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O 리그 역대 시즌 일람 | ||||
1982년 시즌 | ← | 1983년 시즌 | → | 1984년 시즌 |
기간 | 1983년 4월 2일 ~ 1983년 10월 20일 |
참가팀 | 해태 타이거즈, OB 베어스, 롯데 자이언츠, 삼미 슈퍼스타즈, 삼성 라이온즈, MBC 청룡 이상 6개팀. |
1. 개요
1983년에 열린 프로야구 시즌.팀당 100경기씩 300경기가 열렸다.
이 시즌은 김응용 감독이 취임하면서 해태 왕조가 시작된 시즌이며, 장명부의 30승으로 탈꼴찌한 삼미 슈퍼스타즈의 돌풍으로 요약 가능한 시즌이다.
이 시즌의 관중 수는 대략 230만명 정도 되는데 왠지 나무위키에서는 프로야구 최악의 암흑기와 비교되는 기준 년도로 쓰이고 있다.(...)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으로 인해 사람들의 관심이 온통 축구로 쏠린 2002년 시즌, 2002년의 여파가 남은데다 2004년 프로야구 병역비리 사건으로 흥행이 시망한 2004년 시즌과 비슷하다.
2. 신인 드래프트
한국프로야구/1984년/신인드래프트3. 정규시즌 최종순위
순위 | 팀 | 경기수 | 승 | 패 | 무승부 | 게임차 | 승률 |
전기리그 | |||||||
1 | 해태 타이거즈 | 50 | 30 | 19 | 1 | - | 0.612 |
2 | 삼미 슈퍼스타즈 | 50 | 27 | 23 | 0 | 3.5 | 0.540 |
3 | MBC 청룡 | 50 | 25 | 24 | 1 | 5.0 | 0.510 |
4 | 롯데 자이언츠 | 50 | 22 | 27 | 1 | 8.0 | 0.449 |
5 | 삼성 라이온즈 | 50 | 21 | 26 | 3 | 8.0 | 0.447 |
6 | OB 베어스 | 50 | 22 | 28 | 0 | 8.5 | 0.440 |
후기리그 | |||||||
1 | MBC 청룡 | 50 | 30 | 19 | 1 | - | 0.612 |
2 | 삼미 슈퍼스타즈 | 50 | 25 | 24 | 1 | 5.0 | 0.510 |
2 | 삼성 라이온즈 | 50 | 25 | 24 | 1 | 5.0 | 0.510 |
4 | 해태 타이거즈 | 50 | 25 | 25 | 0 | 5.5 | 0.500 |
5 | OB 베어스 | 50 | 22 | 27 | 1 | 8.0 | 0.449 |
6 | 롯데 자이언츠 | 50 | 21 | 29 | 0 | 9.5 | 0.429 |
통합승률 | |||||||
1 | MBC 청룡 | 100 | 55 | 43 | 2 | - | 0.561 |
2 | 해태 타이거즈 | 100 | 55 | 44 | 1 | 0.5 | 0.556 |
3 | 삼미 슈퍼스타즈 | 100 | 52 | 47 | 1 | 3.5 | 0.525 |
4 | 삼성 라이온즈 | 100 | 46 | 50 | 4 | 8.0 | 0.479 |
5 | OB 베어스 | 100 | 44 | 55 | 1 | 11.5 | 0.444 |
6 | 롯데 자이언츠 | 100 | 43 | 56 | 1 | 12.5 | 0.434 |
전년도 코시진출팀들이 모두 탈락했다...해태 타이거즈가 전기리그 1위 자격으로 이미 한국시리즈에 진출해서 후기리그때는 쉬엄쉬엄해서 후기 승률이 낮다. 삼미 슈퍼스타즈는 그렇게 장명부를 굴렸음에도 불구하고 전기리그때는 해태, 후기리그때는 MBC에 밀려 한국시리즈 진출에 실패했다. 이 때 플레이오프가 있었으면 삼미는 한국시리즈에 진출할 수 있었지만[1] 야구에 만약은 없으니까...
4. 시즌 최종과 시즌 마감
4.1. 정규 시즌 기록 1위
이하 실제로 수상이 이루어지는 1위 타이틀은 굵게 표시한다.4.1.1. 타자, 공격
타이틀 | 성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수위 타자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369 | |
최다 안타 | 박종훈 장효조 | OB 베어스 삼성 라이온즈 | 117안타 | |
홈런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27개 | |
타점 | 이만수 | 삼성 라이온즈 | 74타점 | |
도루 | 김일권 | 해태 타이거즈 | 48개 | |
득점 | 이해창 | MBC 청룡 | 65득점 | |
출루율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469 | |
장타율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618 | |
사사구 | 장효조 | 삼성 라이온즈 | 64개 | 볼넷 58개, 몸에 맞는 공 6개 |
몸에 맞는 공 | 김인식 김근석 | MBC 청룡 삼성 라이온즈 | 13개 | |
피삼진 | 박용성 | 롯데 자이언츠 | 60개 | |
병살타 | 김용희 | 롯데 자이언츠 | 12개 |
4.1.2. 투수, 수비
타이틀 | 성명 | 소속팀 | 기록 | 비고 |
다승 | 장명부 | 삼미 슈퍼스타즈 | 30승 | |
탈삼진 | 장명부 | 삼미 슈퍼스타즈 | 220K | |
세이브 | 황태환 | OB 베어스 | 14세이브 | |
평균 자책점 | 하기룡 | MBC 청룡 | 2.33 | |
승률 | 이길환 | MBC 청룡 | .682 | 시즌 15승 7패 |
이닝 | 장명부 | 삼미 슈퍼스타즈 | 427⅓이닝 | |
경기등판 | 장명부 | 삼미 슈퍼스타즈 | 60경기 | |
피홈런 | 장명부 | 삼미 슈퍼스타즈 | 19개 | |
피안타 | 장명부 | 삼미 슈퍼스타즈 | 388개 | |
사사구 허용 | 장명부 | 삼미 슈퍼스타즈 | 122개 | 볼넷 106개, 몸에 맞는 공 16개 |
패전 | 장호연 | OB 베어스 | 17패 | |
몸에 맞는 공 허용 | 장명부 | 삼미 슈퍼스타즈 | 16개 | |
실책(야수) | 서정환 | 해태 타이거즈 | 26개 | |
실책(팀) | ||||
폭투(투수) | 계형철 | OB 베어스 | 9개 | |
블론세이브 |
5. 포스트시즌
1983년 10월 15일부터 10월 20일까지 전기 1위 해태 타이거즈와 후기 1위 MBC 청룡간에 한국시리즈가 열렸다. 자세한 내용은 1983년 한국시리즈 항목 참조. 해태 타이거즈가 보너스 지급 등으로 팀 분위기가 엉망이 된 MBC를 4승 1무로 이기고 첫 우승을 차지했다.6. 기타
이 문서는 2016 시즌 이전 문서 중 가장 마지막으로 만들어진 프로야구 시즌 문서다.서울연고스포츠팀의 최초의 포스트시즌. MBC 청룡은 LG 트윈스로 명칭이 바뀔 때까지 9년의 역사동안 유일한 포스트시즌이기도 했다.
7. 다른 시즌 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061731> | KBO 리그 역대 시즌 |
{{{#FFF {{{#!wiki style="margin: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 창설 이전 | 1982 | 1983 | 1984 | 1985 | 1986 | 1987 | 1988 | 1989 | 1990 |
1991 | 1992 | 1993 | 1994 | 1995 | 1996 | 1997 | 1998 | 1999 | 2000 | |
2001 | 2002 | 2003 | 2004 | 2005 | 2006 | 2007 | 2008 | 2009 | 2010 | |
2011 | 2012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2021 | 2022 | 2023 | 2024 | |||||||
}}}}}}}}}}}} ||
[1] 그렇게 된다면 후기 공동 2위 삼성과의 결정전을 치뤘어야 했다. 1986년~1988년 시즌의 규정을 따를 시 결정전에서 이겼으면 전/후기 통합 2위로 한국시리즈 직행(!)(그래서 1986년 해태가 한국시리즈에 직행했다.), 졌으면 전기 2위자격으로 후기 1위 MBC와 5전 3선승제 플레이오프를 거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