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소설과 무관한 2005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에 대한 내용은 [[혈의 누(영화)]]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혈의 누(영화)#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혈의 누(영화)#|]]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소설과 무관한 2005년에 개봉한 한국 영화: }}}[[혈의 누(영화)]]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혈의 누(영화)#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혈의 누(영화)#|]]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혈의 누 血淚 Blood Rain | |
<nopad> | |
▲ 1908년 재판된 단행본[1] | |
<colbgcolor=#CCCCCC,#4B4B4B><colcolor=black,white> 저자 | [[대한제국| |
공개 | CE 1906년 7월 22일 (만세보) |
언어 | 한국어 (한글) |
종류 | 소설 |
장르 | 신소설 |
배경 | 시간 CE 1894년 ~ 1902년(대한제국 고종) 공간 조선의 평양, 부산일본의 오사카, 미국의 샌프란시스코, 워싱턴 D.C. |
등장인물 | 김옥련, 구완서, 최춘애, 김관일, 최항래, 이노우에, 이노우에 처, 고장팔, 장팔 모, 캉유웨이 등 |
분량 | 권수 1권 (한국어 단행본) |
1. 개요
血淚이인직이 쓴 소설.
한국 최초의 신소설로 평가받는다. 제목인 '혈의 누'는 일본식 표현인 '血の淚'을 직역한 것으로, 더 자연스러운 말로는 '혈루' 내지는 '피눈물'이 된다. 비슷한 제목으로 역시 이인직이 지은 '귀의 성'이 있다.
청일전쟁 때 부모[2]와 헤어진 조선의 소녀 김옥련을 일본군이 구출해서 일본에서 신여성[3]으로 자라나고, 헤어졌던 부모도 다시 찾고 조선의 신청년 구완서와 만나 커플이 되어 유학을 떠난다는 줄거리[4]다. '혈의 누'가 《만세보》라는 잡지에 연재된 시점은 1906년 을사조약 이후로 이 이후 만세보는 어용기관으로 전락하게 된다. 또한 조선이라는 미개국가에서는 제 능력을 떨치지 못하더니 일제나 미국에서는 갑자기 신분상승을 하게 된다는 점에서 근대에 대한 시선이 간접적으로 드러난다고 볼 수 있는데 이인직이라는 사람 자체가 친일반민족행위자로 인증받았다.
2. 주제
조선 민중의 계몽을 목적으로 한 다른 신소설들과는 달리 '가족 상봉'을 주 주제로 하고 있어(물론 계몽적인 내용도 포함된다) 다른 신소설들에 비해 문학적인 가치가 높게 평가된다.그러나 관련된 이야기가 나온 것에서도 일본 제국에 대한 높은 우호적 감정, 근대에 대한 무한한 찬양 같은 부분이 더 크게 강조된다. 사실 혈의 누 하나만 이런 게 아니라 이게 계몽소설의 특징이긴 한데[5] 작가가 작가이다 보니 이런 부분이 더 눈에 들어올 수밖에 없다.
3. 등장인물
- 김옥련(金玉蓮)
김관일과 최춘애의 딸. 조선 평안남도 평양부 출신. 나이는 7세 ~ 16세(1894년 ~ 1902년). 청일전쟁의 평양성 전투로 아수라장이 됐을 때 집을 벗어나서 모란봉 근처에 있다가 총을 맞아서 다리를 다친다. 일본군 소속 군의(軍醫)인 이노우에가 구해주고 측은하게 여겨서 양녀로 삼는다. 이노우에 부인에게 의지하며 살지만 결국 그녀로부터 미움을 받고 집을 도망친다. 그러다가 조선에서 온 서생 구완서를 만나서 미국까지 가게 됐으며 캉유웨이의 도움을 받아서 워싱턴 D.C.에서 높은 수준의 교육을 받는다. 그곳에서 아버지 김관일을 우연히 만나게 됐으며 구완서와 결혼까지 약속하는 사이가 된다.
- 구완서
조선 출신 서생. 나이는 17세 ~ 22세(1898년 ~ 1902년). 일본 오사카에 왔다가 우연히 가출한 김옥련을 만났으며 박식했던 옥련에게 무언가 꽂혔는지 그녀를 미국까지 데려가 준다. 샌프란시스코에서 캉유웨이를 만나서 옥련과 함께 워싱턴 D.C.에서 교육을 받게 된다. 12세 ~ 13세 때 혼인 얘기가 나왔으나 그걸 거부하고 노총각으로 남았는데, 결국 옥련과 결혼을 약속하는 사이가 된다. 개혁적인 인물로 묘사되며, 작가 이인직의 생각이 가장 많이 반영된 인물로 추정된다.
- 최춘애
김옥련의 어머니이자 김관일의 아내. 부산부의 부호 최항래의 딸. 첫 등장 당시 나이는 30대 초반. 평양성 전투로 집안이 엉망이 된 후 남편과 딸 걱정을 하다가 양력 1894년 10월 1일[6]에 강에 몸을 던져 자살하려고 한다. 강에서 배를 띄우고 노름을 하던 고장팔과 뱃사공에 눈에 띄어 목숨을 구한다. 《속 혈의 누》에서는 오랜 세월을 평양성 북문 근처에 위치한 집에서 홀로 버티며 살다가, 딸 옥련의 편지를 받고 갑자기 신여성으로 변신하여 아버지 최항래를 데리고 남편과 딸을 만나러 미국으로 간다.
- 김관일
김옥련의 아버지이자 최춘애의 남편. 나이는 29세 ~ 38세(1894년 ~ 1902년). 장인 최항래의 도움으로 미국에서 유학 생활 중이다. 오랜 시간 후 미국의 신문 기사를 통해서 자신의 딸로 추정되는 소녀에 대한 소식이 실린 것을 발견했고 그걸 계기로 딸과 재회한다. 옥련에게 도움을 준 구완서가 마음에 들었는지 혼인 얘기도 먼저 꺼낸 인물이다.
- 최항래
김옥련의 할아버지이자 최춘애의 아버지. 별칭은 '최 주사\'. 《속 혈의 누》에서의 나이는 60대(1902년). 부산부의 부호이다. 평양에 들렀다가 딸이 죽은 줄 알고 슬퍼하며 잠결에 가위에 눌렸는데, 딸이 살아 돌아오자 안도한다. 아들이 없어서 양자도 뒀지만 친딸 최춘애만 애지중지 아낀다. 어린 시절 재혼한 아내(최춘애의 계모)가 춘애를 미워하자 균형을 잘 잡아서 해가 미치지 않게끔 한다. 《속 혈의 누》에서는 신여성이 된 딸 최춘애를 따라서 미국에 사위와 손녀를 보러 간다.
- 계모
최항래의 후처. 괜찮은 인물이라고는 하는데 유독 전처의 딸 최춘애를 미워한다.
- 이노우에(井上)
일본군 소속 군의(軍醫). 김옥련의 양부. 본가는 오사카. 청일전쟁으로 평양부에 왔다가 평양야전병원에 실려온 김옥련을 구하고 양녀로 삼는다. 옥련을 오사카 본가로 보냈다가 요동반도로 옮겼는데 이때 청군에 대패하면서 전사한다.
- 이노우에 부인
군의 이노우에의 부인. 김옥련의 양모. 눈이 무섭고 쌀쌀맞은 인상이지만, 자식 하나 없다가 옥련이 양녀가 되자 좋아한다. 이노우에의 전사 소식이 담긴 호외를 보고 충격을 받는다. 그 후에 재혼을 하려다가 옥련이 마음에 걸려서 포기했지만, 날이 갈수록 옥련에 대한 미움이 커지며 홀대한다. 어느 날 밤 집안 노파에 옥련을 버리자는 얘기를 하고 그날로 옥련은 가출한다.
- 고장팔
자살하려던 최춘애를 구한 인물이다. '밤윷'이라는 노름을 즐긴다.
- 장팔의 모
최항래 집안 사람이었다. 집을 떠나서 평양에서 시집살이를 하게 된 최춘애를 따라 왔으며, 춘애가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고 했을 때 그녀를 돌본다.
- 장팔의 처
- 막동이
최항래의 하인.
- 설자
이노우에 가문의 하녀.
- 노파
이노우에 가문의 하녀. 이노우에 부인에게 옥련을 버리라고 부추기는 인물이다. 옥련이 가출하면서 잠에 취한 노파에게는 험담을 한다.
4. 기타
- 이인직은 혈의 누 후속작으로 《모란봉》이라는 신소설 또한 쓴 적 있다. 다만 연중작이라서 문학적 가치는 낮게 친다.[7]
- 2017학년도 대수능 대비 수능특강 문학편에 수록되었다. 다만 친일과 관련되었기에 비판에 직면하게 되었고 수업 전에 미리 고지를 하기도 한다.
- 1975년 하편이 발견되었다.
- 작품에 등장하는 일본의 지명 및 인명에 쓰이는 한자를 모두 한국 발음으로 표기하였다. 도쿄(東京)는 '동경', 오사카(大阪)는 '대판'이라고 쓰는 식. 사실 이 정도는 21세기에도 은근 쓰이는 편이지만, 이 외에 고베(神戸)는 '신호', 시모노세키(下関)는 '하관', 오사카 근교의 이바라키(茨木)와 이바라키역은 '자목', '자목 정거장'으로 표기하는 등 이와 관련된 지식이 없으면 상당히 위화감이 느껴질 수 있는 부분이다. 작중에 등장하는 '정상'이라는 이름의 일본인도 '이노우에(井上)'라는 성을 한국 한자음으로 읽은 것으로 추정된다. 물론 오늘날의 기준으로는 어색할 수 있지만, 당시로서는 흔한 표기법이었다. 일본 고유명사를 일본음으로 읽게 되기 시작한 건 일제강점기 말기에 들어와서였다.
[1] 기록상으론 1906년에 초판했다고 하지만 그 초판본의 행방이 묘연하다. 따라서 현존하는 혈의 누 단행본 중 1908년 재판본이 가장 오래된 단행본이다.[2] 이때 김옥련의 어머니 최춘애는 외진 산속에서 낯선 사람(조선인)에게 강간당할 뻔 하는데 일본군에게 구출된다.[3] 1910년 전후 여성서사의 ‘비혼녀’와 ‘미친 여자들’ —장지연과 이인직의 여성-국민담론과 식민화 이후의 변화들— 사이間SAI. 2020, vol., no.29, 통권 29호 pp. 227-262 (36 pages)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윤영실. 숭실대학교.[4] 이와 비슷한 내용이 나오는 해외 작품으로는 1962년 나온, 위구르어로 된 아나르한(ئانارخان, 阿娜尔罕)이라는 중국 공산당 찬양 영화로 위구르족 남자가 같은 위구르족 여주인공을 괴롭히고 위구르 위인을 들먹이면서 강간하려고 했는데 중국 군인들이 구해주고 억압에서 자유롭게 해주는 스토리다. 2013년에 드라마로 각색되었다. 특히 그 드라마는 디리러바의 데뷔작이다. 인터뷰[5] 애초에 근대국가들 중에서 그나마 가까운 곳이 일본밖에 없기 때문이다. 배 타고 가면 기본으로 달은 잡아야 하고 영어나 불어 같은 건 누가 가르쳐주지도 않는다.[6] 음력으로는 1894년 9월 15일.[7] NTR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