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20B0FF, #4166F5, #4166F5, #4166F5, #20B0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tablewidth=100%><colbgcolor=#0080ff><colcolor=#fff> 게임 요소 | 아이콘킷(레퍼런스) · 업적(샤드 수집 · 힘의 길) | |
커뮤니티 | Pointercrate · 한국 포럼 · 갤러리 · 관련 사이트 팁 · 용어(소고기 · 프레임 퍼펙트) · 기네스 · 관련 인물 · 논란 및 사건 사고 | ||
공식·온라인 레벨 | 스테이지(The Tower) · 맵팩(Demon 맵팩) · 건틀렛 · 데일리 레벨 · 위클리 데몬 · 이벤트 레벨 · 크리에이팅(오브젝트 · 트리거) · 온라인 레벨(시리즈 · Legendary 레벨 · Mythic 레벨) · 난이도 표기 문제 | ||
데몬 | 난이도 구분 Easy · Medium · Hard · Insane · Extreme 포럼 순위 등재 관련 Upcoming · Unrated · 역대 포럼 순위 1위(플랫포머) · Main - Extended List · Legacy List · AREDL List · 챌린지 · 플랫포머 | ||
연동 게임 | |||
기타 | RobTopGames · Mega Hack · Geode | ||
}}}}}}}}}}}} |
1. 개요
Frame Perfect프레임 퍼펙트. 줄여서 프퍼펙. 생존할 수 있는 하나의 프레임 구간, 또는 그 프레임에서 취하는 클릭 또는 릴리즈[1]를 뜻한다.
타 게임에서도 사용되는 용어지만 이 문서는 Geometry Dash에서 수용되는 의미에서 서술하였다.
2. 설명
Trueffet에서의 프레임 퍼펙트 출처 |
게임을 프레임 단위로 나누었을 때 클릭이나 릴리즈가 허용되는 프레임이 하나일 때 사용한다. 즉 1프레임이라도 늦게 클릭해도 빠르게 클릭해도 안된다는 뜻이다. 또한 프레임 퍼펙트가 아니라도 나중 클릭이 가능해지기 위해 하나의 프레임만 유효하다면 그것도 프레임 퍼펙트이다.
예를 들어 60TPS에서 구동할 때 게임은 60분의 1초마다 연산을 수행한다. 그 간격의 사이에 눌렀다고 해도 다음 프레임에서 입력을 받아들인다. 이 중 단 하나의 프레임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면 이를 60프레임 퍼펙트라고 부른다.[4]
지메에서 프레임 퍼펙트는 주로 60프레임 퍼펙트를 의미하지만 다른 FPS에서도 프레임 퍼펙트를 만들 수 있다. nFPS 환경에서 프레임 퍼펙트는 n프레임 퍼펙트라 한다.
n프레임 퍼펙트가 다른 의미로도 쓰이는데, 어느 FPS 환경에서 유효한 프레임이 n개라면 n프레임 퍼펙트로 표현하기도 한다.[5]
다음은 n프레임 퍼펙트에서 클릭해야 하는 시간의 간격을 반올림해서 나타낸 것이다.
FPS | 간격 |
60 | 0.016초 |
120 | 0.0083초 |
240 | 0.00416초 |
이를 확인하는 방법은 프레임 단위로 나눈 뒤 한 클릭이 가능하고 앞뒤 클릭이 불가능하면 프레임 퍼펙트로 판정한다. 클릭 하나하나를 손수 확인해야 하니 부정확한 정보가 많다. 지메 커뮤니티에서 가장 신뢰가 높은 사람이 LeTim이다. 프레임 퍼펙트의 개수는 대부분 여기가 출처이다.
3. 상세
지메를 가장 어려운 게임으로 만든 주범이며, 익스트림 데몬에서 주로 볼 수 있다. 지오메트리 대시는 모니터의 주사율에 따라 편차가 큰 게임으로 알려져 있는데, 커스텀 맵의 상향 평준화가 심화됨에 따라 저주사율 모니터로 클리어가 불가능한 맵이 생기거나 특정 주사율 이상의 모니터를 요구하는 맵들이 생기고 있다.보통 프레임 퍼펙트를 요구하는 게임이 30~60프레임으로 돌아가는데, 지메의 포럼 최상위권 익데의 프레임 퍼펙트 범위는 1/60프레임을 기본으로 깔고 간다. 심지어 이게 한두개가 아니고 한 맵에 수십 개가 있다. 최상위권 익데에서는 120프레임 퍼펙트도 하나씩 나오기 시작한다.
개념은 전부터 있었지만 유명해지기 시작한 것은 2024년 즈음으로 추정된다. 대략적인 난이도를 수치로 나타낼 수 있다는 점과 지메가 가장 어려운 게임이라는 일부 유저들의 자부심을 자극해서인 것일 수도 있다.
게임 모드에 따라 프퍼펙이 만들어지기 쉬운지 달라진다. 웨이브는 길이 직관적이고 유저들이 숙련된 모드여서 고난도 레벨의 프퍼펙은 거의 여기서 나온다. 그 다음으로는 큐브가 해당된다. 반대로 배 모드는 길이 직관적이지 않고 그만큼 게임플레이를 해칠 수 있기 때문에 잘 나오지 않는다.
360프퍼펙은 60FPS 환경에서 항상 불가능이 아니다. 360FPS에서 그 하나의 프레임이 60FPS에서 클릭 가능한 프레임과 겹친다면 지나가질 수도 있다. 이때는 오히려 60FPS로 넘어가는 게 쉽다. 이와 같은 상황이 후술할 아케론 가시이다.
특정 FPS에서는 불가능한 프퍼펙이 있을 수 있다. 위와 같은 아케론 가시는 144FPS에서 겹치는 프레임이 없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불가능하다. 하지만 프레임 드랍 등으로 우연히 프레임이 겹칠 수도 있기 때문에 아주 적은 확률로 가능하다.참고
4. 난이도
상위권 익데부터는 거의 프퍼펙이 존재한다. 까다로운 타이밍이지만 이런 익데에 도전하는 실력이면 꽤 익숙해져있을 것이다. 프퍼펙이라고 해도 1초 전부터 뛸 생각은 하지 않으니 체감상 60분의 1초란 압박감보다는 쉽다.사람들이 언급하는 주제 중 하나가 프퍼펙이 많으면 난이도도 높은가이다. 이에 대한 답은 조금 애매하다. 확실히 프퍼펙은 까다로운 타이밍을 의미하니 이같은 게 많을수록 난이도가 올라간다. 하지만 프퍼펙 가지고만 레벨의 전체 난이도를 비교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보면 2025년 1월 기준 포럼 361위인 Hatred는 프퍼펙이 12개, 22위인 Eyes in the Water는 10개이다. 전자는 저속 칼타 레벨로 프퍼펙이 만들어지기 쉽고 지니가기도 편하다. 하지만 후자는 프퍼펙이 생기기 어려운 초반 비행과 드랍의 높은 CPS를 요구하는 변칙적인 플레이가 주를 이루기 때문에 이렇게 차이가 나는 것이다.
레벨의 난이도는 좁은 간격만으로 결정되는 것이 아닌 여러 요소가 고려되어 나타나는 것이므로 프퍼펙 개수는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그렇다고 프퍼펙이 난이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아니니 그런 경향이 있지만 예외가 많다정도로 답을 할 수 있다.
5. 사례
- Acheron의 첫 점프는 360FPS에서 단 두 개의 프레임만 유효하다. 즉 360FPS 2프레임 퍼펙트로 지메에서 가장 어려운 점프 중 하나이다.
- Tidal Wave는 60프레임 퍼펙트가 200개로 프퍼펙이 가장 많은 레벨이다. 기존 1위였던 Solar Flare의 89개를 훨씬 웃도는 수치이다. 길이도 길고 웨이브로 난이도를 올려 매우 많아진 사례이다.
다만 초당 프레임 퍼펙트 수는 약 1.1개로 챌린지를 제외해도 Solar Flare나 Aquamarine 등에게 밀린다. 120프레임 퍼펙트가 하나 있는데 이는 죽을 수 있는 가장 마지막 구간인 웨이브를 떼는 곳이다. 여기서 죽으면 95%가 뜨며 Zoink가 한 번 걸렸다.
- Neliswave는 인세인 데몬이지만 프레임 퍼펙트를 가지고 있다. 맨 마지막 웨이브를 떼는 구간인데 정확히 8번째 클릭에서 놓아야하는 중위권 익데에서도 보기 힘든 타이밍이다.
- 구 불가능 레벨 Ashley Wave Trials는 120프레임 퍼펙트가 11개로 챌린지를 제외하면 가장 많이 가지고 있다. 또한 모든 레벨을 통틀어 Tidal Wave와 함께 60프레임 퍼펙트가 100개를 넘어가는 둘 뿐인 레벨이다.
- VSC는 가장 어려운 챌린지인 동시에 챌린지 중 프퍼펙이 61개로 가장 많다. 하지만 초당 프퍼펙은 3SH in Hell 등에 밀린다.
- 챌린지 2위 FINAL FANTASY는 모든 레벨을 통틀어 120프레임과 240프레임이 각각 27개, 5개로 가장 많다.
- UNKNOWN의 두 번째 점프는 360프레임 퍼펙트지만 첫 점프를 넘기고 꾹 누르고 있으면 그냥 지나가진다. 실질적으로 프퍼펙이 아닌 셈이다.
- Kyouki는 프퍼펙이 22개로 2024년 Top 10인 것에 비해 적은 수치이다. 하지만 30프퍼펙이 150개 이상으로 상당히 많은 편으로 프퍼펙으로 난이도가 결정되지 않다는 것의 예시 중 하나이다.
- 전 ILL 1위 레벨 CYCLOLCYC는 1974프퍼펙[6]이 216개로 아득한 수치를 보여준다. 초반 큐브에서 20연속 프퍼펙 4동타가 있다.
- Bloodbath에는 프퍼펙이 적어도 한 개 있다.[7] 이는 물리엔진 업데이트로 인한 영향을 받은 것일 수도 있다.
- Sakupen Hell은 특정 조건에서 프퍼펙이 20개 이상이 나온다.# 우연히 동선이 딱딱 들어맞아서 수가 늘어난 셈이다. 이럴 땐 잘못된 동선을 타는 경향이 적어져서 난이도가 낮아진다.
6. 여담
- LeTim의 조크 영상에서 Back on Track의 6프레임 퍼펙트가 35개라고 한다.#
- 1배속에서 연달아있는 가시 3개를 넘는 것은[8] 3프레임 퍼펙트이다.
- 각 점프별 360FPS에서 허용 프레임 개수는 이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영상에 나온 가장 어려운 점프는 3배속 소형 큐브로 4단가시 점프로 360프퍼펙이다.
- CBF(Click Between Frames) 모드를 사용하면 프레임 사이의 딜레이를 없애주어 프레임 퍼펙트라는 개념이 성립하지 않는다.
7. 참고 링크
프퍼펙 카운트 방법(LeTim)프퍼펙 개수(LeTim)
프퍼펙 설명(랑께님)
[1] 클릭을 떼는 것을 뜻함.[2] Frames Per Second. 초당 프레임 개수를 의미한다.[3] Transactions Per Second. 초당 연산 횟수를 의미한다.[4] 일상적으로 말해서 스마트폰의 스톱워치에서 n.00초를 정확하게 맞추는 챌린지가 100프레임 퍼펙트라고 생각하면 된다.[5] 예를 들어 60FPS에서 2프레임 퍼펙트는 60FPS에서 유효한 프레임이 두 개이다.[6] 0.00005초[7] 미치건 파트의 UFO.[8] 흔히 삼단가시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