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문서: 혈계전선/애니메이션
혈계전선 & 비욘드 (2017) 血界戦線&BEYOND Blood Blockade Battlefront & BEYOND | |||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장르 | 이세계, SF | |
원작 | 나이토 야스히로 | ||
감독 | 타카야나기 시게히토 | ||
캐릭터 디자인 | 카와모토 토시히로 | ||
크리처 디자인 | 스기우라 코지 | ||
프롭 디자인 | 진구지 노리유키(神宮司訓之) | ||
이펙트 작화감독 | 하시모토 타카시 | ||
미술 감독 | 히가시 준이치(東 潤一) | ||
색채 설계 | 나카야마 시호코(中山しほ子) | ||
촬영 감독 | 후루모토 마유코(古本真由子)[1] | ||
CGI 디렉터 | 오오타 미츠키(太田光希) (1~3화) 미야케 타쿠마(三宅拓馬) (4~12화) | ||
편집 | 히라키 다이스케(平木大輔) | ||
음향 감독 | 아케타가와 진 | ||
음향 효과 | 콘노 야스유키(今野康之) | ||
음악 | 이와사키 타이세이(岩崎太整) | ||
음악 제작 | 도호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후루사와 요시히로(古澤佳寛) 아소 카즈히로(麻生一宏) 아소 미치히로(阿相道広) 히라타 히데오(平田秀夫) 마루야마 히로오(丸山博雄) | ||
프로듀서 | 오카무라 와카나(岡村和佳菜) 후루야 다이스케(古谷大輔) 모리 료스케(森 亮介) 오오야부 요시히로(大薮芳広) 후키노 후미나리(吹野史斉) 카메이 히로시(亀井博司) | ||
애니메이션 제작 | 본즈 | ||
제작 | 혈계전선 & BEYOND 제작위원회 | ||
방영 기간 | 2017. 10. 08. ~ 2017. 12. 24. | ||
방송국 | MBS / (일) 03:08 애니맥스 코리아 / (화) 23:00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일반 , ▶ 무삭제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화수 | 전12화 + 특별편 2화 | ||
시청 등급 | 15세 이상 시청가 (선정성, 폭력성, 주제)[방영판] | ||
19세 이상 시청가 (선정성, 폭력성, 주제)[무삭제판] | |||
관련 사이트 | | |
[clearfix]
1. 개요
일본의 만화 혈계전선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중 제2기. 감독은 타카야나기 시게히토, 제작사는 본즈.2. 공개 정보
시즌 2는 2017년 10월 방송. 감독/시리즈 구성이 교체되었으며, 새 감독은 나이토의 전작 트라이건에서 감독 보좌/콘티 연출로 활약했던 타카야나기 시게히토가 맡았다.[4] 새로 각본을 맡은 카모 야스코는 다가시카시, 도쿄 ESP 등에서 타카야나기 감독과 호흡을 맞췄던 적이 있고, 각본가로 데뷔하기 전에는 트라이건에서 제작진행을 담당했었다. 타이틀은 혈계전선 & BEYOND. 전 12화.속편이 나올 경우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전작의 스태프들이 그대로 기용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BEYOND의 경우 감독을 포함한 대부분의 스태프들이 교체되었다는 특이사항이 있다. 1기에서 지속적으로 불만을 토로했던 미술감독 키무라 신지도 결국 교체되었고, 특히 마츠모토 리에 감독은 1기의 방송 연기 소동으로 인해 강판당했거나 본인이 직접 물러난 것이 아니냐는 추측이 중론이다. 그래도 마츠모토가 엔딩 애니메이션을 담당했으니 감독 자리에선 내려왔어도 사이가 틀어진 수준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
3.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혈계전선/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4. 음악
4.1. 주제가
4.1.1. OP
OP fake town baby | |||
TV ver. | |||
MV ver.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UNISON SQUARE GARDEN | ||
작사 | 타부치 토모야(田淵智也) | ||
작곡 | |||
편곡 | UNISON SQUARE GARDEN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콘티 | 나카야마 나오미 | |
연출 | |||
작화감독 | 카와모토 토시히로 | ||
이펙트 작화감독 | 하시모토 타카시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I'm sane, but it's trick or treat? I'm right, but it's truth certainly. Well then "awesome!" welcome to tragedy. Fake town, Fake town, baby? I'm sane, but it's trick or treat? I'm right, but it's truth certainly. Well then "awesome!" welcome to tragedy. Fake town, Fake town, baby? 情に伏すなんて到底無駄 죠오니 후스난테 토오테이 무다 정에 기대는 건 도저히 쓸모 없어 束の間の安堵は当面邪魔 츠카노 마노 안도와 토오멘 쟈마 잠깐뿐인 안도는 당분간은 방해돼 Hello me, Hello you, 「待った」は効かない Hello me, Hello you, 맛타와 키카나이 Hello me, Hello you, 「잠깐만」은 안 통해 Fake town, Fake town ほら いつからそう思っていたか わからなくなってる 호라 이츠카라 소오 오못테이타카 와카라나쿠 낫테루 봐, 언제부터 그렇게 생각하게 됐는지도 이젠 모르겠어 せっかく勝てる準備してたのに 残念だな 騒々しくて 셋카쿠 카테루 쥰비시테타노니 쟌넨다나 소오조오시쿠테 모처럼 이길 준비도 했는데 안 됐네, 통 소란스러워서 幸せになるパーセンテージ 忘れちまったよ 시아와세니 나루 파센테이지 와스레치맛타요 행복해지는 퍼센테이지는 잊어버렸어 神様はいない 要らない いても 要らない 카미사마와 이나이 이라나이 이테모 이라나이 신은 없어 필요 없어 있대도 필요 없어 ここは誰の現在地だ? 코코와 다레노 겐자이치다 여긴 지금 누가 있는 곳? 甘いか苦いかは君が決めろよ 아마이카 니가이카와 키미가 키메로요 달콤한지 씁쓸한지는 네가 정하라고 「嫌いなもんは嫌い うるせえ 黙れ」 키라이나 몬와 키라이 우루세에 다마레 「싫은 건 싫어 시끄러워 입 닫아」 それじゃ 多分とうに立ち行かない 소레쟈 타분 토오니 타치유카나이 그래선 아마 결코 나아지지 않겠지 ぐだぐだ言ってるだけじゃ 見向きされないのが この街のルール 구다구다 잇테루다케쟈 미무키사레나이노가 코노 마치노 루루 넋놓고 중얼대기만 해선 아무도 안 봐준다는 게 이 거리의 규칙 またとない このcall or dropに乗るだけ 마타토나이 코노 call or drop니 노루다케 두 번 다시 없는 이 call or drop에 함께할 뿐 悪鬼羅刹さえも手を叩く さあ喝采万来、お待たせ 앗키 라세츠사에모 테오 타타쿠 사아 캇사이 반라이 오마타세 악귀 나찰마저 손뼉을 쳐 자 수많은 갈채, 기다렸지? I'm sane, but it's trick or treat? I'm right, but it's truth certainly. Well then "awesome!" welcome to tragedy. Fake town, Fake town, baby? 無に帰すなんて日常茶飯 무니 카에스난테 니치죠사한 무로 돌아가는 것 정돈 흔한 일 万物を承諾、さながら羅漢. 반부츠오 쇼오다쿠 사나가라 라한 만물을 받아들여, 마치 라한. Hello me, Hello you, time to Rock 'n' Roll Fake town, Fake town ほら いつまで泣いてばっかいても 日が暮れちゃうから 호라 이츠마데 나이테밧카 이테모 히가 쿠레챠우카라 이봐, 언제고 울고만 있어봤자 해는 져버리니까 前途多難なぐらいがおあつらえだね 젠토타난나 쿠라이가 오아츠라에다네 전도다난한 정도가 딱 어울리겠네 始まるぞ 揺さぶられたら 하지마루조 유사부라레타라 흔들려버리면 시작된다고 君が持ってる常識なんか ガラクタなんだよ 키미가 못테루 죠오시키난카 가라쿠타난다요 네가 가진 상식 같은 건 쓸데도 없단 말야 神様はいない 要らない いても 要らない 카미사마와 이나이 이라나이 이테모 이라나이 신은 없어 필요 없어 있대도 필요 없어 期待斜め45度 키타이 나나메 욘쥬고도 기대는 기울기 45도로 放っちゃう どうせ意識しても無駄なんだよ 홋챠우 도오세 이시키시테모 무다난다요 떨쳐버려 어차피 의식해봤자 소용없어 前提享受して 走れ 進め 젠테이 쿄우쥬시테 하시레 스스메 전제를 받아들이고 달려라 나아가 それで もしも叶っちゃうのならば 소레데 모시모 카낫챠우노나라바 그래서 혹시 이루어진다면 エゴイズム戦線 一着逃げ切り 運命だって所詮は君の手中さ 에고이즈무 센센 잇챠쿠 니게키리 운메이닷테 쇼센와 키미노 슈츄우사 에고이즘 전선 1등으로 도주 운명도 어차피 네 손 안에 있어 どこまでが本当で どこからが嘘なのか 도코마데가 혼토오데 도코카라가 우소나노카 어디까지가 진실이고 어디부터가 거짓인지 確かめるのもバカらしいよな 타시카메루노모 바카라시이요나 확실히 하는 것도 바보같아 愛してる この街を 愛してる それでも 아이시테루 코노 마치오 아이시테루 소레데모 사랑해 이 거리를 사랑해 그래도 未完成で ずさんで いらいらして 穢れてて反吐が出て 미칸세이데 즈산데 이라이라시테 키가레테테 헤도가 데테 미완성에 거칠고 화가 나고 추악하고 구역질 나고 真実なんてないくせに I'll be 신지츠난테 나이 쿠세니 I'll be 진실 같은 건 없으면서 I'll be ああ 生きるsession もう当分は 飽きる気配がない 아아 이키루 session 모오 토오분와 아키루 케하이가 나이 아아 살아가는 session 이제 당분간은 질릴 것 같지가 않아 神様はいない 要らない いても 要らない 카미사마와 이나이 이라나이 이테모 이라나이 신은 없어 필요 없어 있대도 필요 없어 ここは誰の現在地だ? 코코와 다레노 겐자이치다 여긴 지금 누가 있는 곳? 甘いか苦いかは君が決めろよ 아마이카 니가이카와 키미가 키메로요 달콤한지 씁쓸한지는 네가 정하라고 「嫌いなもんは嫌い うるせえ 黙れ」 키라이나 몬와 키라이 우루세에 다마레 「싫은 건 싫어 시끄러워 입 닫아」 それじゃ 多分 ぶっ飛ばされちゃうぜ 소레쟈 타분 붓토바라세챠우제 그래선 아마 흠씬 두들겨 맞는다고 苦言雑言言ってるだけじゃ 見向きさえされないから 쿠겐 조오곤 잇테루다케쟈 미무키사에 사레나이카라 쓰디쓴 말도 욕지거리도 입만 놀려봤자 아무도 봐주지 않으니까 生命session 全部巻き込んで 楽しむのが この街のルール 세이메이 session 젠부 마키콘데 타노시무노가 코노 마치노 루루 생명의 session 전부 끌어들여 즐기는 게 이 거리의 규칙 ああ またとない このcall or dropに乗るだけ 아아 마타토나이 코노 call or drop니 노루다케 아아 두 번 다시 없을 이 call or drop에 함께할 뿐 もう驚天動地 バカ騒ぎ 後悔するぐらいで just just 모오 쿄오텐도오치 바카사와기 코오카이스루 쿠라이데 just just 이젠 경천동지 대난장판 후회할 정도로 just just ああ またとない このcall or dropに乗るだけ 아아 마타토나이 코노 call or drop니 노루다케 아아 두 번 다시 없을 이 call or drop에 함께할 뿐 悪鬼羅刹さえも手を叩く さあ喝采万来、お待たせ 앗키 라세츠사에모 테오 타타쿠 사아 캇사이 반라이 오마타세 악귀 나찰마저 손뼉을 쳐 자 수많은 갈채, 기다렸지? さあ勝算万全、お待たせ 사아 쇼오산반젠 오마타세 자 승산은 완벽해, 기다렸지? | |
원어 가사 출처: |
1기 ED 담당이었던 UNISON SQUARE GARDEN이 fake town baby란 제목으로 오프닝을 맡게 되었다.[5]
4.1.2. ED
ED ステップアップLOVE 스텝 업 LOVE | |||
TV ver.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DAOKO × 오카무라 야스유키 | ||
작사 | |||
작곡 | 오카무라 야스유키 | ||
편곡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콘티 | 마츠모토 리에 | |
연출 | |||
작화감독 | 하야시 유키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ED은 극장 애니메이션 쏘아올린 불꽃, 밑에서 볼까? 옆에서 볼까?의 OST를 맡았던 DAOKO와 스페이스 댄디 OP를 맡았던 오카무라 야스유키의 듀엣으로 곡명은 ステップアップLOVE이다. DAOKO의 4th Single에 수록되며, 2017년 10월 18일 발매되었다. 엔딩 영상의 콘티 및 연출은 1기 감독이었던 마츠모토 리에가 담당했다.
4.2. 삽입곡
EP1 삽입곡 1 Slice and Dice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BOSE (スチャダラパー) | |
작사 | Taisei Iwasaki | |
작곡 | Yuki Kanesaka Taisei Iwasaki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EP1 삽입곡 2 Block Scholars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Hybrid Thoughts | |
작사 | Aztech & Paranom | |
작곡 | Yuki Kanesaka Taisei Iwasaki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EP2 삽입곡 Eternalism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오마이걸 |
작사 | Taisei Iwasaki Sarah C.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한국어 가사) |
2화의 삽입곡 'Eternalism'은 한국의 걸그룹 오마이걸이 불렀다. OVA 엔딩곡으로도 사용되었다. 원작 작가 나이토가 오마이걸의
EP3 삽입곡 A QUEEN OF THE NIGHT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Bilal | |
작사 | Ai Ninomiya Taisei Iwasaki | |
작곡 | Taisei Iwasaki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EP4 삽입곡 La vie d’ une femme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Pauline | |
작사 | Jill Peacock Pauline | |
작곡 | Taisei Iwasaki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EP5 삽입곡 PEBBLE WALTS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작곡 | Taisei Iwasaki |
EP6 삽입곡 EASY THINGS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작곡 | Takuya Kuroda Taisei Iwasaki |
EP7 삽입곡 GILL BREATHING BLUES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Ashwin Shenoy | |
작사 | ||
작곡 | Taisei Iwasaki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EP8 삽입곡 Poupees Vaudoux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Banda Magda | |
작사 | Magda Giannikou Ai Ninomiya | |
작곡 | Magda Giannikou Taisei Iwasaki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EP9 삽입곡 GHADI TJI(You’ll be here)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OUM | |
작사 | OUM Ai Ninomiya Taisei Iwasaki | |
작곡 | Taisei Iwasaki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EP10 삽입곡 CAN YOU FEEL IT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Saucy Lady | |
작사 | ||
작곡 | Taisei Iwasaki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EP11 삽입곡 RHAPSODY IN BLUE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작곡 | George Gershwin |
편곡 | Yuki Kanesaka Taisei Iwasaki |
EP12 삽입곡 TORTOISE KNIGHT | ||
Full ver. | ||
<colbgcolor=#980000,#98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Ai Ninomiya | |
작사 | Ai Ninomiya Taisei Iwasaki | |
작곡 | Taisei Iwasaki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4.3. OST
OST 전 곡은 2017년 12월 13일 발매되었다.5. 회차 목록
<rowcolor=#ffffff,#ffffff> 회차 | 제목[7]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rowcolor=#ffffff,#ffffff> TVA | |||||||
제1화 | ライツ、カメラ、アクション! 라이트, 카메라, 액션! | 카모 야스코 (加茂靖子) | 타카야나기 시게히토 | 사토 이쿠로 (佐藤育郎) | 사이토 츠네노리 하세베 아츠시 (長谷部敦志) | 카와모토 토시히로 | 日: 2017.10.08. 韓: 2017.10.10. |
제2화 | 幻界病棟ライゼズ 환계 병동 라이제즈 | 오오야 유지 (大矢雄嗣) | 이나도메 카즈미 (稲留和美) | 日: 2017.10.15. 韓: 2017.10.17. | |||
제3화 | Day In Day Out | 사사키 미와 (佐々木美和) | 모리시마 노리코 (森島範子) | 사이토 츠네노리 | 日: 2017.10.22. 韓: 2017.10.24. | ||
제4화 | 人狼大作戦 인랑 대작전 | 이시히라 신지 | 타카토 사토시 (高藤 聡) | 토미타 메구미 (富田恵美) | 카와모토 토시히로 | 日: 2017.10.29. 韓: 2017.10.31. | |
제5화 | とある執事の[ruby(電撃作戦, ruby=ブリッツクリーグ)] 어느 집사의 [ruby(전격 작전, ruby=블리츠 크리그)] | 토미타 요리코 (冨田頼子) | 무카이 마사히로 | 야마다 신야 (ヤマダシンヤ) 스즈키 칸타 | 사이토 츠네노리 | 日: 2017.11.05. 韓: 2017.11.07. | |
제6화 | ゲット・ザ・ロックアウト!! 겟 더 록 아웃! | 카모 야스코 | 나카야마 나오미 | 하스이 타카히로 | 하세가와 히토미 (長谷川ひとみ) | 카와모토 토시히로 | 日: 2017.11.12. 韓: 2017.11.14. |
제7화 | 鰓呼吸ブルース 아가미호흡 블루스 | 토미타 요리코 | 마츠오 코우 | 오오야 유지 | 후지타 시게루 요코야 켄타 | 사이토 츠네노리 | 日: 2017.11.19. 韓: 2017.11.21. |
제8화 | マクロの決死圏 前編 마크로 결사권 전편 | 카모 야스코 | 나카무라 사토미 (中村里美) | 무카이 마사히로 | 이나도메 카즈미 모리시마 노리코 | 카와모토 토시히로 | 日: 2017.11.26. 韓: 2017.11.28. |
제9화 | マクロの決死圏 後編 마크로 결사권 후편 | 나카야마 나오미 | 토미타 메구미 야마다 신야 카토 미호 (加藤美穂) | 사이토 츠네노리 | 日: 2017.12.03. 韓: 2017.12.05. | ||
제10화 | BRATATAT MOM | 사사키 미와 | 하세베 아츠시 요코야 켄타 (横谷健太) 후지타 시게루 하야시 유키 사사키 미와 | 카와모토 토시히로 | 日: 2017.12.10. 韓: 2017.12.12. | ||
제11화 | 妖眼幻視行 前編 요안환시행 전편 | 마츠오 코우 | 하스이 타카히로 이토가 신타로 (いとがしんたろー) | 이나도메 카즈미 모리시마 노리코 야마다 신야 | - | 日: 2017.12.17. 韓: 2017.12.19. | |
제12화 | 妖眼幻視行 後編 요안환시행 후편 | 타카야나기 시게히토 | 오오야 유지 | 카와모토 토시히로 사이토 츠네노리 후지타 시게루 | 日: 2017.12.24. 韓: 2017.12.26. | ||
<rowcolor=#ffffff,#ffffff> 특별편 | |||||||
특별편 1 | ザップ・レンフロ因果応報中!! 재프・렌프로 인과응보 중!! | 카모 야스코 | 타카야나기 시게히토 | 사사키 미와 | 사사키 미와 이시다 코지 (石田廣二) 楊暁鵬 나카지마 요시코 (中島美子) | - | 日: 韓: 2024.07.19. |
특별편 2 | バッカーディオの雫 바카디오의 물방울 | 나카무라 사토미 | 오오야 유지 | 카와모토 토시히로 사이토 츠네노리 이시다 코지 楊暁鵬 호시노 하츠네 (星野初音) |
6. 평가
감독을 비롯해 주요 제작진이 모두 교체되었고, 2기를 새로 맡은 타카야나기 감독은 기술명을 외칠 때 글자를 한 자씩 크게 보여주는 연출, 크라우스의 내레이션으로 시작되는 오프닝 장면, 초록색 글자가 타이핑 되어 설명하는 연출, 그리고 블랙과 화이트를 곳곳에 깜짝 출연을 시켜주는 등 1기를 제법 신경 쓴 모습을 보여줬다. 다만 1기보다 전체적인 연출이 뭔가 어색해졌다는 평이 있다. 실제로도 카메라 앵글은 1기보다 많이 심심한 느낌이고 일부 bgm도 그대로 가져다 썼기에 해당 연출에 익숙해진 시청자들은 어색하게 느낄 가능성이 크다. 이로 인해 1기가 2기보다 훨씬 좋다는 평과 2기도 나쁘지 않다는 평이 갈리지만, 마츠모토 감독이 교체당한 근본적인 이유를 생각하면 결국 별 수 없는 셈.[8]그래도 타카야나기 시게히토 감독이 나름대로 연출력은 준수한 감독이고, 동화를 진짜 아낌없이 쏟아부워서 뛰어난 움직임의 액션씬들이 나왔다. 앵글과 구도보다는 공간감과 현장감, 롱테이크를 선호하는 타카야나기 감독 특유의 액션 스타일이 많이 드러나있다.
1기랑 달리 초반, 중반은 라이브라 인물 메인 스토리로 주제를 잡아서 라이브라 각 인물에 대한 성격이나 매력 등을 보여줬고 1기에서 라이브라 인물들이 아무 설명 없이 등장하는 바람에 출연분량이 높은 레오, 크라우스, 재프 외의 캐릭터에 대해서는 원작을 본 사람 이외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점이 개선됐다.
그리고 1기는 절망왕이라는 최종보스를 내내 언급하여 최종 에피소드와의 연결이 자연스러웠던 반면, 2기는 최종보스인 닥터 가미모즈에 대한 언급이 없다가 11화에서 갑자기 등장하고 포스, 박력이 절망왕에 비해 부족하여 2기의 최종 에피소드는 1기에 비해 여러모로 부족하다는 평이 많다. 1기는 레오, 화이트, 블랙에 대한 인연이 중점이었고 2기는 레오의 정신적 성장기였기 때문에 2기 작중 레오가 여동생을 구하지 못한 죄책감에 악몽에 시달리거나 크라우스에게서 용기를 얻거나 레오가 자력으로 닥터 가미모즈와 맞서는 부분만으로 충분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닥터 가미모즈는 엄연한 최종보스이며, 뜬금없는 등장인 것은 부정할 수 없다.[9][10]
또한 6화는 레오의 정신적 성장을 중점을 두느라 다른 장면이 많이 생략됐는데 전투신도 전투신이지만 아닐라를 구출하는 장면이 생략되어서 원작을 보지 않은 사람들은 대부분 아닐라가 어떻게 됐는지에 대해 의문을 갖기 때문에 비판이 많다.[11]
BD/DVD 1권 판매량은 6900여장으로, 많이 떨어졌지만 1기 판매량이 엄청난 대박이었다는 점과 속편의 경우 판매량이 보통 떨어지기 때문에 준수하게 팔렸다.
7. 둘러보기
본즈 애니메이션 |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2기 2017년 2, 3분기 | → | 혈계전선 & 비욘드 2017년 4분기 | → | A.I.C.O. 인카네이션 2018년 3월 9일 |
[1] 1기에서는 촬영 감독 보좌.[방영판] [무삭제판] [4] 감독 보좌이고 실제 트라이건의 감독은 니시무라 사토시였으나 인터넷에는 어째 타카야나기를 감독으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5] 동 분기 볼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2쿨 OP도 맡게 되었는데, 싱글 발매일은 fake town baby보다 딱 1주일 빠른 11월 8일이다.[6] 당시 일본에서 정식 데뷔하진 않은 상태였다. 이게 계기가 되었는지 몰라도, 오마이걸은 유닛인 오마이걸 반하나를 통해 일본에서 2018년 8월 정식으로 데뷔했다.[7]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8] 특히 1기는 주요 스태프들이 지속적으로 냉소적인 태도를 보일 정도로 퀄리티에 지나치게 집중한 감이 없잖아 있다.[9] 애시당초 원작 자체가 옴니버스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원작자 역시 최종보스 자체를 생각하지 않고 작품을 만들었다고 한다. 사실상 닥터 가미모즈는 최종보스라기 보다는 마지막 에피소드의 악당으로 봐야 맞을 듯 하다. 다만 원작에 없다고 하더라도 1기처럼 짜투리씬에 가미모즈가 마치 유명한 괴인인 마냥 등장하는 장면을 넣는 식으로 각색을 했다면 좋았을 것이다. 본즈가 혈계전선 1기, 노라가미에서 지나치게 원작에 구애 받지 않았던 모습을 생각하면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고 실제 11화에서 가미모즈가 나오기 전까지 1기랑 달리 최종보스 언급이 없자 대체 어떻게 끝내려는 건지 몰라하는 사람도 적지 않다.[10] 다만 설정상 닥터 가미모즈는 신들의 의안 사용에 능숙한 소유자로서, 직접 코앞에 등장후에도 레오 외의 어느 누구의 감각으로도 느끼지 못할만큼 강력한 은폐 능력을 가지고 있으며, 이전에도 아주 오래전부터 자신의 존재를 숨겨왔던 것으로 추정되는 인물이다. 그런 점 때문에 제작진이 의도했든 놓쳤든 이전 전개에서 떡밥 투척은 여러모로 어려웠을 것이다..물론 최소한 한 화 정도 일찍 등장해 레오를 더 괴롭히거나 등장 연출이나 분량을 늘릴 수 있었으면 좋았겠지만...[11] 원작에서는 돌입 과정에서 레오가 환풍구에서 대기하게 하거나 숫적우위인 상대에게 저산소증을 유발시켜서 일망타진하는 전략적인 전투가 이뤄졌으나 대부분 생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