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8 19:26:39

용문-홍천 광역철도

홍천역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토막글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수도권 전철 미개통 노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건설 중
신안산선 동탄인덕원선 동북선 위례선
GTX-B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cc000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6px;" 기본계획 승인
GTX-C 동탄 도시철도 고양은평선
(서부선 직결)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4F8320;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6px;"
대장홍대선
(민투심 통과)
서부선
(민투심 통과)
면목선
(예타 통과)
추진 중
GTX-D GTX-E GTX-F GTX-G
GTX-H 광명시흥선 위례신사선 목동선
신천신림선 강북횡단선 가좌식사선 대곡식사선
수원 1호선 동백신봉선 조리금촌선 광주양평선
성남 1호선 성남 2호선 위례과천선 평택부발선
부천트램 스마트허브선 신구로선 월곶배곧선
병점봉담선 인천 3호선 제물포연안부두선 주안송도선
신강북선 영종트램 송도트램 부평연안부두선
기존 노선의 연장선 및 지선 건설 계획은 해당 노선 문서 참조.
개통된 전철 노선 보기
}}}}}}}}}
용문-홍천 광역철도
龍門-洪川 廣域鐵道
Yongmun-Hongcheon Metropolitan Railway
파일:용문-홍천 광역철도.jpg
소유자 <colbgcolor=#ffffff,#191919> 미정
운영기관 미정
노선번호 미정
노선명 용문-홍천 광역철도
종류 광역철도
영업거리 미정
궤간 1,435㎜ (표준궤)
역 수 5(예정)
기점 용문역
종점 홍천역
전기 미정
신호 미정
선로 수 1(복선노반 단선)
개업일 2034년(예비타당성조사 통과시)
운영노선 미정

1. 개요2. 연혁

[clearfix]

1. 개요

경기도 양평군 용문역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홍천역을 잇는 단선철도 노선이다. 경강선경춘선, 춘천속초선의 중간에 지어지며 원주춘천선과 합류할 예정이다. 계획안에 의하면 44번 국도를 그대로 따르는 노선으로 추정된다. 44번 국도를 따라 쭉 연장하면 춘천속초선 인제역(원통)으로 합류하게 된다.

개통하게 된다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전동차가 운행할 가능성이 크다. 물론 단선이기에 용문행 전동차 중 일부만 홍천까지 운행할 가능성이 크다.[1]

용문홍천선의 최초 계획은 대한민국 철도청 말기인 2002년에 수립됐고, 수도권 전철 중앙선의 용문 연장에 반영[2][3]된 바 있다. 그러나 철도청이 국가철도공단(당시 한국철도시설공단)과 한국철도공사로 상하분리되는 과정에서 추진 동력을 상실했다. 용문홍천선 추진 동력을 상실하자, 당시 재정경제부에서 시행한 예비타당성조사에서 B/C 0.23의 아주 낮은 성적으로 탈락하였다.

홍천군 농어촌버스 120번(홍천-용문)이 사업 구간과 거의 비슷한 경로로 지나간다.

2. 연혁

  • 경기도 양평군에서 용문산 경유를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선형이 크게 휘어져 사업비와 소요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가 생긴다.
  • 2022년 10월에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가 나올 예정인데,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하지 못할 가능성이 높아 사업에 비상이 걸렸다. #
  • 2022년 10월 26일, 지역 주민들이 상경 집회를 열 계획이라고 한다. 예타 면제를 대놓고 주장하고 있다. #
  • 이후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 발표는 2023년 3월로 연기되었고, 국비 100%로 지원되는 일반철도로의 전환도 검토하고 있으나 사업비 증대 문제가 걸림돌이다. #
  • 2023년 9월 말에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예상되었으나[4] 약 1개월 가량 늦은 10월 12일에야 공개되었다.[5] 국토부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 B/C 0.35~0.45 정도로 매우 낮게 분석되었다. [6]
  • 2024년 1월 용문홍천선이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대상에 선정됐다. KDI에서 예비타당성조사를 진행하며, 강원특별자치도국토교통부는 용문홍천선을 지역균형사업으로 지정해 반드시 예타를 통과시킨다는 각오를 보이고 있다.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시 2027년 착공해 2034년 개통 예정이다.
  • 2024년 8월 6일, 용문-홍천 광역철도가 신규 사업으로 지정되었다. #


[1] 또, 다른 용문행/지평행 열차가 연장되어 원주 방면으로 운행하게 된다면 해당 구간이 지선이 될지는 불명. 다만 용문홍천선은 단선전철이므로 복선전철인 중앙선에 비해 본선으로 운행할 가능성은 적다는 것은 예측 가능하다.[2] 원래 중앙선 복선전철화 사업은 청량리-덕소, 덕소-원주, 원주-제천, 제천-도담, 도담-영천, 영천-신경주로 진행하면서, 수도권 전철 중앙선을 용산-원주로 설정했는데, 철도청은 용문-홍천선을 통해 원주 대신 홍천으로 전철을 보내려 했었다. 철도청이 원주 대신 홍천으로 전철을 보내려 했던 이유는 원주시는 돈이 많고 인구도 많으니까 장거리 여객열차로 돈을 벌자는 생각이었기 때문이다. 이 예측은 중앙선 KTX와 강릉선 KTX를 통해 원주 지역에 KTX 위주의 교통이 정착하면서 제대로 적중했다.[3] 2002년 처음 세워진 용문홍천선 계획의 흔적은 양평-홍천(-원통) 간 6번 국도44번 국도자동차 전용도로를 놓으면서, 자동차 전용도로 필지(지번) 도시계획에 도로-철도 공용필지로 반영된 것으로 알 수 있다.[4] #[5] #[6] 덤으로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를 2023년 10월 중으로 신청한다고 했으니 최종적인 예비타당성 결과를 받으려면 좀 더 기다려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