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의 거짓의 DLC 보스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챕터 | 중간 보스 | 메인 보스 | ||||||||||
챕터 Ⅰ | | | |||||||||||
폭군 포식자* | 죽음의 인형사 마르키오나 | ||||||||||||
챕터 Ⅱ | | | |||||||||||
청소부들 수장 베로니크* | 두 얼굴의 감시자 | ||||||||||||
챕터 Ⅲ | | | |||||||||||
녹색 사냥꾼 유생 | 비통에 눈먼 유적 수호자 | ||||||||||||
챕터 Ⅳ | | - | |||||||||||
서자들 수장 루마키오* | - | ||||||||||||
| |||||||||||||
피의 예술가 알레키노 | |||||||||||||
* 필수로 처치해야 하는 중간 보스. | }}}}}}}}} |
<colcolor=#EB4D3D><colbgcolor=#DCD8D0> 피의 예술가 알레키노 Arlecchino, the Blood Artist | |
| |
보스 정보 | |
등장지역 | 모나드 자선원 내 '장미 정원' |
약점 | 전기 |
내성 | 화염 |
보상 | 비밀 방 열쇠 인도하는 자의 가면 인도하는 자의 전투복 모나드의 장미검[1] |
에르고 | |
성우 | |
BGM - Minutes to Midnight(1페이즈)[2][3] Crimson Revelry(2페이즈)[4] | |
1. 개요
하하하! 내가 전에 맞섰던 그 전설은 어디 갔나요?
레아: 닥쳐! 이 망할 인형아!
아니, 도저히 물어보지 않을 수 없군요.
당신, 정말로 사랑하는 제자를 구할 수 있다고 믿은 건가요?
한심하군!(레아를 걷어찬다)
그런데 네놈은 누구세요?[5]
레아: 닥쳐! 이 망할 인형아!
아니, 도저히 물어보지 않을 수 없군요.
당신, 정말로 사랑하는 제자를 구할 수 있다고 믿은 건가요?
한심하군!(레아를 걷어찬다)
그런데 네놈은 누구세요?[5]
P의 거짓: 서곡의 최종 보스이자 레아의 숙적. 본편에서 등장한 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의 과거 전성기 시절 모습이다.[6]
2. 보스전
옹발이의 보스 전투 영상. (37초)부터 2페이즈가 시작된다. |
DLC의 최종 보스답게 본편 + DLC 통틀어서 조력자가 없다는 기준으로는 가장 어려운 보스로 꼽히고 있다. 소울 시리즈와 소울라이크 게임의 DLC가 나오면 보통 본편을 다 마무리한 유저들에게도 긴장감을 주기 위해 스펙을 올리고 패턴을 다채롭게 짜서 유저를 애먹이는 필드나 보스가 나오게 되는데, 알레키노는 그런 예시의 전형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지막 스테이지인 장미 저택이 DLC 지역치곤 생각보다 어렵지 않은 필드라 조금씩 여유가 생기고 있던 플레이어의 뒤통수를 제대로 친다.
알레키노와의 전투를 까다롭게 만드는 근본적인 요소는 패턴의 가짓수가 극단적으로 많다는 점이다. 알레키노는 패턴 시전 도중 패턴을 캔슬하고 다른 패턴으로 연계하거나, 낮은 확률로 패턴 종료 후 퓨리 어택을 이어 사용하거나, 특정 패턴은 시전 횟수가 그때그때 달라지는 등 딜타임 캐치를 어렵게 하는 요소들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 그렇기에 수십가지나 되는 경우의 수의 패턴을 전부 외운 것이 아니라면 딜타임인 줄 알고 공격했다가 후속타에 역공당하거나, 반대로 딜타임인지 확실히 파악하기 위해 알레키노의 움직임을 주시하다가 딜타임을 놓쳐버리기 쉽다. 여기에 날개를 달아주는 점이 특유의 높은 호전성인데, 굉장히 다채롭고 빡빡한 패턴을 이전에 나왔던 보스들보다 여유를 적게 주고 쏟아붓는다. 심지어 2페이즈가 되면 호전성이 더 오른다.
대신 이에 대한 보상으로 최종보스 치고는 은근히 물몸이라 딜이 잘 박히며 그로기 내성도 낮다. 알레키노의 공격은 대부분 연격이기 때문에 퍼펙트 가드에 익숙해졌다면 그로기를 쉽게 쌓을 수 있고, 2페이즈부터 사용하는 붉은 손톱과 칼날, 톱니를 이용한 특수 패턴들은 대처법이 확실하고 대부분 딜타임으로 이어지기 때문에 패턴을 완벽히 외우지 못 했더라도 수비적으로 대응하다가 확실할 때만 공격을 가해도 어렵지 않게 체력을 깎을 수 있다. 즉 패턴 이해도와 숙련도가 높아질수록 체감 난이도는 크게 낮아진다.
알레키노 보스전은 특이하게 조력자를 소환하는 그릇이 없으며 대신 보스방 내부에 주저앉아 있는 레아에게 말을 건 뒤 그녀를 일으켜 세워 참전시킬 수 있다. 알레키노는 보스전 시작 시 입구와 매우 동떨어진 위치에 서있으며 인사 모션과 천천히 걸어오는 무빙을 확정적으로 보여주므로 레아를 일으키는 긴 지연시간동안 공격에 노려질 걱정은 하지않아도 된다.[7] 레아는 전설의 스토커라는 명성에 걸맞게 무시무시한 패턴으로 무장된 알레키노의 어그로를 나름 긴 시간 분산시켜 주는 것은 물론 딜링 능력도 우수하고[8] 체력이 모두 소모되도 사라지지 않고 주저앉을 뿐이라 여유만 된다면 다시 일으킬 수 있다. 또한 레아를 참전시킨다면 알레키노의 대사 일부도 바뀌고 2페이즈 페이탈 어택시 레아와 주인공이 합동공격을 하는 특수 연출이 발생한다. 이렇듯 레아가 성능적으로도 성능 외적으로도 여러모로 우수하기 때문에 정 어렵다면 최대한 살아남는 것에 집중하며 레아를 보조하는 것도 나름 공략이라면 공략. 전술한 연출을 고려하면 서사적으로는 레아와의 협공을 전제로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며, 보스 설계의 측면에서는 까다로운 보스의 패턴 학습 난이도를 크게 낮출 수 있는 요소로서 기능한다.[9]
2.1. 1페이즈
Tick-tock, tick-tock, Romeo's on the clock!
And you appear to be nothing but talk.
째깍째깍! 로미오의 목숨은 지금도 꺼져 가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입으로만 소중하다고 하고 있는 중에도 말이죠.
레아 도움 없이 홀로 도전하는 경우
And you appear to be nothing but talk.
째깍째깍! 로미오의 목숨은 지금도 꺼져 가고 있습니다!
여러분이 입으로만 소중하다고 하고 있는 중에도 말이죠.
레아 도움 없이 홀로 도전하는 경우
Oh, how sweet. Now, our guest of honor - Lea Florence Monad - takes the stage one more time!
아, 참 자상하군요. 이제 우리의 주인공, 레아 플로렌스 모나드가 다시 무대 위에 섭니다!
레아를 일으켜 세울 시
아, 참 자상하군요. 이제 우리의 주인공, 레아 플로렌스 모나드가 다시 무대 위에 섭니다!
레아를 일으켜 세울 시
패턴 숙지를 충분히 했을 경우 그나마 쉬운 페이즈지만, 본편의 최종보스와 달리 1페이즈부터 미친듯이 연격이 쏟아지기 때문에 패턴 숙지가 되지 않았을 경우 해당 페이즈만으로도 충분히 DLC의 최종 보스에 걸맞는 난이도를 보여준다. 근접한 뒤 쌍수 무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면서 공격하며, 거리가 멀어지면 퍼펫 스트링으로 거리를 좁히기도 한다.
패턴 사이의 연계가 매우 다채로워 공격 종료 타이밍을 잡기 힘들단 것도 문제지만, 그 이상으로 공격을 이어나가려는 듯 페이크 모션을 시전해 딜타임을 날려먹고 그 사이 다시 공격을 날리는 인성질(...)을 시전하기 때문에 패턴에 익숙하지 않다면 속아넘어가기 쉽다는게 문제.
두 대 이상 칠 수 있는 딜타임은 거의 없으니 조바심과 욕심을 버리고 침착하게 천천히 상대하자. 연타 패턴이 워낙 많아 회피에는 한계가 있기에 어렵더라도 퍼펙트 가드 위주로 플레이하는 것이 좋다. 또한 그로기 유지 시간이 매우 짧다. 따라서 그로기를 걸 경우 몇대 더 칠 생각하지 말고 바로 앞잡을 먹여야 한다.
쉽게 상대할 수 있는 방법은 사실상 없다. 원거리 견제기는 없지만 극도로 호전적인 성격 때문에 플레이어가 멀리서 투척물만 던져도 순식간에 퍼펫 스트링으로 거리를 좁혀와 도륙을 내기 때문에 침착함을 잃지 말고 공방을 주고받는 것이 최선이다.
2.1.1. 패턴
대사를 시전하는 패턴은 파란색 표시, 회피가 불가능한 퓨리 어택은 붉은색으로 표시.이 문단을 읽으며 주의할 점은, 알레키노는 하술한 패턴을 전부 콤보 익스텐더로 이어가는데, 그 조합이 너무 방대해 직접 시전하기 직전까진 예상하는게 거의 불가능하다. 즉 한 패턴이 끝날 즈음에 다른 특정 패턴으로 이어갈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어야한다. 상체를 약간 숙이며 자세를 고쳐잡거나 팔을 늘어뜨리며 웃는 모션이 나올 땐 매우 높은 확률로 콤보가 끝났단 의미이므로 이 때가 비교적 안전한 딜타임이다.
- 퍼펫 스트링
개막 패턴으로 쓰기도 하고, 이후에도 플레이어가 알레키노와 거리가 멀어지면 자주 쓴다. 특이하게 인간형 적인 플레이어에게 쓰는데도 불구하고 플레이어를 당겨오지 않고 알레키노가 직접 플레이어 앞으로 달려오는게 특징. 해당 패턴 직후엔 무조건 왼손 엇박 패턴으로 시작하는 연타 연계가 이어진다. 퍼펫 스트링의 칼날이 날아올 때 패링이 가능하지만, 거리 좁히기는 패링이 되지 않는다.
- 사이드 스탭 캔슬
패링 위주로 플레이할 때 적응 난이도를 높이는 주요 패턴. 패턴을 진행하다가 사이드 스탭을 뛰며 동작을 취소하고 다른 패턴을 진행한다. 최대 두 번 연속으로 시전한다.
- 안구 점멸 후 연격
눈에서 주황색 불빛이 점멸한 후 이어지는 연격 패턴으로, 근접해 있다면 빠른 돌진 찌르기 후 곧바로 내려찍기로 이어지고 이후 연격으로 이어지고, 멀리 있다면 점프해 달려들어 내려찍고 연격으로 이어지는 패턴. 박자 자체는 정직해서 퍼펙트 가드는 어렵지 않다. 다만 이 패턴의 진짜 문제는 바로 펄스 전지 캐치인데, 실수로 어떤 패턴을 맞아 체력을 회복하기 위해 펄스 전지를 사용하면 기다렸다는듯 이 패턴으로 연계된다. 체력 회복 한번 하려다가 오히려 얻어맞고 별바라기로 사출되거나 펄스 전지를 1개 더 소모하는 불상사가 생길 수 있어 거리를 어느정도 벌리거나, 1페이즈에서 펄스 전지를 전혀 사용하지 않을 정도로 숙련도를 높이는 것이 낫다. 완전히 가까운 거리에서 쓰는게 아니라면 펄스 전지 사용 직후 퍼펙트 가드가 가능하니 충분한 거리라 판단한다면 후속 공격을 막아낼 마음의 준비를 하고 전지를 쓸 수도 있다. 알레키노가 백스탭으로 거리를 벌릴 때 사용하거나 캐치 이후에는 내부 쿨이 존재하는지 일정 시간 동안 다시 캐치하지 않므로 이 때 전지를 사용해도 된다.
- 왼손 2타 후 오른손 2타
양손을 번갈아 2타씩 쓰는 총 4타 패턴. 다른 패턴들에 연계로 자주 섞여나온다.
- 점프 어택
도약 후 양손을 교차하며 내려찍는다. 찍은 뒤 상체를 세우고 무기를 옆으로 뻗을 경우 후속 연격으로 이어진다. 후속 연격으로 이어지지 않을 경우 패링 후 넉넉한 딜타임이 주어진다.
- 도약 돌려차기
패턴 시작과 중간 어디에서든 끼어나올 수 있는 패턴.
- 돌진 올려베기
거의 알아차리기 힘든 짧은 선딜 후에 달려와 올려베는 패턴. 시작 패턴으로 자주 나오기에 따로 기억하면 좋다.
- 교차 베기
양손을 교차하며 x자로 베는 패턴. 이 패턴이 중요한 이유는 해당 패턴이 나올 경우 알레키노의 패턴이 무조건 끝나기 때문이다.
- 백스텝 후 무기 갈기
가끔씩 나오는 패턴으로, 뒤로 매우 먼 곳 까지 물러난 뒤 무기로 자신의 목을 그어 무기를 간다. 효과는 불명.[10]
상술했듯이 알레키노는 위의 패턴들을 하나씩 쓰는 게 아니라 모조리 섞어서 쓰며 몇 개를 섞는지, 어느 패턴에서 끝나는지는 순전히 알레키노 마음대로이기 때문에 상술한 패턴이 완전히 끝났음을 뜻하는 모션들을 확실히 파악해 두는 게 좋다.
2.2. 2페이즈
This is exactly what I've been waiting for!
This PAAAAIIIINNNNNNN!
The Alchemists offered me nothing but boredom.
But you two...
You'll offer me something... greater, won't you?
이게 바로 내가 기다려온 순간이야!
이 고통!!!
연금술사들은 지루함 말고는 아무것도 주지 않았어.
하지만 너희들이라면...
나에게 더... 위대한 가르침을 주겠지. 안 그래?
This PAAAAIIIINNNNNNN!
The Alchemists offered me nothing but boredom.
But you two...
You'll offer me something... greater, won't you?
이게 바로 내가 기다려온 순간이야!
이 고통!!!
연금술사들은 지루함 말고는 아무것도 주지 않았어.
하지만 너희들이라면...
나에게 더... 위대한 가르침을 주겠지. 안 그래?
여러분! 저 알레키노가, 가장 중요한 것을 해부합니다... 바로 인간의 영혼!
솔로로 2페이즈 진입시
혈전을 이어나간 끝에 P(와 레아)에게 밀리며 무기를 떨어트리는데, 스스로 신체를 과부화시켰는지 동체가 붉게 빛나면서 인공피부나 옷이 전부 타들어간 채 피웅덩이 위에 쓰러진다. 하지만 그대로 리타이어하지 않고 인공피부 속에 있던 금색 몸체를 드러낸 채 붉은 머리카락과 망토가 생겨나며, 등에 내장된 한 쌍의 양날톱이 날개마냥 펼쳐지고 양 팔엔 리스트블레이드가 내장된 기괴한 모습으로 변신해 다시 일어선다.솔로로 2페이즈 진입시
1페이즈와 비교를 불허하는 사실상 알레키노 보스전의 시작이라고 봐도 무방하다. 1페이즈보다도 더 정신없고 더 까다롭고 더 호전적이다. 심지어 1페이즈와 공유하는 패턴도 거의 없기에 플레이어 입장에선 아예 다른 보스와 2연전을 하는 것에 가깝다.
2페이즈에서 참고해야 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 피 오오라를 휘감은 날 공격은 막타 이후 붉은 바닥 장판이 깔리고 터진다. 이 장판은 가드 및 패링이 불가능하지만, 날 공격이 끝나고 반 박자 이후 회피기를 쓰면 무적 프레임동안 회피가 가능하다.
- 손톱 공격과 톱니 공격은 파손 상태이상[11]을 건다.
- 2페이즈 또한 1페이즈와 마찬가지로 랜덤 콤보 익스텐더 위주로 짜여져 있다. 다행인 것은 패턴 종료를 의미하는 동작이 1페이즈와 비교할 시 좀 더 명확해졌다는 것과 다음 패턴을 시전하기까지의 딜레이가 1페이즈에 비해 길단 점이다. 즉 1페이즈 이상으로 패턴을 버텼을때의 보상도 커졌단 의미이므로 패턴중 무리하게 맞싸움을 하기보다는 패턴을 어찌저찌 버텨내면서 딜타임을 확실히 가져오는게 중요하다.
- 1페이즈와 달리 펄스 전지 캐치 패턴이 없어 상술한 딜타임 시간 중 안정적으로 재정비를 할 수도 있다.
1페이즈와 마찬가지로 워낙 연격을 정신없이 몰아치기에 패링에 숙달된다면 그로기 게이지를 빠르게 쌓을 수 있다. 따라서 두 페이즈 공통의 공략법은 패링 위주로 패턴에 대응하다가 패턴이 끝나거나 경직에 걸릴 때마다 한두 대씩 쳐주고 그로기에 빠트려 극딜을 보는걸 반복하는 식이다.
레아를 쓰지 않고 그나마 난이도를 낮추는 방법은 투척물, 데우스 엑스 마키나, 완벽의 연마석이다. 개막 패턴인 혈액탄 발사는 모션이 매우 길고 끝날 때 무조건 플레이어 위치로 날아오기 때문에 완성된 자 락사시아의 2페이즈를 상대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상대할 수 있다. 바닥에 데우스 엑스 마키나를 3개 모두 깔고 완벽의 연마석 부여까지 가능할 만큼 개막 패턴의 선딜이 길기 때문에 개막 패턴만 피하면 이후 별 고민없이 마중 준비를 해줄 수 있고 이 방법으로 시작하자마자 어느 정도 데미지를 넣고 시작할 수 있다.
또한 1페이즈의 알레키노가 거리가 벌어질락 싶으면 미친듯이 다가오는 것과 달리 2페이즈의 알레키노는 백스텝 후 장판 폭발이나 후방 견제 등 알아서 거리를 벌리는 패턴들도 제법 있어 거리가 벌어졌을 때 투척물로 조금씩 데미지를 넣어줄 수 있다. 어차피 최종보스전이므로 그로기 넣는데 중요한 투포환 말고는 가진걸 다 털어낸다는 느낌으로 싸워도 상관없다.
2.2.1. 패턴
대사를 시전하는 패턴은 파란색 표시, 회피가 불가능한 퓨리 어택은 붉은색으로 표시.- 혈액탄
개막 패턴. 피웅덩이에서 솟아올라 피를 모은 뒤, 사람 얼굴 형태의 피를 날린다. 락사시아의 번개보다 속도가 빠르고 유도력도 강하므로, 알레키노와 거리를 조금 벌린 다음 옆으로 전력질주하면 아슬아슬하게 피해진다. 혈액탄이 다 끝난 뒤에는 돌진한 다음 잠시 뒤에 피로 소용돌이를 만드는데 이게 범위가 엄청나게 넓다. 이 연계는 회피로 돌진을 피한 다음 알레키노로부터 떨어지는 방식으로 피하는 것이 좋다. 시전하기 전에 전조 모션이 매우 길기 때문에 이때 그라인더로 미리 무기의 내구도를 수리하자. 연계기가 부담되면, DLC 챕터 4 떠돌이 상인이 판매하는 연마석 코팅 캡슐(기본 연마석 사용횟수 증가) 구매해서 완벽의 연마석을 최대 6회까지 증가시켜 쉽게 막을 수 있지만(P기관까지 합쳐야 6회), 가격이 꽤 비싸니 주의. 다만 알레키노가 그로기가 잘 뜨는 편이고 체력도 낮아서 보통 2번째 혈액탄 패턴을 시전하고 난 뒤에 죽기 때문에 횟수를 늘릴 상황이 잘 안나와, 임시로만 챙기는 곳이 좋다. 딜을 좀 더 추구한다면 락사시아 전에서 사용하는 데우스 엑스 마키나나 연마석을 사용하고 곧바로 투척물을 던지면 최대 4개까지 던져볼 수 있다.
알레키노가 빈사일 때 발악으로 더 시전한다. 알레키노의 체력이 정말 적게 남았을 때 시전하기 때문에 투척물을 쟁여놓은 플레이어라면 이 때 투척물을 써서 클리어 할 수 있다.[12]
- 난무 + 내려찍기 + 회전공격 + 소용돌이 광역기
혈액탄 착지 이후 100% 무조건 이어서 진행하는 콤보 익스텐더 동작. 해당 패턴 공격 구성은 위에서 세 번 + 올려치기 한 번 + 빠른 좌우 공격 네 번 + 퓨리 어택 내려찍기 + 회전공격 막타 + 광역기 공격으로 구성되어 있다. 광역기 공격은 패리가 불가능하며, 이후 딜타임을 길게 주기 때문에 알레키노 앞 방향으로 회피하고 콤보를 넣어주는 것이 좋다. 플레이어 기준으로 뒤로 질주하면 난무 공격으로부터 거리는 벌릴 수 있으나 퓨리 어택은 호밍이 심하니 어찌되던 패링을 해야한다. 타이밍 자체는 어렵지 않다.
- 붉은 손톱 콤보 익스텐더
손에서 붉게 빛나는 손톱이 자라나며 정박으로 연타를 날린다.[13] 이후 익스텐더로 백스탭 광역기 + 전진 2연타를 이어나갈 수 있으니 주의하자. - 광역기 콤보 익스텐더
팔에서 붉게 빛나는 칼날을 뽑아 준비자세를 길게 취하다가 정면을 향해 휘두르며 광역 장판을 깐다. 해당 패턴을 시작할 때 이미 멀리 거리를 벌린 상태가 아니라면 무조건 광역기 영역 안에 들어가니 회피기 무적 프레임으로 버티자. 2연타에서 3연타까지 이어갈 수 있는데, 막타는 무조건 정면 찌르기 + 광역기로 끝낸다. - 톱니 공격 콤보 익스텐더
톱니를 빼들어 변박으로 2연타에서 3연타까지 이어갈 수 있는데, 패링에 파손 리스크가 있지만 패리 타이밍이 쉽고 퍼펙트 가드 후 이점이 많아 무조건 패리하는 것이 좋다. 막타는 정면을 향해 톱니 두 개를 한번에 내지른 뒤 그대로 갈아서 연타하는 것으로 끝낸다. 내지른 상태에서 플레이어를 트래킹하진 않으니 회피 후 공격해도 되지만, 마지막 톱니 연타 동작이 퍼펙트 가드에 매우 취약하므로 막타를 모조리 퍼펙트 가드해서 그로기 수치를 왕창 쌓는 것이 좋다. 2 페이즈에서 대처하기 상당히 쉬운 패턴이면서 그로기 기회도 주는 패턴인만큼 해당 패턴만큼은 숙지하는 것이 좋다.
- 톱니 투사체
옆으로 움직이며 톱니에서 투사체를 여러개 발사하는 패턴. 투사체는 짧은 시간 생성된 위치에 머문 이후 정직하게 날아오니 달려서 피하거나 패링으로 처리한다. 이후 일정 확률로 후술할 퓨리 어택과 잡기 패턴을 연계하는 경우가 있는데, 다른 착지형 퓨리 어택과 달리 살짝 뜸을 들이며 날아오니, 박자에 주의할 것. 또한 위의 퓨리 어택 콤보는 톱니 투사체들이 날아오는 도중에 동시에 들이닥치는 경우도 많으니 주의하자.
- 톱니 내리찍기
다른 패턴을 섞어 쓴 다음에 막타로 사용하던가, 아니면 일반 상태에서 곧바로 뛰어와 단타로 실행하는 톱니 내려찍기 패턴. 데미지는 다른 퓨리 어택에 비해 낮은 편이나, 문제는 제페토의 인형을 피격시키는 데 성공하면 후술할 잡기로 확정적으로 연계된다. 패링에 성공하면 연격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 잡기
두 가지 패턴이 있는데, 둘 다 엄청난 데미지를 자랑한다. 고회차에선 체력 레벨 100에 풀피 상태여도 원콤당할 수 있다.[14] 하나는 오른팔의 칼로 배를 찔러 들어올린 뒤 등에 달린 원형톱으로 상반신을 갈아버리는 패턴, 다른 하나는 왼손으로 바닥에 눌러버린 뒤 옆구리를 오른팔의 칼로 4번 찌르고 마무리로 등에 달린 원형톱으로 몸 전체를 갈아버리는 패턴이다. 눈에서 붉게 안광이 번쩍이는 전조 동작과 함께 긴 선딜레이를 가지고 있으니 타이밍 맞춰서 구르거나 사거리 밖으로 벗어나야 한다. 파손 상태이상이 대미지를 더욱 올리는 패턴이라 파손 저항력을 올려두면 대미지를 줄일 수 있다.
- 후방 반격
뒤를 잡았을 때 일정 확률로 원형톱을 휘둘러 반격을 가한다.
3. 엔딩
이거... 놀랍군요.
꼭 그렇게 재미를 망쳐야만 했나요?
아... 함께 해서 정말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하하하...
체력을 다 깎으면 크게 밀려나지만 직후 다시 달려들면서 등에 달린 팔로 P의 무기를 멀리 쳐내고 그대로 무장이 해제된 P를 죽이려 하지만 레아가 던져준 검을 건네받은 P에게 양팔이 순식간에 절단된다. 이후 망연자실하게 잘려나간 팔 부분을 보다가 레아의 기술을 완벽히 구사한 P에게 난자당해 쓰러진다. 즐거웠다고 웃으며 마지막까지 광기를 드러내는 것은 덤.꼭 그렇게 재미를 망쳐야만 했나요?
아... 함께 해서 정말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하하하...
이후 본편에 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로서 아르케 대수도원까지 가게 된 경위는 불명. 당시 연금술사 세력은 친 발렌티누스 세력을 몰아내고 시몬 세력이 자리잡은 이후이므로 알레키노를 연구하던 연금술사들이 회수해서 이송했을 수도 있고, 본인이 빈사 상태로 어떻게든 고장난 동체로 자리를 피해 밀항했을 수도 있다. 다만 트리니티 룸의 위치는 알레키노가 과거 자신의 주인인 연금술사를 심문해서 알아냈다는 점, 자신이 성소를 더럽히는 걸 즐기고 있다고 말하는 점, 트리니티의 룸의 열쇠를 알레키노가 관리하고 있다는 점으로 볼 때, 최소한 트리니티 룸에는 감금된 게 아니라 알레키노 스스로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본편에서는 아예 소체 자체가 다른 점이나 연금술사들의 섬으로 들어가는 수단은 극히 제한적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름 없는 인형에게 패배한 이후 연금술사들에게 회수당한 후 어떻게든 소체를 옮겨서 박살난 형태로나마 트리니티 룸에 들어간 것으로 보인다.
4. 배경
본편에서 나왔듯이 과거 상류층을 주로 노리는 연쇄살인범이었으며, 특히 어린 로렌치니 베니니의 부모를 살해한 사건으로 악명을 떨쳤다. 결국 이런 악명에 스토커들이 나서서 대대적인 토벌을 벌였지만 레아가 나서기 전까지는 오히려 자신에게 덤벼드는 수많은 스토커들을 역으로 학살했다. 레아는 치열한 접전 끝에 간신히 승리하여 알레키노를 무력화시켰고,[15] 이 업적으로 '전설의 스토커'라는 호칭도 얻게 되었다. 이렇게 광기가 멈추는 듯 싶었지만 문제는 알레키노의 잔해를 회수한 게 바로 시몬 마누스 수하의 광신도들이었다는 것.당시 연금술사 교단의 수장 발렌티누스 모나드의 보좌인 '아르덴'의 청원서에 따르면, 알레키노는 미친 살인자의 에르고가 자아를 발현시킨 자동인형이다. 하지만 시몬은 알레키노가 자아를 각성한 인형이란 점에 흥미를 느껴서 오히려 부하 세르지오를 시켜 연구했고, 세르지오는 알레키노의 파손이 너무 심각하다면서 보수하는 과정에서 온갖 추가 부품까지 붙여 마개조를 해버린다. 알레키노의 행동을 연구할 작정인지 도시에 풀어놓을 생각까지 했던 모양인데, 새로운 무기를 달아준 것도 아마 그 때문인 듯하다.
하지만 발렌티누스파는 시몬 측의 연구를 극도로 경계하였고, 살인광 인형을 도시에 풀어놓는 미친 짓을 방관할 생각이 없었다. 때문에 이들은 선박 '아르콘 호'에 알레키노를 실었고, 크라트를 벗어나는 즉시 인형의 에르고만 회수하고 동체를 파괴할 계획을 세웠다. 그러나 이를 알아챈 시몬파의 습격으로 선단이 좌초하면서 혼란이 벌어진 사이 알레키노는 구속을 풀고 도주했고, 새로 얻은 무기로 연금술사들을 신나게 학살하며 탈출했다.[16]
알레키노는 자신을 쓰러트린 레아에게 복수하기 위해 크라트 동물원으로 달려갔다. 알레키노의 탈출과 그가 동물원으로 향한다는 소식에 당황한 광신도들은 긴급명령 1호를 발동하며 크라트 동물원의 책임자 마르키오나에게 살인마 인형이 오고 있다며 경고하고, 마르키오나 역시 내심 알레키노를 경계하고 있었다. 하지만 알레키노는 크라트 동물원 사건을 조사하러 온 레아의 제자 로미오와 사바나 체험관에서 전투를 벌인 후 그를 납치하고는 돌아간다.[17] 레아는 이 소식을 듣고 로미오를 구하기 위해 보상금까지 걸면서 알레키노를 추적한다. 알레키노는 당연히 레아가 올 것이라는 걸 짐작하고는 레아의 아버지 발렌티누스의 석상에 수많은 인간들의 피를 뿌려서 굳힌 고약하고도 잔인한 예술 작품을 전시해서 도발한다.[18]
DLC를 진행하다보면 그가 레아에게 보낸 음성 녹음을 들을 수 있는데, 레아에게 여러모로 굉장히 흥미로워하며 '연구'를 위해 로미오를 납치했다고 도발한다. 레아에게 제압당했다는 사실에 수치심을 느껴 분노했지만, 이와 동시에 기쁨도 크게 느꼈었기에 자신의 흥미를 끌었다고. 이후 제페토의 인형과 레아가 함께 모나드 자선원에 도착하면, 이곳에서 절단된 로미오의 양팔이 매달려 있는 끔찍한 광경을 보게 된다.[19] 이에 레아는 상당한 충격을 받은 채 멘탈이 나가버리지만, 곧 정신을 차리고는 알레키노를 찾아가 최후의 결전을 벌인다.[20]
한편 여러 묘사를 통해 DLC에서의 주인공의 행적이 본편의 시간대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21] 이로 인해 제페토의 인형이 개입하지 않은 원래 시간선에서는 DLC의 사건이 어떻게 전개되었을지에 대한 추측들이 오가고 있다. 당시 레아는 화석병에 의해 전성기에 비해 지속적으로 약해지고 있었으며, 알레키노는 오히려 레아에게 패배했던 시절보다 더 강해졌기 때문에 첫 대결당시 약 열세였던 것과 정반대로 현재로서는 알레키노쪽이 여러모로 우세했기 때문이다. DLC 진행 여부에 관계없이 알레키노가 아르케 대수도원에서 무력화된 상태로 등장하는 점이나 로미오가 화석병에 얼어붙는 와중에도 사람들을 구하기 위해 악마의 거래를 했다는 언급이 있는 것을 보면 적어도 본래 역사에선 레아를 밀어붙였으나 레아와 로미오를 살해하고 무사히 자리를 뜬 것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알레키노 보스전이 끝나고 P가 본래의 시간대로 돌아간 직후 이 장소에 주세페 제페토가 찾아온 것으로 보아 원래 역사에선 레아와의 전투로 나름 지쳐있는 상태에서 제페토가 꺼낸 인형에게 패배하여 반파된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 대사 #==
Hahaha! Where is the legend I faced before?
Oh, no, no, no, no. I must ask.
Did you actually believe you could save your beloved apprentice?
Pathetic!
And who might you be?
하하하! 내가 전에 맞섰던 그 전설은 어디 갔나요?
아니, 도저히 물어보지 않을 수 없군요.
당신, 정말로 사랑하는 제자를 구할 수 있다고 믿은 건가요?
한심하군!
그런데 네놈은 누구세요?(조우 컷씬)
Oh, no, no, no, no. I must ask.
Did you actually believe you could save your beloved apprentice?
Pathetic!
And who might you be?
하하하! 내가 전에 맞섰던 그 전설은 어디 갔나요?
아니, 도저히 물어보지 않을 수 없군요.
당신, 정말로 사랑하는 제자를 구할 수 있다고 믿은 건가요?
한심하군!
그런데 네놈은 누구세요?(조우 컷씬)
아하하! 이 기술! 그립네요!
레아: I will cut you into cordwood!
There it is! This precision, this technique... how I've missed them.
레아: 이걸로 끝이다. 죽어!
오오! 예전에 본 기술이라구요!
There it is! This precision, this technique... how I've missed them.
레아: 이걸로 끝이다. 죽어!
오오! 예전에 본 기술이라구요!
Why risk your life for another? How can you even conceive of it?
타인을 구하려고 목숨을 걸다니!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 거죠?
타인을 구하려고 목숨을 걸다니!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는 거죠?
로미오의 팔이여, 잘 있어라! 다음엔 어딜 자를까요...?
레아: 찢어주마!
오오! 이 기술만큼은 녹슬지 않았네요?
오오! 이 기술만큼은 녹슬지 않았네요?
A human is only truly honest when their life is on the line! Wouldn't you agree?
꼭 죽음이란 판돈에 걸어야만 인간은 솔직해진다니까! 그렇지 않나요?
꼭 죽음이란 판돈에 걸어야만 인간은 솔직해진다니까! 그렇지 않나요?
Oh. Stubborn and foolish. How very human of you!
하, 인간들이란. 어찌 이리 질기고 멍청한지!
하, 인간들이란. 어찌 이리 질기고 멍청한지!
Ladies and gentlemen, I, Arlecchino, will analyze the only medium that matters... the human soul!
여러분! 저 알레키노가, 가장 중요한 것을 해부합니다... 바로 인간의 영혼!(2페이즈 개막 패턴)
여러분! 저 알레키노가, 가장 중요한 것을 해부합니다... 바로 인간의 영혼!(2페이즈 개막 패턴)
Come on, let's keep going!
자, 계속 싸워보자고!
자, 계속 싸워보자고!
Wow, you really think you can win. remarkable!
와우, 정말로...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다니. 대단하네!(2페이즈 개막 패턴이 끝난 후)
와우, 정말로... 이길 수 있다고 생각했다니. 대단하네!(2페이즈 개막 패턴이 끝난 후)
You're an aberration. You do not fit any parameters of my research!
당신은 이례적인 존재예요. 제 연구의 어떤 기준에도 맞지 않습니다!
당신은 이례적인 존재예요. 제 연구의 어떤 기준에도 맞지 않습니다!
None of my work led me to anything like you.
How?! Why are you different?
내 모든 연구는 당신 같은 존재로 이어지지 않아요.
어떻게?! 당신은 왜... 다른 거죠?
How?! Why are you different?
내 모든 연구는 당신 같은 존재로 이어지지 않아요.
어떻게?! 당신은 왜... 다른 거죠?
Ha! Got you!
하! 잡았다!(잡기에 걸릴 시)
하! 잡았다!(잡기에 걸릴 시)
Oh, do stay down this time!
이제 그만 쓰러져 계시죠!(잡기에 걸릴 시)
이제 그만 쓰러져 계시죠!(잡기에 걸릴 시)
You know, I confess, I'm growing pretty bored.
이런, 솔직히, 슬슬 지겨워지려 하는데...
이런, 솔직히, 슬슬 지겨워지려 하는데...
당신의 눈... 당신은 도대체 무엇이죠?!
워우?![24]
Impressive...
Did you have to spoil the fun?
Ah... It was fun while it lasted.
Hahahaha...
이거... 놀랍군요.
꼭 그렇게 재미를 망쳐야만 했나요?
아... 함께 해서 정말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하하하...(유언)[25]
Did you have to spoil the fun?
Ah... It was fun while it lasted.
Hahahaha...
이거... 놀랍군요.
꼭 그렇게 재미를 망쳐야만 했나요?
아... 함께 해서 정말 즐거운 시간이었습니다...
하하하...(유언)[25]
5. 기타
- 본편의 이름 없는 인형에 이어 DLC에서도 인형이 최종 보스를 맡게되었다. 정작 에르고를 주는 것 외에는 별다른 보상이 없는데, 이는 DLC 서사 자체가 결과적으로 레아를 추적하고 그녀의 뜻을 이어나가는 과정이니만큼 알레키노 클리어 후 레아 쪽 보상을 많이 퍼다주다보니 알레키노 쪽 보상은 불가피하게 스킵된 것으로 보인다.[26]
- 한편으로는 DLC 내에서 사실상 유일한 자동인형 보스이기도 하다. DLC의 시간대는 인형 폭주 사태가 벌어지기 전이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적대 개체에 인형 비중이 적고, 카커스 등 연금술사 측 실험체나 인간형 몹의 비중이 높다.[27] 알레키노를 제외하면 유일한 보스급 개체는 마르키오나의 '아르케 인형'인데, 이 쪽은 사실 마르키오나가 조작하는 '인형 형태의 무기'에 가깝고 본체는 어디까지나 마르키오나인지라 인형 보스라고 보기는 힘들다.
- 플레이어 사망시 1페이즈에서는 인사하는 모션을, 2페이즈에서는 머리를 쓸어넘기는 모션을 취한다. 페이즈 불문 잡기 공격으로 사망시 허리가 뒤로 꺾일 정도로 광소하는 모션을 취한다.
- DLC 보스 중에 유일하게 1페이즈와 2페이즈의 체력바가 따로 있다.
- 보스방 중앙의 피웅덩이에 들어갔다가 눈밭을 걸으면 피로 발자국이 생기는 디테일이 있다.
- 본편에서 그렇게 박살난 와중에도 수다를 멈추지 않았던 알레키노답게 말이 엄청나게 많다. 과장 좀 보태면 보스전 내내 마치 BGM 마냥 알레키노의 대사가 쉬지 않고 나온다고 봐도 될 정도. 또한 특이하게 P 혼자서 싸우느냐와 레아를 일으켜세워 같이 싸우느냐에 따라 대사가 아예 변한다. 전자는 주로 P에 관한 대사와 인간에 대한 조롱, 굳이 이런 상황에 끼어들었단 것에 이해할 수 없단 반응을 하고 후자는 반대로 레아를 조롱하는 대사를 자주 한다.[28] 문제는 알레키노 본인의 패턴도 대사마냥 끝도 없고 난잡하다보니 숙달되지 않는 이상 알레키노의 대사를 제대로 들을 겨를도 없다는 점(...).
- 영국 신사를 연상케 하는 중절모와 연쇄 살인마라는 점에서 모티브는 잭 더 리퍼로 추정된다. 레아에게 잡히기 이전부터 사용했던 무기가 퍼펫 더 리퍼라는 점에서도 유추할 수 있는 점.
- 본편에서 획득가능한 특수 무기인 '퍼펫 더 리퍼'가 원래 알레키노의 무기라는 설정이나, 정작 DLC의 보스전에서는 이를 사용하지 않는다.[29] 이로 보아 퍼펫 더 리퍼는 레아에게 한 차례 토벌되기 전 홀로 활동할 시기의 무기였던 것으로 보인다.
- 만약 DLC를 먼저 클리어하여 레아의 의상인 '인도하는 자의 전투복'을 보유한 채 본편의 나머지 챕터로 돌아가면, 이 의상을 착용한 채 본편의 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에게 대화를 하여 DLC에서의 전투를 회상하는 대화문을 추가로 볼 수 있다.
- DLC 클리어 후 장미 정원을 다시 방문하면 제페토의 모노클[30]을 입수할 수 있다.
- 알레키노 보스전을 완료하면 선택지를 따로 주지 않고 곧바로 DLC의 엔딩 컷신으로 이어진다. 한가지 주의할 점은 엔딩 이후 DLC에 존재하는 모든 NPC들이 사라진다는 것. 클라우스와 떠돌이 상인은 그나마 자판기라도 남겨놓아 최소한의 기능은 하지만,[31] 추적자 같은 대화&퀘스트 진행용 NPC들은 진행도와 무관하게 아예 맵에서 사라져버린다. 당연히 진행 중이던 퀘스트들도 휴짓조각이 되니, 보상이나 진행도를 신경쓰는 유저라면 알레키노를 잡기 전에 미리 사이드 퀘스트들은 모두 마쳐놓자. 여담으로 몬스터들밖에 남지 않은 DLC의 맵들을 돌아다니다 보면 왠지 쓸쓸함을 느낄 수 있다.
- 설정상 세계관 내에서도 손에 꼽을 정도로 강력한 인형이다. 스토커는 기본적으로 특수 훈련을 거친 실력자이며,[32] 그중에서도 알레키노 추적 임무를 맡은 이들은 조직 내에서 평균 이상은 되는 실력자였을텐데, 알레키노는 DLC 시점처럼 강화되기 전이었는데도 이들을 죄다 학살했고 레아조차도 간신히 이겼다고 언급할 정도로 상당한 난적으로 묘사된다. 레아가 DLC 전의 알레키노를 단독으로 쓰러뜨리면서 '전설의 스토커'란 칭호로 불렸는데, 이게 연금술사들에게 개조를 받아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하기 이전이란 걸 생각하면 여러모로 독보적인 인형인 셈. 부품 교체 이후에는 화석병으로 약화된 레아를 밀어붙이고, 제페토의 인형과의 협공에도 끝내 무기를 날려버려 승리하기 직전까지 갔다. 또한 목숨줄도 끈질기긴 더럽게 끈질겨서 DLC 전에 레아에게 1번, 제페토의 인형과 레아의 합공으로 2번[33], 마지막 아르케 대수도원의 트리니티룸에서 파손된 채로 방치된 걸 전부 합치면 무려 3번이나 박살이 났는데도 살아있었다.
- 외형적 디자인 측면에서는 다른 인형 보스들, 아니 인형형 적들 전체를 통틀어도 상당히 이질적인 디자인을 가지고 있다. 본작의 인형형 적들은 크게 두 가지 디자인으로 나뉘는데, 인형이란 컨셉답게 마네킹을 연상시키는 디자인이거나 스팀펑크 풍의 로봇 디자인이다. 그런데 알레키노는 근본적으로 인형이지만 옷을 입은 것처럼 디자인된 다른 인형들과 다르게 진짜로 제대로된 옷을 갖추고 있으며, 뿐만 아니라 제페토의 인형처럼 사실적인 피부까지 가지고 있다.[34] 그래서 언뜻보면 신체 일부를 기계로 개조한 인간처럼 보인다.[35] 알레키노가 본인의 정체성을 인간으로 본다는 걸 생각하면 흥미로운 부분.
- 플레이어 단독으로 싸울 시 게임 최고의 난이도를 자랑하는 보스여서 그런지, 유저들 사이에서는 보스전 시작 시 첫 대사인 "틱톡틱톡"[36]과 패배 시 나오는 대사인 "나의 무대에서 내려갈 시간입니다"가 일종의 밈으로 자리잡았다. 이 대사들을 하도 듣게 되니 노이로제에 걸릴 것 같다는 반응(...).[37]
- 보스 재대결 모드인 '전투의 기억'으로 알레키노 보스전에 돌입하면 레아와 로미오가 없는데, 정작 별도의 대사 스크립트는 존재하지 않아 없는 이들을 놓고 언급하는 알레키노를 볼 수 있다.
* 유명 소울라이크 유튜버인 옹발이가 DLC 공개 후 약 3주도 채 안되서 재대결 모드 최고난이도 알레키노 노히트 2분대 클리어영상을 올렸다. 제작진이 보기에도 경이로웠는지 해당 영상에 직접 댓글을 남겼다. 더불어 어려우면서도 잘 디자인된 보스에 딜타임 하나는 확실한 유리대포형 보스라는 점이 고일대로 고인 다른 카커스들의 도전정신(?)을 자극한 덕분에, 유튜브 등의 사이트에는 알레키노 1분 컷같은 영상도 허다하게 찾아볼 수 있다(...).
[1] 위 보상들은 모두 알레키노를 잡아서 주는 보상보다는 DLC 클리어 보상에 가깝다.[2] 자정까지 몇 분[3] 서구권에서는 주로 위험이나 종말이 임박했음을 비유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이다. 작중 로미오 목숨이 경각에 달려다는 뜻과 동시에 DLC 최종보스와의 마지막 결전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겠다.[4] 진홍빛 연회[5] 위의 프로필 사진에 나온 장면. 레아를 궁지에 몰려는 그 순간, 난입한 P를 노려보면서 내뱉은 대사.[6] 과거 평범한 인형일때조차 웬만한 스토커들 따위는 가볍게 참살하며 레아 정도가 아니면 상대가 안되었으나 그녀에게 패배한 이후 연금술사들에게 강화되면서 그 레아조차도 상대가 안될 정도로 강해진 모습이다.[7] 이중 인사 모션은 보스방 입장시 알레키노 바로 앞에서 나타나게 해주는 모드를 써도 인사 모션을 취하는 점에서 거리와 무관하게 보스방 입장시 반드시 나타나는 패턴임을 알 수 있다.[8] 1페이즈는 플레이어가 딜을 거의 넣지 않고 어그로만 잘 당겨줘도 레아 혼자서 알레키노를 박살낸다.[9] 당연하게도 보스와 재대결에서는 레아가 없기 때문에 혼자서 클리어해야한다.[10] 정황상 무기 내구도 회복으로 추정.[11] 펄스 전지 회복량 감소[12] 1회차 때는 쿼츠 한 개를 투척물 소지 수 증가 항목에 투자하면 6개를 가지고 다닐 수 있는데, 진화에 스텟을 아예 안 찍었어도 2번째로 혈액탄을 시전하려고 떠있을 때 투척용 전지 6개를 전부 던져버리면 클리어 할 수 있다. 고회차라도 진화 스텟을 충분히 올렸다면 2번째 혈액탄 시전 시 소지한 투척용 전지를 몇 개 안 쓰고도 알레키노의 남은 피통을 바닥낼 수 있다.[13] 놓치기 쉽지만 붉은 손톱을 꺼낼 때 특유의 톱니 돌아가는 소리가 들린다.[14] 체력을 올려주는 아뮬렛을 여럿 장착해야만 패턴을 맞고도 버틸 수 있다.[15] 레아 스스로도 자신이 전력을 다하고서야 간신히 이겼다며 당시의 알레키노도 쉬운 상대가 아니었음을 인정한다.[16] 이 선박 잔해에서 볼 수 있는 반출 자료 목록을 고려하면, 본래 이들의 목적은 시몬의 만행을 고발하러 가는 것이었으며 겸사겸사 시몬의 영향권 밖에서 알레키노를 처리하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17] 사바나 체험관이 피바다가 되었기에 이를 본 제미니가 경악하는데, 이곳에 부러진 낫 하나가 박혀있고 이 낫의 외형이 로미오가 본편의 인형의 왕 보스전에서 드는 그 낫과 유사하단 점에서 이 장소에서 그 격전이 벌어졌음을 예상할 수 있다.[18] 이걸 본 제미니는 이런 끔찍한 걸 어떻게 생각한거냐며 경악한다.[19] 알레키노의 녹음을 자세히 들어보면 배경음으로 마치 고기를 써는듯한 소리가 액체가 흘러넘치는 소리, 그리고 한 남성의 비명소리가 들린다. 이후 모나드 자선원에서 보게 되는 이 광경을 생각해보면...[20] 잘보면 알레키노의 뒤편에 로미오가 의수를 단 채 매달려있다.[21] 대표적으로 서자들 수장 루마키오는 DLC 전후로 그에 대한 여론이 완전 바뀌어버린다. DLC 클리어 이후 메도로의 취재 수첩에 추가되는 내용을 통해 알 수 있는데, 정황상 제페토의 인형에게 진실을 들은 알리도로가 친구 메도로에게 알려준 것으로 보인다.[22] 1, 2 페이즈 모두 같은 대사지만 2페이즈는 알레키노의 소체가 파손되었기에 목소리가 기괴하게 비틀린다.[23] 경직에 걸리거나 페이탈 어택을 당하면 자세를 고쳐잡은 뒤 살짝 비웃는 말투로 말한다.[24] 역시 마찬가지로 경직 및 페이탈 어택을 당한 뒤 나오는 말인데, 이건 위와 달리 살짝 놀란 투로 말한다. 여유를 잃었다기보다는 상대의 실력에 감탄했다는 느낌.[25] 재도전 모드에서 처치 시엔 하단의 두 줄만 말한다.[26] 실제로 프로필에 서술된 보상들은 4가지 전부 알레키노보다는 레아와 관련성이 깊은 아이템들이다.[27] 그나마 나오는 인형도 복장이나 설계 면에서 연금술사 측이 인형을 조종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 것 들 뿐이다.[28] 레아와 협공하는 상태에서 레아의 체력이 바닥나면 '전설이 그렇게 끝났다'며 조롱한다.[29] 1페이즈 때 오른손에 든 낫이 퍼펫 더 리퍼 아닌가 생각할 수 있으나, 이 낫의 날은 퍼펫 더 리퍼보다 더 굽어있고 자루 길이도 더 짧다.[30] 정식 명칭은 천재 기술자의 모노클이지만, 모양새를 보나 툴팁으로 보나 제미니의 반응으로 보나 어떻게봐도 제페토의 것임을 알 수 있다.[31] 대신 클라우스의 경우 자판기로 바뀐 순간 명품 가방을 통한 판매 목록 추가가 불가능해 제일 마지막 시점의 판매 목록만 계승된다.[32] 일례로 본편 스토커 형 첫 보스인 당나귀 광인을 포함해 작중 나오는 모든 스토커 형 적들은 전부 보스급 적이다.[33] 제페토의 인형이 개입하지 않은 과거에도 파괴되었단 점을 보면 정황상 이들 대신 이름 없는 인형에게 패배한 것으로 보인다. 어느쪽이든 제페토의 인형의 개입 여부와 무관하게 대파당할 정도로 치명상을 입었음은 확실하다.[34] 얼굴 부분 한정. 다만 꿰멘 듯한 자국들이 있는 것과, 알레키노가 DLC에서 보여준 막장 행적들을 감안하면, 인공 피부가 아니고 희생자들의 피부를 뜯어내서 꿰멘 후 자신 얼굴에 붙인 것일 가능성도 있다.[35] 다만 컷신때 나오는 부분을 잘 보면 본래의 금속제 인형 동체 위로 피부 조각이 붙어있음이 입체적으로 묘사되어 있는 점을 볼 수 있다.[36] 제페토의 인형 단독으로 싸울 때 나오는 대사다. 레아와 같이 싸우면 다른 대사가 나온다.[37] 말레니아의 "알겠는가? 미켈라의 칼날 말레니아를"이 떠오른다는 반응도 많았다. 해당 대사 역시 말레니아의 엄청난 난이도로 인해 1페이즈조차 돌파하지 못한 유저들이 반복해서 듣다보니 결국 밈으로 자리잡았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if external != "o"
[[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uuid=ed49bcb4-c93c-47cd-b0ac-dba0c943344c|r8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uuid=ed49bcb4-c93c-47cd-b0ac-dba0c943344c#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from=8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if external != "o"
[[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uuid=ed49bcb4-c93c-47cd-b0ac-dba0c943344c|r8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uuid=ed49bcb4-c93c-47cd-b0ac-dba0c943344c#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수수께끼의 왕 알레키노?from=8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