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20 14:16:22

헥토르(동음이의어)

1. 개요

2. 대중 문화에서의 헥토르

2.1. 영화

2.1.1.트로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헥토르(트로이)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헥토르(트로이)#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헥토르(트로이)#|]][[헥토르(트로이)#|]]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2.글래디에이터

Your fame is well deserved, Spaniard. I don't think there's ever been a gladiator to match you. As for this young man, he insists you are Hector reborn. Or was it Hercules?
명성에 걸맞은 실력이구나, 스페인인. 너와 비견되는 검투사를 본 적이 없다. 이 어린 친구는 너를 헥토르의 환생이라고 칭송하더군. 헤라클레스였나?

작중 배경이 고대 로마이기 때문에 직접 등장하지는 않지만, 콤모두스막시무스의 정체를 모르고 칭찬했을 때 언급한다. 콤모두스의 조카 루키우스 베루스 2세가 열세에도 불구하고 뛰어난 지휘력을 발휘해서 검투 경기를 승리로 이끈 막시무스를 헥토르헤라클레스에 비유하며 열광했다. 사실상 둘을 그리스 신화의 최고봉으로 여긴 듯.[1]

가문과 시민공동체에 헌신하는 영웅인 헥토르를 높게 평가한 건 고대 로마의 시대적 영웅 문화를 잘 고증한 요소 중 하나다.

2.2. 만화

2.2.1.불새 -소녀편-

불새의 피를 마시고 불사의 몸이 되었지만, 혼수 상태로 강에 흘러간 여주인공 다이아를 구해주며 친해진다.

적국인 스파르타에 사자로 갔지만, 연회에서 스파르타의 왕[2]과 시비가 붙어서 몸싸움을 벌이게 된다. 헥토르는 스파르타의 왕을 압도하지만, 밀리던 스파르타의 왕의 반칙에 당할 위기에 처한다. 하지만 율리시즈의 부하이자 다이아와 마찬가지로 불새의 피를 먹고 불사의 몸이 되었지만, 기억을 잃은 이집트의 왕자 클라브가 이를 막고 헥토르를 직접 대결에서 쓰러뜨린다. 헥토르는 자신의 패배를 인정하며 이후 전장에서 보자고 말한 후 헤어진다.

한편, 스파르타의 왕비는 다이아가 자신의 딸 헬레네보다도 아름다운 것에 앙심을 품고 그녀를 납치하는데, 헥토르는 이에 대한 보복으로 헬레네를 트로이로 납치해가며 '헬레네를 돌려받고 싶으면 다이아와 보물을 트로이로 가져오라'라는 서신을 남기고 간다. 결국 이로 인해 트로이 전쟁이 벌어지게 된다.

헥토르의 동생 파리스는 전쟁에 나서는 형을 위해 불새를 잡아서 피를 먹이고 싶었지만, 헥토르는 전장에 나섰다. 그렇게 무쌍을 찍다가 클라브와 재회하고 호각의 결투를 벌이게 되는데, 이때 아킬레우스가 기습하여 헥토르를 창으로 찌르고 자신이 트로이 최고의 용사를 쓰러뜨렸다고 외친다.[3]

2.2.2.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

파일: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_헥토르.jpg
홍은영 버전의 헥토르
구판에서는 홍은영 작가 특유의 미형 그림체 덕분에 공인 미남인 그리스 군의 메넬라오스나 동생인 파리스보다도 훨씬 더 잘생긴 금발벽안의 미남으로 등장한다.[4] # 작화로만 봐도 그로신 전체 남캐 비주얼 상위권에도 거뜬히 들어갈 정도.[5] 비단 헥토르 뿐만 아니라 셋째 왕자인 데이포보스와 사촌인 아이네이아스 또한 정말 잘생겼다. # 그러나 신판에서는 스탈린을 닮은 콧수염 난 중년으로 대하향 작화 너프를 당했다....

여담으로 아내인 안드로마케나 여동생인 폴뤽세네도 작품 공식 미녀인 헬레네보다도 예쁘다는 말이 많았다. 신화상으로도 트로이 왕가는 미인이 많기로 유명했기 때문에 본작의 묘사는 적절한 고증이다.[6]

여기서도 동생 파리스 때문에 고생한다. 파리스가 스파르타의 왕비 헬레네와 도망치면서 그녀의 남편 메넬라오스와 그의 형 아가멤논을 위시한 그리스 연합군이 쳐들어와 트로이 전쟁이 발발하자, 트로이의 왕세자이자 총사령관으로서 조국의 멸망을 막기 위해 동분서주하며 전쟁에서 트로이 왕족들 중 가장 활약한다. 하지만 11권에서 메넬라오스를 보고 겁에 질려 도망치려는 파리스를 보고 분노해 "이 겁쟁이 녀석아! 계집에게 미쳐 전쟁을 일으켜 놓고 목숨이 아까워 숨다니 부끄럽지도 않느냐?"라고 꾸짖는다.

이에 파리스가 정정당당하게 메넬라오스와 1대 1로 대결하겠다고 하자 기뻐하지만 그 결투에서 파리스가 아프로디테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지고, 아테나에게 속은 판다로스가 메넬라오스에게 부상을 입히는 바람에 서약은 깨지고 전쟁은 트로이와 그리스 중 하나가 멸망하지 않는 한 절대 끝나지 않는 사생결단으로 흘러간다.

이후 아킬레우스의 갑옷을 입고 출전한 파트로클로스를 아킬레우스로 착각해 전투를 벌이다가, 아폴론이 파트로클로스를 무방비 상태로 만든 틈을 타 그를 죽여 갑옷을 빼앗는데 성공한다. 파트로클로스의 시체를 매에게 뜯어먹히게 하려고 했지만 메넬라오스가 파트로클로스의 시체를 보호해서 실패한다.[7]

하지만 파트로클로스의 죽음으로 이성을 잃은 아킬레우스는 다시 전쟁에 참전하여 무쌍을 찍고,[8] 결국 자신도 12권 최후반에서 아킬레우스와 1 대 1 결투를 벌이다가 13권 초반에 패배하여 죽음을 맞이한다.

이때 파트로클로스의 시체를 능욕하려고 할 땐 언제고 죽기 직전 아킬레우스에게 투구와 갑옷은 벗겨가도 좋지만 자신의 시신을 들개나 독수리들이 뜯어 먹게 하지는 말아달라며, 자신을 제발 가족들에게 돌려보내달라고 부탁하면서 그렇게만 해주면 부모인 프리아모스헤카베가 몸값으로 많은 황금을 줄 것이라고 제안한다.

내로남불에 분노한 아킬레우스는 당연히 그 부탁을 무시한다. 이에 그를 잔인하다고 평하며 신들의 노여움을 사지 않는 게 좋을 거라는 유언을 남긴 뒤 숨을 거둔다. 이후 아킬레우스는 헥토르의 시신을 자신의 전차 뒤에 묶어 보란 듯이 트로이 성문 앞에 끌고다니고, 이 광경을 목도한 아버지 프리아모스와 어머니 헤카베를 비롯한 트로인들은 절규하고 아내 안드로마케는 아예 기절한다.

그나마 아폴론아프로디테가 죽은 헥토르를 보호해 주면서 시신이 훼손되지는 않는다.[9] 또한 프리아모스가 그리스군의 막사까지 직접 찾아와 애원하면서 아킬레우스도 마음이 풀려, 헥토르의 시신을 돌려주면서 무사히 트로이에 있는 가족들의 곁에 돌려보내져 장례를 치르게 된다.[10]

2.2.3.카산드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헥토르(카산드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헥토르(카산드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헥토르(카산드라)#|]][[헥토르(카산드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4.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헥토르(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헥토르(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헥토르(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헥토르(Re: 제로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생활)#|]]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게임

2.3.1.트로이 무쌍

파일:헥토르-트로이 무쌍.jpg

2.3.2.Fate 시리즈

캐릭터성은 헥토르(Fate 시리즈) 항목을, 인게임 캐릭터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 참조.

2.3.3.토탈 워 사가: 트로이

Hector, First Prince of Troy, is the city's greatest warrior and its storm-geous defender. Many Achaeans have tested their spears against him, and many have fallen. While Hector still draws breath, none will breach the walls of Troy.
(트로이의 왕세자, 헥토르는 도성 최강의 전사이자 폭풍같은 수호자다. 수많은 아카이아인들이 헥토르를 상대로 창을 휘둘렀고 그의 손에 쓰러졌다. 헥토르가 살아있는 한, 그 누구도 트로이의 장벽을 무너뜨릴 수 없을 것이다.)
8개의 기본 플레이어블 군주 중 하나로 등장. 트로이의 헥토르(Hector of Troy) 진영을 이끈다.

시네마틱 트레일러에서도 등장. 트로이 장벽의 성문 앞까지 돌격해 온 아킬레우스가 헥토르의 이름 외치며 결투를 신청하자 무장을 하고 당당히 성문을 연다. 장벽의 궁수들이 아킬레우스를 겨냥하자 이를 제지하고[11] 아킬레우스와 결투를 벌여 방패로 아킬레우스의 안면에 강타를 적중시키고 서로를 향해 돌격하며 영상이 끝난다.

2.3.4.R-TYPE 시리즈

THw-01 헥토르라는 물건이 있다. 장거리 파동포 사격을 통해 적을 저격하거나 부대 단위로 지워버리는 중장거리 포격 지원용 유닛의 끝판왕.
크기도 크고 모양새도 로봇 내지는 모빌슈트AC와 비슷하지만, 일단은 알 파이터 계열로 취급한다.
가지고 있는 무기 세 종류가 전부 파동포들밖에 없어서 최전선에 나서지는 못하지만, 세 종류 파동포가 상당히 강력하며, 특히 전용 무기 "대형 파동포"는 범위도 넓고 화력도 강해서 대물 저격총으로 비유될 정도로 세다.

2.3.5.터치파이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터치파이터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터치파이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터치파이터#헥토르|헥토르]][[터치파이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드라마

2.4.1.트로이: 왕국의 몰락

파일:Hector-Troy-Fall-of-a-city.png

배우는 톰 웨스턴-존스. 아킬레우스를 제외하면 적수가 없는 당대의 강자로 등장한다.

파리스가 아직 목동이던 시절, 왕가에게 결투를 신청한 그와 싸운다. 당연히 압도적으로 파리스를 두들겨 패지만, 파리스가 마지막 발악으로 얼굴을 깨물어서 상처가 나자 머리를 우물에 처박아서 익사시키 일보 직전까지 갔다. 프리아모스가 만류해서 그만뒀지만.

프리아모스가 파리스를 왕자로서 교육시킨다고 동맹국인 스파르타에 인사하러 가라고 보내는데, 헥토르는 아직은 동생이 미숙할 것이니 자신도 따라가겠다고 했다. 그리고 헥토르의 말이 맞았다. 하지만 프리아모스는 파리스가 혼자서 배워야 한다며 파리스를 혼자 스파르타로 보내고 결과는 아시다시피 헬레네를 데려왔다.

파리스를 한심하게 생각하면서도 그래도 동생이랍시고 여러 조언을 받아들이고 존중해줬다. 그리고 소수의 정예와 킬리키아 테베에 다녀오는 임무에 목동으로 자라 들에 잘 아는 파리스를 포함시키기도 했다. 파리스도 결국은 형 헥토르를 존경하게 된다.

본작에서는 처음으로 전쟁에 나서는 지휘관이였지만 굉장히 유능했고 아카이아 연합군 본진을 쳐서 아킬레우스의 무구를 입은 파트로클로스를 압도적으로 쓰러뜨린다. 파트로클로스는 헥토르의 방패에 팔이 부러진 후, 살려달라고 빌었지만 헥토르는 그대로 가슴에 칼을 박아버렸다. 이에 아킬레우스가 절규하며 달려오자, 그제서야 상황을 눈치 챈 헥토르는 '넌 다른 사람에게 갑옷을 입히고 싸움에 내보내냐"며 도발한다.

아킬레우스파트로클로스의 복수를 갚기 위해, 트로이 성문 앞에서 포로들을 한 명 씩 처형하며 도발하자 헥토르는 '아들을 생각해서라도 나가지 말아달라'는 아내 안드로마케와 주위를 애절한 만류에도 불구하고 명예를 지키기 위해서는 나가지 않을 수 없다며 아킬레우스와 싸우기 위해 성문 밖으로 나가버린다.

파일:Hector-Achilles.png

아킬레우스는 헥토르가 성문 밖으로 나오자 마자 분노의 투창을 날리고 헥토르는 재빨리 이를 방패로 막지만 관통된다. 헥토르는 그대로 방패를 버리고 아킬레우스에게 달려가 화려한 창술로 아킬레우스를 몰아붙이고 아킬레우스의 칼을 무장 해제시킨다. 검을 잃은 아킬레우스는 헥토르의 창을 피하다가 창 끝을 부러뜨리는 데 성공하고 그대로 헥토르의 왼쪽 어깨에 박아넣는다. 창을 헥토르는 칼을 뽑아 아킬레우스를 상대하고 왼팔을 움직일 수 없는 상태였음에도 아킬레우스의 왼팔에 상처를 낸다. 헥토르는 피를 철철 흘리는 아킬레우스의 왼팔을 보며 '너도 인간처럼 피를 흘리는 군.'이라고 도발하고 전투를 계속한다. 하지만 여전히 칼과 방패를 장비하고 있었던 아킬레우스에 비해 왼팔을 움직일 수 없고 칼 밖에 없는 헥토르의 열세였고 결국은 칼을 든 오른 손의 손가락이 다 잘려버린다.

패배가 확정되자 아킬레우스는 헥토르에게 꿇으라고 하지만, 헥토르는 자신은 서서 죽겠다고 거절한다. 이에 아킬레우스는 헥토르의 발목의 힘줄의 절단해버리고 그대로 무릎을 꿇게 된 헥토르의 가슴에 칼을 박아넣으며 '저 세상에서 네 아내와 아들을 기다려라. 곧 너를 따라갈 테니.'[12]라는 말을 듣고 죽는다.

2.5. 웹소설

2.5.1.신화 속 양치기 노예가 되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헥토르(신화 속 양치기 노예가 되었다)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헥토르(신화 속 양치기 노예가 되었다)#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헥토르(신화 속 양치기 노예가 되었다)#|]][[헥토르(신화 속 양치기 노예가 되었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그 외의 동음이의어

3.1. 소행성

624 Hektor
(1907 XM)
구분 트로이 소행성군(그리스 캠프)
크기 370×195×195 km
지름 226.68(±15.15) km
질량 (7.9±1.4)×1018 kg
중력 가속도 0.04 m/s2
궤도 장반경 5.2571223548 천문단위(AU)
원일점 5.382367154 천문단위(AU)
근일점 5.131877556 천문단위(AU)
궤도 경사각 18.16646°
이심률 0.023823832
공전 주기 4402.7148일 (12.05년)
자전 주기 6.9205 시간
겉보기 등급 13.79~15.26
절대등급 +7.2
파일:624 Hektor artist image.jpg
헥토르와 위성 스카만드리오스의 상상도

어원은 헥토르.

목성라그랑주점 L4에 위치한 목성 트로이 소행성이며 평균 지름은 226.68km로,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소행성이다. D형 소행성으로, 아로코트처럼 두 개의 천체가 연결된 접촉소천체(Contact binary)이다. 2006년 발견된 12km 크기의 위성 스카만드리오스[13]가 약 623.5km 떨어진 곳에서 2.9651일을 주기로 공전하고 있다.

목성 트로이군은 트로이 캠프와 그리스 캠프로 나뉘는데 이 소행성은 그렇게 나누기 전에 이름이 붙은 경우라 그리스 캠프 한 가운데 있는 트로이 무장이 되어버렸다. 트로이 캠프에 갇힌 그리스 무장도 있는데 그것은 617 파트로클로스.

4. 외부 링크

5. 미러 링크



[1] 헤라클레스는 누구나 다 아는 그리스신화의 최고 대영웅이며, 그런 헤라클레스와 대등하게 비견된다는 것만으로도 헥토르가 로마시대에 얼마나 큰 인기를 얻었는지 짐작할 수 있다.[2] 본작에서는 헬레네의 아버지니, 메넬라오스가 아니라 오히려 튄다레오스 왕에 가까운 설정이다.[3] 그래도 원전과는 다르게 시체가 전차에 매달리지 않았다는 점은 다행이라고 할 수 있다.[4] 그리스 군도 사정이 매한가지라서(?) 메넬라오스보다 오디세우스가 더 미남으로 나온다.[5] 사실 헥토르도 미남이라는 언급이 있긴 해서 적절한 고증이기는 히다.[6] 덧붙여서 트로이의 왕자들은 갈색 머리인 폴리테스를 제외하면 모두 금발이다. 당장 왕세자인 헥토르와 남동생들인 파리스, 데이포보스, 폴뤼도로스, 친척지간인 아이네이아스도 금발 보유자이고 헥토르와 안드로마케의 아들인 아스티아낙스 또한 금발이다. 공주들은 왕자들과 달리 자주색 계열의 머리색을 가지고 있다. 카산드라폴뤽세네가 그 예. 그런데 프리아모스헤카베 내외는 둘 다 금발이다? 열성 유전이나 조부대의 격세 유전일지도[7] 이 와중에도 자신이 빼앗은 아킬레우스의 갑옷으로 갈아입고, 파트로클로스의 시체를 뺏어온 사람에게 큰 상을 내리겠다고 선언했다.[8] 헥토르의 눈앞에서 그의 동생 폴리도로스에게 창을 던져 죽여버리기까지 했다. 당연히 동생의 죽음을 목도한 헥토르는 절규한다.[9] 특히 아폴론은 신들이 모인 자리에서 얼른 헥토르의 시신을 가족에게 돌려줘야 한다고 가장 먼저 주장한다. 거기다 훌륭한 용사인데다 언제나 신들을 잘 받든 헥토르의 시체를 끌고 다니는 아킬레우스의 행동은 결코 좋다고 할 수 없다고까지 하면서 어떻게든 헥토르의 장례를 치러주려고 애쓴다. 이에 헤라가 헥토르는 인간의 아들이고 아킬레우스는 여신의 아들이니 둘을 똑같은 용사로 생각하는 건 옳지 않다고 화를 내자, 제우스는 헤라의 말대로 아킬레우스와 헥토르를 똑같이 취급할 수 없지만 헥토르는 신들에게 좋은 제물을 많이 바쳤다고 옹호한다.[10] 그리고 이 장례식에 몰래 참석한 아킬레우스가 울고 있는 헥토르의 여동생 폴뤽세네를 보고 첫눈에 반한다. 당연히 헥토르 입장에서는 자기 죽인 놈이 자기 장례식장에 찾아와서 다들 울고 있는 와중에 자기 여동생 우는 모습을 보고 예쁘다고 하니 이에 혈압 오르고도 남겠지만...[11] 영화 트로이에서도 헥토르가 궁수들을 제지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오마쥬인 것으로 보인다.[12] 이는 반은 맞고 반은 틀렸다. 트로이가 함락되고 아들 아스티아낙스오디세우스에 의해 성벽에서 떨어져 죽지만, 아내 안드로마케는 그리스로 끌려간다.[13] 임시 명칭 S/2006 (624)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