 산 曾 山
444.5 6.8 염 분 鹽 盆
447.9 3.4 송 단[19] 松 端
451.6 3.7 리 원[20] 利 原
457.0 5.4 쌍 암 雙 岩
462.0 5.0 곡 구 谷 口
466.9 4.9 기 암 奇 岩
472.8 5.9 신단천[21] 新端川 함경남도 단천시
478.4 5.6 오몽리 吾夢里
483.1 4.7 단천청년[22] 端川靑年 단풍선
488.0 4.9 문 암 門 岩
491.7 3.7 여해진 汝海津 금골선
두언선
498.9 7.2 룡 대 龍 臺
505.7 6.8 일 신 日 新
513.4 7.7 만 춘 晩 春 함경북도 김책시
519.1 5.7 쌍 룡 雙 龍
525.5 6.4 김 책[23] 金 策
531.8 6.3 장 평[24] 長 坪
534.5 2.7 학 성[25] 鶴 城
538.9 4.4 송 상[26] 松 上
546.3 7.4 업 억 業 億
552.2 5.9 원 평 院 坪
562.2 10.0 로 동[27] 蘆 洞 일탄선 함경북도 길주군
567.8 5.6 길주청년[28] 吉州靑年 백두산청년선
575.3 7.5 금 송 金 松
579.4 4.1 온수평 溫水坪
585.5 6.1 명 천[29] 明 川 고참탄광선 함경북도 명천군
594.2 8.7 내 포 內 浦 함경북도 명간군
598.7 4.5 룡 반[30] 龍 蟠
602.7 4.0 상룡전 上龍田
607.2 4.5 룡 동[31] 龍 洞
612.0 4.8 삼 향[32] 三 鄕
615.3 3.3 극 동 極 洞
621.8 6.5 조막산 造幕山
632.6 10.8 봉 강 鳳 岡 함경북도 어랑군
641.4 8.8 어대진 漁大津
650.7 9.3 어 랑[33] 漁 郞
660.3 9.6 룡 현[34] 龍 峴 대향선 함경북도 경성군
667.5 7.2 경 성[35] 鏡 城
672.1 4.6 생기령 生氣嶺
680.2 8.1 승 암[36] 勝 岩
688.5 8.3 라 남[37] 羅 南 함경북도 청진시
694.4 5.9 남강덕 南康德 강덕선
696.5 2.1 송 평[38] 松 坪
698.9 2.4 수 남[39] 水 南
701.6 2.7 청진청년[40] 淸津靑年 청진항선
704.7 3.1 청 암[41] 靑 岩 함북선
712.6 7.9 금바위 金바위
718.7 6.1 승 원 勝 院
725.2 6.5 련 진 連 津
734.7 9.5 사 구 沙 口
738.6 3.9 부 거 富 居
748.2 9.6 삼 해 三 海
754.2 6.0 관 해 觀 海
761.6 7.4 락 산 洛 山
767.2 5.6 방 진 方 津
771.2 4.0 후 창 厚 倉 라선시 라진구역
776.0 4.8 명 호 明 湖
782.8 6.8 라 진 羅 津 함북선
라진항선


[1] 개업 당시 역명은 사인장(Sainjang / 舍人場)[2] 개업 당시 역명은 봉하(Pongha / 鳳下)[3] 개업 당시 역명은 동원(Tongwŏn / 東元)[4] 개업 당시 역명은 관평(Kwanp'yŏng / 館坪)[5] 개업 당시 역명은 천성(Ch'ŏnsŏng / 泉城)[6] 개업 당시 역명은 인흥(Inhŭng / 仁興)[7] 개업 당시 역명은 영흥(Yŏnghŭng / 永興)[8] 개업 당시 역명은 마장(Majang / 馬場)[9] 개업 당시 역명은 함남흥상(Hamnam Hŭngsang / 咸南興上)[10] 개업 당시 역명은 본궁(Pon'gung / 本宮)[11] 개업 당시 역명은 서호진(Sŏhojin / 西湖津)[12] 개업 당시 역명은 퇴조(T'oejo / 退潮)[13] 개업 당시 역명은 용운(Yong'un / 龍雲)[14] 전진(Chŏnjin / 前津).[15] 개업 당시 역명은 영무(Yŏngmu / 靈武)[16] 개업 당시 역명은 의호(Ŭiho / 義湖)[17] 개업 당시 역명은 신창(Sinch'ang / 新昌)[18] 개업 당시 역명은 나흥(Nahŭng / 羅興)[19] 개업 당시 역명은 이원(Iwŏn / 利原)[20] 개업 당시 역명은 군선(Kunsŏn / 群仙)[21] 개업 당시 역명은 용강(Yonggang / 龍崗)[22] 개업 당시 역명은 단천(Tanch'ŏn / 端川)[23] 개업 당시 역명은 성진(Sŏngjin / 城津)[24] 개업 당시 역명은 신성진(Sinsŏngjin / 新城津)[25] 개업 당시 역명은 농성(Nongsŏng / 農城)[26] 개업 당시 역명은 학중(Hakchung / 鶴中)[27] 개업 당시 역명은 노동(Nodong / 蘆洞)[28] 개업 당시 역명은 길주(Kilju / 吉州)[29] 개업 당시 역명은 고참(Koch'am / 古站)[30] 개업 당시 역명은 명천(Myŏngch'ŏn / 明川)[31] 개업 당시 역명은 용동(Yongdong / 龍洞)[32] 개업 당시 역명은 영안(Yŏngan / 永安)[33] 개업 당시 역명은 회문(Hoemun / 會文)[34] 개업 당시 역명은 용현(Yonghyŏn / 龍峴)[35] 개업 당시 역명은 주을(Chuŭl / 朱乙)[36] 개업 당시 역명은 경성(Kyŏngsŏng / 鏡城)[37] 개업 당시 역명은 나남(Nanam / 羅南)[38] 개업 당시 역명은 청진서항(Ch'ŏngjinsŏhang / 淸津西港)[39] 개업 당시 역명은 청진어항(Ch'ŏngjinŏhang / 淸津漁港)[40] 개업 당시 역명은 청진(Ch'ŏngjin / 淸津)[41] 개업 당시 역명은 반죽(Panjuk / 班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