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colbgcolor=#b3fbf2>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合同神學大學院大學校 Hapdong Theological Seminary | |||
| |||
교훈 | 바른신학 바른교회 바른생활 | ||
표어 | <colbgcolor=#ffffff,#1c1d1f>바른신학 바른교회 바른생활 | ||
국가 |
| ||
분류 | 대학원대학 | ||
재단 |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 ||
교단 | |||
설립자 | 정암 박윤선 목사 | ||
개교일자 | 1979년 남서울교회 신학교 1980년 합동신학교 1997년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 ||
총장 | 안상혁 | ||
소재 | <colbgcolor=#003458> 수원캠퍼스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광교중앙로 50 (원천동) | |
재학생 | 대학원생 | 285명 (2022년 기준) | |
교직원 | 49명 | ||
대학기본역량진단 | 미적용(2022) | ||
홈페이지 | |||
{{{#!wiki style="margin: 0 -10px" {{{#ff7f00 {{{#!folding [ 지도 펼치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수원캠퍼스 |
바른신학 바른교회 바른생활
1. 개요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원천동에 위치한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 산하 신학대학원대학교. 약칭은 합신대이다.예장 합신의 신학적 학풍을 잘 반영하여 바른 생활과 엄격한 행동을 강조한다. 교훈은 바른 신학, 바른 교회, 바른 생활
실질적으로 가장 먼저 설립된 대학원대학이다. 엄격하게 따지면 지금은 KAIST가 된 KAIC가 첫번째 대학원대학이지만 특별법으로 설립했고 학위 과정이 부설된 과학기술원이니 대학원대학의 역사에서 논외이다. 그래서 개신교계에서는 가장 지명도가 높은 대학원대학이다.
2. 역사
총신대학교의 학내 분규로 실망한 박윤선 목사와 김명혁 목사, 기타 교수들과 신학생들이 1979년 대한예수교장로회(합동)에서 이탈하여 남서울교회에 신학교를 세웠다.1980년 대한예수교장로회(합신)이 세워지자 예장합신 교단의 직영 신학교가 된다. 1980년 11월 합동신학교라는 이름으로 개교했다.
1997년 학부 과정을 폐지하고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로 재편되었다.
3. 편제
비록 전문대학원으로 인가받은 대학원대학이지만, 총신대학교를 비롯한 타 개신교계 대학들의 대학원 과정과 대등하다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목회학 석사 과정 및 평생교육원 과정을 "합신대 목회대학원"이라고 자체적으로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대학원대학은 단과대학원으로 편제되어 있기에 실제로 편제가 나뉘어진 것은 아니다.
4. 학풍
고신대학교와는 이복형제 사이라고 보면 된다. 박윤선 목사는 고신 → 합동 → 합신 순으로 소속 교단을 변경하였고, 고신 소속일 때 고신대학교를 세웠기 때문이다. 합신 교단도 고신과의 교류가 잦아서 신학생들도 서로 친밀한 편.
예장 합신은 예장 합동의 보수파와 예장 대신과 비슷한 보수 장로회 성향이 강하며 특히 다른 보수 장로회 교단보다 엄격한 행동을 더욱 강조한다. 그래서 타 개신교계 학교보다 행동에 대한 교칙이 더욱 엄격한 편이다. 특히 욕설 및 품위유지 위반에 대한 벌칙이 따로 있을 정도인데, 이는 웨슬리안 계열 신학대학보다 더욱 엄격하다.
합신 교단을 창립한 박윤선 목사는 네덜란드 개혁주의 신학을 국내에 소개한 신학자로써 유명하며, 학구적이고 고고한 성향을 지녔기 때문에 합신대도 다른 개신교계 신학교보다 학구열이 강하기로 유명하다. 네덜란드 보수 개혁주의에 대해서는 더욱 유화적으로 받아들이는 편. 그래서 예장 고신이나 예장 합동의 보수파보다 더욱 신칼뱅주의에 더욱 유화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진보신학에 대해서는 예장 대신에 버금가게 강경하게 거부하기에 백석대학교만큼 신칼뱅주의 성향이 강한 편은 아니다.
학교가 아주대학교에서 매우 가까우며, 합신 교단도 보수 장로회에서 꽤 유명한 교단인 만큼, 경기남부권, 특히 수원권에서 꽤 유명한 신학대학원으로 손꼽힌다. 경기남부 지역의 미디어에서 보수 장로회에 대한 이미지를 꽤 담당하는 편이다. 하지만 엄격한 행동을 강조하는 학풍 특성상 합동이나 대신만큼 언론에 자주 노출되는 편은 아니다.
학령인구가 꽤 줄어가는데다가 개신교 교회에서 미디어 활용이 꽤 늘어남에 따라 세속적인 신자들을 포용해야할 필요가 늘어나고 있기에, 문화에 대한 태도는 예장 합동과 함께 점점 유화적으로 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래서 문화에 대한 태도가 여전히 보수적인 안양대학교보다 선호도가 더욱 오르고 있는 추세이다.
총신대보다 타 교단 출신의 입학을 더욱 장려하는 특성상 학생들의 출신 학부가 총신대보다 더욱 다양한 편이다. 게다가 학부과정이 아예 없는 특성상 순혈주의 같은 것도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출신성분에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품위유지에 주의해야하는 단점을 상쇄시키는 편이다.
다만 합신 교단이 한국 개신교계에서 이단 및 사이비에게 가장 민감한 만큼, 진보 개신교계나 타 교파 성향 혹은 신복음주의 성향 신학생에게는 꽤 상성이 맞지 않는다. 이러한 점은 고신대보다 더욱 보수적이다. 그래서 이러한 성향의 신학생들은 합신대에서 학위를 따도 타 개신교 교단으로 옮겨가는 편이며, 이러한 측면에서 합신 교단에서 인재 유출이 꽤 일어나고 있다. 하지만 교단의 성향상 이는 어쩔 수 없어서 교단 측에서도 고심이 큰 듯.
5. 캠퍼스
- 정문
- 도서관&수업동
두 건물은 하나로 이어져 있다.
- 기숙사
기숙사 앞에는 자전거가 많이 주차되어 있는데, 학생증을 내고 자전거를 대여할 수 있다.
6. 사건사고
- 2006년 광교신도시 개발 때문에 학교 부지의 1/2을 빼앗길 뻔했다. # 결과적으로는 부지의 1/4 정도를 아파트와 초등학교에게 내주고 운동장이 삼각형이 되어버렸다. 학교 부지의 판도가 예쁘지 않기에 이에 대한 학생들의 불만도 존재한다.
7. 기타
- "싸이버신학교육연구소"라는 원격 신학원을 갖고 있지만 평신도 신학 강습소 같은 개념이다. 목사가 되고 싶으면 본격적으로 목회학과에 입학하는게 낫다. 싸이버신학교육연구소는 2022년 6월1일부로 동영상 송출서비스를 중단했다
- 바로 옆에 소화초등학교가 있다. 물론 학교법인은 다르다.
- 학교 앞에는 상권이 없다. 하지만 학생들은 인근의 아주대학교에 형성되어있는 상권을 이용한다.
- 위치 때문에 서울권 출신 학부생보다 수원권, 경기 남부권 대학 출신 학부생들이 주로 진학하는 편이다. 인근의 아주대학교, 경기대학교, 경희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칼빈대학교[1] 에서 학부를 나온 재학생이 많다. 안양대학교, 성결대학교, 한세대학교, 협성대학교, 한신대학교, 서울장신대학교 출신 신학생들도 꾸준히 진학한다.
- WEA(세계복음주의연맹)의 회원 단체인 '아시아신학연맹'(ATA)에 가입한 상태다.
8. 출신인물
9. 장로회 둘러보기
† 대한민국의 장로회 산하 고등교육기관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개혁) |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개혁국제) |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고신) | |
신대원 개신대학원대학교 | 신대원 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 신대원 고신대학교 | ||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 |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석수) |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순장) | ||
신대원 안양대학교 | 신대원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 신대원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 ||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백석) | ||||
신대원 백석대학교 | 백석문화대학교 | 백석예술대학교 | ||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제신) | 대한예수교장로회[1] (예장중앙) |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피어선) | ||
신대원 제네바신학대학원대학교 | 신대원 온석대학원대학교 | 신대원 평택대학교 | ||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통합) | ||||
광주보건대학교 | 기독간호대학교 | 신대원 경안대학원대학교 | ||
신대원 대전신학대학교 | 신대원 부산장신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
신대원 서울장신대학교 | 숭실대학교 | 숭실사이버대학교 | ||
연세대학교[2] | 신대원 영남신학대학교 | 신대원 장로회신학대학교 | ||
한남대학교 | 신대원 한일장신대학교 | 신대원 호남신학대학교 | ||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한영글로벌) |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합신) | 한국기독교장로회 (기장) | ||
신대원 서울한영대학교 | 신대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 신대원 한신대학교 | ||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합동) | ||||
신대원 광신대학교 | 신대원 대신대학교 | 신대원 총신대학교 | ||
중부대학교 | 신대원 칼빈대학교 | 대전과학기술대학교 | ||
장로회 계열 초교파[3] | ||||
경성대학교 | 대구대학교 | 대구사이버대학교 | ||
신한대학교 | 전주대학교 | 창신대학교 | ||
경민대학교 | 경북과학대학교 | 선린대학교 | ||
숭의여자대학교 | 신안산대학교 | |||
전주기전대학 | 전주비전대학교 | |||
[1] 백기환 목사가 창립한 정통교단. [2] 장로회 계열과 감리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3] 재단이 장로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되지 않은 대학. 그러나 예장합동과 연관있는 경성대와 예장고신과 연관있는 창신대를 제외하면 모두 예장통합과 연관있다. |
[1] 총신대학교 학생들도 많이 진학할 것 같지만 정작 총신대 학부생들은 대부분 총신대 대학원으로 진학한다. 그래서 오히려 칼빈대 학부생들이 많이 진학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