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공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진그룹의 지상조업사 한국공항에 대한 내용은 한국공항 문서, 한신공영에 대한 내용은 한신공영 문서
참고하십시오.상위 문서: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학부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e4a84><tablebgcolor=#0e4a84> |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 }}} | |||
공과대학 | 의과대학 | 인문과학대학 | 사회과학대학 | |||
자연과학대학 | 정책과학대학 | 경제금융대학 | 경영대학 | |||
사범대학 | 생활과학대학 | 음악대학 | 예술·체육대학 | |||
국제학부 | 간호대학 | 산업융합학부 | 한양인터칼리지 | |||
창의융합교육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fff> 2020학년도 기준 | |||||||||
<rowcolor=#fff> 대학 | EAC | CAC | ETAC | 어코드 | 대학 | EAC | CAC | ETAC | 어코드 | |
가천대학교 | O | - | - | 워싱턴 | 가톨릭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강릉원주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강원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거제대학교 | - | - | O | 시드니 | 건국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건양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경기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경남대학교 | O | O | - | 워싱턴 | 경복대학교 | - | - | O | 더블린 | |
경북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경상국립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경성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경일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경희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계명대학교 | O | O | - | 워싱턴 | |
고려대학교 | O | - | - | 워싱턴 | 국립공주대학교(천안) | O | - | - | 워싱턴 | |
광운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구미대학교 | - | - | O | 더블린 | |
국민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군산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단국대학교(죽전) | O | O | - | 서울/워싱턴 | |
단국대학교(천안) | O | - | - | 서울/워싱턴 | 대구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대덕대학교 | - | - | O | 더블린/시드니 | 대진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동국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동국대학교(WISE) | O | - | - | 워싱턴 | |
동명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동서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동서울대학교 | - | - | O | 더블린/시드니 | 동신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동아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동원대학교 | - | - | O | 시드니 | |
동의과학대학교 | - | - | O | 더블린 | 동의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두원공과대학교 | - | - | O | 더블린/시드니 | 마산대학교 | - | - | O | 더블린 | |
명지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목원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목포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부경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부산대학교 | O | O | - | 워싱턴 | 백석대학교 | - | O | - | 서울 | |
상명대학교(서울) | - | O | - | 서울 | 상명대학교(천안) | O | - | - | 워싱턴 | |
상지대학교 | O | - | - | 워싱턴 | 서강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서영대학교 | - | - | O | 더블린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서울대학교 | O | - | - | 워싱턴 | 서울시립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선문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성결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성균관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세종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수원과학대학교 | - | - | O | 더블린 | 숙명여자대학교 | - | O | - | 서울 | |
순천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순천향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숭실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신라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아주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아주자동차대학교 | - | - | O | 더블린 | |
국립안동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연성대학교 | - | - | O | 시드니 | |
연세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영남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영남이공대학교 | - | - | O | 더블린/시드니 | 영진전문대 | - | - | O | 더블린 | |
울산과학대학교 | - | - | O | 시드니/더블린 | 울산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원광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이화여자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인제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인천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인하대학교 | O | - | - | 워싱턴 | 전남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전북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전주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제주대학교 | O | - | - | 워싱턴 | 제주한라대학교 | - | - | O | 시드니/더블린 | |
조선대학교 | O | O | - | 워싱턴 | 중앙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창원대학교 | O | - | - | 워싱턴 | 청주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충남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충북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한경국립대학교 | O | - | - | 워싱턴 | 한국공학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한국교통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한국기술교육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한국외국어대학교 | O | - | - | 워싱턴 | 한국항공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한국해양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한남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한동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한라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
국립한밭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한성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한신대학교 | O | - | - | 워싱턴 | 한양대학교 | - | O | - | 워싱턴 | |
한양대학교 ERICA | - | O | - | 워싱턴 | 호남대학교 | O | - | - | 워싱턴 | |
호서대학교 | O | O | - | 서울/워싱턴 | 호원대학교 | - | O | - | 서울 | |
홍익대학교(서울) | O | O | - | 서울/워싱턴 | 홍익대학교(세종) | O | - | - | 워싱턴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f5f5,#000> 수도권 | 가천대학교재 · 경기대학교 · 경희대학교재 · 고려대학교재 · 국민대학교재 · 단국대학교재 · 동국대학교재 · 삼육대학교특 · 상명대학교 · 서강대학교재 · 성균관대학교재 · 세종대학교재 · 숙명여자대학교 · 숭실대학교재 · · 신한대학교 아주대학교재 · 연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하대학교 · 한국외국어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특 · 한성대학교 · 한신대학교특 · 한양대학교(ERICA)재 | |||
관동권 | 연세대학교(미래) · 한라대학교특 · 한림대학교재 | ||||
호서권 | 건양대학교 · 고려대학교(세종) · 국립공주대학교 · 국립한밭대학교 · 배재대학교 · 선문대학교재 · 순천향대학교 · 우송대학교재 · 충남대학교재 · 충북대학교 · 한국과학기술원재 · 호서대학교 | ||||
동남권 | 경남대학교 · 국립부경대학교 · 국립창원대학교특 · 동서대학교 · 동아대학교 · 부산대학교재 · 울산대학교 · 인제대학교특 | ||||
대경권 | 경북대학교재 · 경운대학교특 · 국립안동대학교 · 대구가톨릭대학교 · 영남대학교 · 한동대학교재 | ||||
호남권 | 국립군산대학교 · 국립순천대학교 · 전남대학교 · 전북대학교 · 조선대학교재 | ||||
사업 종료 | 강원대학교 · 건국대학교 · 광운대학교 · 동명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원광대학교 · 제주대학교 중앙대학교 · 한양대학교 | ||||
특: 특화트랙(중·소규모대학), 재: 재선정 대학 | }}}}}}}}} |
{{{#!wiki style="margin: -8px;" |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3785,#191919> 대한민국 | 아주대학교 | 인하대학교 | 한양대학교 | }}}}}}}}} |
1. 개요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E4A84>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漢陽大學校 工科大學 Hanyang University College of Engineering | }}} | |
출범 | 1939년 동아공과학원 설립 | ||
학장 | 황희준 | ||
FM | 선봉공대[1] | ||
링크 |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홈페이지 |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는 공과대학이 대학/학부 소개의 제일 앞에 위치하고 있다. 이는 한양대학교가 동아공과학원에서 시작한 역사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러모로 한양대학교가 공대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보여주는 부분.[2]
이하의 개설 학과 목록은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공식 사이트에 나오는 순서대로 나열한 것이다.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 |
공과대학 | 소프트웨어대학 |
반도체공학과 건축학부 건축공학부 건설환경공학과 도시공학과 자원환경공학과 융합전자공학부 전기·생체공학부 * 전기공학전공 *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신소재공학부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 유기나노공학과 에너지공학과 기계공학부 원자력공학과 산업공학과 | 데이터사이언스학부 * 데이터사이언스전공 * 심리뇌과학전공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정보시스템학과 미래자동차공학과 |
2. 역대 학장
역대 공과대학 학장 | |||
대수 | 성명 | 소속 | 재임 기간 |
초대 | 김연준 | 설립자 | 1948 ~ 1961 |
2대 | 이두겸 | 기계공학과 | 1961 ~ 1980 |
3대 | 이동근 | 무기재료공학과 | 1980 ~ 1985 |
4대 | 이해성 | 건축공학과 | 1985 ~ 1989 |
5대 | 김광식 | 기계공학과 | 1989 ~ 1991 |
6대 | 이주성 | 화학공학과 | 1991 ~ 1995 |
7대 | 이상설 | 전자통신공학과 | 1995 ~ 1997 |
8대 | 박희용 | 기계공학부 | 1997 ~ 1999 |
9대 | 윤태훈 | 토목공학전공 | 1999 ~ 2001 |
10대 | 이경섭 | 재료공학부 | 2001 ~ 2002 |
11대 | 강성군 | 재료공학부 | 2002 ~ 2004 |
12대 | 임승순 | 분자시스템공학전공 | 2004 ~ 2006 |
13대 | 천병식 | 건설환경공학전공 | 2006 ~ 2008 |
14대 | 임승순 | 분자시스템공학전공 | 2008 ~ 2010 |
15대 | 권오경 | 융합전자공학부 | 2010 ~ 2011 |
16대 | 최재훈 | 융합전자공학부 | 2011 ~ 2013 |
17대 | 이관수 | 기계공학부 | 2013 ~ 2015 |
18대 | 김용수 | 원자력공학과 | 2015 ~ 2017 |
19대 | 정성훈 | 유기나노공학과 | 2017 ~ 2019 |
20대 | 유홍희 | 기계공학부 | 2019 |
21대 | 박승권 | 융합전자공학부 | 2019 ~ 2020 |
22대 | 이주 | 전기공학전공 | 2020 ~ 2022 |
23대 | 김찬형 | 원자력공학과 | 2022 ~ 2024 |
24대 | 황희준 | 건축학부 | 2024 ~ |
3. 공과대학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 |
공과대학의 약칭인 '공대'의 한자 표기 '工大'를 형상화한 마크 | |
한양대학교 공과대학의 국영문 로고 |
1939 | 동아공과학원 개교, 측량과[3], 토목과[4], 광산과[5] 설치 |
1941 | 동아고등공과학원으로 승격 |
1945 | 동아고등공과학원 건국기술학교 전문부로 재개교 |
1948 | 한양공과대학으로 승격, 전기공학과, 기계공학과, 화학공학과 설치 |
1959 | 종합대학 한양대학교 공과대학으로 승격, 9개 학과 설치 |
2003 | 공과대학 건축공학부가 건축대학 건축공학부로 분리 |
2008 | 공과대학, 건축대학, 정보통신대학이 공과대학으로 통합 |
2009 | 공과대학을 4개 대학으로 재편성(제1,2,3,4공과대학) |
2011 | 제1,2,3,4공과대학을 하나의 공과대학으로 통합, 단순한 그룹제로 재편성 |
2016 | 공과대학 5번째 그룹(소프트웨어대학) 신설 |
2019 | 공과대학 내 기존 5개의 그룹을 공과대학과 소프트웨어대학 2개의 그룹으로 재편성 |
대한민국 최초의 사립 공과대학이자 대한민국 산업화의 주역.
1939년 동아공과학원 설립, 1948년 한양공과대학으로 승격 후 1959년 종합대학 한양대학교로 승격하고 지금의 단과대학인 한양대학교 공과대학이 되어 지금에 이르고 있다. 2019년 기준 80주년을 맞이하게 되었다.
경부고속도로 개통 당시 박정희 전 대통령이 "이거 전부 한양공대 판이구먼"이라고 했다는 일화가 유명하고 이 말은 한양공대의 저력을 여실히 보여준다. 경부고속도로 외에도 서울 지하철[6], 대한민국 경제발전에 중요한 인프라 증축에 많은 기여를 한 곳이다.
2020년 모집인원 기준 총 2809명의 신입생 중 무려 1074명이 공과대학 신입생일 정도로 압도적인 인원수를 자랑한다. 어마어마한 규모에 맞게 과거에는 공과대학 자체가 또 다섯 개의 내부 그룹으로 나뉘었는데, 학생들도 스스로 '나는 X공대생이다.'[예시] 라고 부를 정도로 많이 쓰이는 분류이다. 2019년부터 공과대학 내부에 '공과대학' 그룹과 '소프트웨어대학' 그룹이 있는 것으로 내부 그룹이 개편 되었으나, 아직까지 재학생들 사이에서는 'X공대' 분류가 흔하게 사용된다.[8]
한양공대 학생들만의 이른바 "공대부심"은 꽤 유명한데, 타 학교의 과잠바는 일반적으로 등에 "XXXX(학교 영문명칭) UNIV." 라고 적혀 있는 반면에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학과들의 과잠바 등판에는 "HANYANG TECH."라고 적혀있다.[9]
컴퓨터 관련 학과 역사는 매우 복잡한 것으로 유명하다. 과거에는 공과대학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로 불렸으며, 더 정확히는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가 전자통신컴퓨터공학부와 전기생체제어공학부로 나뉘어졌다. 게다가 09학번부터는 또 다시 공과대학이 개편되면서 전자통신컴퓨터공학부는 전자통신공학부와 컴퓨터공학부 두개의 학부로 나누어지고, 정보통신대학과 건축대학이 공과대학으로 편입되었다. 하지만 개편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는데, 10학번부터는 전자통신공학부가 융합전자공학부로 개편되고, 12학번부터는 컴퓨터공학부에서 컴퓨터전공 외에 소프트웨어전공이 신설되었다. 이후 2016년 공과대학 하위에 소프트웨어대학을 신설하면서 컴퓨터공학부의 컴퓨터전공과 소프트웨어전공을 합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를 신설하였다.
2019년부터 기존 제1, 2, 3, 4공과대학 그룹을 하나의 공과대학 그룹으로 통합하였다. 이때 미래자동차공학과는 제4공과대학 그룹에서 소프트웨어대학 그룹으로 편입되었다. 반도체공학과는 그룹을 통합한 뒤에 신설되었다.
3.1. 반도체공학과
Department of Semiconductor EngineeringFM - 낭만반도체
학위명: 공학사
2022 | 공과대학 반도체공학과 |
SK 하이닉스와 협업하여 2022년에 신설된 계약학과이다. 2023년에 첫 신입생을 모집하였다.
3.2. (구)제1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를 제외한 1공대 학생들이 주로 수업을 듣게 되는 과학기술관(좌측 203번 건물)과 건축계열 학생들이 이용하는 건축관(우측 202번 건물)
누가 한국을 이끌어 왔습니까?
현재의 한양공대를 만든 곳[10]
3.2.1. 건축학부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국내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 ||
프로그램 | 홈페이지 | 인증기간 | |
가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24-2029 | |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4-2028 | |
강원대학교(춘천) 문화예술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08-2030 | |
건국대학교 #대학원석사 건축전문대학원 | # | 2009-2024 | |
경기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 | 2009-2025 |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건설환경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8-2023 | |
경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 | 2020-2023 | |
경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09-2024 | |
경상국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1-2026 | |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축디자인학부 건축학전공 | # | 2021-2026 | |
경일대학교 SMART인프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21-2025 | |
경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 | 2013-2028 | |
계명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토목공학부 건축학전공 | # | 2018-2022 | |
광운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4-2027 | |
고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2-2022 | |
국립공주대학교 천안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4-2024 | |
국민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설계전공 | # | 2010-2026 | |
국립금오공과대학교 공학계열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7-2025 | |
남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7-2028 | |
단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0-2023 | |
동국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공학과(4+2) | # | 2017-2026 | |
동명대학교 건축•디자인대학 건축학부 건축학과(5년) | # | 2018-2022 | |
동서대학교 건축토목계열 건축학과 | # | 2012-2023 | |
동아대학교 디자인환경대학 건축학과 | # | 2009-2025 | |
동의대학교 공과대학 건설공학부 건축학전공 | # | 2013-2024 | |
대구가톨릭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 | 2014-2025 | |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07-2022 | |
명지대학교 건축대학 건축학부 전통건축전공 | # | 2017-2022 | |
목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20-2025 | |
국립목포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1-2026 | |
국립부경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08-2023 | |
부산대학교 공과대학 건설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 | 2011-2028 | |
배재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7-2025 | |
삼육대학교 문화예술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7-2024 |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08-2023 | |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 | 2007-2022 | |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07-2022 | |
선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2-2023 | |
성균관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09-2023 | |
세종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 | # | 2011-2026 | |
국립순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 | 2019-2023 | |
순천향대학교 SCH미디어랩스 건축학과 | # | 2022-2027 | |
숭실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2-2027 | |
신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 # | 2022-2025 | |
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전공 | # | 2011-2026 | |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건축학전공 | # | 2009-2025 | |
영남대학교 건축학전공 | # | 2008-2026 | |
울산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08-2024 | |
원광대학교 창의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6-2024 | |
이화여자대학교 엘텍공과대학 미래사회공학부 건축학전공 | # | 2011-2026 | |
인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22-2027 | |
인천대학교 #대학원석사 일반대학원 건축학과(4+2) | # | 2021-2025 | |
인하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4-2024 | |
전남대학교(광주)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도시설계전공 | # | 2011-2026 | |
전남대학교(여수) 공학대학 건축디자인학과 | # | 2022-2026 | |
전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7-2023 | |
조선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2-2023 | |
중앙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4-2024 | |
제주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12-2024 | |
국립창원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부 | # | 2017-2028 | |
청주대학교 공과대학 휴먼환경디자인학부 건축학ㆍ건축공학전공 | # | 2012-2023 | |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08-2023 | |
충북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12-2022 | |
한경국립대학교 디자인건축융합학부 건축학전공 | # | 2013-2024 | |
국립한국교통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건축학과 | # | 2010-2026 | |
한국예술종합학교 미술원 건축과 | # | 2015-2026 | |
한남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전공 | # | 2015-2026 | |
국립한밭대학교 건설환경조형대학 건축학과 | # | 2010-2025 | |
한양대학교 서울 공과대학 건축학부 | # | 2008-2023 | |
한양대학교 ERICA 공학대학 건축학부 | # | 2009-2023 | |
호서대학교 공과대학 건축학과 | # | 2009-2025 | |
홍익대학교(서울) 건축도시대학 건축학부 건축학전공 | # | 2007-2023 | |
홍익대학교(세종) 과학기술대학 건축공학부 건축디자인전공 | # | 2012-2023 | |
국외 건축학교육 인증프로그램 | |||
프로그램 | 홈페이지 | 인증기간 | |
인도네시아 반둥공과대학교 #대학원석사 (ITB, Institute Technology Bandung) | # | 2016-2024 | |
인도네시아 이슬람대학교 (UII, University Islam Indonesia) | # | 2017-2025 | |
인도네시아 가자마다대학교 (UGM, Universitas Gadjah Mada) | # | 2020-2022 | |
* 대학교학사 : 대학교 건축학사 (Bachelor of Architecture) 학위 * 대학원석사 : 대학원 건축석사 (Master of Architecture) 학위 별도의 표기가 없는 경우, 대학교 건축학사(B.Arch) 과정임 건축학교육인증의 인증현황은 이곳에서도 확인 가능함 위의 표는 2022년 7월 31일의 인증현황을 기준으로 함 | }}}}}}}}} |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FM - 통일건축
학위명: 건축학사
1939 | 동아공과학원 측량과 |
1941 | 동아고등공과학원 건축과 |
1948 |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
1963 | 공과대학 건축의장학과 (신설), 건축공학과 |
1968 | 공과대학 건축학과 (명칭 변경), 건축공학과 |
1993 |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통합) |
1994 |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
2002 |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학전공(5년제) (개편) |
2004 | 건축대학 건축학부 |
2008 | 공과대학 건축학부 |
한양대학교의 최초의 3개 학과[11] 중 하나로, 국내에서 손꼽히는 오랜 역사를 갖고 있고 많은 졸업생을 배출한 건축교육기관이다.
미국의 건축사과정(AIA)에 근간한 5년제 건축학전공으로, 4년제 건축공학부와 함께 한양대학교 건축계열을 이루고 있다. 공학교육인증(ABEEK) 대신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에서 운영하는 건축학인증(KAAB)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건축학 과정의 학생들은 기하학 이후의 수학과목은 거의 수강하지 않고 건축학 인증의 요구에 응하기 위해 전공만 5년 내내 듣는다. 졸업 시 건축학사를 수여받는다.
타 학교에서 건축학부는 일반적으로 공과대학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한양대 역시 그렇지만 초창기부터 따로 독립된 상태에서 발전한 건축학부라서 비교적 최근까지 독립된 단과대학인 건축대학으로 존재했다. 따라서 현재도 행정상으로만 공과대학 건축학부로 지정되어있고, 여러 행사나 활동들은 여전히 건축계열(건축공학과, 건축학과)만 따로 진행이 된다. 심지어 건축계열 단과대 학생회장까지 선출하고 타과 학생들도 건축대학을 사실상 독립된 단과대학으로 취급해주고 있다.[12]
3.2.2. 건축공학부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FM - 통일건축
학위명: 공학사
1939 | 동아공과학원 측량과 |
1941 | 동아고등공과학원 건축과 |
1948 | 공과대학 건축공학과 |
1994 |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
2002 |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건축공학전공(4년제) (개편) |
2004 | 건축대학 건축공학부 |
2008 | 공과대학 건축공학부 |
한양대학교의 최초의 3개 학과중 하나이며, 5년제 건축학부와 함께 한양대학교 건축계열을 이루고 있다. 건축공학부에서는 건축학부에 비해 건축물의 구조나 시공. 공법, 환경 등에 대해서 좀 더 깊이있게 파고들며 4년제 과정과 공학교육인증(ABEEK)를 수료하고 졸업을 하게 된다.
건축공학부는 공대 내의 다른 학과 학생들과 함께 미분방정식, 선형대수학등의 수학과목을 계속 배운다.
3.2.3. 건설환경공학과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3) |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FM - 민족건설
학위명: 공학사
1939 | 동아공과학원 토목과 |
1941 | 동아고등공과학원 토목과 |
1948 |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1997 | 공과대학 지구환경건설공학부 토목공학전공 |
1999 | 공과대학 도시환경공학과군 토목공학전공 |
2001 | 공과대학 도시건설환경공학과군 건설환경공학전공 |
2009 |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한양대학교의 최초의 3개 학과(건축과, 토목과, 광산과) 중 하나이다. 선배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고 연구분야와 실무분야에서 성과를 내고 있으며, 2014 QS세계대학평가 학과별 평가 기준에서 51~100위에 랭크되었다. 5급공채 기술직 토목직렬에서도 꾸준히 많은 합격자를 배출해오고 있다.
건환공 전용 건물인 재성토목관은 한양대학교에서 가장 낮은 고도에 위치하기 때문에 2학년 이상이 되면 교양교과목 외에는 행당산을 탈 필요가 없다. 등하교도 애지문(2번출구)으로 하지 않고 3번출구로 다닌다. 건물 내에 학과 전용 도서관이 존재한다. (물론 타 단과대학[13] 건물에도 학과 전용 도서관은 있다)
국내의 인프라 구축이 거의 완료되면서 토목공학과의 선호도가 다소 낮아진 상황이지만, 한양대 공대 내에서 상징성이 높은 학과이고 선배들의 자부심도 강하기 때문에 지원이 많다.
3.2.4. 도시공학과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Engineering
FM - 민중도시
학위명: 공학사
1968 |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1999 | 공과대학 도시환경공학과군 도시공학전공 |
2001 | 공과대학 도시건설환경공학과군 도시공학전공 |
2009 | 공과대학 도시공학과 |
3.2.5. 자원환경공학과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Department of Earth Resources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FM - 비상시스템
학위명: 공학사
1939 | 동아공과학원 광산과 |
1941 | 동아고등공과학원 광산과 |
1948 | 공과대학 광산공학과 |
1971 | 공과대학 자원공학과 |
1996 | 공과대학 자원환경공학과 |
1997 | 공과대학 지구환경건설공학부 자원환경공학전공 |
1999 | 공과대학 시스템응용공학부 지구환경시스템공학전공 |
2008 | 공과대학 자원환경공학과 |
속칭 자환공으로 불리며 한양대학교의 최초의 3개 학과[14] 중 하나로, 학교 사정상 학과제로 운영되기도 하고 학부제로 운영되기도 하였다. 토목과와 함께 지구환경건설공학부로 운영되기도 하였으며, 최근에는 원자력공학과, 산업공학과와 함께 시스템응용공학부로 운영되었다. 시스템응용공학부로 운영한 이후 학과제로 복귀후 지금도 각 학과간에 과방 공유와 더불어 친목행사를 같이한다.
2009년부터 지식경제부의 지원으로 자원개발특성화대학 사업을 수행, 2016년에는 교육부의 지원으로 BK21PLUS 사업을 진행해 가며 미래사회에 전개될 자원개발과 환경문제를 조화시킬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있다. 자원환경공학을 전공한 졸업생들은 자원개발 관련 정부기관, 정부출연 연구소, 공기업과 해외자원 개발 및 투자 관련 기업, 환경보전 관련 기업 등의 민간 기업, 건축 · 토목 관련 연구소 및 기업으로 나가고 있다.
3.3. (구)제2공과대학
3.3.1. 융합전자공학부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School of Electronic Engineering[15][16][17]
FM - 혁신전자
학위명: 공학사
1964 | 공과대학 전자공학과 신설 |
1970 | 공과대학 통신공학과 신설 |
1976 | 통신공학과를 전자통신공학과로 과명 변경 |
1991 | 공과대학에 전파공학과 신설 |
1994 | 전자공학과, 전자통신공학과, 전파공학과를 통합하여 전자·전자통신·전파공학과군(A학과군)으로 명칭 변경 |
1997 | 전기공학과 및 전자·전자통신·전파공학과군을 전자전기공학부로 통합 및 변경 |
2006 |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를 전자통신컴퓨터공학부와 전기제어생체공학부로 분리 |
2008 | 공과대학 전자통신컴퓨터공학부, 정보통신대학 정보통신학부 미디어통신공학전공, 컴퓨터전공을 공과대학 전자·통신공학부, 컴퓨터공학부로 각각 변경 |
2010 | 공과대학 전자·통신공학부를 특성화하여 융합전자공학부로 출범 |
한양대의 전자공학과. 학생들은 융전으로 줄여 부른다. 기본적으로 전자공학과와 통신공학과가 합쳐져 있는 형태이며 지금은 전기생체공학부로 분리된 전기공학과와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로 분리된 컴퓨터공학과와 통합되어있다 재분리된 복잡한 역사를 가지고 있다.
전기전자공학과의 높아진 인기로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중 높은 선호도와 입결을 자랑한다. 전과를 비롯하여 다중전공 복수전공의 선호도와 난이도가 가장 높은 학과이다. 아직은 전용관이 없어 교수 연구실이 여러 건물에 분산된 상태이다. 공업센터 별관을 증개축해 제3공학관(전기전자관)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3.3.2. 전기·생체공학부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School of Electrical and Biomedical Engineering
Major in Electrical Engineering - 전기공학전공
Major in Biomedical Engineering -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18]
FM - 열정전생
학위명: 공학사
1948 | 공과대학 전기공학과 |
1997 | 공과대학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
2004 | 공과대학 전기제어생체공학부 |
2008 | 공과대학 전기·생체공학부 |
한양대학교 전기·생체공학부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홈페이지
2004년까진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였다가 2005년 전자통신컴퓨터공학부[19]와 전기제어생체공학부로 분리되었다. 이후 2008년에 이름을 바꿔 2009년부터 전기·생체공학부라는 이름을 쓰고 있다. 분리된 이유는 (한양대 공대 출신 교수님 말씀에 따르면) 전기/생체/전자/컴퓨터공학 교수 간의 파벌 싸움으로 추측된다.
1학년 때는 통합으로 선발하고 2학년 진급 시 두 전공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행정상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 선택자는 1년에 35명으로 제한되지만 정말 한두 번을 제외하면 성적이 낮아 원하는 전공을 못 간 경우는 거의 없었다고 한다.
2023학년도부터는 전기공학전공과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은 모집단위에서 완전히 분리됐다. 물론 형식적으로는 여전히 한 학부에 묶여 있지만 행정적으로는 완전히 남남으로 봐도 무방하다. 아울러 일반대학원 생체공학과는 2020학년도부터는 일반대학원 융합전자공학과와 통합해 운영되고 있다.
바이오메디컬공학전공에서는 의료기기, 신호제어, 프로그래밍 회로 등을 배우지만 다른 학교에서는 생체의공학이라고 부른다. 얼핏 이름만 보면 생명공학에 가까워 보이지만 실제로 배워보면 오히려 전자공학과 깊이 연관돼 있음을 느낄 수 있다. 이를 전혀 모르고 물리학과 컴퓨터공학의 늪에 빠져 방황하는 학생이 더러 있기 때문에 커리큘럼 정도는 미리 알아두는 것이 좋다.
3.4. (구)제3공과대학
3.4.1. 신소재공학부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School of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FM - 한빛신소재
학위명: 공학사
1960 | 공과대학 요업공학과 | 1963 | 공과대학 금속공학과 | 1965 | 공과대학 재료공학과 | |
1977 | 공과대학 무기재료공학과 | ↓ | ||||
1997 | 공과대학 응용화학공학부 세라믹전공 | 1997 | 공과대학 재료금속공학부 | |||
↓ | 1998 | 공과대학 재료공학부 | ||||
2004 |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세라믹전공 | 2004 |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신소재전공 | |||
2006 | 공과대학 신소재공학부 |
3.4.2. 화학공학과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FM - 주체응화
학위명: 공학사
1948 |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1996 | 공과대학 응용화학공학부 화학공학전공 |
2005 | 공과대학 응용화공생명공학부 화학공학전공 |
2015 |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기존 학과명이 응용화공생명공학부였는데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현재 화공생명공학부 세부 전공), 그리고 지금의 유기나노공학과인 분자시스템공학과로 구성되어있었다. 2011년 분자시스템공학과는 유기나노공학과로 분리되었지만 여전히 학생회는 응용화공생명공학부 소속.2014학년도까지는 신입생을 화공생명공학부 단위로 모집해 2학년때부터 화학공학과와 생명공학과로 분리되었으나 2015학년도부터 신입생도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 단위로 분할모집한다.
3.4.3. 생명공학과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Department of Bioengineering
FM - 주체응화
학위명: 공학사
2005 | 공과대학 응용화공생명공학부 생명공학전공 |
2015 | 공과대학 생명공학과 |
기존 학과명이 응용화공생명공학부였는데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현재 화공생명공학부 세부 전공), 그리고 지금의 유기나노공학과인 분자시스템공학과로 구성되어있었다. 2011년 분자시스템공학과는 유기나노공학과로 분리되었지만 여전히 학생회는 응용화공생명공학부 소속. 2014학년도까지는 신입생을 화공생명공학부 단위로 모집해 2학년때부터 화학공학과와 생명공학과로 분리되었으나 2015학년도부터 신입생도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 단위로 분할모집한다.
3.4.4. 유기나노공학과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FM - 주체응화
학위명: 공학사
1958 | 공과대학 섬유화학과 |
1959 | 공과대학 섬유공학과 |
1994 |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섬유고분자공학전공 |
1996 | 공과대학 응용화학공학부 섬유고분자공학전공 |
2002 | 공과대학 응용화학공학부 분자시스템공학전공 |
2011 | 공과대학 유기나노공학과 |
50년대 섬유화학, 섬유공학 이라는 학과명으로 시작되어 2000년대 화공생명공학부로 변경되었다. 학부는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현재 화공생명공학부 세부 전공), 그리고 지금의 유기나노공학과인 분자시스템공학과로 구성되어 있었다. 2011년 분자시스템공학과는 유기나노공학과로 분리되었지만 여전히 학생회는 응용화공생명공학부 소속. 2014학년도까지는 신입생을 화공생명공학부 단위로 모집해 2학년때부터 화학공학과와 생명공학과로 분리되었으나 2015학년도부터 신입생도 화학공학과, 생명공학과 단위로 분할모집한다.
3.4.5. 에너지공학과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Department of Energy Engineering
FM - 열혈에너지
학위명: 공학사
2010 | 공과대학 에너지공학과 |
교내에서는 에공으로 불린다. 2010년 한양대가 WCU 사업에 선정되면서 신설한 특성화 학과다.
3.5. (구)제4공과대학
3.5.1. 기계공학부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FM - 최강기계
학위명: 공학사
Nothing moves without Mechanical Engineering[20]
1948 | 공과대학 기계공학과 |
1996 |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
한양대학교는 여타 다른 대학과 달리 전자공학과보단 기계공학과의 인원이 가장 많다(19학번 입학 기준 200명).[21] 그렇기 때문에 과 응원 구호로 '우주최강 기계' '쪽수최강 기계'를 사용한다. 과거엔 건축학과와 함께 한양공대의 별과 같은 존재였고, 현재에도 그 위상은 막강하다.
기계공학부의 과 잠바 색상은 올 검은색에 학교 이름이 붉은색으로 써져있는 것 또는 팔부분만 흰색에 등판 남색, 학교 이름이 붉은 색으로 써져 있는. 학번 밑에 학과의 약칭인 MECH가 적혀 있다. 선배들의 지원에 힘입어 과방이 다른 과보다 매우 고급지다(...) 한편, 미래자동차공학과와 더불어 공업수학3까지 듣는 학과중 하나이다.
2023년 말 구자겸 기계관 기공식을 가졌다.[22]
3.5.2. 원자력공학과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Department of Nuclear Engineering
FM - 비상시스템
학위명: 공학사
From the smallest, to the biggest[23]
1958 | 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 |
1996 | 공과대학 시스템응용공학부 원자력공학전공 |
2003 | 공과대학 시스템응용공학부 원자시스템공학전공 |
2009 | 공과대학 원자력공학과 |
1958년 설립된 한양대학교 원자력공학과는 국내 최초의 원자력공학과로, 세계적으로도 초기 설립된 원자력 공학과 중 하나이다. 설립 이래 원자력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활약해 왔으며, 원자력 관련 직종에서는 한양대 출신 선배나 상사가 어디에나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
과거(2009년까지) 한양대 공과대학은 자원환경공학과, 산업공학과와 함께 시스템응용공학부로 운영되었으나, 이후 학과제로 복귀했다. 현재도 각 학과 간에 과방과 FM을 공유하며, 동아리나 새내기 배움터 같은 친목 행사를 함께 진행하고 있다.
교수진과 연구실은 아래와 같습니다:
원자력안전해석연구실(NASA/제무성 교수님) http://murrg.hanyang.ac.kr/main.php
첨단방사선공학연구실(HUREL/김찬형 교수님) http://hurel.hanyang.ac.kr
방사선계측공학연구실(RAISE/김용균 교수님) http://raise.hanyang.ac.kr
전산수송해석 및 로물리 연구실(CTRP/홍서기 교수님) http://ctrp.hanyang.ac.kr
원자로열수력학연구실 (ATHENA/김성중 교수님) https://athena.hanyang.ac.kr
방사선과학및안전연구실(RSSL/정윤선 교수님) http://rssl.hanyang.ac.kr
핵융합플라즈마계산공학연구실(NFPC/이정표 교수님) http://nfusion.hanyang.ac.kr
원자력재료연구실 (NML/김상태 교수님) http://stkim.hanyang.ac.kr
방사성폐기물및방사화학연구실 (CARE/조용흠 교수님) http://nucare.hanyang.ac.kr
학부에서 받을 수 있는 장학금으로는 성적장학금[24], 한국원자력학회장학금[25], 김철종 장학금[26] 등이 있다. 또한 대학원 진학 시 석박사통합과정의 경우 한양대학교 졸업생에 한정해서 등록금 전액을 면제해주고 있으며,[27] 석사과정의 경우 등록금의 75%를 지원한다.[28]
학부생이 받을 수 있는 장학금에는 성적 장학금[29], 한국원자력학회 장학금[30], 김철종 장학금[31] 등이 있다. 또한 대학원 진학 시 혜택도 풍부하다. 석박사 통합과정에 진학한 한양대 졸업생은 등록금 전액 면제 혜택을 받으며[32], 석사 과정 학생은 등록금의 75%를 지원받는다[33].
또한 할 수 있는 대외활동도 다양한데, 한국전력기술의 Power Engineering School[34], 원자력협력재단[35]의 원자력글로벌인턴십[36], 원자력글로벌스칼라십[37] 이 있다.
한양대 원자력공학과는 방사선 분야에 특히 강점을 보이며, 8개의 연구실 중 3곳이 방사선 계측, 방호, 의학물리 등 방사선 분야에 특화되어 있다. 이는 국내 다른 대학들과 비교해도 방사선 관련 연구에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특징이 있다.
원자력관련 사기업이 많이 없기 때문에 대부분은 공기업에 취직을 하거나, 대학원에 진학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졸업 후 한국수력원자력(KHNP)에 취업하는 걸로 아는 사람이 많지만 실제로 바로 취업하는 경우보다 대학원 진학 후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가는 경우가 더 많다.[38] 관련 공기업을 가지 않을거라면 거의 대부분 정출연 내지 연구재단으로 가게 될텐데, 이 곳들은 경영지원, 재무 같은 문과쪽이 아니면 거의 95% 이상 석사 이상 지원 가능 티오만 나오기 때문이다. 졸업 후 진로로는 공기업(한국수력원자력(KHNP)[39], 한국전력기술(KEPCO e&c)[40]), 연구원(한국원자력연구원(KAERI)[41],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KINS)[42]), 사기업(두산에너빌리티[43]), 대형병원(세브란스나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국립암센터)[44] 등이 있다.
교수진 | |||
성명 | 학위 | 연구분야 | 재직 기간 |
제무성 | 서울대학교 공학사 서울대학교 공학 석사 美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앤젤레스 공학 박사 | 원자로안전공학 | 2001 ~ |
김찬형 | 한양대학교 공학사 한양대학교 공학 석사 美 텍사스 A&M 대학교 공학 박사 | 방사선공학 | 2003 ~ |
김용균 | 서울대학교 이학사 서울대학교 이학 석사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 방사선계측 | 2006 ~ |
홍서기 | 한양대학교 공학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 석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 박사 | 원자로물리 | 2020 ~ |
김성중 | 한양대학교 공학사 서울대학교 공학 석사 美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공학 석사 美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공학 박사 | 원자로열수력 | 2011 ~ |
정윤선 | 한국과학기술원 공학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 석사 美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공학 박사 | 방사선의학 | 2018 ~ |
이정표 | 서울대학교 공학사 美 스탠퍼드 대학교 공학 석사 美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공학 박사 | 핵융합플라즈마 | 2018 ~ |
김상태 | 美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공학사 美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공학 박사 | 원자로재료 | 2020 ~ |
송민섭 | 서울대학교 공학사 서울대학교 공학 석사 서울대학교 공학 박사 | 원자로열수력 | 2022 ~ |
조용흠 | 한국과학기술원 공학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 석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 박사 | 방사화학 | 2023 ~ |
퇴임 교수 | |||
안희도 | 서울대학교 공학사 | 토목공학 | 1960 ~ 1970 |
육종철 | 서울대학교 공학사 한양대학교 공학 석사 한양대학교 공학 박사 | 방사선이용기술 | 1964 ~ 1991 |
김경응 | 한양대학교 이학사 한양대학교 이학 석사 한양대학교 공학 박사 | 핵연료 | 1969 ~ 1986 |
이병헌 | 英 레스터 대학교 이학 박사 | 방사화학 | 1973 ~ 1994 |
제원목 | 서울대학교 이학사 서울대학교 이학 석사 서울대학교 이학 박사 | 핵공학 | 1969 ~ 1996 |
이재기 | 서울대학교 공학사 서울대학교 공학 석사 美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샴페인 공학 박사 | 방사선방호 | 1993 ~ 2016 |
전규동 | 한양대학교 공학사 한양대학교 공학 석사 美 위스콘신 대학교 공학 박사 | 원자로열전달 | 1986 ~ 2017 |
김종경 | 美 버팔로 대학교 공학사 美 미시간 대학교 공학 박사 | 입자수송물리 | 1987 ~ 2018 |
정규선 | 서울대학교 공학사 서울대학교 공학 석사 美 매사추세츠 대학교 공학 박사 | 플라즈마공학 | 1989 ~ 2022 |
김용수 | 한양대학교 공학사 한양대학교 공학 석사 美 캘리포니아 대학교 버클리 공학 박사 | 원자로재료 | 1994 ~ 2022 |
3.5.3. 산업공학과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FM - 비상시스템
학위명: 공학사
1958 | 공과대학 공업경영학과 |
1979 |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
1999 | 공과대학 시스템응용공학부 산업공학전공 |
2009 |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산업공학과. 과거 원자력공학과, 자원환경공학과와 함께 시스템응용공학부로 운영되었고 학과제로 복귀한 지금도 각 학과간에 과방 공유와 더불어 친목행사를 같이한다.
교수진 | |||
성명 | 학위 | 연구분야 | 재직 기간 |
이동호 | 서울대학교 공학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 석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 박사 | 생산물류 | 2003 ~ |
정인재 | 한양대학교 공학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 석사 美 텍사스 A&M 대학교 공학 박사 | 최적화이론 | 2003 ~ |
김태복 | 포항공과대학교 공학사 포항공과대학교 공학 석사 포항공과대학교 공학 박사 | 공급망관리 | 2016 ~ |
배석주 | 한양대학교 공학사 한양대학교 공학 석사 美 조지아 공과대학교 공학 박사 | 신뢰성공학 | 2005 ~ |
이기천 | 한국과학기술원 공학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 석사 美 조지아 공과대학교 공학 박사 | 데이터마이닝 | 2012 ~ |
박철진 | 한국과학기술원 공학사 美 조지아 공과대학교 공학 석사 美 조지아 공과대학교 공학 박사 | 확률기반최적화 | 2014 ~ |
송재욱 | 美 조지아 공과대학교 공학사 서울대학교 공학 박사 | 금융혁신 | 2019 ~ |
퇴임 교수 | |||
김만식 | 서울대학교 공학사 한양대학교 공학 박사 | 운용과학 | 1967 ~ 1991 |
이근희 | 서울대학교 경제학사 한양대학교 공학 석사 동아대학교 경제학 박사 | 산업공학 | 1969 ~ 1996 |
노인규 | 한국해양대학교 공학사 美 오리건 주립대학교 공학 석사 美 오리건 주립대학교 공학 박사 | 생산관리 | 1981 ~ 2003 |
김성집 | 연세대학교 상학사 고려대학교 상학 석사 경희대학교 경영학 박사 | 공업회계 | 1969 ~ 2003 |
황의철 | 美 포틀랜드 대학교 이학사 한양대학교 경제학 박사 | 품질관리 | 1973 ~ 1993 |
김재련 | 서울대학교 공학사 美 오리건 주립대학교 공학 석사 美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공학 박사 | MIS | 1980 ~ 2010 |
윤덕균 | 서울대학교 공학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 석사 한국과학기술원 공학 박사 | 품질경영 | 1982 ~ 2013 |
박민용 | 한양대학교 공학사 한양대학교 공학 석사 美 버지니아 공과대학교 공학 박사 | 산업안전공학 | 1993 ~ 2020 |
3.6. 소프트웨어대학
예전에는 정보통신대학으로 불렸으며, 이후 소프트웨어대학으로 개칭되었으나, 학생들은 주로 ‘5공대’라고 불렀다. 2019년에 4공대였던 미래자동차공학과가 소프트웨어대학 그룹으로 편입되면서 기존에 부르던 ‘5공대’라는 별칭이 다소 애매하게 되었다.3.6.1. 데이터사이언스학부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3) |
FM - 미래데사
학위명: 공학사
2020 | 인텔리전스컴퓨팅학부 데이터사이언스학과 | 2021 | 인텔리전스컴퓨팅학부 심리뇌과학과 |
↓ | |||
2022 | 공과대학 데이터사이언스학부 |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내 소프트웨어대학 데이터사이언스학부. 2019년도에 인공지능 관련 학부로 인텔리전스컴퓨팅학부[45]를 신설하고 2020년에 데이터사이언스학과, 2021년에 심리뇌과학과[46]를 차례로 신설했다. 초기에는 개별 학부로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학과를 운영했으나, 2022년부터 공과대학으로 편입되어 공과대학 내 소프트웨어대학 데이터사이언스학부로 편제가 변경되었다. 따라서 2022학년도 신입생부터는 데이터사이언스학부 통합과정에서 4학기[47]를 이수 후 데이터사이언스전공[48]이나 심리뇌과학전공[49]을 선택하게된다.
다양한 분야의 학문을 인공지능에 접목하여 분석하고 연구하는 방법을 배운다. 남녀 성비는 8:2 정도로 공과대학 내에서는 여자의 비율이 높은 편. 과방은 퓨전테크센터(FTC)[50] 3층과 5층에 위치하며, 데이터사이언스학부 외에는 사용하지않는다. 일반적으로 1학년 때에는 3층에 위치한 아트스페이스[51]를 사용하다가 2학년이 되면 새로운 1학년에게 양보하고 5층에 위치한 라운지를 주로 사용한다.
1학년 때부터 대부분의 수업을 영어로 진행한다.[52] 영어 실력이 많이 늘긴하지만 영어를 웬만큼 잘하지않는 이상 따로 공부를 해야만 수업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다. 수업만으로 공부하는 것은 추천하지 않는다.
3.6.2.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FM - 창조컴소
학위명: 공학사
2000 | 정보통신대학 정보통신학부 소프트웨어전공 |
2004 | 정보통신대학 정보통신학부 컴퓨터전공 |
2005 | 공과대학 전자통신컴퓨터공학부 |
2008 | 공과대학 컴퓨터공학부 |
2017 | 공과대학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
최근 들어 한양대 전체 학과 중 가장 선호도가 높은 학과다. 게다가 높은 인기로 전과와 복수전공 신청이 많아지면서 수강신청 경쟁률이 높아졌다. 학생들은 컴소로 줄여부른다. 컴퓨터과학 및 컴퓨터공학 분야의 핵심 고급 인력을 배출하고, 대한민국의 국가경쟁력 제고에 공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 학부의 전임교수진은 25명의 컴퓨터과학 및 컴퓨터공학 분야 권위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수진들은 컴퓨터시스템,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알고리즘, 인공지능, 영상처리 등의 분야에서 매우 강한 연구그룹을 형성하고 있다.
(구)컴퓨터공학부 + 소프트웨어전공으로 2016년 SW대학을 신설하였고 미래창조과학부가 선정한 산업 현장의 요구를 반영한 교육 체계와 커리큘럼으로 기업이 원하는 SW 전문인력과 융합인재 등을 육성하는 소프트웨어중심대학에 선정되어 2017년부터 컴퓨터공학부와 소프트웨어학부가 통합되어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로 신입생을 선발하게 되면서 다이아몬드 학과가 되었다.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학생들은 타 공대와는 다른 강의 커리큘럼을 밟게 된다.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1,2학년때 미적분학1,2/ 공업수학1,2/ 일반물리학및실험1,2/일반화학및실험/선형대수학 정도의 공통과목 수업을 듣게 되는데,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학생들은 공통과목 중 미적분학 1,2와 일반물리학및실험1, 선형대수학 까지만 필수로 듣고 그 이후부터는 컴퓨터과학 관련 전공만 4년 내내 듣게 된다.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의 전공 수업은 거의 전부가 정보통신관[53]에서 열리는데, 언덕 위에 위치한 1공학관, 자과대, 인문대와는 다른 의미로 고통을 안겨 준다. 일반적으로 한양대 학생들은 한양대역 2번출구인 애지문에서 통학을 하게 되는데, 잇빗은 애지문과 완전 정반대로 떨어져 있는 곳에 위치해있기 때문에, 꽤나 걸어야 한다.
위 지도의 왼쪽 아래가 한양대역 2번출구 애지문이다. 실제 애지문으로 통학을 하게 되면 잇빗으로 가기 위해서는 애지문 → 본관 → 국제관 앞 → 노천극장 → 공업센터 → 대운동장 → 잇빗 이라는 굉장히 먼 거리를 걸어가야 한다. 이는 잇빗을 포함한 3캠퍼스 학생[54]들이 공유하는 고통이다.
한양대학교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는 IT/BT관에서 꽤나 좋은 대접을 받고 있다. 실제 입구인 잇빗 3층에는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학생들이 스터디를 할 수 있는 공간인 오픈허브와 크리에이티브 랩이 존재하며, 이곳은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 학생들의 학생증을 찍어야만 입장할 수 있다. 그래서 시험기간만 되면 컴소 학생들의 보금자리가 되며, 가끔씩 그곳에서 숙면을 취하는 사람도 볼 수 있다.(...)
컴퓨터소프트웨어학부로 통합 개편된 후의 과 잠바 색상은 연한 회색 바탕에 민트색 글자[55]였으나, 이후 디자인이 변경되어 다른 공대 학과들과 비슷하게 검은색 계열 색상으로 변경되었다.
컴퓨터과학분야 QS 세계 대학 랭킹 Computer Science & Information Systems | |||||||||||
2014 세계순위 | 2015 세계순위 | 2016 세계순위 | 2017 세계순위 | 2018 세계순위 | 2019 세계순위 | ||||||
36위 | 카이스트 | 39위 | 카이스트 | 36위 | 카이스트 | 33위 | 카이스트 | 34위 | 카이스트 | 40위 | 카이스트 |
42위 | 서울대 | 42위 | 서울대 | 40위 | 서울대 | 38위 | 서울대 | 40위 | 서울대 | 45위 | 서울대 |
51-100 | 고려대 | 51-100 | 고려대 | 51-100 | 고려대 | 51-100 | 고려대 | 51-100 | 고려대 | 51-100 | 고려대 |
101-150 | 포항공대 | 51-100 | 포항공대 | 51-100 | 포항공대 | 51-100 | 포항공대 | 101-150 | 포항공대 | 101-150 | 포항공대 |
101-150 | 성균관대 | 51-100 | 성균관대 | 101-150 | 성균관대 | 51-100 | 성균관대 | 101-150 | 성균관대 | 101-150 | 성균관대 |
151-200 | 연세대 | 101-150 | 연세대 | 101-150 | 연세대 | 51-100 | 연세대 | 101-150 | 연세대 | 101-150 | 연세대 |
151-200 | 한양대 | 151-200 | 한양대 | 101-150 | 한양대 | 151-200 | 한양대 | 151-200 | 한양대 | ||
251-300 | 경희대 | 201-250 | 경희대 | 201-250 | 경희대 | 201-250 | 경희대 | 201-250 | 경희대 | ||
301-400 | 서강대 | 301-350 | 서강대 | 251-300 | 서강대 | 301-350 | 서강대 | 351-400 | 서강대 | ||
301-400 | 부산대 | 351-400 | 부산대 | 301-350 | 경북대 | 351-400 | 세종대 | 401-450 | 세종대 | ||
401-500 | 중앙대 | 351-400 | 중앙대 | 401-450 | 이화여대 | 451-500 | 중앙대 | ||||
401-500 | 이화여대 | 401-450 | 이화여대 | 401-450 | 경북대 | 451-500 | 건국대 | ||||
401-500 | 경북대 | 401-450 | 건국대 | 451-500 | 건국대 | 451-500 | 경북대 | ||||
401-500 | 세종대 | 401-450 | 세종대 | 451-500 | 부산대 | 551-600 | 이화여대 | ||||
401-500 | 영남대 | 451-500 | 아주대 | 551-600 | 부산대 | ||||||
451-500 | 충북대 | ||||||||||
451-500 | GIST | ||||||||||
같은 등수구간 내 학교 배열 순서는 ABC순서 |
3.6.3. 정보시스템학과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FM - 선진정보
학위명: 정보시스템학사
2000 | 정보통신대학 정보통신학부 정보기술경영전공 |
2009 | 공과대학 정보시스템학과 |
한양대학교 정보시스템학과 웹진
한양대학교 정보시스템학과. 약칭은 정시템이다. 컴퓨터과학과 경영학을 아우르는 지식을 가진, 4차산업혁명 시대에 기업에서 더더욱 널리 활용될 정보시스템 전문 인력을 배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정보시스템학과(당시에는 정보기술경영학과)를 만든 학과장 이욱 교수가 정보시스템 분야에서 꽤나 권위있는 학자이다.[56]
한양대학교 공과대학 학과 중 제일 이질적인 학과이다. 공과대학에서 유이하게 인문계열 학생들을 선발하는 학과이자 졸업할 때 공학사가 아닌 다른 학사를 수여받는 학과이다.[57] 졸업 시 정보시스템학사를 수여받게 된다.
학과 커리큘럼 내에서 공학교육인증(ABEEK)을 진행하지 않는다. 과거에는 정보시스템학과 학생들도 기초 수학, 과학 수업을 들어야 했으나, 컴퓨터과학과 경영학을 동시에 배워야하는 학과 특성상 이러한 수업들을 듣기에는 너무 바빠 커리큘럼에서 빠지게 되었다. (다만, ‘확률및통계’라는 수학 관련 과목은 수강한다.) 대신 1학년때부터 전공 과목들이 미친듯이 쏟아진다. 공학교육인증을 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1학년 때 듣는 전공필수 과목이 8개나 된다.[58]
많은 과목들이 영어전용 강의라 처음에는 학생들이 힘들어하지만 교수님들이 많이 배려해주시고 나중에 이런 영어경험이 면접이나 사회경험에 큰 도움이 되기도 하는듯.
또 컴퓨터 관련 레퍼런스나 논문을 찾을 때는 영어가 필수이므로 이런 것을 노린 것 같다. 한양대학교 성적처리 규정상 영어 수업의 경우 절대평가로 진행되므로 상대적으로 학점 부담은 적은 듯하다.[59]
학과 누적학점 최상위권 학생들이 공대에서 보기 힘든 학점을 가지고 있다는 카더라가 있다.[60] 학과 평균은 마법처럼 유지되는데, 최상위권이 너무 탄탄해서 그들만의 리그가 빡세다.[61]
과거 정보통신대학이 있던 시절 정통대 산하에 컴퓨터전공, 미디어통신공학과, 정보기술경영학과가 존재했다. 신입생을 모집할 때 1~3반은 자연계 학생, 4반은 인문계 학생을 선발하였으며 2학년이 되어 학과로 진입할 때 1~3반은 컴퓨터전공/미디어통신공학과를 선택하고, 4반은 정보기술경영학과를 전공으로 선택했다.(4반 학생이라고 컴퓨터/미디어통신을 못 간다는 것은 아니지만, 4반 학생들은 학교의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정보기술경영학과로의 진입이었고 실제로도 주로 그랬다). 학교 행정으로 정보통신대학이 공과대학으로 통합되면서 정보기술경영학과는 정보시스템학과로 개편되었고, 신입생을 학과로 모집하면서 모집 단위 자체를 인문계(상경계열)로 분류했다. 학과분리는 09학번부터 했지만 확정된 것은 09-10 쯤. 몇년 전까지는 정보통신계열 학생회도 계승되었으나(2013년 총학생회장이 정보통신계열 학생회장을 역임한 바 있다.) 학생회 선거가 진행되지 않아서 결국 공대 학생회로 통합되었다. 한편 미디어통신공학과는 전자통신공학부와 함께 융합전자공학부로 통합되어 정통대를 이어오게 된 의미는 희석된 편이다. 이러한 역사 때문에 개과 당시와는 달리 의도치않게 공과대학에 편입되다보니, 상경계열인 정보시스템학과가 도대체 왜 공과대학에 소속된 것인지 학과 내외부적으로 의문을 품는 학생들이 많다. 본래 정통대 소속이었고, 정통대와 공대의 통합때문에 공대 소속이 되었다고 하면 어느정도 설명이 될 것이다.
상경계열로 학생을 선발하다 보니 인문계열 출신 학생들이 주가 되나, 자연계열에서 교차지원하여 오는 학생들의 비율도 꽤 되며,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경영+컴퓨터 조합으로 남녀 성비도 공대치고 매우 잘 맞는 편.[62]
인지도가 많이 없었으나 학생들의 홍보와 취업난이 맞물려서
다년 간 인문계열 선발 학과중 취업률 1위를 차지중이며, 교내 전체에서도 취업률로 다섯 손가락 안에 든다. 취업에서 꽤나 순항중인데, 이는 기업의 정보시스템 전문인력 수요에 비해 공급이 더 적기 때문이다. 정보시스템을 학부 전공으로 두는 학교가 거의 없으므로, 한양대학교 정보시스템학과가 관련 인력 수요를 차지한다고 보면 된다.
배우는 과목의 스펙트럼이 매우 넓어서[66] 애매한 포지션이라는 걱정과는 달리 한양대학교 기업연계 인턴제도인 하이웹을 확인해보면 모집대상에 경영지원, 컴퓨터(전산) 관련 학과를 모집하는 기관이라면 대부분 지원할 수 있다!
이는 취업 분야에도 마찬가지인데, 정보시스템을 안쓰는 기업은 찾기 힘들정도라 취업분야가 정말 다양하다.[67] 특히 금융공기업에 강세를 보이는데 꿈의 금융공기업이라고 불리는 금융공기업들의 IT직렬로 많이 진출하는 듯.[68]
최근 학교에서 산학연계수업인 IC-PBL 수업을 강조하면서, 학과 내에서 기업과 MOU를 맺으려는 움직임이 활발하다. 몇 년전 삼성 SDS와 기업연계 프로그램으로 삼성 SDS인턴십 프로그램이 전공수업에 있었으나, 현재는 사라졌다. 최근에는 SKT와 MOU를 맺고 SKT와 인공지능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69][70]
이외에도 클라우드계의 1위 기업인 AWS를 포함한 여러 기업들과 어느정도 커넥션이 있는 듯 하다. 3학년 2학기 프로젝트 과목인 소프트웨어공학 과목은 LG전자와 산학협력으로 해당 과목을 들은 학생들만 지원이 가능한 인턴십 기회가 주어진다.[71] 이로써, 유수의 대기업들[72]과 MOU를 맺은 학과가 되었다 [73].
그럼에도 학생들은 매년 놀라운 아웃풋을 내는 중이다.[77] 개발자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IT 붐 트렌드와 맞물려 학과 분위기가 바뀐 것도 한 몫 하지만 기업 자체에서도 너무 너드(?) 같은 느낌의 개발자보다 조금이라도 개방적이고 경영적인 마인드를 가진 학생들을 원하기 때문일거라는 추측.[78] 다만 위에 상술한 것처럼 전공 자체가 융합학문의 성격을 담고 있으므로 방대한 커리큘럼을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으며, 뛰어난 인재들을 지속적으로 키워낼 수 있는 교육과정 및 교수진의 개편은 시급해보인다.
2023년 현재 정보시스템학과는 과도기를 겪고 있는 중이다. 제대로 된 공학적인 정보시스템수업들이 열리기 시작했고, 유학생/교환학생 및 프로그래밍 지식없이 무작정 수업을 수강했던 다중전공생이 이탈함에 따라 수강생 숫자도 줄어들어서 쾌적한 팀플 수업이 진행되고 있다. 당장 정보시스템을 살려서 취직하는 전산직이 무엇을 하는지 전혀 모르고 입사하는 학우들이 대다수이지만, 이를 경험할 수 있는 프로젝트들이 열리고 있는 것은 고무적으로 볼 수 있다. 과도기 시절이 지나고 나면 컴퓨터공학과와는 확실히 차별점이 있는 학과로 거듭날 것으로 예상된다.
3.6.4. 미래자동차공학과
한양대학교 공식 유튜브 전공 안내 영상 (2021) |
FM - 폭주자동차
학위명: 공학사
1991 | 공과대학 자동차공학과 |
1996 | 공과대학 기계공학부 자동차공학전공 |
2010 | 공과대학 미래자동차공학과 |
한양대학교 소프트웨어대학 미래자동차공학과. 대부분 미자공 혹은 미래차로 줄여서 말한다. 1994년 기계공학부로 통합되었다가 2011년 미래자동차공학과로 17년만에 특성화 학과의 형태로 독립, 부활하여 신입생을 모집하였다. 2019년 제4공과대학 그룹에서 소프트웨어대학 그룹으로 편입되었다. 역사를 달리 하는만큼, 소프트웨어대학 그룹에서 가장 이질적인 학과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의 지원을 받으며 산업공학과 동문인 현대차 정몽구 회장의 기부로 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라는 전용관을 가지고 있다. 기계과 커리큘럼과 전자과 커리큘럼이 섞여있어 전기차나 수소차 등 양쪽 지식이 둘 다 필요한 자동차를 만들때 주도 및 중재를 할 수 있는 전문가 양성을 목표로 한다.
[1] 정보통신대학과 건축대학이 별도의 독립된 단과대로 존재하던 시절, 정통대의 FM은 '자주정통'이었고 건축대의 FM은 지금도 건축계열에서 사용하는 '통일건축'이었다.[2] 다른 대학들도 역사가 가장 깊은 단과대학을 1번으로 배치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성균관대학교는 조선시대 성균관에서 시작하여 유학대학을 1번으로, 국립공주대학교는 공주사범대학에서 시작하여 사범대학을 1번으로 하였으며, 한국외국어대학교는 외국어교육이 학교 자체의 정체성이고 교내에서 가장 먼저 개설된 게 영어과라 영어대학을 1번으로 삼았다.[3] 現 건축학부, 건축공학부[4] 現 건설환경공학과[5] 現 자원환경공학과[6] 특히 한양대역이 캠퍼스 내부에 있는 점과 왕십리역에만 노선이 5곳이나 넘는 이유 또한 한양공대의 힘이라 할 수 있다.[예시] 융합전자공학부 학생: "난 2공대 학생이다."[8] 개편 당시 일부 학생들이 단과대 이름과 동일한 그룹명 때문에 공과대학이 두개의 단과대로 나뉘는 것으로 오해를 하기도 했는데, 공과대학 내에 '공과대학'이라는 이름의 그룹이 있는 것이다.[9] 실제로 학교 에브리타임과 한양대 커뮤니티 위한에서 공대 vs 비공대나 이과 vs 문과 간에 다툼이 벌어지는 사례가 꽤 빈번하다.[10] 현재 한국은 경제 성장이 거의 완료되어 건축업계가 상당한 불황이므로 그리 선호되진 않지만, 과거 6~80년대 대한민국이 고도의 경제 성장을 하던 시절엔 위상이 가히 압도적이었다. 경부고속도로 등 기반시설 건설과 중동, 북아프리카 등 해외 진출로 확보한 외화벌이 등에 혁혁한 공을 세운 곳이다.[11] 건축과, 토목과, 광산과[12] 실제로 과 잠바 역시 타 공과대학의 TECH를 쓰지 않고 독립적으로 ARCHI를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공과대학에 대한 소속감이 적다.[13] 의과대학, 음악대학, 정책대학(구 법과대학)[14] 건축과, 토목과, 광산과 중 광산과[15] Department of Convergence Electronic Engineering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있으나, 공식 홈페이지에서는 Convergence가 없는 것이 옳은 표현. 다만 과잠에는 Convergence가 적혀있다.[16] 사실 해외 어디에서도 학과 이름에 Convergence를 넣지 않으며, 이것은 굉장히 작위적인 표현이다. 비공식적으론 외부에서 융합전자공학부가 무슨 과냐고 물어볼 때면 그냥 전자공학과라고 소개한다. 굳이 융합임을 강조할 필요가 있었는지는 의문이다.[17] 대학원도 전기생체공학부의 생체공학부와 합쳐 융합전자공학과가 됐다.[18] 舊 생체공학전공[19] 융합전자공학부의 전신(前身)이다.[20] 기계공학부 과 잠바 등 뒤에 적혀있는 문구로, 이 패기넘치는 문구로 인해 일명 낫띵무브과 라고 장난삼아 불리는 경우도 있다.[21] 이는 한양대가 전기공학과와 전자공학과 학생을 별도 선발하기 때문이다. 각각 전기·생체공학부 전기공학전공, 융합전자공학부.[22] 한양대학교 기계공학부 기계관 신축 개요(위치, 면적계획 등) 관련기사[23] 원자력공학과 과잠 뒤에 적혀있는 문구로, 18학번부터 추가되었다.[24] 학기별 1등 100% / 2등 60% / 3등 30%[25] 선발된 학생 한정, 1회 100만원 지급[26] 김철종 선배님께서 제정하신 장학금으로, 3학년을 선발하며 졸업 시 까지 등록금의 50%를 계속 지원, 매 학기 선발[27] 학부 학점 3.5/4.5 이상 조건이다.[28] 학부 학점 3.75/4.5이상 조건이다.[29] 학기별 1등 100% / 2등 60% / 3등 30%[30] 선발된 학생 한정, 1회 100만원 지급[31] 김철종 선배님께서 제정하신 장학금으로, 3학년을 선발하며 졸업 시 까지 등록금의 50%를 계속 지원, 매 학기 선발[32] 학부 학점 3.5/4.5 이상 조건이다.[33] 학부 학점 3.75/4.5이상 조건이다.[34] 매년 하계/동계 선발, 1주일간 본사 합숙하며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 수료증과 수료 시 한국전력기술 입사 가산점 부여[35] 교육훈련정보포털 https://www.neti.or.kr/[36] 학부 및 대학원생 대상, 국외 유수 교육/연구기관(ex, 국제원자력기구(IAEA), 경제협력개발기구 원자력기구(OECD/NEA), 호주원자력과학기술청(ANSTO), 취리히연방공대(ETHZ), 아이다호국립연구소(INL), 아르곤 국립연구소(ANL), 퍼시픽 노스웨스트 국립연구소(PNNL) 등)에서 6개월간 인턴으로 근무, 학교와 연계하여 학점취득 가능하다.[37] 학부 및 대학원생 대상, 국외 유수 학술대회/교육에 참가하는 경비 제공(실비 1회 최대 600만원 한도)[38] 물론 과거 정권 때는 계속해서 원전을 지을 계획이어서 한수원 티오가 많아 취업율이 매우 높았으나 문재인 정부들어서면서 탈원전 계획과 함께 한수원 티오가 급격히 줄어들었다. 물론 문재인 정부 들어서기 전에도 2009~2012 UAE원전 수주 호황기에 비하면 티오가 많이 줄었기는 하다. 반면 대학원 진학을 하면 취업률이 거의 100%보장되기 때문에 호황기 이후 대학원 진학률이 높아졌다.[39] 대표적인 원자력 관련 공기업으로, 해외 UAE원전 또는 국내 각지의 원전 근무, 본사는 경주 외곽[40] 원자력 티오가 꾸준히 나는 편이며, 본사 김천혁신도시[41]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 학사출신 가끔 선발[42] 규제기관으로, 학사출신도 선발[43] 구 두산중공업. 사기업 중 거의 유일하게 원자력 전공자를 꾸준히 받는 대기업.[44] 대학원 마치고 의학물리사를 희망할 경우[45] 초기에 계획된 이름은 미래산업학부[46] 다들 심리학과로 흔히 오해하는데, 사실은 인공지능학과에 더 가깝다. 인공지능학과로 이름을 지으려고 했으나 모종의 이유로 반대가 있었다는 후문이 있다.[47] 2학년[48] 기존의 소프트웨어 분야뿐만 아니라 금융, 에너지, 교통, 유통, 서비스를 포함한 수많은 분야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최신 인공지능 방법으로 새롭게 분석하는 방법을 연구하고 가르치는 학과이다.[49] 기존의 생물학, 물리학, 수학, 공학에 의해 발전되어 오던 두뇌의 인지기능에 대한 연구를 최신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하여 연구하고 가르치는 학과이다.[50] 한양대학교에 공과대학이라는 로고가 적힌 건물이 바로 FTC이다.[51] 천장이 없어(!) 겨울에 너무 춥고, 방음이 되지를 않는다. 또한, 4층에서 과방 내부가 보인다는 문제점이 있다.[52] 미적분 또한 영어로 수업을 진행했으나, 잘 알아듣지 못해서 한글 수업으로 바꿨다는 이야기가 있다.[53] IT/BT관, 일반적으로 잇빗이라 불린다[54] 행원파크(경영대), 법대, 잇빗 등 타 건물들과 동떨어져있는 건물[55] 융합전자공학부와 비슷한 색상. 융전은 짙은 회색 바탕에 주황색 마크의 과잠이다.[56] 세계 3대 경영학자라고 불리는 피터 드러커의 제자[57] 다른 하나는 건축학사를 수여받는 건축학과[58] 전산학개론, C프로그래밍, 경영학원론, 정보시스템개론, 회계학, C++프로그래밍, 데이터구조, 데이터베이스시스템[59] 모교수님의 칼절평에 당해보면 절대평가라고 모두가 잘 받는 건 아닌 것을 느낄 수 있다. 상대적 절대평가라고 보는게 맞고 전체적으로 A+는 고민해서 주시는 듯하다.[60] 누적평점 4.3 이상[61] 장학금 경쟁 등[62] 거의 5:5[63] 타학교의 복수전공[64] 4.5 만점[65] 최근 다중전공제한인 4.3 학점컷이 변경되었다![66] 컴퓨터과목, 프로그래밍언어, 경영과목, 정보시스템과목 모두 배울 수 있다![67] 모 커뮤니티에 올라온 취업자 현황 https://orbi.kr/00020560409[68] 금융감독원, 한국수출입은행, 산업은행 등[69] 3학년 전공심화인 인공지능및응용[70] 프로젝트를 공모전 형식으로 진행하는데, 상위등수 팀에겐 상장과 선물을 준다! 1등 팀은 SKT 입사 지원시 서류면제 혜택이 있다.[71] 채용연계형으로 보임.[72] SKT, AWS, LG전자 등[73] 추가적인 MOU가 진행되고 있다는 카더라가 있다.[74] 특히 상술했던 이욱 교수는 가장 핵심적인 정보시스템계열 과목을 혼자 독보적으로 가르치면서, 시대와 완전히 동떨어진 내용으로 강의를 하고, 2007년경부터 족보조차 바꾸지 않은 중간과 기말고사를 내고 있다. 학생들의 의견을 철통같이 무시하는 것은 덤이다.[75] 3시간 수업이라 해놓고 1시간 수업만 하며, 그것도 30분은 영어로 30분은 한글로 하는 극한의 비효율 수업이다.[76] 2023을 기준으로 개편 중으로 보임[77] 2017~2021 정보시스템학과 졸업자 취업처http://is.hanyang.ac.kr/%ED%95%99%EA%B3%BC-%EA%B3%B5%EC%A7%80/%ED%95%99%EA%B3%BC-%EA%B3%B5%EC%A7%80?pageid=3&mod=document&uid=1116[78] 좀 더 정확하게는 기존의 SI 및 프로젝트 매니징을 담당할 때 요구되는 스킬들인 요구사항 분석, 프로토타입 설계 등을 정보시스템학과에서만 배울 수 있기 때문이고, 영역이 넓어짐에 따라 DX, DT 등에 대한 추가적인 수요 역시 담당이 가능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