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관련 문서 및 최신 정보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1E90FF> 게임 플레이 | <colbgcolor=#00BFFF> 최신 | 최근 업데이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25년 5월 랭킹보상)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5위 | 41cm연장포改二 ★+6 | 1식철갑탄改 ★+7 | 533mm 삼연장어뢰(53-39형) ★+8 | 4식중폭 히류(숙련)+이호1형甲 유도탄 ★+4 |
6~20위 | 41cm연장포改二 ★+6 | 1식철갑탄改 ★+6 | 533mm 삼연장어뢰(53-39형) ★+6 | - | |
21~100위 | 41cm연장포改二 ★+2 | 1식철갑탄改 ★+3 | 533mm 삼연장어뢰(53-39형) ★+4 | - | |
101~500위 | 41cm연장포改二 ★+1 | 533mm 삼연장어뢰(53-39형) ★+2 | - | - |
| |||
기본 | 접속 · 접속기 · 기본 플레이 가이드 · 기본 공략 페이지 · 랭킹 가이드 · 업데이트 ※주의: 한국에서 게임이 접속되지 않는 경우 함대 컬렉션/접속을 참조할것 | ||
출격 | 진수부해역(1) · 남서제도해역(2) · 북방해역(3) · 남서해역(7) · 서방해역(4) · 남방해역(5) · 중부해역(6) | ||
이벤트 | 현재 이벤트 해역 · (과거 이벤트 해역 아카이브: 미니 이벤트 · 2013 · 2014 · 2015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
임무 | 최근 신규 임무 · 임무 가이드 · 연습전 가이드 · 원정 가이드 편성 임무 · 출격 임무\(단발) · (일간) · (주간) · (월간) · (계간) · (연간)\] · 연습 임무 · 원정 임무 · 공창 임무 · 개장 임무 · 결혼(가) 임무 | ||
장비 | 장비 일람과 비교표 · 초기 장비 목록 | ||
함포(소구경 주포 · 중구경 주포 · 대구경 주포 · 부포) · 어뢰 · 함재기(함공 · 함폭 · 함전 · 수상기) · 육상기(육상전투기) · 대공 · 전탐 · 대잠 · 보조(야간 · 수송 · 대지) | |||
공창 | 칸무스 건조 가이드 · 개수공창 가이드 · 장비 개발 가이드 | ||
보조 | 아이템 가이드 · 진수부 장식 가이드 · BGM | ||
캐릭터 | 기본 | 기본 캐릭터 정보 · 도감 번호 정보 | |
일본함 | 전함 · 항공모함 · 중순양함 · 경순양함 · 구축함 · 잠수함 · 해방함 · 보조함 | ||
해외함 | 기본 정보 · 독일 · 이탈리아 · 미국 · 영국 · 프랑스 · 소련 · 그 외 국가 | ||
심해서함 | 기본 정보 · 일반 클래스 · 보스급 · 육상기지 | ||
대사 | 결혼(가) 대사 모음 · 유언 대사 모음 | ||
그 외 | 콜라보레이션 한정 캐릭터 | ||
미디어 믹스 | 기본 | 기본 미디어 믹스 정보 | |
애니메이션 | 기본 애니메이션 정보 · 에피소드 가이드 · 평가 TVA · 극장판 · 칸코레: 언젠가 그 바다에서 | ||
게임 | 함대 컬렉션 Arcade · 칸코레 改 · 모바일 | ||
서적 | 수뢰전대 크로니클 · 카게로 발묘 | ||
기타 | 관련인물 | 제작진 · 참여 성우 · 동인 작가 | |
사건사고 | 비판 · 논란 · 국내 반응 · 루리웹의 함대 컬렉션 차별 | ||
커뮤니티 | 칸코레 갤러리 · | ||
정보/안내 사이트 | 칸코레 공식 트위터 · C2기관 공식 트위터 · wikiwiki(日) · Kancolle Wiki(En) · 아카시 리스트(日) | ||
| }}}}}}}}} |
1. 개요
참조출처: https://akashi-list.me (아카시 리스트)電波探信機(전파탐신기), 약칭 전탐(電探). 이렇게 들으면 생소하지만 레이더의 한자명칭이다. 주로 색적과 명중수치를 높이는 보조장비로, 대공등이 붙어있는 전탐도 있다. 전탐을 장비한 함선이 한척이라도 있으면 출격시 소용돌이에 빠져들었을 때 자원을 잃는 양이 적어진다. 초반에는 이스즈에 의지하지 않았을 경우, 얻기가 다소 어렵다. 이스즈나 마야를 통해서 얻는다고 하더라도 쉽게 얻을 수 있는 것은 21호 대공전탐 정도이고, 그외에는 일부 2차 개장 함선에게서 22호 대수상전탐을 얻는 정도.
일부 각 장비의 능력치를 모두 보여주는 접속기나 위젯등에 따르면 기본 명중 능력치 외에도 뇌격 명중 능력치가 달려있음이 확인되었다. 이 뇌격 명중 능력치는 정식 서비스 개시 이전에 있었던 능력치[1]가 더미 데이터로 남아있는 것[2]으로 실제로도 적용은 되지만 그렇게 크게 적용되지 않는다고 한다. 일단 개발진의 공식적인 입장으로는 뇌격의 명중률은 칸무스의 레벨과 뇌장 수치로 결정된다고 언급한 바 있고 실제로 게임내에선 진형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검증상 단종진이 제일 명중률이 높고, 복종진과 제형진은 그 다음, 윤형진과 단횡진은 제일 낮은 명중 보정이 걸린다.
전탐은 크게 대수상전탐과 대공전탐으로 나뉘는데, 대수상전탐은 명중과 색적을 위주로 능력치를 제공하며 대공전탐은 대수상전탐에 비해 명중과 색적을 살짝 줄이는 대신 대공과 함대방공 능력치를 주고 대공 컷인[3]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또 그 중에서도 능력치는 살짝 떨어지는 대신 구축함도 사용할 수 있는 소형전탐과 능력치는 더 좋으나 구축함은 사용할 수 없는 대형전탐으로 나뉜다. 개수 강화가 가능한 전탐을 개수하면 명중과 색적이 추가로 증가하고 대공전탐은 함대방공치도 같이 증가하므로 참고하자.
칸코레 2기 업데이트와 특정함 장비 보너스 도입 이후 3가지로 세분화되었는데 가장 특기할만한 것은 기존 대공전탐 중에 색적치가 5 이상 높은 전탐이 양용전탐으로 재분류되었다는 점이다. 양용전탐은 대공과 대수상 두 가지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장비시 두 스탯이 동시에 시너지를 받는다. 예시로 전시개수 B형포 개4를 무라사메가 사용할 경우 시너지 보너스로 화력+1, 대공+1, 회피+2 보너스가 붙으며 양용전탐인 SG나 Mk.37을 사용할 경우 수상전탐의 시너지인 화력+1, 뇌장+3, 회피+2에 대공전탐의 시너지인 대공+6이 붙으며 시너지가 붙어 총 스탯 보너스가 화력+2, 뇌장+3, 대공+7, 회피+4씩 붙게 된다. 구축함이기에 3장비가 한계지만 이런저런 시너지 장비를 잘 활용할 수 있다.
2019년 겨울 이벤트를 시작으로 레이더 습격방이 새로 도입되었는데, 이를 회피하기 위해서 함대에 일정 수 이상의 수상전탐 및 양용전탐을 장비할 필요가 있다. 이후로도 레이더 습격방과는 별개로 보스방 도달에 일정 수 이상의 수상전탐 및 양용전탐을 요구하는 경우가 생겼다. 대공전탐에 비해 소홀해지는 수상전탐의 입지를 올려주려는 것으로 보였지만, 정작 양용전탐의 존재로 인해 수상전탐은 물론 대공전탐의 입지까지 하락했다.
2023년부터는 특정 전탐류를 보강증설 슬롯에 장착할 수 있는 칸무스들이 증가하여 전탐 활용도가 더욱 높아졌고, 일부 구축함급의 경우에도 13호, 22호 계열 소형전탐을 증설 슬롯에 장비할 수 있게 되었다. 이 변경점으로 기존에 쏠 수 없었던 새로운 컷인인 주포/주포/어뢰/전탐 조합이 가능해졌고, 기존의 견시원 위주 컷인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선택지로 떠오르게 되었다.
2. 소형 전탐
장착 가능 함종 | 전함(고속, 항전 포함), 항공모함(경모, 갑모 포함), 중순양함(항순 포함), 경순양함(뇌순, 연순 포함), 구축함, 해방함, 보조함 |
보강증설 장착가능 함선[4] | 콩고급 改二乙/丙, 시구레改三, 시마카제, 카게로급, 유구모급, 아키즈키급, 마츠급 |
예외 장착불가 함선 | - |
2.1. 수상전탐
장비명=22호 대수상전탐,일어장비명=22号対水上電探,
파일=0JSjiiO.png,
도감넘버=028,
레어도=레어(★★),
화력=,
뇌장=,
폭장=,
대공=,
대잠=,
색적=+5,
명중=+3,
회피=,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가능,
개수=개수가능,
자원=강재 15 보크사이트 15,
전투반경=,
)] ||당초 동작불안정으로 실용에 견디지 못했습니다만, 개량과 조정에 의해 서서히 효과를 발휘했습니다.
탐색 이외에도 한정적이지만 사격관제에도 사용되었습니다. ||
역시 구축에도 달 수 있다. 색적과 명중만 달려있지만 수치가 제법 크다. 쿠마노改, 유구모改, 하마카제改, 이스즈改2, 시구레改2, 콩고改2, 묘코改2에서 얻을 수 있다. 성능이 좋았단 의미는 아니지만 야마토가 달고 다녔던 전탐. |
장비명=22호 대수상전탐 改四,
일어장비명=22号対水上電探改四,
파일=5Y7hq5M.png,
도감넘버=088,
레어도=S홀로(★★★),
화력=,
뇌장=,
폭장=,
대공=,
대잠=+2,
색적=+5,
명중=+8,
회피=,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가능,
자원=강재 16 보크사이트 16,
전투반경=,
)] ||신형 수신기 등 여러 개량에 의해 성능과 안정성이 향상되어, 실효력 있는 레이다 사격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
2014년 4~5,7월 전과 랭킹 보상. 개발은 불가능하며, 소형전탐이면서 대형전탐 최종형인 32호 전탐과 명중률 수치가 같다. 또한 대잠이 약간 달려있는 유일한 전탐. 랭킹 외에는 2014년 7월 4일 업데이트로 묘코 2차 개장 후, 편성임무 보상으로 1개 얻을 수 있게 되었고 쵸카이 2차 개장으로도 입수 가능하다. 또한 이후 업데이트로 22호 대수상전탐을 강화해서 장비 변환하면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일단 +8이라는 상당한 명중 수치를 지녔고 소형전탐이기 때문에 구축함에게 장비 가능하다는 점이 장점. 유다치나 아야나미처럼 주간전에서도 제법 강한 화력을 보여주는 구축함에게 달아주면 화력 능력치를 좀 더 살릴 수도 있다. 다만 대잠은 장비 취급이 아니라 칸무스 대잠 수치에 합산되기 때문에 큰 의미가 없으니 주의. 지원함대 전탐으로써는 최고의 전탐중 하나면서 구축함에도 채울 수 있지만 설계도까지 쓰면서 얻어야 하기 때문에 어지간해선 2개만 보유한 제독이 많다. |
장비명=22호 대수상전탐 改四(후기조정형),
일어장비명=22号対水上電探改四(後期調整型),
파일=Type_22_Surface_Radar_Kai_4_(Modified_Late_Model)_240_Card.png,
도감넘버=240,
레어도=SS홀로(★★★★),
화력=+1, 대잠=+2, 명중=+9, 색적=+7,
뇌장=,
폭장=,
대공=,
회피=,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불가,
자원=,
전투반경=,
)] ||신형 수신기 등 여러 개량에 의해 성능과 안정성이 향상되어, 실효력 있는 레이다 사격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본 장비는 개량형 수신기로 교체하고 각도 조정을 실시한 후기 성능향상형 대수상전탐입니다. ||
2017년 9월 랭킹 보상 및 2018년 9월 초가을 이벤트 E-1 갑 클리어 보상. 출시 당시에는 어지간한 대형전탐도 뛰어넘는 스펙을 자랑했으나, 2018년부터 출시되기 시작한 고성능의 미제 전탐들 때문에 상대적으로 빛이 바랬다. 그래도 나름 쓸만한 전탐에 속하기는 한다. |
장비명=역탐(E27)+22호 대수상전탐 개4(후기조정형),
일어장비명=逆探(E27)+22号対水上電探改四(後期調整型),
파일=weapon517b.png.webp,
도감넘버=517,
레어도=SS홀로(★★★★★),
화력=+2,
뇌장=,
폭장=,
대공=,
대잠=+4,
색적=+8,
명중=+9,
회피=+5,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불가,
자원=,
전투반경=,
)] ||적 위협의 조기 발견과 색적 능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자함의 생존성을 높이는 구축함 등의 소형함에서도 장비 가능한 전자 병장입니다.
- 특정함 장비 보너스
- 키요시모 개2정: 화력+3, 색적+3, 회피+4, 명중+3
- 키요시모 개2, 아사시모 개2: 화력+2, 색적+2, 회피+3, 명중+3
- 기타 유구모급: 화력+1, 색적+1, 회피+1, 명중+2
- 기타 일본 구축함, 해방함들: 색적+1, 회피+1, 명중+1
임무 '32구축대 후지나미 개2, 초카이를 호위하라!' 선택 보상
장비명=33호 대수상전탐,
일어장비명=33号対水上電探,
파일=7mishKX.png,
도감넘버=029,
레 어도=홀로(★★★),
화력=,
뇌장=,
폭장=,
대공=,
대잠=,
색적=+7,
명중=+5,
회피=,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가능,
자원=강재 20 보크사이트 15,
전투반경=,
)] ||22호를 개수해 정확도를 올리고, 탐지거리/정확도 모두 실용 레벨로 운용 가능합니다.
뇌격 관제용으로도 사용 가능해 포뢰격전의 질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
22호보다 성능이 더 좋지만[5] 입수루트는 오직 개발뿐이며 얻기 정말 어렵다. 능력치만 보면 32호 대수상전탐의 하위호환이지만 이 장비의 차별점은 바로 소형전탐이라 구축함에게 장비할 수 있다는 것으로, 명중도 좋지만 구축함이 장착할 수 있는 색적 장비 중에서는 가장 색적 능력치가 높다. |
2.2. 대공전탐
장비명=13호 대공전탐,일어장비명=13号対空電探,
파일=MMZb0tD.png,
도감넘버=027,
레어도=레어(★★),
대공=+2, 명중=+1, 색적=+3,
화력=,
뇌장=,
폭장=,
대잠=,
회피=,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가능,
개수=개수가능,
자원=강재 10 보크사이트 10,
전투반경=,
)] ||당초 육상용으로 개발되었던 물건입니다만, 소형 경량으로 함선 탑재도 가능했기 때문에 '13호 대공전탐'으로서 채용되었습니다.
최종적으로 전함이나 항모까지 많은 함정에 장비된 걸작 전탐입니다. ||
구축함에도 장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대공전탐 답게 색적과 명중뿐 아니라 약간의 대공수치 또한 제공한다. 대공 전탐 중에서도 최하위 성능이라 그리 주목받진 못했지만 대공장비가 중요해진 요즘 13호 대공전탐改 의 강화재료가 되기 때문에 농장까지 하면서 확보하려는 제독들이 많아졌다. 티어가 낮긴 해도 전탐계열이라 개발 확률도 낮은 편이다. 새러토가 Mod.II 관련하여 이 장비를 총 6개 요구하는 임무가 있다. |
(다음 장비 개수에 소모함: #13호 대공전탐, #13호 대공전탐 改)칸무스=아키즈키,
(비고)=,
일=,
월=,
화=〇,
수=〇,
목=〇,
금=,
토=,
)]
[include(틀:함대 컬렉션/장비/개수일정,
칸무스=이스즈,
(비고)=改二,
일=〇,
월=〇,
화=,
수=,
목=〇,
금=〇,
토=〇,
)]
[include(틀:함대 컬렉션/장비/개수일정,
칸무스=시구레,
(비고)=,
일=〇,
월=,
화=,
수=,
목=,
금=〇,
토=〇,
)]
[include(틀:함대 컬렉션/장비/개수일정,
칸무스=테루즈키,
(비고)=,
일=,
월=〇,
화=〇,
수=〇,
목=,
금=,
토=,
)]
[include(틀:함대 컬렉션/장비/개수공창,
연료=10, 탄약=0, 강재=20, 보크사이트=30,
개발자재0=4/5, 개수자재0=2/3, 재료장비0=, 필요수0=,
개발자재6=5/7, 개수자재6=3/5, 재료장비6=13호 대공전탐, 필요수6=1,
개발자재max=10/15, 개수자재max=5/12, 재료장비max=21호 대공전탐, 필요수max=1,)] ||
}}} ||
장비명=13호 대공전탐 改,
일어장비명=13号対空電探改,
파일=AsfImkz.png,
도감넘버=106,
레어도=S홀로(★★★),
화력=,
뇌장=,
폭장=,
대공=+4,
대잠=,
색적=+4,
명중=+2,
회피=+1,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가능,
자원=강재 10 보크사이트 11,
전투반경=,
)] ||비교적 신뢰성도 높아, 소형 경량으로 구축함 등에도 장비가능했던 '13호 대공전탐'에,
기술자들이 더욱 개량을 더한 대공전탐입니다. 수뢰전대의 눈으로서 활약합니다. ||
2014년 여름이벤트 E-3해역 클리어보상 및 오요도와 이소카제, 아키즈키 개장 및 준요와 여러 구축함들을 2차 개장을 하면 얻을 수 있다. 개발 불가 장비지만 개수 재료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여럿이 사용할만큼은 확보가 가능. 소형전탐이라 구축함에도 장착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으며, 색적과 명중뿐만 아니라 대공수치 및 회피(+1) 또한 제공한다. 상대적으로 대공이 약한 구축함에게는 상당히 도움이 되는 전탐. ★max까지 개수강화하면 높은 함대방공을 가져 10cm연장고각포+고사장치와 함께 구축함의 대공컷인용으로 가장 우수한 대공전탐이다. 물론 대형함이 장비해도 대공 성능 측면에서 부족한 점이 딱히 없어서 범용성도 뛰어난 편. 개수자재 소모도 만만치 않고 개수재료 또한 13호 대공전탐이라 강화가 어렵지만 최근 들어서 강력한 항공전력이 포함된 해역의 추가로 인해 이 전탐의 개수가 각광받고 있다. * 특정함 장비 보너스 * 우시오, 시구레, 하츠시모, 하루나改二, 나가토改二: 화력+1 대공+2 회피+3 장갑+1 * 야하기, 카스미, 유키카제, 이소카제, 하마카제, 아사시모, 스즈츠키: 대공+2 회피+2 장갑+1 * 오요도, 히비키/베르니, 카시마: 대공+1 회피+3 장갑+1 * (하루나와 나가토는 改二만 보너스를 받는다.) |
2014년 여름 이벤트 E-3 클리어 보상
B58: '기함 "카스미" 북방해역을 경비하라!' 클리어 보상
개수정보{{{#!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다음 장비 개수에 소모함: #42호 대공전탐
[include(틀:함대 컬렉션/장비/개수일정,
칸무스=하츠시모,
(비고)=改二,
일=〇,
월=,
화=,
수=,
목=,
금=〇,
토=〇,
)]
[include(틀:함대 컬렉션/장비/개수일정,
칸무스=이소카제,
(비고)=改,
일=,
월=,
화=,
수=,
목=〇,
금=〇,
토=〇,
)]
[include(틀:함대 컬렉션/장비/개수일정,
칸무스=유키카제,
(비고)=,
일=〇,
월=〇,
화=〇,
수=〇,
목=,
금=,
토=,
)]
[include(틀:함대 컬렉션/장비/개수공창,
연료=10, 탄약=0, 강재=30, 보크사이트=40,
개발자재0=5/7, 개수자재0=3/4, 재료장비0=13호 대공전탐, 필요수0=1,
개발자재6=7/9, 개수자재6=4/8, 재료장비6=13호 대공전탐, 필요수6=2,
개발자재max=, 개수자재max=, 재료장비max=, 필요수max=,)]
2.3. 양용전탐
장비명=GFCS Mk.37,일어장비명=,
파일=GFCS_Mk.37_307_Card.png,
도감넘버=307,
레어도=SS홀로(★★★★),
화력=+2, 대공=+7, 장갑=+1, 명중=+9, 회피=+2, 색적=+6,
뇌장=,
폭장=,
대잠=,
사거리=중거리,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불가,
자원=강재 20 보크사이트 24,
전투반경=,
)] ||기계식 컴퓨터를 채용해, 사격관제 레이더 연동능력을 발전시킨 본 사격 지휘 시스템은, 구축함 등의 소형함정만이 아닌, 전함이나 순양함 등의 대형함에도 폭넓게 채용되었습니다. 레트로퓨처스러운 독특한 외견도 매력입니다. ||
9월 말에 배포된 미국의 소형함 대공레이더. 스팩상 소형전탐 최상위 스팩이라 봐도 무방하며 소형전탐계의 FuMO25라 보면 된다. 대공, 대수상 양용전탐이기 때문의 소구경 주포의 수상전탐 시너지와 대공전탐 시너지를 동시에 같이 받으며 미국 칸무스에게는 따로 보너스 능력치가 주어진다. 소형 전탐중에서 대공치가 가장 높으며 독특하게 사거리를 중거리로 만들어주기 때문에 1-1 구축함 키라작에 특화되었지만 고난이도 해역에서 구축함이 먼저 포격을 가하는 점도 생각해보면 호불호가 갈리는 옵션. 그래도 전탐 자체 성능과 중거리라는 독특한 옵션까지 감안한다면 상위 대형전탐들과 견줘도 옵션이 더 좋은 사기급 전탐이다. * 특정함 장비 보너스 * 미국 함선 전체: 화력+1, 대공+1, 회피+1 |
2018년 기간한정 꽁치 30마리 수집임무 선택보상
2019년 겨울 이벤트 E-2 甲/乙 보상
2021년 크리스마스 선물상자 선택보상(☆2)
장비명=SG 레이더(초기형),
일어장비명=SG レーダー(初期型),
파일=SG_Radar_(Initial_Model)_315_Card.png,
도감넘버=315,
레어도=S홀로(★★★★),
화력=+1,
뇌장=,
폭장=,
대공=+3,
대잠=+3,
색적=+8,
명중=+8,
회피=+6,
사거리=중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가능,
자원=,
전투반경=,
)] ||홍차의 나라에서 개발된 레이더 기술을 도입, 거기에 더해 독자적인 개량을 가해 발달해 나간 표준적이며 실용적인 대수상 및 저공 경계 탐색 레이더, 그 초기형입니다.
플레처급 구축함의 대공, 대수상 양용 전탐. 사무엘과 플레처, 존스턴이 장비할 경우 장거리가 된다. 미 해군 칸무스들 몇몇이 개장하면서 갖고 오면서[6] 이벤트 중에 드롭되는 함선들을 잘 챙겨 놓으면 양산할 수 있게 되었으며, 덕분에 구축함에도 착용할 수 있는 고성능 지원함대용 전탐으로 기능하게 되었다. 이후 개수가 가능해졌으나 6강부터는 같은 SG레이더(초기형)을 소모하므로 개수 자체가 힘든 편이고, 2025년 5월에 아래 후기형으로 개수변환도 가능해졌으나 이때는 귀중한 해외함 개장 아이템인 해외함최신기술까지 소모한다. * 특정함 장비 보너스 * 새뮤얼 B. 로버츠, 플레처급 구축함: 화력+3, 색적+4, 회피+3, 사거리: 장거리 * 아이오와, 갬비어 베이, 새러토가, 인트레피드: 화력+2, 색적+4, 회피+3 * ※주의: SG 레이더의 미국 함선 색적 보너스가 실제 해역 색적치 체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음 |
장비명=SG 레이더(후기형),
일어장비명=SG レーダー(後期型),
파일=weapon456.png,
도감넘버=456,
레어도=SS홀로(★★★★★),
화력=+2,
뇌장=,
폭장=,
대공=+3,
대잠=+4,
색적=+9,
명중=+10,
회피=+6,
사거리=중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불가,
자원=,
전투반경=,
)] ||홍차의 나라에서 개발된 레이더 기술을 도입, 거기에 더해 독자적인 개량을 가해 발달해 나간 표준적이며 실용적인 대수상 및 저공 경계 탐색 레이더를 한층 더 개수 조정, 실용성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된 미 해군 함정이 장비한 표준적인 대수상 수색 레이더입니다.
2025년 5월 업데이트로 위의 초기형에서 개수변환으로 양산할 수 있게 되었지만, 개수변환 과정에서 22호 대수상전탐 改四를 6개, 초기형을 5개씩 소모하고, 신형병장자재 2개와 해외함최신기술 3개까지 소모하므로 양산 난이도는 극히 높다.
- 특정함 장비 보너스
- 새뮤얼 B. 로버츠, 플레처급 구축함: 화력+4, 색적+4, 회피+4, 명중+1 사거리: 장거리
- 아이오와, 갬비어 베이, 새러토가, 인트레피드: 화력+3, 색적+4, 회피+4
- ※주의: SG 레이더의 미국 함선 색적 보너스가 실제 해역 색적치 체크에 해당되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음
2022년 장마 이벤트 E-5 갑, 을난이도 돌파 보상
장비명=13호 대공전탐 改(후기형),
일어장비명=13号対空電探改(後期型),
파일=13_rader_kai_late_model.png.webp,
도감넘버=450,
레어도=SS홀로(★★★★),
화력=,
뇌장=,
폭장=,
대공=+6,
대잠=,
색적=+5,
명중=+2,
회피=+3,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가능,
자원=,
전투반경=,
)] ||비교적 신뢰성도 높고, 소형 경량으로 구축함 등에도 장비 가능했던 '13호 대공전탐'에,
제1선의 구축함 등으로 운용된 전훈을 담아,
현장의 기술자들이 더욱 개량을 더한 if 개량 소형 대공전탐입니다.
수뢰전대의 눈으로 활약합니다. ||
2022년 겨울 이벤트에서 첫 등장. 기존 13호 대공전탐 改의 강화형으로, 색적 능력치가 +5 이상이므로 양용전탐으로 취급된다. 자체 성능은 미제 양용전탐에 비하면 낮지만, 기본 사거리가 변치 않고 대공 능력치가 높으면서 개수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충분히 차별화 가능하다. 특히 2023년 6월 14일부터는 유구모급, 아키즈키급, 마츠급의 보강증설에 장비가 가능해지면서 입지가 크게 올랐다. 특히 아키즈키급의 경우 대공컷인 세팅을 하면서 메인 슬롯을 아낄 수 있게 되어 기존보다 활용성이 크게 증가했다. |
2022년 8월 랭킹보상
개수정보{{{#!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칸무스=우메,
(비고)=改,
일=,
월=〇,
화=〇,
수=〇,
목=〇,
금=,
토=,
)]
[include(틀:함대 컬렉션/장비/개수공창,
연료=10, 탄약=0, 강재=30, 보크사이트=60,
개발자재0=6/8, 개수자재0=3/4, 재료장비0=13호 대공전탐 改, 필요수0=1,
개발자재6=8/13, 개수자재6=5/8, 재료장비6=13호 대공전탐 改, 필요수6=2,
개발자재max=, 개수자재max=, 재료장비max=, 필요수max=,)]
장비명=전탐장비마스트(13호개+22호전탐개4),
일어장비명=電探装備マスト(13号改+22号電探改四),
파일=weapon506.png.webp,
도감넘버=506,
레어도=S홀로(★★★★),
화력=,
뇌장=,
폭장=,
대공=+4,
대잠=+2,
색적=+5,
명중=+6,
회피=+2,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불가,
자원=,
전투반경=,
)] ||특히 비교적 소형인 어느 정도의 실용성이 검증된 13호 전탐과 22호 전탐은 대전 후기까지 살아남은 구축함의 마스트나 대형 함정 등에도 장비되어 일본 해군 함정의 몇 안되는 실용적인 전파의 눈으로서 열세한 전국을 지지해 갑니다.
2023년 6월 14일에 시구레改三의 개장 장비로 처음 등장했다. 성능으로만 보자면 SG 레이더(초기형)보다 열세이지만, 13호, 22호 계열 소형전탐과 마찬가지로 일부 구축함들의 보강증설에 장착 가능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대상 구축함은 시구레改三과 보노미사키 해전 참가조(하츠시모, 카스미, 이소카제, 하마카제, 아사시모, 스즈츠키, 후유즈키)와 전후생존함인 우시오改二, 베르니다. 장비 보정이 큰 시구레, 13호, 22호 계열 전탐을 증설 슬롯에 아예 장비할 수 없는 우시오, 베르니, 하츠시모, 카스미, 전용 대공 컷인이 있지만 13호 계열 대공전탐을 증설 슬롯에 장착할 수 없는 이소카제, 하마카제가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 특정함 장비 보너스 * 시구레 개3: 화력+3, 대공+4, 회피+7, 명중+3 * 이소카제 을개, 하마카제 을개, 시라츠유 개2, 유키카제 개2: 화력+1, 대공+1, 회피+3, 명중+2 * 기타 보강증설 장비 가능 구축함들: 화력+1, 대공+1, 회피+2, 명중+1 |
3. 대형 전탐
장착 가능 함종 | 전함(고속, 항전 포함), 항공모함(경모, 갑모 포함), 중순양함(항순 포함), 경순양함(뇌순, 연순 포함) |
특정 장착가능 함선 | 카스미改二乙, 아키즈키급(구축), 하야스이(보조) |
보강증설 장착가능 함선 | 영국 순양함, 전함급 함선[7], 독일 순양함, 전함급 함선[8] |
예외 장착불가 함선 | 텐류改二, 타츠타改二(경순), 유바리改二特/丁(경순), 카스가마루(경모), 야와타마루(경모), 신요(경모, 미개장) |
3.1. 수상전탐
| 등급 | 희귀도 | 화력 | 뇌장 | 폭장 | 대공 | 대잠 | 색적 | 명중 | 회피 | 사거리 | |||||||||||||||||||||||||||||||||||||||||||||||||||||||||||||||||||||||||||||||||||||||||
★★★ | S홀로 | - | - | - | - | - | +10 | +8 | - | - | ||||||||||||||||||||||||||||||||||||||||||||||||||||||||||||||||||||||||||||||||||||||||||
장착가능 함종 | 경순양함, 중순양함, 전함, 경항공모함, 항공모함, 수상기모함, 항공전함 |
이것을 탑재하면, 상당히 눈에 띕니다! ||
칸코레에 어느 정도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저 수치가 얼마나 대단한 것인지를 알 것이다. 특히 명중률 +8이라는 전무후무한 수치는 이 게임 최강의 명중보정값이었지만 밑에 등장한 독일제 레이다에게 명중값은 밀렸다. 그래도 포격 한발한발이 중요한 이 게임에서 저만큼의 명중률 보정은 대단함을 넘어선 그 무언가를 느낄 수 있다. 최근 색적이 중요한 능력치가 되면서 저 무지막지한 색적 또한 주목받았지만 색적치 2배 판정의 관측기에는 밀리는 감이 있다. 명중보정이 중요한 지원함대에 넣을 수 있는 전탐 중에서 최고의 전탐이고 아이오와의 주포를 개수할 때도 재료로 들어가기 때문에 베테랑 제독들이 어떻게든 확보하려는 전탐이다. 하지만 오로지 장비개발로만 얻을 수 있고 개발 비용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지원함대용으로 충분한 갯수를 확보하기도 정말 어려운데 전탐 레시피를 돌리면 다른 전탐들이 튀어나오는 경우가 많다. 전탐 레시피를 돌리는 이유는 오로지 이 전탐의 확보를 위한 것이며 나머지 전탐들은 일정 수만 모이면 쓸 이유가 없기 때문이다. 지원함대 용도로 넉넉잡아 10개 이상을 확보하는게 좋고 아이오와의 주포까지 개수를 감안한다면 최소 30개는 확보해야 하는데 하나 얻기도 만만찮은 장비개발 최상위 컨텐츠중 하나, 개수공창에서 이세와 휴가를 이용해 최대치까지 강화한 후 개수변환을 통해 아래의 전탐을 얻을 수 있다. |
| 등급 | 희귀도 | 화력 | 뇌장 | 폭장 | 대공 | 대잠 | 색적 | 명중 | 회피 | 사거리 | |||||||||||||||||||||||||||||||||||||||||||||||||||||||||||||||||||||||||||||||||||||||||
★★★★ | SS홀로 | - | - | - | - | - | +11 | +9 | - | - | ||||||||||||||||||||||||||||||||||||||||||||||||||||||||||||||||||||||||||||||||||||||||||
장착가능 함종 | 경순양함, 중순양함, 전함, 경항공모함, 항공모함, 수상기모함, 항공전함 |
상당한 대형에 무거운 전탐으로 대형함밖에 장비할 수 없습니다.
또한 정밀도가 높아 조정과 운용에는 숙련도가 높은 조작원이 필요합니다. ||
2015년 5월 랭킹보상 장비로, 그 32호 대수상전탐의 개량판이다. 특히 명중과 색적이 각각 +9와 +11로 강화되어 명중은 독일제 레이다의 바로 다음이 되었고, 특히 색적은 모든 전탐 중에서 두번째로 높다. 다만 기존의 FuMO25 레이다가 화력과 명중, 대공을 동시에 올려주는 워낙 사기적인 물건이라 개량판치곤 좀 아쉬운 성능이지만, 여전히 무지막지한 색적치는 가치가 높은 편. FuMO25 레이다와 비교하면 강화가 된다는 점이 큰 장점으로, 딱 한번만 강화해도 명중은 동일하고 탄착관측사격 발동률 3% vs 화력 3, 대공7의 구도가 되어서 상호호환이 되며, 장기적으로 강화해서 쓴다면 이쪽도 충분한 메리트가 있다. 지원함대 용으로 32호 전탐보다 좋긴 하지만 개발로 얻을 수 없다. 여담이지만 요정이 뜬금없이 이세와 휴가를 닮았다. |
3.2. 대공전탐
| 등급 | 희귀도 | 화력 | 뇌장 | 폭장 | 대공 | 대잠 | 색적 | 명중 | 회피 | 사거리 | |||||||||||||||||||||||||||||||||||||||||||||||||||||||||||||||||||||||||||||||||||||||||
★★ | 홀로 | - | - | - | +4 | - | +4 | +2 | - | - | ||||||||||||||||||||||||||||||||||||||||||||||||||||||||||||||||||||||||||||||||||||||||||
장착가능 함종 | 경순양함, 중순양함, 전함, 경항공모함, 항공모함, 수상기모함, 항공전함 |
13호 전탐과 혼재하는 것도 가능해, 기본적으로 이 21호는 대형함에 탑재되었습니다. ||
일명 이스즈 전탐. 구축함에는 장비 불가능. 이스즈, 키누, 아부쿠마, 마야, 미쿠마, 스즈야 등 많은 함이 개조시에 들고 온다. 초중반 전탐이 부족하다면 아쉬운대로 많이 쓰게 될 전탐이지만 자신의 짬이 어느 정도 쌓였다면 이것보다 더 좋은 전탐이 상당수 입수되었을 터라 중후반 이후로는 거르게 된다. 13호改와 능력치가 거의 동일한데 대형이라 범용성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는 대신 개수비용이 좀 더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
3.3. 양용전탐
| 등급 | 희귀도 | 화력 | 뇌장 | 폭장 | 대공 | 대잠 | 색적 | 명중 | 회피 | 사거리 | |||||||||||||||||||||||||||||||||||||||||||||||||||||||||||||||||||||||||||||||||||||||||
★★★ | S홀로 | - | - | - | +5 | - | +6 | +3 | +1 | - | ||||||||||||||||||||||||||||||||||||||||||||||||||||||||||||||||||||||||||||||||||||||||||
장착가능 함종 | 경순양함, 중순양함, 전함, 경항공모함, 항공모함, 수상기모함, 항공전함 |
대공용입니다만, 대수상전탐으로서도 사용 가능합니다. ||
2014년 4~6월 전과 랭킹 보상. 개발은 불가능하며, 21호 대공전탐을 개수하여 변환하는 것으로 입수 가능. 특이하게 회피가 붙어있으며 겉으로 드러난 수치는 다른 대공전탐과 큰 차이가 없으나, 개수가능한 대공전탐인 만큼 ★max했을 경우 함대방공치가 6.7이 된다. 이는 대공전탐 중 가장 높은 수치. ★max 기준 현존하는 대공컷인용 전탐 중 최상급 전탐이다. 다만 13호改나 21호와 능력치 차이가 크진 않기 때문에 이게 없는데 함대방공용 전탐을 원한다면 무리하게 개수변환하여 입수하는 것보단 풀개수한 하위 대공전탐을 쓰는게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길이다. 한번 개수변환해서 끝인게 아니라 이쪽도 ★max를 달성해줘야 본격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장비명=42호 대공전탐,
일어장비명=42号対空電探,
파일=Type_42_Air_Radar_032_Card.png,
도감넘버=032,
레어도=SS홀로(★★★),
화력=,
뇌장=,
폭장=,
대공=+6,
대잠=,
색적=+5,
명중=+4,
회피=,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가능,
자원=강재 25 보크사이트 25,
전투반경=,
)] ||영국의 레이더를 참고로 개발했기 때문에 다른 대공전탐보다도 높은 성능을 발휘했습니다.
공중선이 대형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전함이나 정규항모, 중순양함 등 대형함에 장비가 가능합니다.
칸코레 1기 구판 14호 대공전탐 이미지 ||그리고 오랜 시간이 흘러 2019년 2월 8일이 돼서야 개수강화가 추가되었다. 개발자재는 ★6 이후 확정 강화시 무려 45개나 요구해 정말 많이 먹지만, 개수자재는 ★1~6까지는 2개를 요구하는 21호改에 비해서 개발 단계당 1개씩만 더 먹어 3개씩 소모하며, ★6 이후 확정 강화에는 5개를 요구해 21호改(8개)보다 오히려 저렴하다. 즉, 미개수 21호를 21호改 ★max까지 만드는 것보다 이쪽을 ★max까지 강화하는 게 개수자재 측면에서는 더 싸게 먹힌다. 또한 처치 곤란으로 애물단지 취급받는 잔여 13호改를 ★6 이후 1개씩 요구하며 총 4개를 소모해주는 것도 장점이라면 장점. ||2013년 5월 랭킹보상
개수정보{{{#!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다음 장비 개수에 소모함: (장비명)
[include(틀:함대 컬렉션/장비/개수일정,
칸무스=키타카미,
(비고)=,
일=〇,
월=,
화=,
수=,
목=,
금=〇,
토=〇,
)] [include(틀:함대 컬렉션/장비/개수일정,
칸무스=사카와,
(비고)=,
일=〇,
월=,
화=,
수=,
목=,
금=〇,
토=〇,
)]
[include(틀:함대 컬렉션/장비/개수공창,
연료=10, 탄약=0, 강재=140, 보크사이트=120,
개발자재0=14/16, 개수자재0=3/4, 재료장비0=21호 대공전탐, 필요수0=1,
개발자재6=20/45, 개수자재6=4/5, 재료장비6=13호 대공전탐改, 필요수6=1,
개발자재max=, 개수자재max=, 재료장비max=, 필요수max=,)]
장비명=21호 대공전탐 改二,
일어장비명=21号対空電探改二,
파일=weapon410.webp,
도감넘버=410,
레어도=SS홀로(★★★★),
화력=,
뇌장=,
폭장=,
대공=+7,
대잠=,
색적=+7,
명중=+4,
회피=+4,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불가,
자원=강재 25 보크사이트 25,
전투반경=,
)] ||소형 함정에서는 소형이며 취급이 좋은 13호 전탐이 보급되어 갔습니다만,
본 장비는 항공 순양함 '모가미'나 아키즈키급 등에 탑재 운용된 21호 전탐, 그 if 숙성 개량형입니다. ||
2021년 3월 30일에 모가미改二실장과 함께 추가된 장비이다. 改二답게 기존의 21호 대공전탐 改에 비해서는 완전 상위호환이며, 도감에서 언급된 모가미와 아키즈키급에 달아주면 엄청난 보너스 스탯도 따라온다. 간단한 모가미급 개수 임무를 완수하면 보상으로 얻을 수 있으며, 일반 21호 대공전탐을 개수변환해서도 획득할 수 있다. 다만 2번함이 모가미여야만 21호 대공전탐 改二로 변환되며, 이세나 휴가를 2번함으로 두고 변환하면 改 버전으로 변환되니 주의. |
장비명=42호 대공전탐 改二,
일어장비명=42号対空電探改二,
파일=weapon411.png.webp,
도감넘버=411,
레어도=SS홀로(★★★★),
화력=,
뇌장=,
폭장=,
대공=+7,
대잠=,
색적=+6,
명중=+8,
회피=-1,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불가,
자원=강재 25 보크사이트 25,
전투반경=,
)] ||영국의 레이더를 참고로 개발했기 때문에 다른 대공전탐보다도 높은 정밀도가 기대되었습니다.
본 병장은 해외의 기술과 전훈을 채택하여 개량했고, 대형함의 함재사격 레이더와의 연계도 도모하는 if 대형 개수 전탐입니다. ||
2021년 3월 30일에 랭킹보상으로 실장된 전탐이다. 42호 대공전탐이 칸코레의 모든 전탐 중 가장 대형인 것을 반영하여 전함, 항공모함이 아닌 중소형함이 장비하면 회피가 크게 떨어져 버린다.[9] 이를 제외하면 그저 그런 전탐이었지만 2023년 5월에 하루나 改二乙/丙이 실장되며 드디어 진가를 발휘한다. 이 추가개장을 받은 하루나는 본 전탐을 보강증설에 장착할 수도 있으며, 화력, 명중 보너스도 추가되며 改二乙의 경우 전용 대공컷인까지 쏠 수 있다. 사실상 하루나를 위한 전탐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수준. 이후 나온 키리시마 改二丙은 아예 초기 장비로 들고 오며, 하루나보다 조금 못하긴 하지만 역시 적지 않은 보너스를 받는다. |
| 등급 | 희귀도 | 화력 | 뇌장 | 폭장 | 대공 | 대잠 | 색적 | 명중 | 회피 | 사거리 | |||||||||||||||||||||||||||||||||||||||||||||||||||||||||||||||||||||||||||||||||||||||||
★★★★ | SS홀로 | +3 | - | - | +7 | - | +9 | +10 | - | - | ||||||||||||||||||||||||||||||||||||||||||||||||||||||||||||||||||||||||||||||||||||||||||
장착가능 함종 | 경순양함, 중순양함, 전함, 경항공모함, 항공모함, 수상기모함, 항공전함 |
주로 순양함 이상의 대형함정에 탑재되었습니다. ||주로 사용하는 함종은 역시 중순양함이나 오요도. 중순양함의 경우, 높은 화력의 중순에게 장비하여 화력을 극대화시킬 수도 있고, 아니면 다수의 중순을 편성할 때 화력이 약간 떨어지는 중순에게 장비하여 화력을 보완하는 것도 가능하다. 높은 대공/색적/명중은 덤. 오요도의 경우도 10cm포+94식과 함께 대공 컷인의 트리거로 사용하여 마찬가지로 화력을 보완하는데 유용하다.
출격은 물론 지원함대용 전탐으로도 매우 뛰어나지만, 개발로는 풀리지 않는데다 지참하는 칸무스도 프린츠 오이겐이 유일하고, 그 오이겐 역시 일반 해역이 아닌 이벤트 한정 드랍으로만 풀리고 있어 1개 이상 얻기 정말 어려운 전탐이다. 설령 프린츠 오이겐이 드랍으로 풀려도 어려운 해역에서 나오거나 드랍 확률이 매우 낮게 나온다. 이러한 희귀성 탓에 고인물들 역시 이벤트 보상으로 주어진 2개[10]만 가진 경우도 많이 볼 수 있다.
2024년 4월 23일 업데이트로 드디어 개수가 가능해졌다. 개수 비용이나 재료용 장비도 다른 고급 전탐과 비교하면 우수한 성능에 비해서도 상당히 저렴한 편. 특히 ☆+7 이상의 경우 독일 순양함, 전함급의 보강증설에도 장비가 가능해졌다. 현재 여기에 해당하는 칸무스는 비스마르크와 프린츠 오이겐 딱 2척. 특히 비스마르크는 상당한 상향을 받은 셈인데, 정석인 주주정철 세팅에 보강 전탐을 추가함으로써 고속 통일 요구 해역 공략시 야마토改二의 유력한 파트너가 될 수 있다. 지금까지 야마토改二의 고속 통일용 정석 파트너는 고속화 무사시와 아이오와 둘이었으나, 여기에 비스마르크도 활용할 수 있게 된 것. 아예 주주주철탐 세팅을 해버리면 아이오와에 거의 근접하는 특수사격 화력을 가질 수도 있다. 비스마르크가 보정을 자주 받는 유럽 이벤트 등지에서 활용성이 크게 증가한 셈. ||
| 등급 | 희귀도 | 화력 | 뇌장 | 장갑 | 대공 | 대잠 | 색적 | 명중 | 회피 | 사거리 | |||||||||||||||||||||||||||||||||||||||||||||||||||||||||||||||||||||||||||||||||||||||||
★★★ | S홀로 | - | - | - | +8 | - | +10 | +1 | +2 | - | ||||||||||||||||||||||||||||||||||||||||||||||||||||||||||||||||||||||||||||||||||||||||||
장착가능 함종 | 경순양함, 중순양함, 전함, 경항공모함, 항공모함, 수상기모함, 항공전함 |
| 등급 | 희귀도 | 화력 | 뇌장 | 장갑 | 대공 | 대잠 | 색적 | 명중 | 회피 | 사거리 | |||||||||||||||||||||||||||||||||||||||||||||||||||||||||||||||||||||||||||||||||||||||||
★★★★ | S홀로 | +1 | - | - | +9 | - | +12 | +4 | +4 | 중거리 | ||||||||||||||||||||||||||||||||||||||||||||||||||||||||||||||||||||||||||||||||||||||||||
장착가능 함종 | 경순양함, 중순양함, 전함, 경항공모함, 항공모함, 수상기모함, 항공전함 |
2018년 겨울 이벤트 E-6 갑 클리어 보상. 워낙 어려운 이벤트 해역 갑보상이다보니 입수 난이도가 극악했다. 현존하는 전탐중 마야의 대공컷인용 전탐중 끝판왕. 사거리를 중거리로 바꿔주는 전탐중 하나이며 대공치와 색적치가 모든 전탐중 가장 높은 수치를 자랑한다. 입수가 엄청 어려웠던 전탐이니만큼 대공컷인용 전탐 중에서 최고라는 재평가를 받아 2018년 겨울 이벤트 E-6 갑 클리어 보상에 걸맞은 성능이라 볼 수 있으며 그 가치가 급상승하게 되었다. 이후엔 SK 레이더에서의 개수변환을 통해서만 입수 가능했으나, 2022년 겨울 이벤트의 E-3 갑 클리어 보상으로 4년만에 다시 풀리게 되었다. 해역 난이도는 4년 전과 비교하면 확연히 쉬운 편. |
장비명=Type281 레이더,
일어장비명=Type281 レーダー ,
파일=weapon527.png.webp,
도감넘버=527,
레어도=홀로(★★★),
화력=,
뇌장=,
폭장=,
대공=+7,
대잠=,
색적=+8,
명중=+1,
회피=+2,
사거리=,
장갑=,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불가,
자원=강재 25 보크사이트 25,
전투반경=,
)] ||
레이더 선진국인 홍차의 나라에서 개발된 조기 경계 레이더입니다. 대공 경계로서 상공의 항공기의 감시, 그리고 수상함의 장거리 탐지 및 동 추적이 가능합니다. 비교적 초기부터 실전 배치된 장거리 탐지 가능한 함상 레이더로, 홍차의 나라의 주력 전함이나 순양함에서 운용되었습니다. 개수해 나가는 것으로, 한층 더 운용성을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합니다. | |||||||||||||||||||||||||||||||||||||||||||||||||||||||||||||||||||||||||||||||||||||||||||||||||||
2024년 3월 28일에 랭킹보상으로 실장된 전탐이다. 칸코레에 최초로 추가된 영국 레이더로 순양함급 이상의 영국 함선들은 본 전탐을 보강증설에 장착할 수 있으며, 화력, 명중, 색적 보너스도 추가된다. 같은 날 실장된 Type274 레이더와 비교하면 색적, 대공에 초점을 맞춘 레이더. |
장비명=Type274 사격관제 레이더,
일어장비명=Type274 射撃管制 レーダー ,
파일=weapon528.png.webp,
도감넘버=528,
레어도=S홀로(★★★★),
화력=,+2,
뇌장=,
폭장=,
대공=+3,
대잠=,
색적=+5,
명중=+8,
회피=+2,
사거리=,
장갑=+1,
대폭=,
영격=,
출격대공=,
방공대공=,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불가,
자원=강재 25 보크사이트 25,
전투반경=,
)] ||
레이더 선진국인 홍차의 나라에서 개발된 선진적인 사격 관제 레이더 시스템입니다. 주포의 화기관제 레이더 시스템으로서 특히 홍차의 나라의 수상 함정의 대함 전투 능력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복수 장비하는 것으로 더욱 사격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합니다. 중형 이상의 함정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홍차의 나라의 수상함에서는 개수에 의해 더욱 전투력을 높일 수 있습니다. | |||||||||||||||||||||||||||||||||||||||||||||||||||||||||||||||||||||||||||||||||||||||||||||||||||
2024년 3월 28일에 랭킹보상으로 실장된 전탐이다. 역시 순양함급 이상의 영국 함선들은 본 전탐을 보강증설에 장착할 수 있으며, 화력, 명중, 색적 보너스도 추가된다. 같은 날 실장된 Type281 레이더와 비교하면 명중에 초점을 맞춘 레이더. |
4. 전함 전탐
장착 가능 함종 | 전함(고속, 항전 포함) |
보강증설 장착가능 함선 | 야마토改二/改二重, 무사시改二 |
예외 장착불가 함선 | - |
4.1. 양용전탐
| 등급 | 희귀도 | 화력 | 뇌장 | 장갑 | 대공 | 대잠 | 색적 | 명중 | 회피 | 사거리 | |||||||||||||||||||||||||||||||||||||||||||||||||||||||||||||||||||||||||||||||||||||||||
★★★★ | SS홀로 | +1 | - | +1 | +8 | - | +7 | +9 | +1 | - | ||||||||||||||||||||||||||||||||||||||||||||||||||||||||||||||||||||||||||||||||||||||||||
장착가능 함종 | 전함, 항공전함 |
대형이고 중량도 있기 때문에, 전함의 함교 상부 구조물에만 장비 가능한 광학 및 전파병장입니다. ||지원함대 용도로는 32호보다 좋긴 하지만 이것도 역시 개발로 입수가 불가능하다. 2022년 5월부턴 이 전탐을 야마토급의 보강증설에도 장비할 수 있게 되었다. ||
| 등급 | 희귀도 | 화력 | 뇌장 | 장갑 | 대공 | 대잠 | 색적 | 명중 | 회피 | 사거리 | |||||||||||||||||||||||||||||||||||||||||||||||||||||||||||||||||||||||||||||||||||||||||
★★★★ | SS홀로 | +4 | - | +1 | +8 | - | +8 | +10 | +2 | - | ||||||||||||||||||||||||||||||||||||||||||||||||||||||||||||||||||||||||||||||||||||||||||
장착가능 함종 | 전함, 항공전함 |
대형이고 중량도 있기 때문에, 전함의 함교 상부 구조물에만 장비 가능한 광학 및 전파병장의 개량후기형과 숙련 승무원으로 구성된 사격 지휘소에 의해 정밀한 사격을 실현합니다. ||
2022년 4월 랭킹보상으로 처음 배부된 위 전탐의 개량이며, 2022년 장마 이벤트 E-4 갑난이도 보상으로도 배부되었다. 전체적인 성능은 숙련사격지휘소가 추가된 만큼 상위호환이고, 여기다 더해 야마토급 개2에 신규 실장 고각포 계열 부포인 10cm 연장고각포 집중배치와 함께 장비하면 강력한 대공컷인을 쏠 수 있다. 여러모로 야마토급 개2를 제대로 운용하고 싶으면 장비해 주면 좋은 전탐이라고 할 수 있다. |
5. 잠수함 전탐
2017년 겨울 이벤트로 추가, 기존 전탐류와는 별도 카테고리로 분류되며, 다른 전탐과 달리 색적+4 스탯이어도 수상전탐으로 분류된다. 잠수함용 후기형어뢰들과 함께 장비하면 기존의 어뢰컷인에 비해 강력한 컷인공격이 가능하다. 2020년 여름 이벤트와 함께 이뤄진 업데이트에서 잠수함의 보강슬롯에도 잠수함 전탐이 장비가능해졌다.5.1. 대수상전탐
| 등급 | 희귀도 | 화력 | 뇌장 | 장갑 | 대공 | 대잠 | 색적 | 명중 | 회피 | 사거리 | |||||||||||||||||||||||||||||||||||||||||||||||||||||||||||||||||||||||||||||||||||||||||
★★★ | 홀로 | +1 | - | - | +1 | - | +4 | +2 | +8 | - | ||||||||||||||||||||||||||||||||||||||||||||||||||||||||||||||||||||||||||||||||||||||||||
장착가능 함종 | 잠수함, 잠수항모 |
2016년 겨울 이벤트 E-2 갑, 을 클리어 보상. 후기형 함수어뢰와 조합하여 더 높은 배율의 컷인을 낸다. 아래의 E27과는 달리 2번함에 I-401를 두는 것으로, 개수공창에서 강화도 가능하지만 2022년 5월시점까지 개수변환은 추가되지 않았다. 이후 매년 6월에 연간퀘로 13호 대공전탐 改 등을 소모해 1개씩 만들 수 있게 되었으나, 2023년 11월 업데이트로 아예 개발까지 풀려버려 저 임무는 사실상 의미가 없어졌다. 잠수함을 기함으로 놓고 10/10/120/130 레시피를 돌리는 것이 가장 정석적인 입수법. |
| 등급 | 희귀도 | 화력 | 뇌장 | 장갑 | 대공 | 대잠 | 색적 | 명중 | 회피 | 사거리 | |||||||||||||||||||||||||||||||||||||||||||||||||||||||||||||||||||||||||||||||||||||||||
★★★★ | SS홀로 | +1 | - | - | +1 | - | +5 | +3 | +11 | - | ||||||||||||||||||||||||||||||||||||||||||||||||||||||||||||||||||||||||||||||||||||||||||
장착가능 함종 | 잠수함, 잠수항모 |
거기에 더해 유용성이 높은 전탐(E27)에 의해, 위협이나 목표의 조기발견에 노력합니다. ||
장비명=후기형 잠수함탑재 전탐&역탐,
일어장비명=後期型潜水艦搭載電探&逆探,
파일=Late_Model_Submarine_Radar_&_Passive_Radiolocator_384_Card.png,
도감넘버=384,
레어도=SS홀로(★★★★★),
화력=+2, 뇌장=+4, 장갑=+1, 명중=+4, 회피=+13, 색적=+7,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불가,
자원=강재 14 보크사이트 19,
전투반경=,
)] ||함교 상부에 집중 장비하는 다수의 뛰어난 수방식 망원경과 운용 실적에 의해 개수된 수상 전탐 및 대공전탐군,
한층 더 실용성이 높은 역탐에 의해 위협이나 목표의 조기 발견에 노력해, 잠수함의 생존성과 공격력의 향상을 도모합니다.
2020년 장마철&여름 이벤트 E-3 갑 보상. 위의 역탐 장비 버전보다도 성능이 좋은 최상급 전탐이다. E27 역탐이 일본제로 대체되었기 때문인지 대공치가 사라지긴 했으나, 어차피 잠수함용 장비라 의미는 없다. |
장비명=후기형전탐&역탐+스노클 장비,
일어장비명=後期型電探&逆探+シュノーケル装備,
파일=weapon458.png.webp,
도감넘버=458,
레어도=SS홀로(★★★★★),
뇌장=+4, 명중=+5, 장갑=+2, 회피=+15, 색적=+7,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불가,
자원=강재 14 보크사이트 20,
전투반경=,
)] ||또한 그 나라로부터 가져온 스노클링 기술도 도입하여 신형 잠수함의 생존성과 공격력의 향상을 도모합니다.
2022년 5월 28일 업데이트로 추가된 센타카급 잠수함 특화 잠수함전탐이며, 2022년 봄 이벤트 E-2, E-3 돌파 보상으로 획득할 수 있었다. 성능 자체도 우수하고 회피는 모든 잠수함전탐 중 최상급이며, 이201과 이203에는 추가 회피, 뇌장 보너스가 부여되어 다른 잠수함들을 아득히 초월하는 회피능력을 발휘할 수 있다. |
장비명=SJ 레이더+잠수함 사령탑 장비,
일어장비명=SJレーダー+潜水艦司令塔装備,
파일=weapon519.png.webp,
도감넘버=519,
레어도=S홀로(★★★★),
뇌장=+5, 명중=+5, 회피=+6, 색적=+7,
개발=개발불가,
개수=개수불가,
자원=강재 14 보크사이트 19,
전투반경=,
)] ||본 병장은 중기 이후의 미 잠수함이 장비한 탐색 레이더를 갖춘, 잠수함 사령탑 장비입니다.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함대 컬렉션/보조 장비|함대 컬렉션/보조 장비]]}}}{{{#!if external != "o"
[[함대 컬렉션/보조 장비]]}}}}}}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함대 컬렉션/보조 장비?uuid=b7d1a381-0649-4ee2-b5d1-79e4fa72cda7|r23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함대 컬렉션/보조 장비?uuid=b7d1a381-0649-4ee2-b5d1-79e4fa72cda7#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함대 컬렉션/보조 장비?from=235|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함대 컬렉션/보조 장비|함대 컬렉션/보조 장비]]}}}{{{#!if external != "o"
[[함대 컬렉션/보조 장비]]}}}}}}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함대 컬렉션/보조 장비?uuid=b7d1a381-0649-4ee2-b5d1-79e4fa72cda7|r235]]}}}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함대 컬렉션/보조 장비?uuid=b7d1a381-0649-4ee2-b5d1-79e4fa72cda7#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함대 컬렉션/보조 장비?from=235|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1] 시범 서비스 당시에는 포격 명중과 뇌격 명중 수치가 별도로 있었다. 참고로 전탐만이 아니라 함상공격기(뇌격기)에도 숨겨진 스테이터스로 뇌격 명중 수치가 달려있는데, 이 뇌격명중 수치가 실제로 작용된다면 가장 안 맞는 함상공격기는 뇌격 명중 +0의 신형 뇌격기 류세이改나 네임드 텐잔12형(토모나가대)가 된다.[2] 비슷하게 남아있는 능력치로는 각종 뇌격에 대한 뇌격 회피력, 폭격기의 폭장에 대한 폭장 회피력 등이 있다. 실제로는 그냥 회피로 계산.[3] 단, 고사장치 관련 장비 필요.[4] 13, 22호 전탐 계열만 가능. 33호 전탐이나 미국제 전탐은 장착 불가능[5] 22호 전탐을 개량해서 사격용으로 쓸 정도의 정확도로 개량한 버전이다.[6] 헤이우드 L. 에드워즈 등의 일부 후기형 플레처급 구축함들은 아예 초기장비로 갖고 온다.[7] 영국제 레이더인 Type281, Type274 레이더만 가능[8] ☆+7 이상의 FuMO25 레이더만 가능[9] 중순양함 -5, 연습순양함 -6, 경순양함 -7, 구축함(아키즈키급 등) -9[10] 이벤트 보상 칸무스 프린츠 오이겐의 1개 + 이벤트 보상 장비로 풀린 1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