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8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cd116>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  군 Landkreis  | ||||
|   뵈블링겐 Böblingen (진델핑겐)  |   에슬링겐 Esslingen 파일:에슬링겐 문장.svg (에슬링겐)  |   괴핑겐 Göppingen  |   하이덴하임 Heidenheim (하이덴하임안데어브렌츠)  |   하일브론 Heilbronn  | |
|   호엔로헤 Hohenlohe  |   루트비히스부르크 Ludwigsburg 파일:루트비히스부르크 문장.svg (루트비히스부르크)  |   마인타우버 Main-Tauber  |   오스탈프 Ostalb (알렌)  |   렘스무르 Rems-Murr  | |
|   슈베비슈할 Schwäbisch Hall (슈베비슈할)  | |||||
|  군급시 Stadtkreis  | |||||
|   슈투트가르트 Stuttgart  |   하일브론 Heilbronn  | ||||
| 독일의 행정 구역|바덴뷔르템베르크의 현 | |||||
|  하일브론 Heilbronn  |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 |
| <rowcolor=#000> 시장 | 시기 | ||
| 위치 |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행정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colcolor=#FFF><colbgcolor=#000> 국가 |   | |
| 주 | 바덴뷔르템베르크 | ||
| 현 | 슈투트가르트 현 | ||
| 시간대 | UTC+1/+2 | ||
| 면적 | 99.9km² | ||
| 시청사 | Marktplatz 7, 74072 Heilbronn  | ||
| 행정구역 | 9 Stadtteile | }}}}}}}}} | |
| 인문환경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colcolor=#FFF><colbgcolor=#000> 인구 | 130,093명(2023년 12월) | |
| 인구밀도 | 1,302명/km² | ||
| 홈페이지 | }}}}}}}}} | ||
| 정치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 <colcolor=#FFF><colbgcolor=#000> 시장 | 해리 메르겔[1]  | |
| 연방의회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알렉산더 리하르트 트롬[2]  | }}}}}}}}} | |
1. 개요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주에 위치한 도시. 네카어강을 끼고 있으며, 슈투트가르트의 북쪽으로 50킬로미터 정도 떨어져 있다. 넓게 보면 슈투트가르트 광역권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2. 역사
하일브론이라는 지명은 8세기 문헌에서 "Helibrunna"라는 이름으로 처음 등장합니다. 이는 "성스러운 샘(Holy Spring)"을 뜻하는 라틴어+게르만어 조합으로, 샘물 또는 강가에 세워진 정착지를 가리킨다. 1050년 무렵, 하일브론은 신성로마제국의 황제 하인리히 3세에게 중요한 지역으로 인정받아 발전의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1281년, 하일브론은 신성로마제국 황제 루돌프 1세에 의해 자유제국도시(Freie Reichsstadt)의 지위를 부여받았다. 이로 인해 독자적인 행정권과 무역 특권을 얻게 되어 도시 발전이 가속화 되었다. 중세 후반에는 하일브론이 교역의 중심지로 성장했고, 특히 소금무역과 목재, 포도주의 생산지로 번영하였다. 제국 자유도시였던 하일브론은 야심만만한 뷔르템베르크 가문의 위협을 받았지만 이를 슬기롭게 대처해 빠져나갔다.1528년, 시장이 개신교도인 한스 리서로 교체되면서 이전에 지연되었던 종교 개혁이 시작되었고, 종교 개혁가 라흐만의 노력으로 학교와 의료 시설도 재편되었다. 1530년에는 시의회와 주민들이 아우크스부르크 신앙고백을 받아들였고, 1536년 하일브론 교리문답은 개신교 교회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교리문답이었다. 이에 1538년 하일브론은 슈말칼덴 동맹에 가입했지만 1546년 슈말칼덴 동맹군과 카를 5세 황제의 군대 사이의 다툼이 전투로 확대되어 황제가 승리했다. 그 결과, 카를 5세는 1546년 크리스마스를 하일브론에서 보었고 1522년에 도시의 헌장을 바꾸었다. 이 헌장은 1803년까지 거의 무사히 유지되었다.
30년 전쟁 동안 이 도시와 주변 제국 마을들은 큰 피해를 입었다. 1770년부터 하일브론은 가축 및 말 시장 덕분에 한 세기 넘게 남서부 독일 최대의 도축장 중 하나가 되었다. 1802년 9월 뷔르템베르크 왕국 의 통일로 하일브론은 다른 제국 도시들과 함께 하일브론 지방청 소재지가 되었다. 1815년부터 중세 시대 이후 수많은 둑과 제분소로 막혔던 네카르 강이 다시 항해 가능하게 되었다. 이를 위해 1819년부터 1821년까지 빌헬름 운하가 건설되었다. 하일브론의 산업화는 네카르 강에 있는 하일브론 제지 공장에 의해 주도되었는데, 1820년경 대형 제지기 설치로 공장식 생산으로 전환하고 대기업으로 발전했으며, 이어서 하위 가공 공장이 이어졌다. 1832년 하일브론은 뷔르템베르크 왕국에서 가장 많은 공장이 있는 도시가 되었으며, 슈바벤의 리버풀이라고 불렸다. 이로 인해 19세기 동안 도시의 인구는 약 6배로 증가하여 수 세기 동안 거의 변하지 않았던 중세 도시의 경계를 빠르게 넘어섰다. 옛 성문과 성벽은 철거되었고, 새로운 도로와 다리가 건설되었다. 19세기 말에는 뷔르템베르크에서 슈투트가르트에 이어 두 번째로 산업 생산이 많은 도시로 성장했다.
하일브론은 독일 제국시절부터 독일 사회민주당을 지지하는 주요 지역이었고, 바이마르 공화국 시대에도 그 기조를 유지했다. 1926년 5월 15일 아돌프 히틀러가 이 도시를 방문했을 때, 그는 모든 사람에게 환영받지 못했고, 한 남자가 히틀러로 오인받아 공격을 받아 여러 사람이 부상을 입기도 했다. 1942년 제2차 세계 대전 중 하일브론과 그 주변 지역의 소금 광산은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에서 온 예술품과 유물을 보관하는 데 사용되었다. 1944년 9월 10일, 연합군은 도시, 특히 뵈킹겐 기차역을 겨냥한 공습을 감행했다. 그날 1,168발의 폭탄이 투하되어 281명의 주민이 사망했다. 1945년 4월 12일 미군이 하일브론을 점령했을 당시, 도시의 인구는 46,350명에 불과했다.
1945년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하일브론은 미군 점령 지역에 속했고, 냉전의 영향으로 1951년부터 미군은 하일브론에 영구 주둔했다. 1977년 미국은 하일브론의 발트하이데에 핵무기를 탑재가능한 퍼싱 1A 단거리 미사일을 배치했는데, 1984-1985년 NATO 이중 결정에 따라 퍼싱 II 중거리 미사일로 대체되었다. 이에 하일브론 주민들은 경악하였고, 퍼싱 II 중거리 미사일의 철수를 요구했다. 특히 1985년 발생한 미사일 사고는 대중의 분노를 촉발하여 시위와 현장 봉쇄로 이어졌다. 결국 1987년 미군은 하일브론에서 미사일을 철수시켰고, 1992년에는 군대까지 철수시켰다.
3. 경제
자동차 산업 관련 업체들과 무역업 회사들이 다수를 차지한다. 특히 아우디의 대형 생산시설이 인근 네카르줄름(Neckarsulm)에 있으며, 하일브론과 산업 인프라를 공유한다.포도나무 과수원이 상당히 넓게 펼쳐져 있고, 그곳에서 생산되는 와인으로 유명하다. 하일브론은 독일에서 가장 오래된 포도주 생산지 중 하나로, 뷔르템부르크 와인의 중심지로 도시 주변에 많은 포도밭과 와이너리, 와인 교육기관이 있으며, 매년 와인 축제가 열린다.
하일브론 말 시장은 독일 도심에서 열리는 최대 규모의 전통 박람회 중 하나로 2월 마지막 주말에 3일간 열린다. 또한, 하일브론 시내 중심가에서는 3일 내내 승마를 즐길 수 있다.
4. 관광
- 독일 기사단 성 베드로와 바울 대성당 (Deutschordensmünster St. Peter und Paul) : 튜튼 기사단이 지은 가톨릭 교회로 그 기원은 13세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 킬리안 교회 (Kilianskirche) : 11세기에 만들어진 하일브론 사암으로 만든 고딕 양식의 홀 교회로 한스 슈바이너가 설계 한 서쪽 탑은 알프스 북쪽의 최초의 중요한 르네상스 건물 중 하나로 간주된다.
 - 오래된 우유 농장 (Alter Milchhof) : 1925년 하일브론 도축장 바로 인근에 시립 우유 집하장으로 건설된 건물로 하일브론 공습 당시 하일브론 반호프스포르슈타트(Bahnhofsvorstadt) 지구에 있는 몇 안 되는 건물 중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