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5D3462 0%, #611594 20%, #611594 80%, #5D3462);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아르샤쿠니 왕가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
보노네스 1세 | 아르사케스 1세 | 오로데스 | 티리다테스 1세 | |
아르샤쿠니 왕가 | ||||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사나투르케스 | 악시다레스 | 파르타마시리스 | 볼로가세스 1세 | |
아르샤쿠니 왕가 | ||||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파코로스 | 볼로가세스 2세 | 호스로프 1세 | 티리다테스 2세 | |
아르샤쿠니 왕가 |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호스로프 2세 | 티리다테스 3세 | 호스로프 3세 | 티그라네스 7세 | |
아르샤쿠니 왕가 |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아르사케스 2세 | 파파스 | 바라다테스 | 아르사케스 3세 볼로가세스 3세 | |
아르샤쿠니 왕가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 | |
호스로프 4세 | 브람샤푸흐 | 아르탁세스 4세 | - | }}}}}}}}}}}} |
아르샤쿠니 21대 샤 Խոսրով | 호스로프 4세 | ||
제호 | 한국어 | 호스로프 4세 |
아르메니아어 | Խոսրով | |
영어 | Khosrov IV | |
존호 | 샤 | |
생몰 년도 | 미상 ~ 415년 | |
재위 기간 | 387년 ~ 392년 |
[clearfix]
1. 개요
아르메니아 아르샤쿠니 왕조의 21대 샤.2. 생애
부모가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다. 4세기 아르메니아 역사가 비잔티움의 파우스투스는 그를 아르사쿠니 왕조의 왕자라고 설명했지만 부모에 대해선 전혀 언급하지 않았다. 5세기에서 6세기에 활동했던 또다른 아르메니아 역사가 라자르 파르페치는 그를 브람샤푸흐의 형제이자 아르탁세스 4세의 삼촌이라고 기술했다. 현대 학계에서는 그를 바라다테스의 아들일 거라 추정한다.386년 사산 왕조의 침략을 연이어 격파하며 아르메니아의 절대 권력자로 군림하던 마누엘 마미코니안이 사망했다. 뒤이어 공동 왕으로 선임되었던 볼로가세스 3세가 사망했고 아르사케스 3세가 단독 군주가 되었다. 그러나 아르메니아 귀족들은 아르사케스 3세에 충성하길 거부하고 사산 왕조 샤한샤 샤푸르 3세에게 구원을 요청했다. 샤푸르 3세는 군대를 파견해 아르메니아의 대다수 영역을 확보하고 호스로프 4세를 왕으로 내세우고 자신의 누이인 수르반두흐트(Zurvandukht)와 호스로프 4세의 결혼을 주선했다.
아르사케스 3세는 서쪽으로 후퇴한 뒤 로마 제국에 구원을 요청했다. 그러나 당시 동방 로마 황제 테오도시우스 1세는 서방의 참칭자 마그누스 막시무스와 일전을 벌일 준비를 하고 있어서 아르메니아에 군대를 보낼 겨를이 없었다. 그는 외교로 문제를 해결하기로 하고, 사산 왕조에 협상을 제안했다. 사산 왕조 역시 로마 제국과 정면 대결하길 원하지 않았기에 협상에 응했고, 양측은 아르메니아를 분할하기로 합의했다.
이리하여 아르메니아는 북쪽의 테오도시오폴리스와 남쪽의 아미다까지 이어지는 경계에서 분열되었다. 또한 로마는 500파운드 가량의 금을 이란에 지불하기로 하였고, 이베리아에 대한 사산 왕조의 영도권을 인정하였다. 아르사케스 3세는 이 협정에 불만을 품고 호스로프 4세를 상대로 전쟁을 벌였으나 로마로부터 지원을 전혀 받지 않았기에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호스로프는 수르반두흐트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 티그라네스와 아르사케스를 두었다. 그는 사산 왕조의 꼭두각시로 남는 걸 원하지 않았고, 장차 독립하여 진정한 국왕으로 거듭나고 싶어했다. 왕위에 오른 첫해에 전 총대주교 네르세스의 아들인 사하크를 아르메니아 총대주교로 임명했고, 387년 훗날 아르메니아 문자를 고안한 메스로프 마슈토츠를 왕실 비서로 임명했다. 또한 많은 귀족을 이전의 고귀한 지위로 회복시키는 등 세력 기반을 마련하고자 노력했다.
그러나 392년 사산 왕조 샤한샤 바흐람 4세가 허락을 받지 않고 총대주교를 선임한 책임을 물어 그를 폐위시키고 브람샤푸흐를 아르메니아의 새 왕으로 선임했다. 그는 크테시폰 궁궐 내 감옥에 수감된 뒤 오랫동안 옥고를 치르다가 414년 동생이 사망한 후에야 풀려났고 415년에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