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일반적인 영상물은 하나의 화면비율을 가지고 있지만(고정 화면비), 작품에 따라서는 특정 장면에 화면비율을 다르게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한 영상물 내에서 복수의 화면비를 갖고 있는 경우를 지칭하는 용어가 '가변 화면비'(Variable Aspect Ratio)이다. 과거 필름 영화제작/상영 시절엔 화면비를 변환하는데 제약이 많아 제한적으로 사용되었으니 디지털 공정이 일반화된 2010년대 이후 보다 폭넓게 쓰이기 시작했다.과거 장면이나 회상 장면처럼 원래 보여주던 시간대와 다른 장면을 보여줄 경우 관객들이 시간대를 구분 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종횡비를 다르게 하는 경우도 있고, 상상, 꿈, 가상현실 처럼 현실이 아닌 장면을 보여주는 경우도 사용된다.
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 16화는 세가지 화면비를 사용해 시대상을 표현한 좋은 예시 중 하나. 시대상의 한계로 4:3 화면비 안에서 레터박스를 이용해 재현한 것이지만 실험적인 연출이 많았던 본 작품에서도 꽤 인상적인 연출로 평가된다.
가변 화면비를 효과적으로 사용한 또 다른 예시로는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도 꼽힌다. 2.35:1의 화면비와 1.85:1이 화면비, 그리고 1.37:1의 세 가지 화면비를 오가며 진행된다. 영화는 1980년대, 1960년대, 1930년대를 오가는 구성인데, 1980년대 장면은 비스타비전 비율인 1.85:1이, 1960년대 장면은 시네마스코프 비율인 2.39:1이, 가장 많은 분량의 1930년대 장면은 30년대 35mm필름 표준(Academy ratio)이었던 1.37:1 화면비가 사용된다. 이는 각 시대별로 당시 보편적이었던 영화 화면비를 사용해 시대상을 표현한 것이다. 단순히 화면비만 바꾼 게 아니라 세트장 구성과 카메라 이동까지 화면비에 철저하게 맞췄는데, 가령 1.37:1 비율을 쓰는 1930년대 파트는 좁은 폭과 카메라의 수직적인 움직임이 강조되고 2.39:1 비율을 쓰는 1960년대 파트는 광활함과 카메라의 수평적인 움직임이 강조된다.
다크 나이트, 인터스텔라, 듄 등 IMAX 카메라와 일반 영화 카메라를 혼합하여 촬영한 IMAX 영화는 가변 화면비 방식을 적극 활용하고 있다. 대부분 일반 촬영 장면에서는 2.39:1 비율로 진행되다가, IMAX카메라 촬영 장면에서는 상영관의 스크린을 꽉 채우는 1.43:1~1.90:1 비율로 전환된다.
2010년대 중후반 이후 TV에서도 가변화면비를 적용하는 작품들이 많아졌다. 애니메이션 나만이 없는 거리를 시작으로 시그널[1], 도깨비, 내일 그대와 등이 16:9 를 기본 비율로 사용하고 과거 장면에서 21:9 비율의 종횡비를 사용한다. 미스터 션샤인이나 SKY 캐슬은 16:9로 송출화면에 레터박스를 추가해서 기본 종횡비를 21:9로 잡았으며 특정 장면에서만 종횡비를 다르게 한 경우들이다. 또한 스토브리그, 빅마우스는 16:9로 송출화면에 레터박스를 추가해서 기본 종횡비를 2.2:1로 잡았다.
가장 적극적으로 쓰이는 분야는 뮤직비디오로 그 예시를 일일이 열거하기 힘들 정도다. 여러 이미지랑 감성을 담아낼 수 있다는 게 주 포인트인듯.
영화관 상영시 마스킹이 까다롭게 만드는 원흉이기도 하다. 때문에 상영시 특정 화면비에 마스킹을 고정하고 가변시 블랙바를 노출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게임에서는 이벤트 컷씬이 나올 때 강조를 위해 위아래 레터박스를 넣는 경우가 많다.
2. 예시
2.1. 영화
- 비우티풀 (2010년) : 주인공이 힘겨운 삶을 살아가는 대부분의 장면이 1.85:1 화면비로 나오나, 주인공이 힘든 삶에서 해방된 이후의 장면들은 2.35:1 화면비로 나온다.
- 더 테러 라이브 (2013년) : 초반 장면은 2.35:1로 진행되고, 테러가 일어난 이후 장면들은 1.85:1로 진행된다.
- 님포매니악 (2013년): 전체적으로 2.35:1로 진행되나 Mrs.H 에피소드는 예외적으로 1.85:1이다.
- 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2014년): 시대를 넘나드는 액자식 구성에 따라 화면비가 계속 변한다. 80년대 시점에는 1.85:1, 60년대 시점에서는 2.39:1, 그리고 이야기의 주요 배경이 되는 1930년대에는 1.37:1의 비율을 사용한다. 액자식 구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효과적인 연출로 호평받았다.
- 마미 (2014년): 거의 사용되지 않는 1:1 정사각형 비율을 채택한 작품으로, 답답한 상황의 주인공을 보여주며 영화가 진행되다, 주인공의 해방감을 표현하는 장면에서 좌우가 늘어나며 1.85:1로 화면비율이 변경되는 장면이 삽입되어 있다. 이 장면에서 전율과 쾌감을 느꼈다는 반응이 많다. 다시 답답한 상황으로 넘어가며 정사각형 비율로 화면이 축소되기도 한다.
- 산하고인 (2015년): 과거편은 1.37:1, 현재편은 1.85:1, 미래편은 2.35:1로 연출되어 있다.
- 자객 섭은낭 (2015년): 대부분 1.37:1 의 화면비로 진행되고 중간 중간 1.85:1로 변한다.
- 쎄시봉 (2015년): 주로 등장하는 60년대는 1.85:1 화면으로 진행되며, 주인공의 현재를 다루는 2014년과 90년대는 2.35:1 비율로 진행된다. 자유로웠던 과거에 비해 삶의 무게가 더해진 현재를 대비시키는 장치로 화면비율이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 조선마술사 (2015년) : 전체적으로 2.35:1 비율로 진행되나, 마술과 액션 등이 나오는 몇몇 장면에서 1.85:1 화면으로 전환된다.
- 쿠르스크(2018년): 초반부에는 1.85:1이었다가 쿠르스크호가 마지막 출항을 나갈 때부터 러닝타임 대부분 2.35:1가 되고, 종반부에 다시 1.85:1으로 나온다.
- 영화 너무 좋아 폼포 씨 (2021년)
- 애프터 양 (2021년)
-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 앳 원스 : 영화의 분위기 및 서사에 맞춰서 화면비가 1.37:1, 1.85:1, 2.39:1 등 다양하게 바뀐다. 특히 영화가 멀티버스 소재인 만큼 분위기 및 이야기 등 장면 전환이 굉장히 많기 때문에 화면비에 신경 안쓰는 관객들도 레터박스가 계속 바뀌기 때문에 화면비가 신경이 쓰일 만큼 정말 정신없이 많이 바뀐다.
- 킬링 로맨스 (2023년)
-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Volume 3 (2023년): MCU 영화 중 처음으로 일반 상영에서 2.39:1와 1.85:1의 가변 화면비를 지원한다.
- 밀수 (2023년)
- 댓글부대(영화) (2024년)
2.2. TV/비디오
- 은혼 96화 (2006년): 원래 1기 은혼은 4:3 종횡비지만 이 에피소드에 등장한 극중극 애니메이션만 레터박스를 추가한 16:9를 사용하였다.
- 개구리 중사 케로로 6기 8화 (2009년): 원래는 4:3 종횡비지만 우주 디지털 괴물이 습격했을때 화면이 레터박스를 추가한 16:9로 바뀐다. 메타발언으로 작중 캐릭터들이 레터박스의 존재를 '검은 띠'라고 언급하는가 하면 대놓고 쿠루루가 16:9 종횡비라고 언급한다.[2] 실제로 이 시기가 TV 방송이 4:3 가 표준인 시대에서, 16:9가 표준인 HD 시대로 바뀔 시점이었던 지라 당시 시대상을 잘 활용한 연출이었다.
- 그 남자 그 여자의 사정(1998) : 과거 이야기를 다룬 16화에선 크게 3가지 화면비로 나뉜다. 현재 시점은 레터박스가 들어간 'Wide 화면비'이고, 부모님의 학창 시절은 '4:3 화면비'이며, 부모님의 어린 시절은 훨씬 더 과거 시절에 쓰던 모서리가 둥근 '옛날 브라운관 TV 화면비'이다.
- 블랙 미러 시즌 2 왈도의 전성시대(The Waldo Moments): 후일담인 마지막 장면에서 오랜 시간이 지났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인지 레터박스가 추가된다.
- 라제폰 (2002년): 기본 화면 4:3. 다른 차원의 이야기를 다른 화면비로 표현.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 : TV 방영 기준 1기 1화(2쿨 버전 기준으로는 25화)는 영화 '아사히나 미쿠루의 모험 에피소드00'의 최종 편집본을 확인하는 내용인데, 영화 본편은 캠코더로 촬영한거라 4:3 화면비이고, 영화가 끝난 후 주인공들을 비추는 장면에서 16:9 화면비로 전환된다.
- 포터 로빈슨과 Mat Zo의 노래 Easy 뮤직비디오 애니메이션# (2013년): 원래는 16:9 종횡비인데 주인공이 원하는 장소에 도착한 이후로는 레터박스를 추가해 21:1로 나온다.
- 벼리다리 치치포포(2009년[3]): 초반부는 4:3 화면비로, 나머지 분량은 16:9 화면비로 제작했다.
- 무한도전 - 무한상사 야유회(2011): 정형돈 캠코더 한정으로 4:3 비율 SD로 제작된다.해당영상
- 킬라킬 (2013년) - 기본 16:9, 회상 시에 4:3으로 바뀐다.
- 당신이 대한민국입니다 (2014년): 타이틀 영상은 16:9로, 본편은 21:9로 제작해서 방송했다.
- 르까프 광고 - 바람막이 / 젊음의리듬 (2015년): 과거 80~90년대 복고풍 스타일의 4:3의 필러박스로 광고가 진행되다 후반부 현대 장면으로 넘어오면서 16:9가 된다.
- f(x) 4 Walls 뮤직비디오 - 4 Walls MV (2015년): 영상시작부터 1:11쯤 빅토리아가 물을 밟고 미끄러지면서 1:1 비율에 21:9 비율로 변하게 된다.
- 나만이 없는 거리 (2016년): 현재 장면은 16:9지만 과거 장면은 레터박스를 추가한 21:9로 나온다.
- 닌자 슬레이어 프롬 애니메이시욘 (2016년): 기본 화면비 4:3. 최종화 클라이맥스만 16:9.
- 시그널 (2016년): 현재 장면은 16:9지만 과거 장면은 21:9 비율에다가 아나모픽으로 늘려져서 진행된다. 다른 작품들과 달리 레터박스를 쓰지 않고 아나모픽을 쓴게 특징.
- 쓸쓸하고 찬란하神 - 도깨비 (2016년): 일반의 장면은 16:9지만 고려 시대 장면은 레터박스를 추가한 21:9로 나온다.
- 과호흡 (2017년): 현재 장면은 16:9지만 과거 장면은 레터박스를 추가한 21:9로 나온다. 제작자가 직접 밝히바에 따르면 현재 장면은 1920x1080이고 과거 장면은 1920 800 이라고 한다.#
- 닥터후 Twice Upon a Time (2017년): 에피소드 처음 시작 부분과 나중에 1대 닥터가 재생성하는 장면에서 과거 올드시즌 에피소드에서 현재 장면으로 넘어갔다 돌아가는 연출이 사용되었는데 여기서 화면비율 변경이 이루어졌다.
- 교향시편 유레카 세븐: 하이에볼루션 (2017 ~ 2021): 화면비가 수시로 바뀐다. 화면비가 일종의 복선이다.
- 내일 그대와 (2017년): 현재 장면은 16:9지만 과거 장면은 레터박스를 추가한 21:9로 나온다.
- NCT DREAM 세계관 영상 NCTmentary (2018년): 꿈이냐 현실이냐의 여부에 따라 종횡비가 다르게 나온다.
- 검법남녀 (2018년): 현재 장면은 16:9지만 과거 장면은 레터박스를 추가한 21:9로 나온다.
- 두니아 ~ 처음 만난 세계 (2018년): 리얼 상황에서는 16:9로, 언리얼(연기) 상황에서는 21:9로 진행된다.
- 미스터 션샤인 (2018년 9월 30일 방송분): 기본적으로는 21:9 비율이라서 레터박스가 추가된 상태로 방송이 되었지만 마지막화의 태극기가 나오는 장면에서는 서서히 16:9 비율로 바뀌면서 풀화면으로 바뀌어 임팩트를 더해준다.
- 손 the guest (2018년): 과거 장면과 현재 장면 모두 21:9 비율이나, 과거 장면은 아나모픽으로 늘려져서 나온다. 시그널과는 달리 레터박스를 쓰면서 동시에 아나모픽을 사용했다.
- SKY 캐슬 (2018년): 기본적으로는 21:9 비율이나, 과거 장면은 4:3 종횡비로 나온다.
- 봄이 오나 봄 (2019년): 과거 장면은 레터박스를 추가한 21:9 비율로, 현재 장면은 16:9로 나온다.
- 라디오스타 (2019년 3월 27일 방송분): 채연이 2000년대식 댄스를 출 때 필러박스를 씌웠다.
- 캠핑클럽 (2019년 7월 21일 방송분): 영원한 사랑 라이브 장면에서 필러박스를 씌웠다.
- 웰컴2라이프 (2019년): 현재 장면은 16:9지만 과거 장면은 필러박스를 씌웠다.
- 저 너머의 아스트라 (2019년): 현재 시점은 2.39:1 비율을 사용하지만, 과거 회상 등에서는 16:9로 바뀐다.
- 호텔 델루나 (2019년): 현재 시점은 2.2:1 비율로, 과거 시점은 4:3 종횡비로 나온다. 6회 엔딩에서는 2.2:1 레터박스가 밀려 들어가며 16:9 비율로 바뀐다.
- IZ*ONE Target MV (2019년)
- 모브사이코 100 Ⅱ (2019년)
- 주술회전 (2020~2021년): 과거 회상 및 엔딩 영상을 가변 화면비로 연출
- 좀비 랜드 사가 리벤지 (2021년): 3화에서 준코가 기타를 연주하는 장면을 4:3으로 표현.
- 86 -에이티식스- (2021년): 10화에서 카메라로 찍은 영상을 4:3으로 표현. 22, 23화에서도 사용.
- 완다비전 (2021년): 매 에피소드마다 달라지는 시대별 시트콤과 드라마의 스타일을 표현하기 위해 각 시대를 대표하는 화면비를 사용했다. 특히 등장인물이 헥스를 넘나드는 장면에서는 레터박스의 변화가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보여진다.
- 선배가 짜증나는 후배 이야기 (2021년): 오프닝에서 스마트폰으로 촬영하는 장면을 가변 화면비로 표현.
- 코미 양은 커뮤증입니다 (2021년)
- 역전세계의 전지소녀 (2021년)
- 그 비스크 돌은 사랑을 한다 (2022년) - 작중작인 <플라워 프린세스 烈>를 묘사할 때 4:3으로 표현된다.
- 웃는 아르스노토리아 킁! (2022년) - warning 파트는 시네마스코프 비율로 연출된다.
- 이세계 미궁에서 하렘을 (2022년)
- 마법소녀 매지컬 디스트로이어즈 (2023년)
- 좀100 ~좀비가 되기 전에 하고 싶은 100가지~ (2023년)
- 16bit 센세이션 ANOTHER LAYER (2023년)
- 주술회전 2기 (2023년): 과거 회상 및 엔딩 영상을 가변 화면비로 연출
- 닥터후 Tales of the TARDIS (2023년): 현재 장면은 본편과 동일한 레터박스를 추가한 2:1 화면비로 나오지만, 회상을 진행하면서 실제 그 당시 에피소드가 나올때는 4:3으로 나온다. 화면비율 변경이 이루어질때 레터박스와 필러박스가 움직이면서 서서히 변경된다.
- 웰컴투 삼달리 (2023년 12월 2일 방송분): 전국노래자랑 파트에 필러박스를 씌웠다.
- 의매생활 (2024년): 여동생의 시점은 4:3 화면비로 연출.
- 새출발 영애는 용제 폐하를 공략 중 (2024년): 과거 회상을 시네마스코프 비율로 연출.
- 전수. (2025년): 작중작 애니메이션을 시네마스코프 비율로 연출.
2.3. 기타
- 슈퍼 마리오 어드밴스 (2001년) : 게임시작전 타이틀 로고가 나오는 오프닝 컷씬이 초반에 윈도박스를 추가해서 게임보이의 해상도(160X144)와 10:9화면비로 나오다가 타이틀 로고가 나오기 직전에 윈도우박스가 서서히 사라지면서 게임보이 어드밴스의 3:2로 화면비로 변한다. 단, 윈도박스로 가려진 부분은 불이꺼진것 처럼 실루엣이 보이기때문에 완전한 가변화면비 연출은 아니다.
- 스타크래프트: 리마스터 (2017년): F5키로 리마스터/클래식 모드 전환이 가능하다. 필러박스는 덤이다.
- 스타크래프트 2 무료 플레이 홍보영상#1 #2 (2017년): 다른 장면들은 과거 80~90년대 복고풍 스타일의 4:3의 필러박스로 나오는데 게임 플레이 장면은 16:9로 나온다.
- 리듬 닥터 : 특정 레벨에서 화면비와 게임화면 자체의 크기가 말 그대로 미친듯이 변하는 기믹이 사용되었다.
- 이시하라 타츠야 : 애니메이션 본편 연출로는 잘 안 쓰지만 오프닝을 만들 때 많이 쓴다.
- 쿄다 토모키 : 이 연출이 애니메이션에도 많이 퍼진 2020년대 이전엔 이 연출을 쓰는 몇 안 되는 감독이라 애니메이션 시청자에게 불편하다고 비판받는 경우가 많았다.
- 안도 마사오미 : 장르에 따라 연출색을 바꾸는 만큼 주로 SF나 진지한 분위기의 작품을 맡을 때 많이 쓴다.
- 카와고에 카즈키
- 이토 토모히코
- 히라오 타카유키
- 츠치가미 이츠키
- 안도 료
3. 관련 링크
중앙일보-다 같은 사각형이 아닙니다KBS NEWS -'독특한 스크린' 영화 화면 비율의 미학
익스트림무비-[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화면비 이해
[1] 다만 시그널은 레터박스가 아닌 아나모픽으로 길게 늘리는 형식을 취한다.[2] 다만 개구리 중사 케로로가 다시 한국 TV에서 재방송될때는 스트레치를 사용하여 원래 4:3였던 원본을 가로로 늘려 16:9로 맞춰서 방송하기 때문에, 그 기준에서 이 에피소드는 우주 디지털 괴물이 습격했을때는 21:9로 바뀐 셈이다.[3] 포털 사이트에서는 2008년작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텔레비전에서는 2009년 12월에 방송했으므로 방송일을 기준으로 표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