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12:46:19

Deimos(ItsHybrid and more)

1. 개요2. 구간3. 여담

1. 개요

<rowcolor=#fff>
파일:ExtremeDemonFeaturedGMD.png
Deimos
by ItsHybrid & more[1], verified by Doggie

캡션
Megacollab made by 20+ people. Sequel to Phobos. Verified by Doggie in 43k attempts. GooD luck..
{{{#!wiki style="margin: -16px -11px;"<colcolor=#fff><colbgcolor=#8c1c1c> 레벨 정보
레벨 ID 93091893
레벨 비밀번호 없음(복사 가능)
레벨 길이 2분 57초
오브젝트 수 157,646
업로드 버전 2.1
}}} ||<bgcolor=#f5f5f5,#191919>
||<-2><tablewidth=100%><tablebgcolor=#f5f5f5,#191919><color=#fff><bgcolor=#000><width=50%> 보상 ||
10 파일:StarGMD.png
500 파일:OrbGMD.png
리스트 기록
<colcolor=#fff><colbgcolor=#8c1c1c> GDDLadder 티어 35티어
Pointercrate 최고 순위 #13
||
사용된 사운드트랙
Solkrieg - Deimos

ItsHybrid가 주최한 Phobos의 공식 후속작. 원래는 Phobos의 비공식 후속작이었으나, 공식 후속작이었던 Skele의 Deimos의 제작이 중단되면서 공식 후속작이 되었다.

호스트가 원했듯이 1.9 스타일을 잘 활용해 전체적으로 Phobos의 느낌을 잘 살렸다. 조악한 퀄리티로 악평이 있었던 전작에 비해 개선된 디자인과 파트간 조화가 돋보인다. 전작의 호스트였던 Tygresek도 참여하였으며, Phobos에도 참여하였던 Smokes는 이번에도 참여하여 파트를 만들었다.

2021년 3월 9일, 첫 번째 프리뷰가 공개되었다.#

2021년 10월 14일, 디자인이 완성되어 full level이 공개되었다. 난이도는 TOP 1급으로, 추후 난이도 밸런싱과 너프 등을 통해 TOP 5정도의 난이도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한다.

베리파이어인 Blitzer가 38%, 31-64%, 46-100%를 달성했지만 베리파이어가 Cursed로 바뀌었으며, 55-100%를 달성했지만 드롭하여 ThnnderGD가 베리파이하게 되었다.

Thnnder가 45%, 41-93%를 달성했지만 Doggie에게 넘겨주게 되었다.

2023년 8월 5일, Doggie가 43,813번의 시도 끝에 베리파이에 성공했다. Doggie는 이 맵을 Abyss of DarknessSakupen Circles 사이인 7위로 평가했으며, 10위 이내 어디든 들어갈 수 있다고 첨언했다.

2023년 8월 8일, Zoink가 5,209라는 어템으로 최초 클리어를 하였다. Zoink는 클리어 이후 이 맵을 Saul Goodman과 arcturus 사이인 The Hallucination과 비슷한 난이도라고 평가했다. 발언 시점 기준 15~16위로 평가했는데, Doggie가 7위로 평가한 것과 차이가 크다.[2]

2023년 9월 1일, 피쳐드로 레이팅되었다.

2023년 9월 22일, 13위에 배치되었다. 이 맵을 클리어한 두 초고수 Doggie와 Zoink의 난이도 평가가 크게 갈렸는데, 실질적으로 Zoink의 의견이 중점적으로 반영되어 배치되었다.[3] 사실 대부분의 유저들은 Doggie가 이 맵을 과대평가하였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있어도 Firework와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였는데 Zoink가 마치 BoJ의 Wooshi999마냥 비정상적으로 이 맵을 빨리 깨버린 것이다. 실제로 상당수의 유저들이 LIMBO~Tartarus 사이는 난이도 차이가 아주 크지 않으며 맵 순위를 개인차에 따라 크게 변동을 두는 반면 MINUSDry 위로는 아래 맵들과 순위를 거의 섞지 않기에 실질적으로 Zoink의 손을 들어주었다고 봐야 한다. 아무래도 Zoink가 이 맵에 굉장히 적은 어템을 쓰고 클리어한 것이 영향을 크게 미친 것으로 보인다.

Trick이 이 맵을 클리어한 뒤 Zoink를 제외한 다른 유저들이 생각한 순위에 근접한 10위로 평가함으로써 순위의 향방은 다시 알 수 없어졌다. 현재 Geometry Dash에서 가장 유명한 초고수 3명이 전부 난이도 티어를 다르게 잡은 상황이라[4] 개인차가 상당히 심한 것으로 보인다. 보통 개인차가 심한 맵들은 구 불가능 맵처럼 독특하고 좋지 못한 게임플레이를 가진 맵인 경우가 많은데, 이 맵은 또 게임플레이에 대한 평가는 일관적으로 괜찮다는 게 특이한 점.

그러나 LIMBO가 이 맵 아래인 15위로 떨어져버리고 그 위의 맵들이 The Lightning Rod[5], MINUSDry 등 Tartarus급은 아니라고 평가받는 맵들인지라 그동안 LIMBO가 과대평가되어왔을 뿐 사실상 이 맵도 Tartarus급은 아니라는 것이 주류가 되었고, 결국 2025년 1월 12일에는 Firework까지 추월하면서 16위로 재평가되었다.

한국 최고 기록은 Heeru의 91% 이다.

2. 구간

Pocke's Part
0~2%
별개 없는 구간이고 쉬운편. 암기가 좀 있지만 적어서 조금만 익숙해지면 된다.
Wespdx's Part
2~6%
암기적인 요소가 있지만 적어서 쉬운편. 다만 Pocke파트 보다는 훨씬더 어렵다.
Intensa's Part
6~9%
큐브 공점 파트이고 프레임 퍼펙트는 3개. 어떤 공점을 눌러야 하는지가 중요한 파트이지만 쉬운편.
Maxfs's Part
9~12%
공점이 엄청나게 많은 파트. 큐브, 배, UFO로 어떤 공점을 눌러야 하는지 암기 해야하고 배는 중간중간 공점이 있으니 주의해야한다.[6]
GD Iris's Part
12~15%
별거 없는 파트이고 Pocke파트와 비슷한 난이도.
Enixy & Polli's Part
15~18%
미로성 파트이고 중간에 프레임 퍼펙트 1개를 조심하면 된다. 그래도 쉬운편.
Cersia's Part
18~21%
도입이 중요한 파트. 중간에 큐브 프레임 퍼펙트 점프 1개가 나오니 주의 할것.
GDskele's Part
22~22%
만만치 않은 파트가 나올것을 알려주는 파트
Platnuu's Part
22~26%
Deimos의 진정한 시작
처음은 배모드 포탈 미로를 지나야 하는데 난이도가 좀 있고 다음은 저속 볼로 바뀌고 파란 공점을 눌러야 하는데 배모드에서 어떻게 도입했는지에 따라 파란 공점 타이밍이 달라진다.[7] 그후 바로 UFO로 바뀌는데 난이도가 상당히 있는편이고 넘어가면 큐브 공점 타이밍, 볼 모드 공점 타이밍이 나오지만 어렵지 않고 그 다음 나오는 미니 웨이브가 이 파트의 하디스트다. 속도가 좀 있는것도 모자라 프퍼펙[8] 2연타이기 때문에 매우 어렵고 그후 나오는 대형 웨이브도 매우 어려우니 주의할것. 진정한 시작을 알려주는 파트
Killa & Loltad's Part
26~30%
시야이동과 프레임 퍼펙트 2개가 있어 어렵다. 다만 그 전 파트보다는 쉽다고 평가받는다.
Yonaka's Part
30~36%
첫번째 파란 공점 부터 프레임 퍼펙트이고 그후 큐브 칼타가 나오다 빨라지면서 매우 어려운 어려모드을 거쳐 지나야 한다. 진짜 말 그대로 정말 어려운 편. 또 프레임 퍼펙트는 3개이고 Platnuu파트 보다 더 어렵다고 평가받는다.
Smokes's Part
36~41%
여러모드을 칼타를 거쳐 지나야 한다. 프레임 퍼펙트는 1개로 적은편이고 이 부분이 Deimos에서 혹평을 받는 부분이다. 그 이유는 다른 파트들에 비해 너무 떨어지는 디자인이고 밸런스가 안 맞춰진 부분이라 혹평을 받는다. 디자인은 그렇사한게 옛날 유저인 Smokes가 디자인을 해서 다른 파트들의 비해 떨어진다.
Tygrysek & Juhou's Part
41~46%
Deimos에서 가장 어려운 파트 1
Juhou답게 디자인이 좋은 파트다. 하지만 이 파트가 최악의 난이도로 혹평을 받는다. 처음 큐브, 배 칼타는 어렵지 않으나 그 다음 웨이브가 미친 난이도를 자랑한다. 처음 대형 웨이브는 어렵지 않으나 4배속 미니 웨이브가 하디스트다. 보기에는 넒어보이나 4배속이고 걲이는 구간이 전부 프레임 퍼펙트다! 그후 나오는 대형 웨이브도 매우 어렵다. 말 그대로 정말 어려운 편.
Licen's Part
46~51%
Deimos에서 가장 어려운 파트 2
시작부터 볼 칼타 초록 공점 클릭과 프레임 퍼펙트 노란 공점 타이밍이 나온다. 그후 3배속으로 프레임 퍼펙트 공점 클릭을 해야하고 중간에 가려지는 장애물도 있어 매우 어렵다. 그 다음은 배 > 큐브가 순서대로 반복된다. 그러나 중간정도인 편.
LIEB's Part
51~56%
시작부터 암기 핑크 공점 클릭을 하면서 대시링을 클릭을 해야하는데 은근 어렵다. 대시링을 누르면서 중간에 웨이브로 바뀌는데 그 다음 웨이브 파란 공점이 프레임 퍼펙트라서 조금 실수를 하면 안된다. 지나가면 웨이브 연타,D블럭을 사용한 패턴이 나온다. 그후 에는 별게 없으나 마지막 노란 공점 클릭을 조심해야 한다.
Pokechatt's Part
56~58%
잠시 쉬어가는 파트다. 저속으로 칼타만 잘하면 별게 없다.
River's Part
58~62%
시작부터 2배속 배 초록 공점 클릭, UFO 칼타 3번등이 등장한다. 크게 어렵진 않다. 문제는 그 다음 웨이브다. 중간에 2배속이 있고 간격이 프레임 퍼펙트라 정말 어렵다. River에서는 죽을것이 여기 밖에 없다.
Alkali's Part
62~64%
저속으로 컨트롤이 중요한 배모드가 등장한다.
ItsHybrid's Part
64~69%
처음은 암기 미로 큐브가 나온다. 다음이 조금 사고다. 배모드로 통과해야 하는 장애물이 있는데 프레임 퍼펙트 클릭이라 정말 어렵다. 또 미로성 + 암기가 있어 더욱더 난이도가 있다. 그후 에는 짧은 1자 비행이 나온다.
Antares's Part
69~74%
2번째 드롭 시작
시작부터 정말 어렵다. 처음은 볼, 큐브로 시작하고 웨이브가 등장하는데 난이도가 매우 있는 편이고 지나가면 잠깐 암전되면서 암기 프레임 퍼펙트 공점 타이밍이 있다. 그후 에는 프퍼펙 타이밍 배모드 공점이 있는데 출구컷을 하니 조심해야 한다. 여기 파트부터 난이도가 다시 올라간다.
Zipixbox's Part
74~79%
처음은 1.5칸 비행 다음은 급발진 검은 공점 타이밍이 있는데 정말 어렵고 그후 에는 매우 어려운 난이도의 여러가지 모드가 등장한다. 말 그대로 정말 어려운 편.
ItsHybrid(Again) & Cersia & GrenadeofTacos's Part
79~84%
매우 복잡한 난이도를 가진 파트다.
Parallax's Part
84~88%
시작부터 프레임 퍼펙트 분홍 공점 타이밍 그후 엄청나게 빡센 연타 웨이브가 등장하는데 도입이 잘못되면 바로 죽는다. 지나가면 눈으로 봐도 어려워 보이는 모드들을 지나야 한다. 말 그대로 정말 어려운 편.
Endlevel's Part'
88~91%
빠르고 어려워보이지만 연습만 하면 쉽다.
Ryamu & zDeadlox's Part
91~95%
Deimos에서 가장 어려운 파트 3
대부분 클리어자들이 여기 파트에서 한번씩 걸렸을 정도로 악랄한 파트다. 배 큐브 비대칭 듀얼인데 난이도가 마지막답지 않게 메우 어렵고 뭐가 보이지도 않게 해놔서 정말 어렵다. 게임플레이가 Ryamu라서 마지막 답지 않다........... Acheron?
ItsHybrid's Part
95~100%
엔딩 아트가 나온다.

3. 여담

  • 순위가 뒤바뀐 LIMBO는 무려 23위로 강등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6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6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ItsHybrid, Pocke, Wespdx, Isane, Max, Iris, Polli, Enixy, Cersia, Skele, Platnuu, Loltad, Killa, Yonaka, Smokes, Tygresek, Juhou, Licen, Lieb, PokeChatt, River, Alkali, Antares, Zipixbox, GrenadeOfTacos, Parallax, End, Ryamu[2] Sakupen Circles와 arcturus의 간극은 매우 크다. arcturus는 Tartarus와 난이도 개인차가 갈리는 반면 Aod와 사써는 Tartarus급 맵들과 난이도를 섞지 않는 Firework급 맵과도 난이도 격차가 나기에 arcturus보다는 두 단계 이상 어려운 맵으로 평가받는다.[3] UDL에서도 11위, 레이팅된 맵 중 딱 Firework 바로 아래 순위로 예상했는데 이보다도 낮은 순위이다.[4] Doggie는 Slaughterhouse급, ZoinkTartarus급, TrickFirework급으로 잡았다. 초고수들 사이에서 개인차가 발생하면 보통 Zoink가 맵을 저평가했다는 결론이 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에는 약 5천밖에 되지 않는 어템 수로 매우 빨리 클리어해 버렸기 때문에 포럼도 Zoink의 평가가 더 신빙성 있다는 쪽으로 최초 순위를 산정했다.[5] 이쪽은 Zoink가 깨는데 10000어템 언저리를 사용했다.[6] 당연히 발동되면 즉사.[7] 그러나 이런 경우는 잘 없으니 안심해도 된다.[8] 프레임 퍼펙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