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3 02:01:1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파일:국가과학기술연구회 흰색 심볼.svg
[[국가과학기술연구회|{{{#fff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 (NST)}}}]]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부설기관: 국가녹색기술연구소 (NIGT)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KBSI)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RIBB)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한국한의학연구원 (KIOM) 한국생산기술연구원 (KITEC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부설기관: 국가보안기술연구소 (NSR)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IC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KRRI)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한국식품연구원 (KFRI)
부설기관: 세계김치연구소 (WIKIM)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IGAM)
한국기계연구원 (KIMM)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한국전기연구원 (KERI) 한국화학연구원 (KRICT)
부설기관: 국가독성과학연구소 (KIT)
한국원자력연구원 (KAERI) 한국재료연구원 (KIMS)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FE)
}}}}}}}}}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韓國科學機術情報硏究院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KISTI)
파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로고.svg
<colcolor=#fff> 설립일 <colbgcolor=#fff>1962년 1월 30일
원장 이식
주소
본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245 (어은동)
서울분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66 (청량리동)
주무기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형태 정부출연연구기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3. 기능4. 위치5. 기타6. 둘러보기

1. 개요

국가 과학기술 정보 분야의 전문연구기관으로서 국가 과학기술 진흥과 산업의 발전에 기여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정관 2조(임무)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은 과학기술정보 분야를 담당하는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이다. 임무는 아래와 같다.
  • 과학·기술 및 이와 관련된 산업정보의 종합적인 수집·분석·서비스
  • 정보의 관리 및 유통에 관한 기술·정책·표준화 등의 전문적인 조사·연구
  • 첨단 정보 및 연구개발 인프라의 체계적인 구축·운영

참고로 연구원 이름이 길고 KIST와 이름이 두글자 빼고 똑같은지라 보통 KISTI로 줄여 부른다.[1]

2024년 공공기관에서 지정 해제되었다.

2. 연혁

1962년 1월,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KORSTIC)로 설립되었으며, 1969년 5월 한국과학기술정보센터육성법이 제정되었다. 1982년 산업연구원(KIET)로 개편되었다가 1991년 1월 분리되어 산업기술정보원(KINITI)이 개원하였다. 2001년 1월이 되어서야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출범했다.

이 역사 속에서 KAIST부설 시스템공학센터(슈퍼컴퓨터센터), KIST부설 연구개발정보센터, ETRI산하 슈퍼컴퓨팅센터를 합병하였다.

3. 기능

  • 국가 과학기술지식정보 수집·관리·공동활용체제 구축
    • 과학기술 콘텐츠 구축 및 유통
    • 국가 R&D 성과물 공유·확산
    • 국가 과학기술 데이터 공유·활용체제 구축
  • 국가 초고성능컴퓨팅 인프라 개발·운영
    • 세계적 수준 초고성능컴퓨팅 자원 확보·운영
    • 산학연 협력으로 국가초고성능컴퓨팅 연구개발 수행
    • 초고성능 과학기술연구망 구축·지원

4. 위치

5. 기타

  • 국가슈퍼컴퓨팅센터를 운영하는 기관으로, 국가 초고성능컴퓨터 활용 및 육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초고성능컴퓨팅자원을 서비스하고 있다. 2018년 국가슈퍼컴퓨터 5호기 누리온을 도입했다. 이론성능은 25.7패타플롭스(PFlops)/FP64로, 2018년 6월 기준 세계 11위의 성능을 가진 슈퍼컴퓨터이다.[2] #
  • 2024년 잡플래닛 “일하기 좋은 회사” 전체 4위, 공공기관 1위에 올랐다.
  • '국가과학기술연구망'(KREONET)을 관리하는 주체이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8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764><tablebgcolor=#003764> 파일:국가과학기술연구회 흰색 심볼.svg
[[국가과학기술연구회|{{{#fff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 (NST)}}}]]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관 과학기술분야 정부출연연구기관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가과학기술연구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부설기관: 국가녹색기술연구소 (NIGT)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KBSI)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RIBB)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KISTI)
한국한의학연구원 (KIOM) 한국생산기술연구원 (KITECH)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TRI)
부설기관: 국가보안기술연구소 (NSR)
한국건설기술연구원 (KICT)
한국철도기술연구원 (KRRI) 한국표준과학연구원 (KRISS) 한국식품연구원 (KFRI)
부설기관: 세계김치연구소 (WIKIM)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IGAM)
한국기계연구원 (KIMM)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KIER) 한국전기연구원 (KERI) 한국화학연구원 (KRICT)
부설기관: 국가독성과학연구소 (KIT)
한국원자력연구원 (KAERI) 한국재료연구원 (KIMS)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KFE)
}}}}}}}}} ||

파일:홍릉포럼.pn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경희대학교 로고.svg 경희대학교 파일:고등과학원 심볼.svg 고등과학원 파일:고려대학교 심볼.svg 고려대학교
파일:정부상징.svg 국립산림과학원 파일:국민대학교 엠블럼.svg 국민대학교 파일:녹색기술센터 심볼.svg 국가녹색기술연구소
파일:동덕여자대학교_UI.svg 동덕여자대학교 파일: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심볼.svg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파일:서울시립대학교 엠블럼.svg 서울시립대학교
파일:서울테크노파크.png 서울테크노파크 파일:수림문화재단 심볼.svg 수림문화재단 파일: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엠블럼.svg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파일:KAIST_emblem.svg 한국과학기술원 경영대학 파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심볼.svg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파일:한국국방연구원 심볼.svg 한국국방연구원
파일:한예종_엠블럼.svg 한국예술종합학교 파일:한국외국어대학교 엠블럼.svg 한국외국어대학교 파일:한국원자력의학원 심볼.svg 한국원자력의학원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의 인터넷'''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소비자 인터넷 상품
파일:KT 기가 인터넷 로고.svg 파일:SK브로드밴드 브랜드 로고.svg 파일:LGUplus_Internet_Logo.png
백본망
국가 소유
파일: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로고.svg 파일: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로고.svg
KOREN(미래네트워크연구시험망) KREONET2(국가과학기술연구망)
통신사 소유
파일:KT 로고.svg 파일:SK브로드밴드 로고.svg 파일:LG U+ 로고.svg
KORNET broadNnet LGTELECOM
BORANET(보라넷)
XPEED
파일:세종텔레콤 로고.svg 파일:SK텔레콤 로고.svg 파일:드림라인 로고.svg
SHINBIRO SK-TELECOM-NET DREAMX
}}}}}}}}} ||

[1] 이런 경우가 출연연 중 KISTI 말고 하나 더 있는데 바로 ETRI다.[2] 2025년 6월 TOP500에서는 109위까지 내려왔다. 그만큼 슈퍼컴퓨팅 연구는 세계적으로 경쟁이 치열하다. 여담으로 현재 국내 최강 슈퍼컴퓨터는 삼성전자가 보유한 SSC-24로 106.2PFLOPS 정도되고 탑18위다. 바로 그 밑에는 네이버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