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상징 | 대학원 | 응원가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관련 기관 | |||
학교법인 한양학원 | |||
한양대학교의료원 (서울병원·구리병원·류마티스병원·국제병원·명지병원·창원한마음병원) |
| ||||||||||||||||||||||||||||||||||||||||||||||||||||||||||||||||||||||||||||||||||||||||||||||
|
||<-2><tablealign=center><tablewidth=55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한양대학교 예체능대학
||College of Sport & Art
||<nopad> | |
슬로건 | Global Creative Talent Training 스포츠와 예술의 대중화 |
비전 | 현장성, 응용성, 실용성 중심의 교육을 통하여 글로벌 스포츠·예술 창의인재 육성 |
학장 | 박범영 |
학과 | 스포츠과학부 무용예술학과 실용음악학과 |
행정실 |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사동, 체육관 114호) |
출범 | 1980 예체능대학 |
링크 |
1. 개요
|
예체능대학 하냥이 |
단과대학 부설 연구소로 스포츠과학실험•실습센터가 있으며 헬스장인 Fitness & Body Studio를 운영하고 있다. 예체능대학은 2017년 QS World University Ranking(세계대학평가)에서 스포츠관련 학문분야 51위~100위권에 달성한 이력이 있다.
2. 연혁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0e4a84><tablebordercolor=#0e4a84> 연도 ||<bgcolor=#0e4a84> 내용 ||
1980 | 체육계열 체육학과, 무용학과 신설 |
1983 | 경기지도과 신설 체육계열과 미술계열이 예체능대학으로 승격 통합 |
1985 | 체육관 준공 |
1988 | 예체능대학을 산업미술대학과 체육과학대학으로 분리 개편 |
1996 | 체육과학대학 2개 학과(체육, 경기지도)를 체육·경기학부로 통합 운영 |
1997 | 체육과학대학을 생활체육과학대학으로 명칭 변경 체육·경기학부를 생활스포츠학부로 변경하고, 생활체육전공, 경기지도전공으로 운영 무용학과를 생활무용예술학과로 명칭 변경 |
2005 | 05년도 교육부 학문분야평가(체육학계열)‘최우수대학’ 및 ‘최우수대학원’선정 |
2011 | 생활체육과학대학의 명칭을 예체능대학으로 변경 실용음악학과 신설 |
2012 | 실용음악관 '뮤즈홀' 개관 |
2015 | 문화체육관광부, 2급 생활스포츠지도사 연수원 유치 |
2016 | 생활무용예술학과를 무용예술학과로 명칭 변경 |
2017 | 생활스포츠학부를 스포츠과학부로 명칭 변경 생활체육전공과 경기지도전공을 스포츠문화전공과 스포츠코칭전공으로 체제 개편 스포츠과학실험센터 개소 |
3. 역대 학장
||<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191919><bgcolor=#0e4a84><tablebordercolor=#0e4a84> 대수 ||<bgcolor=#0e4a84> 성명 ||<bgcolor=#0e4a84> 소속 ||<bgcolor=#0e4a84> 재임 기간 ||
1 | 이학래 | 체육학 | 1984.02~1986.02 |
2 | 최창국 | 체육학 | 1986.02~1988.02 |
3 | 최창국 | 체육학 | 1988.03~1989.02 |
4 | 황보연 | 경기지도 | 1989.03~1991.02 |
5 | 남행웅 | 체육학 | 1991.03~1993.02 |
6 | 최은택 | 경기지도 | 1993.03~1995.02 |
7 | 최은택 | 경기지도 | 1995.03~1997.02 |
8 | 남상남 | 경기지도 | 1997.03~1999.02 |
9 | 김찬회 | 생활체육 | 1999.03~2000.05 |
10 | 이병호 | 컴퓨터공학 | 2000.05~2000.09 |
11 | 최인애 | 경기지도 | 2000.09~2002.08 |
12 | 이숙재 | 생활무용예술 | 2002.08~2004.07 |
13 | 임태성 | 경기지도 | 2004.08~2006.07 |
14 | 임태성 | 경기지도 | 2006.08~2008.07 |
15 | 김동환 | 스포츠코칭 | 2008.08~2010.07 |
16 | 김동환 | 스포츠코칭 | 2010.08~2012.07 |
17 | 오율자 | 무용예술 | 2012.08~2014.07 |
18 | 임태성 | 스포츠문화 | 2014.08~2016.06 |
19 | 임태성 | 스포츠문화 | 2016.07~2017.02 |
20 | 권태원 | 스포츠코칭 | 2017.03~2018.06 |
21 | 권태원 | 스포츠코칭 | 2018.07~2020.06 |
22 | 권태원 | 스포츠코칭 | 2020.07~2022.06 |
23 | 박범영 | 스포츠코칭 | 2022.07~2024.06 |
24 | 박범영 | 스포츠코칭 | 2024.07~현직 |
4. 학과
4.1. 스포츠과학부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School of Sports Science ||
교직
스포츠과학부School of Sports Science ||
학과장 | 박재우 | 설치 | 1980 |
홈페이지 | | 행정실 | 체육관 114호 |
세부전공 | 스포츠문화전공 스포츠코칭전공 |
1980 | 안산 체육계열 체육학과 |
1983 | 예체능대학 체육학과 |
1988 | 체육과학대학 체육학과 |
1996 | 체육과학대학 체육•경기학부 |
1997 | 생활체육과학대학 생활스포츠학부(생활체육/경기지도전공) |
2011 | 예체능대학 생활스포츠학부(생활체육/경기지도전공) |
2017 | 예체능대학 스포츠과학부(스포츠문화/스포츠코칭전공) |
지식과 지혜가 융합된 글로벌 실용 스포츠교육을 구현하다
1981년 체육학과, 1983년 경기지도과가 각각 개설되었으며, 1997년 생활스포츠학부로 통합되었다. 그리고 2017년 스포츠과학부로 바뀌면서 스포츠문화전공, 스포츠코칭전공으로 나뉘게 되었다. 스포츠과학부의 일부 전공수업은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올림픽체육관에서 이루어진다.
4.2. 무용예술학과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Department of Dance and Performing Arts ||
교직
무용예술학과Department of Dance and Performing Arts ||
학과장 | 이해준 | 설치 | 1980 |
홈페이지 | | 행정실 | 체육관 114호 |
1980 | 안산 체육계열 무용과 |
1983 | 예체능대학 무용과 |
1988 | 체육과학대학 무용학부 |
1997 | 생활체육과학대학 생활무용예술학과 |
2011 | 예체능대학 생활무용예술학과 |
2016 | 예체능대학 무용예술학과 |
예술의 꽃, 우리의 움직임이 세상을 아름답게 물들인다
무용학과는 1980년 개설되었으며 전국 대학 무용학과 중 높은 명성을 가지고 있다. 세부 전공은 한국무용, 현대무용, 실용무용이다. 2014년 코리아국제현대무용콩쿠르 ‘대상’ 입상, 2018년 전국대학무용콩쿠르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 입상 등 여러 수상 이력을 선보인 바 있다. 전과자 46화에 이 학과에 대한 내용이 방영되었다.
주요 활동으로 한양대학교 전국 초·중·고등학생 무용경연대회, 2014년 인천 장애인 아시안게임 개막식 공연, MODAFE(국제현대무용제) KOREA 2015년 ‘트라우마 3.0’, 2016년 ‘Butterfly Effect’, 2017년 ‘(신)찬기파랑가’, 2018년 ‘트 라우마 3.0’, 2019년 ‘유도 2.0’ 공연, 2018년 평창동계패럴림픽 개막식 공연 등이 있다.
2학년에는 ADIEU 공연을 진행하며 학생들이 기획, 예산, 홍보, 안무 등 한 공연의 전체적인 부분을 맡아서 무대를 선 보이고 한 해를 마무리 짓는 공연이다. 2010년 초연 후 매년 12월경에 진행한다. 졸업작품발표회와 정기공연은 매년 10월 경에 진행한다.
4.3. 실용음악학과
||<-4><tablewidth=55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0e4a84> 실용음악학과
Department of Contemporary Music ||
Department of Contemporary Music ||
학과장 | 유정연 | 설치 | 2011 |
홈페이지 | | 행정실 | 체육관 114호 |
2011 | 예체능대학 실용음악학과 |
한양실용음악을 통해 소통하여 세계의 문화예술을 이끈다
실용음악학과는 2011년에 신설되어 세부 전공으로 작곡, 보컬, 피아노, 드럼, 기타, 베이스, 관악[1]을 두고 있다.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인재들을 배출해 그 명성이 자자하여 실용음악학과를 희망하고자 하는 학생들의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다.
실용음악학과 건물 3층에 위치한 최신 시설의 레코딩 스튜디오에서는 학생들이 전문 레코딩 스튜디오와 똑같은 환경에서 직접 녹음을 진행하며 고음질의 데모 음원 및 음반 제작은 물론 레코딩 산업에 관련된 각 종 지식 및 경험을 쌓을 수 있다. 또 학생들의 음악 및 예술에 대한 다각도적인 해석을 돕기 위하여 국내•외 각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학생들과 자유롭게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 마스터 클래스를 통해 학생들은 국내•외 유명 뮤지션들의 음악적 철학 및 노하우를 들어보고 함께 연주도 해보는 기회를 얻을 수 있다.
학기 중 다채로운 공연들이 계획되어 있으며 학생들은 이를 통해 연주 경험을 쌓고 관객들과 소통할 수 있다. 특히 전통적인 17인조 재즈 빅밴드의 맥을 이어가는 한양대학교 재즈 빅밴드를 통해 재학시절부터 프로 뮤지션으로서 연주 경험을 쌓을 수 있다. 한양대학교 재즈 빅밴드는 2013년 자라섬 재즈 페스티벌, 2014년 한양대학교 축제 공연을 비롯하여 2015년 중국 상해 공연을 시작으로 해외에서의 공연 기회 또한 꾸준히 만들어 가고 있다.
주요 행사로 '재즈 빅밴드 공연', 전공 구분 없이 모든 학생들이 참여하는 'JAZZ NIGHT', 창작곡 혹은 기성곡들의 재해석된 편곡 작품들로 구성된 '사자후' 등이 있다.
[1] 트럼펫, 트롬본, 색소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