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6 17:04:57

라제폰

역대 애니메이션 고베
파일:external/i1.wp.com/kobe-2.png
작품상 - TV 부문
제6회
(2001년)
제7회
(2002년)
제8회
(2003년)
기동천사 엔젤릭 레이어 라제폰 기동전사 건담 SEED
라제폰 (2002)
ラーゼフォン
Rahxephon
파일:attachment/raxephon.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원작 본즈
이즈부치 유타카
감독 이즈부치 유타카
감독 보좌 쿄다 토모키
마스이 소이치[1]
캐릭터 디자인 야마다 아키히로
애니메이션 캐릭터 디자인 칸노 히로키
메카닉 디자인 사토 미치아키(佐藤道明)
사야마 요시노리(佐山善則)
디자인 웍스 타케바 신고(武半慎吾)
아트 컨셉 미야타케 카즈타카(宮武一貴)
설정 고증 카네코 류이치(金子隆一)
노자키 토오루(野崎 透)
애니메이션 디렉터 사노 히로토시
메카니컬 작화감독 타케우치 시호
미술 감독 히가시 준이치(東 潤一)
색채 설계 나카야마 시호코(中山しほ子)
촬영 감독 오오바 나오유키(大庭直之)
음향 감독 츠루오카 요타
음악 하시모토 이치코(橋本一子)
프로듀서 미나미 마사히코본즈
나가타 카츠하루(永田勝治)미디어 팩토리
사사키 시로(佐々木史朗)빅터엔터테인먼트
카와카미 다이스케(川上大輔)후지 테레비/1~5화
하루나 타케오(春名剛生)후지 테레비/6~26화
애니메이션 제작 본즈
제작 라제폰 제작위원회
후지 테레비
방영 기간 2002. 01. 21. ~ 2002. 09. 10.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후지 테레비 / (월) 16:25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원방송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26화
시청 등급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2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2세 이상 시청가
}}}}}}}}}}}} ||

1. 개요2. 공개 정보
2.1. PV
3. 줄거리4. 특징5. 등장인물
5.1. 주요 인물5.2. 기타 인물
6. 설정
6.1. 메카
7. 음악
7.1. 주제가
7.1.1. OP7.1.2. ED
7.2. 삽입곡
8. 회차 목록9.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10. 해외 공개
10.1. 대한민국
11. 평가12. 미디어 믹스13. 기타14. 관련 문서1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본즈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자 거대로봇물 애니메이션. TV판(26화 완결)은 2002년 제작, 극장판은 2003년 제작. 감독에 이즈부치 유타카, 감독 보좌 쿄다 토모키 [2] 각본에 오오노기 히로시, 캐릭터 디자인에 야마다 아키히로.

각 화는 '악장'으로 나눠지고 노래에 반응하는 로봇 파일럿은 '연주자'로 취급된다. 적의 이름도 음악 용어가 많다.

또한 로봇 애니메이션으로서 기존의 SF의 영향도 받았다. 예를 들자면 마지막화의 제목인 'Time Enough for Love'은 로버트 A. 하인라인의 SF 소설 제목이다.

2. 공개 정보

2.1. PV

공식 트레일러

3. 줄거리

21세기 초, MU라는 정체불명의 존재들에게 습격당하여 일본의 수도 도쿄는, MU에 의해 고립되었다. MU에게 점거당한 도쿄에는 목성과 흡사하게 생긴 배리어가 쳐져 함부로 나갈 수도, 들어갈 수도 없게 되었고 이렇게 변해버린 도쿄에서는 바깥보다 시간이 6배 느리게 흘러가며 이른바 이 도쿄 쥬피터 안에서 살고 있는 이들은 어떤 계기로 인해 도쿄 외의 세계가 모두 멸망해버렸다는 거짓된 기억을 주입받은 채 살아가게 된다.

도쿄 쥬피터 안에서 평화롭게 살아가고 있던 카미나 아야토는 어느날 전차 사고를 당해 도움을 줄 사람을 찾기 위해 거리로 나왔다가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고, 거리에서 몇 년 전의 그 사건 이후로 본 적이 없었던 동급생 미시마 레이카의 모습을 발견하고 쫓아가다가 갑자기 자신을 찾아와 진실을 보여주겠다고 말하는 시토 하루카에게 이끌려 도쿄 쥬피터를 벗어나게 된다.

하지만 도쿄를 탈출하려던 찰나 무언가가 자신을 부르고 있다며 홀연히 전투기에서 탈출한 아야토는 연주자로써 각성, 신전에 있던 거대병기 라제폰에 탑승하게 되고 정체불명의 병기와의 전투 끝에 하루카, 라제폰과 함께 장벽 밖으로 나가게 된다.

장벽 밖으로 나온 아야토는 도쿄 쥬피터에 대한 모든 사실을 알게 되고 하루카가 소속된 대 MU 전략 연구 기관인 테라에 들어가 속속들이 출현하는 MU의 병기인 돌렘들과 싸워나가게 된다.

4. 특징

용자 라이딘의 광팬인 이즈부치 유타카가 대놓고 라이딘을 오마주한 작품이다. 이즈부치 유타카브레인 파워드용자 라이딘 같은 걸 만들어보자고 디자인을 토미노 요시유키에게 줬고 토미노도 처음엔 그러자고 했다고 한다. 그런데 토미노의 총애를 받아 양아들이라 불리는 나가노 마모루가 디자인을 해준다고 하자 토미노가 이즈부치의 디자인을 다 버리고 나가노의 디자인을 쓰기로 했다. 그때 만든 디자인이 아까워서 이 작품을 만들었다고 한다. # 미나미 마사히코 프로듀서랑 술 마시면서 디자인이 날아갔다고 하소연을 했는데 미나미가 "그럼 우리 회사에서 만들어." 라고 해서 진짜 만들게 되었다고.

주역 메카의 디자인, 출생의 비밀, 고대 문명, 설정 용어, 마더 컴플렉스 등 라이딘에 들어가 있는 코드 대부분을 오마주했다. 흔히 에반게리온 같은 작품으로 알려져있지만 음악이나 채색, 연출만 에반게리온과 흡사하고 전개나 설정의 모티브가 되는 것들은 모조리 용자 라이딘에 있다. 라이딘이 꽤 시대를 앞서간 작품이란 걸 실감케 한다.

스토리가 상당히 난해한 축에 속해서 신세기 에반게리온의 짝퉁이라는 일부 성급한 비판을 받기도 했는데 이 작품은 용자 라이딘의 오마주이다. 파일럿과 일체화하는 로봇이라는 걸 에반게리온의 표절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는데 따지고 보면 라이딘이 더 먼저고, 이 작품은 철저히 라이딘을 따라하는 작품이다. 대부분의 설정과 에피소드 모티브가 라이딘에 거의 그대로 있다. 주제는 추억과 사랑 이야기. 다만 연출적으론 에반게리온과 유사한 점이 있다는 건 부정하기 힘들다. 연출보단 프로듀스를 잘 하는 이즈부치 유타카 감독을 대신해 실질적인 영상 연출을 감독한 쿄다 토모키가 에반게리온 팬이라서 비슷해졌다. 다만 이런 경향은 에반게리온 영향을 지대하게 받았던 당시 SF 장르 애니메이션의 경향으로, 파리대왕를 모티브로 한 타니구치 고로무한의 리바이어스도 같은 지적을 받았다.

고유명사를 많이 쓰는 대사와 연출은 에반게리온이 연상되어 난해하지만 사실 분위기만 그렇지 에반게리온에 비하면 그렇게 어려운 내용도 아니고 단순한 편이기 때문에 복잡하고 치밀한 구성의 스토리를 좋아하는 한국이나 일본에서는 세월이 지나서 많이 잊혀진 편이나 작화 위주로 평가하는 서양에선 아직도 팬덤이 굴러가고 있다. 2021년 센타이 필름웍스에서 발매된 블루레이는 발매하자마자 매진되었다.

TV판 방영 초기 때 제작진의 코멘트를 보면 SF물에서 새로운 걸 시도하고 싶었던 듯하나 그 점에선 별로 성공하지 못했다. 차라리 연애노선 쪽이 더 부각되는데, 이걸 의식한 건지 극장판인 라제폰 다원변주곡은 부분적으로 이야기가 다르며 TV판보다 더 호평받는다.

주역로봇인 라제폰의 모티프는 고전 애니메이션 용자 라이딘의 주역기인 라이딘으로, 무장(화살이라든가 음파공격) 쪽에서 주로 영향을 받았다. 그래서 슈퍼로봇대전 MX에 같이 출전했을 땐 라이딘과 공명하는 연출이 있기도 했다.

연애물이라고 생각하면 완전 하렘물. 능력치 또한 주인공 몰빵(?). 주인공 보정 + 출생의 비밀라인을 따르고 있다. 이것도 용자 라이딘을 따라한 것이다. 여자 캐릭터들은 특별히 원래 짝이 있던 경우가 아닌 이상 거의 다 주인공 아야토를 좋아하든가 보통 이상으로 얽혀있다. 엄마를 빼고도 다섯명씩이나 된다. (아사히나 히로코, 시토 메구미, 미시마 레이카, 시토 하루카, 키사라기 쿠온) 초반엔 주인공한테 여자가 하도 많아서 이중에서 누가 히로인인지 감도 안오거니와 이름이 헷갈릴정도. 이게 일상물이나 연애물이면 이정도로 헷갈리거나 문제되진 않을텐데 에바와 비교될만큼 난해한 로봇물이라 문제다.

기법 면에서는 움직임과 구도를 만들어내는 제1원화 (레이아웃)와 그림을 디테일하게 수정하는 제2원화를 구분하는 기법을 TV 애니메이션에서 본격적으로 시도한 작품이다. 야스히코 요시카즈가 쓴 기법이었는데 라제폰이 나올 때는 일반적인 기법이 아니었다. 나카무라 유타카, 무라키 야스시 같은 실력있는 애니메이터에게 액션, 연기 장면을 몇 초라도 더 그리게 하기 위해 간략하게 그리는 대신 많이 그리게 하고, 제2원화 라는 직책에게 이를 수정하게 한 다음 작화감독이 또 수정하게 했다. 번거로운 방법이었지만 이 방법으로 움직임과 그림체를 다 잘 살려내서 일본 애니메이션의 기본 작법이 되었다. 2010년대 이후의 일본 애니메이션은 스태프롤에 제2원화라는 직책이 웬만해선 다 있다. [3]

5. 등장인물

5.1. 주요 인물

5.2. 기타 인물

6. 설정

6.1. 메카

파일:external/www.rahxephon.fr/rahxephon0.gif 파일:external/tsuzukusekai.files.wordpress.com/rahxephon.jpg
라제폰(Rahxephon)

전장 50m. 차원란에서 '태어난' 날개달린 거대한 로봇으로, 그 정체는 바벰 재단의 총수인 에른스트 폰 바벰이 만든 세계를 조율하는 기계장치로 된 신, 즉 데우스 엑스 마키나이다. 디자인은 사토 미치아키와 사야마 요시노리.

MU들은 앞의 라를 빼고 제폰이라고 부르는데, 그 이유는 연주자인 오린이 아직 요로테오토루에 이르지 못한 상태이기 때문이다. 오린이 요로테오토루에 이르러 각성했을 때, 비로소 '라'의 칭호를 얻어 라 제폰이라는 이름이 된다고 한다.

손에서 빛의 입자를 내뿜는 능력이 있는데, 이를 이용하여 빔 형태의 원거리 공격을 하거나, 빔 사벨과 같은 형태로 고정시켜 검으로서 사용하고, 또 로 변형시키는 능력이 있다. 이 능력들을 하나씩 얻을 때마다 오린의 각성이 진행된다고 한다.

라제폰의 진정한 존재 목적은 요로테오토루에 이르러 각성한 오린과 하나가 되어 세계를 조율하는 진정한 신으로 거듭나는 것. 진정한 신이 된 라제폰은 오린이 원하는 대로 세계를 바꿀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애초에 에른스트 폰 바벰이 라제폰과 그 시스템을 만든 이유가 바로 그것으로, 자신이 만들어 낸 존재가 세계를 조율하는 것, 신만이 누릴 수 있는 그 기분을 맛보기 위해서라고 한다. 완전히 각성하면 '진성 라제폰'이 되는데, 오린의 얼굴을 하고 있는 거인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세계를 조율할 수 있는 그야말로 신의 것이나 다름없는 힘을 자유자재로 쓸 수 있다.[4]

전투 시의 주 무장은 손에서 발하는 빛의 검과 빛의 활, 입에서 내뿜는 음파 공격.

극중에는 아야토가 오린인 라제폰 외에도 또 다른 오린이 소유한 검은 라제폰(통칭 벨제폰. 블랙라제폰의 약자라고 한다.)이 하나 더 있다. 능력치는 라제폰과 동일. 벨제폰은 극중에선 알과 각성한 모습만 나오며, 일단 각성전의 모습도 설정화가 있다. 라제폰의 '창궁환상곡'에서는 각성전의 모습으로 등장하여 라제폰과 대립하기도 한다.

2004년 인터뷰에서 원작자가 말하기로는, 라제폰이라는 이름은 라(태양신)+제(X, 미지)+폰(음)이란 3개의 단어의 합성어로, '신의 불확실한 음'이라는 뜻이라고 한다.

모형화는 TVA가 방영되던 당시에 반다이에서 출시한 하이그레이드 등급의 프라모델 라제폰과 약 10년 후 메가하우스에서 출시한 완성품 피규어인 배리어블 컬렉션 하이스펙 라제폰 두 가지가 있는데, HG 프라모델은 얼굴과 날개부분을 도색이 완료된 연질 소재를 사용해 가조립만으로도 충분히 높은 완성도를 낼 수 있었던 반면에 빛의 활을 비롯한 무장들이 전무하다는 단점이 있었고 하이스펙 라제폰의 경우 HG보다 10배 이상의 비싼 가격을 자랑했지만 각종 변형기믹과 무장들이 충실하게 구현되었다.

2023년에 정말 오랜만에 들어서 굿 스마일 컴퍼니 사의 로봇 프라모델 시리즈인 모데로이드로 입체화가 발표되어 2024년 7월 20일에 7200엔에 발매되었다. HG 제품의 저렴한 가격과 조립감+하이스펙 액션의 디테일을 제대로 참고하였기 때문에 이 작품을 기억하는 팬들 사이에서는 크게 주목을 받는 중이다. 참고로 해당제품에는 보너스로 이 작품의 여주인공인 미시마 레이카의 피규어가 부분 조립식으로 포함되었다. 2024년 8월 8일에 올라온 일본의 완구 리뷰어인 오타파의 리뷰에 의하면 본 제품의 크기가 합금완구인 배리어블 하이스펙 컬렉션보다 무려 1.5cm 크다고 한다.

7. 음악

7.1. 주제가

7.1.1. OP

OP
ヘミソフィア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사카모토 마아야
작사 이와사토 유호(岩里祐穂)
작곡 칸노 요코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사노 히로토시
연출 마스이 소이치
캐릭터 작화감독 칸노 히로키
메카 작화감독 타케우치 시호
원화 오사카 히로시, 카와모토 토시히로, 스기우라 코지, 나카무라 유타카, 사노 히로토시, 오카무라 텐사이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7.1.2. ED

ED
夢の卵
꿈의 알
yume no tamago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하시모토 이치코(橋本一子)[5]
하시모토 마유미(橋本まゆみ)
작사 하시모토 이치코(橋本一子)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이즈부치 유타카
연출 마스이 소이치
캐릭터 작화감독 칸노 히로키
원화 무라세 슈코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엔딩곡의 경우는 가사가 매화 일정치 않은데 이유는 후렴구를 제외한 다른 부분들은 멜로디가 일정한 것을 바탕으로 원 노래의 가사를 일부만 썼기 때문이다.

7.2. 삽입곡

삽입곡
カトゥンのさだめ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하시모토 이치코(橋本一子)
작사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8.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캐릭터
작화감독
방영일
제1악장 首都侵攻
수도 침공
-OVER LORD-
이즈부치 유타카 쿄다 토모키 칸노 히로키 2002.01.21.
제2악장 神人目覚める
신인 각성하다
-AWAKENING-
타카야마 후미히코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이토 요시유키 2002.01.28.
제3악장 二人の街
두 사람의 마을
-Welcome to our town-
키류 유카리
(桐生祐狩)
오카무라 텐사이 요코야마 아키토시 토미오카 타카시 2002.02.04.
제4악장 自分の時計
자신의 시계
-Watch the year hand-
에노키도 요지 무라키 야스시 사이토 츠네노리 2002.02.18.
제5악장 ニライカナイ
니라이카나이
-On Earth As It Is In Heaven-
쿄다 토모키
사카모토 고
(坂本 郷)
사토 이쿠로
(佐藤育郎)
칸노 히로키
하세베 아츠시
(長谷部敦志)
2002.02.25.
제6악장 消滅都市
소멸도시
-Lost Songs Forgotten Melodies-
오코우치 이치로 요코야마 아키토시 미즈하타 켄지
(水畑健二)
2002.03.04.
제7악장 集まる日
모이는 날
-Phantom In The Cloud-
무라키 야스시 이토 요시유키 2002.03.11.
제8악장 凍る聖夜
얼어붙는 성야
-The Dreaming Stone-
에노키도 요지 오카무라 텐사이 쿄다 토모키 토미오카 타카시 2002.03.18.
제9악장 時の祠
시간의 사당
-SANCTUARY-
아이카와 쇼 카와모리 쇼지 사토 이쿠로 오사카 히로시
코모리 타카히로
호리카와 코이치
(堀川耕一)
2002.03.25.
제10악장 追憶のソナタ
기억의 소나타
-War In The rememberance-
키류 유카리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사이토 츠네노리 2002.04.16.
제11악장 虚邪回路
허사회로
-NightMare-
코나카 치아키 쿄다 토모키 미즈하타 켄지 2002.04.23.
제12악장 黒い卵
검은 알
-Resonance-
요코야마 아키토시 이토 요시유키 2002.04.30.
제13악장 人間標本第1号
인간표본 제1호
-Sleeping Beauty-
오코우치 이치로 오카무라 텐사이 사토 이쿠로 이리에 야스히로 2002.05.07.
제14악장 鏡の中の少年
거울 속의 소년
-Time After Time-
오오노기 히로시
(大野木 寛)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오사카 히로시
코모리 타카히로
호리카와 코이치
2002.05.21.
제15악장 子供たちの夜
아이들의 밤
-Child Hood's End-
이소 미츠오 칸노 히로키 2002.05.28.
제16악장 他人の島
타인의 섬
-The Moon Princess-
오오노기 히로시 쿄다 토모키 사이토 츠네노리 2002.06.04.
제17악장 迷宮への帰還
미궁으로의 귀환
-Ground Zero-
코나카 치아키 마스이 소이치 미즈하타 켄지 2002.06.11.
제18악장 蒼き血の絆
푸른 피의 유대
-The Memory Of A Lost City-
요코야마 아키토시 코다이라 요시유키
(小平佳幸)
2002.06.18.
제19악장 ブルーフレンド
블루 프렌드
-Ticket to Nowhere-
타카야마 후미히코 쿄다 토모키 이리에 야스히로 2002.06.25.
제20악장 綾なす人の戦い
아름다운 사람의 싸움
-Interested Parties-
에노키도 요지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쿠도 스스무 쿠와나 이쿠오 2002.07.02.
제21악장 ゼフォンの刻印
제폰의 각인
-Good Bye My Friend-
오오노기 히로시 마스이 소이치 사토 이쿠로 칸노 히로키 2002.07.30.
제22악장 木星消滅作戦
목성 소멸 작전
-Down Fall-
쿄다 토모키
시마이야 테츠[6]
(仕舞屋 鉄)
쿄다 토모키 이토 요시유키 2002.08.06.
제23악장 ここより永遠に
여기보다 영원으로
-Where The Sweet Bird Song-
오코우치 이치로 안도 마사히로
(安藤真裕)
토미오카 타카시 2002.08.13.
제24악장 調律への扉
조율로의 죄
-Twin Music-
코나카 치아키 요코야마 아키토시 미즈하타 켄지 2002.08.20.
제25악장 神の不確かな音
신의 불협화음
-Deus Ex Machina-
마스이 소이치 사이토 츠네노리 2002.08.27.
최종악장 遙か久遠の彼方
머나먼 영원의 저편
-Time Enough For Love-
오오노기 히로시 쿄다 토모키 칸노 히로키 2002.09.10.

9. 각 화 참여 원화 애니메이터

이즈부치 유타카, 미나미 마사히코, 사노 히로토시의 인맥으로 뛰어난 애니메이터가 많이 참가한 작품이다. 메카 작화는 물론이고 인간 작화도 뛰어나다.

일부 다른 회사에서 애니메이터를 불러오긴 했으나 그로스 하청편은 없고 전부 본즈 제작이다.
나카무라 유타카는 제2원화 크레딧은 없지만 제2원화 공정으로 자신의 작화가 왜곡되는 게 싫어서 그것도 자신이 했다고 한다.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원화
1화 카와구치 타카시(川口 隆), 미즈하타 켄지(水畑健二), 오오츠카 켄, 모리시타 히로미츠(森下博光), 타케우치 신지, 카와조에 마사카즈(川添政和),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2화 나카무라 유타카원화 160컷[7], 카네코 슈이치(金子秀一), 이토 요시유키, 이소 미츠오, 이시다 카나제2원화
3화 사이토 타쿠야, 마츠오 신, 코마츠 에이지, 테라다 카이치로(寺田嘉一郎), 와타베 케이스케, 후쿠요 타카아키(福世孝明), 미노와 유타카,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4화 사이토 츠네노리, 고토 마사미, 겐마 노부히코, 나카자와 유이치(中澤勇一),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5화 야마가타 아츠시(山形厚史), 토미오카 타카시, 이토 요시유키, 사이토 츠네노리, 카네코 슈이치, 나카무라 유타카, 미즈하타 켄지, 테라다 카이치로, 하세베 아츠시(長谷部敦志), 칸노 히로키,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겸임, 마에다 세이메이(前田清明)제2원화
6화 타카기 히로키(高木弘樹), 미즈하타 켄지, 카와구치 타카시, 모리시타 히로미츠, 카와조에 마사카즈, 타케우치 신지, 스기에 토시하루, 사노 히로토시제2원화, 테라다 카이치로제2원화,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마에다 세이메이제2원화
7화 이토 요시유키, 나카무라 유타카, 카네코 슈이치(金子秀一), 야마우치 노리야스, 코마츠 에이지, 아가타 노부히토(赤田信人), 카와카미 테츠야, 테라다 카이치로, 칸노 히로키, 히로카와 코이치(堀川耕一), 사노 히로토시田川浩 명의,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마에다 세이메이제2원화
8화 시게타 사토시, 오오츠카 켄,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겸임, 테라다 카이치로, 하세베 아츠시, 코모리 타카히로, 호리카와 코이치, 사노 히로토시田川浩 명의, 마에다 세이메이 등
9화 아가타 노부히토, 타케우치 신지, 나가노 노부아키, 츠쿠마 타케노리(津熊健徳), 야마시타 유(山下 祐), 이나도메 카즈미(稲留和美) 등
10화 쿠라시마 아유미, 카와조에 마사카즈, 나카자와 유이치, 마에다 세이메이제2원화
11화 키무라 타카히로, 사카모토 슈지(坂本修司), 히가시데 후토시, 카와조에 마사카즈, 츠쿠마 타케노리(津熊健徳), 호리카와 코이치, 사노 히로토시, 칸노 히로키,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12화 이나도메 카즈미, 카와카미 테츠야, 코마츠 에이지, 쿠라시마 아유미, 토미오카 타카시, 테라다 카이치로, 카네코 슈이치, 나카무라 유타카,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13화 하세베 아츠시, 토미오카 타카시, 이리에 야스히로
14화 야마시타 유, 키요즈미 노리후미(清積紀文)[8], 츠쿠마 타케노리, 사노 히로토시제2원화, 타케우치 신지제2원화,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테라다 카이치로제2원화, 마에다 세이메이제2원화
15화 오구라 노부토시, 카와구치 타카시, 카와모토 토시히로, 나카자와 유이치, 나카자와 카즈토, 혼다 타케시, 이소 미츠오, 이나도메 카즈미제2원화
16화 하세베 아츠시, 카와구치 타카시, 마에다 세이메이제2원화
17화 아카오 료타로(赤尾良太郎), 아베 노조무, 코마츠 에이지, 마에다 세이메이, 나카무라 유타카, 미즈하타 켄지, 사이토 츠네노리, 네코마타야(ねこまたや)[9], 쿠라시마 아유미
18화 이나도메 카즈미, 사이토 히사시, 카와카미 테츠야, 마에다 세이메이, 나카자와 유이치, 이토 요시유키, 나카무라 유타카, 테라다 카이치로, 요코야마 아키토시, 타케우치 시호, 미즈하타 켄지 등
19화 오사카 히로시, 이리에 야스히로, 하세베 아츠시, 테라다 카이치로, 쿠라시마 아유미, 코마츠 에이지, 마에다 세이메이 등
20화 하가 히토시, 사토 마사유키, 요시다 토오루, 스기에 토시하루, 니시이 마사노리(西井正典), 나카무라 유타카,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이나도메 카즈미^^제2원화 등
21화 사이토 츠네노리, 쿠라시마 아유미, 스기에 토시하루, 하네다 코지(羽田浩二), 칸노 히로키, 카와구치 타카시 등
22화 나카이 준, 카와조에 마사카즈, 코마츠 에이지, 스기에 토시하루, 아베 노조무, 이토 요시유키, 타케우치 시호, 스즈키 노리미츠
23화 야마시타 마사히토, 토미오카 타카시, 카와카미 테츠야,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겸임, 이나도메 카즈미제2원화 겸임
24화 나카무라 유타카, 하세베 아츠시, 테라다 카이치로, 타케우치 시호, 마에다 세이메이, 칸노 히로키, 요코야마 아키토시, 쿠라시마 아유미, 이나도메 카즈미제2원화
25화 니시이 마사노리, 마츠오 신, 야마우치 노리야스, 안도 마사히로(1967), 와타나베 코지(渡辺浩二), 오오츠카 켄, 쿠와나 이쿠오, 사이 후미히데, 카와구치 타카시, 사다이 히데키(定井秀樹), 스기에 토시하루, 나카하라 히사후미(中原久文), 후카자와 코지(深沢幸司), 쿠라시마 아유미, 이나도메 카즈미, 칸노 히로키, 사이토 츠네노리, 나카무라 유타카
26화 하세가와 신야, 쿠보오카 토시유키, 야마시타 마사히토, 츠루 토시유키, 이와이 유키(岩井優器). 카와구치 타카시, 오사카 히로시, 이토 요시유키, 토미오카 타카시, 칸노 히로키, 타케우치 시호, 테라다 카이치로, 나카무라 유타카, 미즈하타 켄지, 요코야마 아키토시, 하세베 아츠시, 이나도메 카즈미제2원화, 쿠라시마 아유미제2원화

10. 해외 공개

10.1. 대한민국

한국에선 대원방송에서 2005년 10월 3일부터 TV판을 방영하였으며 담당 PD캐스팅뱅크에 3월부터 녹음에 들어갔다고 글을 썼었는데 방영 시기가 상당히 늦어진듯. 그리고 원래 시토 하루카박영희가 캐스팅되었으나 그 시기때 성대결절이 오는 바람에 문선희로 교체되었다.[10] 여담으로 중복국기, 중복의 연금술사를 연출한 PD 답지않게 적은 중복과 꽤 괜찮은 성우 캐스팅을 보여주어 PD에 몇 안되는 개념 더빙작이다. 극장판은 애니박스에서 더빙으로 방영하지 않고 자막으로만 방영하였다. 덕분에 성우팬들은 공각기동대처럼 더럽게 논다면서 깠다.

11. 평가

뛰어난 연출과 작화, 잘 설계된 반전있는 스토리로 명작이라는 평을 받는다. 실력파 애니메이터와 연출가들이 대거 참여해 중요 에피소드는 매우 뛰어난 연출과 작화를 보여준다.

팬들이 작화가 가장 좋다고 평가하는 건 이소 미츠오가 담당한 15화. 이 에피소드는 이소 미츠오가 전뇌 코일을 만들고 싶은데 자신이 연출 경력이 없어 스폰서가 안 붙는다고 이즈부치에게 하소연해서 이즈부치가 "그러면 라제폰에서 1편 줄 테니까 네 맘대로 만들어라."라고 던져줘서 만든 에피소드였다고 한다. 이소의 욕심이 지나쳐서 수정하다 스케줄 문제가 생겨 계획한 퀄로 완성은 못했는데 이즈부치는 완성이 됐으면 전설이 됐을 거라고 아쉬워했다. 하지만 그렇다곤 해도 대단한 에피소드여서 호평 받았으며 이소 미츠오는 이걸 포트폴리오로 전뇌 코일 투자를 받아냈다고 한다.
스토리적으로는 19화 블루 프렌드의 평가가 매우 높다. 워낙 비극적이고 완성도 높은 에피소드라서 스토리가 축약되고 설정이 꽤 변경된 극장판에서도 19화는 대부분 그대로 수록되었을 정도.

다만 장르가 세카이계라서 난해한 연출이 좀 있으며, 전개가 우울하고, 이야기 전개가 좀 느리고 스토리의 전말이 밝혀지는 게 후반부라 사람 취향을 좀 타는 작품이다. 신세기 에반게리온, 무한의 리바이어스 같은 세카이계 작품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추천하는 작품이다.

평론가 히카와 류스케가 호평했다. #

이즈부치 유타카 감독에 따르면 안노 히데아키가 이 작품을 좋아한다고 한다. 다만 이즈부치 말로는 안노 히데아키가 추천사를 써준 적이 있는데 그때는 안 보고 쓴 거라 그건 엉터리라고.

12. 미디어 믹스

마이애미 걸즈, 매직걸[11]의 작가인 모모세 타케아키가 코미컬라이즈를 맡아 단행본 3권으로 완결됐다. 그래서 라제폰의 코미컬라이즈는 완전히 판치라 만화가 돼 버렸다.[12] 스토리도 애니메이션과는 굉장히 다르다. 대표적으로 미시마 레이카시토 하루카의 관계라든가, 키사라기 쿠온이 아예 등장하지 않는다든가 하는 차이점이 있다. 또한 애니메이션에서 쿠온이 부화시키려다 실패했던 검은 알은 만화에서는 부화해서 벨제폰이라는 검은색 라제폰이 태어난다.

소설은 MF문고J에서 나온 5권짜리와 도쿠칸 듀얼 문고에서 나온 단권 시간조율사가 있는데 MF문고J 쪽의 경우 애니 원작을 기반으로 한 내용이지만[13] 시간조율사는 엔딩은 다를지언정 기본적인 배경이 같은 다른 매체와 달리 세계관 구성부터 다른데다 주인공도 아야토가 아닌 아야토와 하루카의 아들이고 이집트 신화의 영향이 짙다.

PS2로 라제폰 창궁환상곡(ラーゼフォン 蒼穹幻想曲)이라는 게임이 2003년 8월에 발매됐다. 플레이어가 라제폰을 조종해서 돌렘들과 싸우는 3인칭 액션게임으로, 등장인물들의 음성이 지원되고 게임에만 삽입된 오리지널 애니메이션이 나오는 등 팬이라면 해 볼 만한 게임이다.[14] 상당히 할만한 게임이고 유통량이 적어 한동안 엄청난 프리미엄이 붙었으나 재생기인 PS2 자체가 귀해지고 PS2 게임을 하는 사람들이 없어지면서 가격이 추락했다.

슈퍼로봇대전 MX에 출연하기도 했으며 여기서는 에반게리온의 인류보완계획과 라제폰의 다차원이론이 크로스오버 되며 다원보완계획을 만들어냄으로써 나름 스토리의 메인축을 맡고 있다.

이후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이단아라 할 수 있는 슈퍼로봇대전 스크램블 커맨더의 후속작 슈퍼로봇대전 스크램블 커맨더 2에서도 스토리의 중심축으로 참전했다.

13. 기타

  • 위에서도 상술했듯이 본작의 주역메카인 라제폰이 굿스마일 컴퍼니의 메카 프라모델인 모데로이드 시리즈로 2024년 7월 20일에 발매했다. 보너스로 10cm의 크기로 축소된 여주인공인 미시마 레이카의 피규어가 부속되었다.

14. 관련 문서

15. 둘러보기

본즈 애니메이션
기동천사 엔젤릭 레이어
2001년 2분기
라제폰
2002년 1분기
울프스 레인
2003년 1분기


[1] #[2] 이즈부치가 프로듀서 형 감독이라 실질적인 연출은 쿄다 토모키 담당.[3] 하지만 나카무라 유타카는 이 기법이 마음에 들지 않아서 이후로는 제2원화 수정이 필요없고 작화감독만 손대면 끝날 디테일로 원화를 그리게 되었다고 한다.[4] 그러나 진성 라제폰이 둘 이상이 존재하면 서로 간섭하여 세계의 조율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보인다.[5] 작사와 작곡, 카미나 마야 역도 담당. 원래는 재즈 피아니스트 겸 가수인데, 성우 안 해볼라우? 라는 제의를 받아들이면서 성우로도 참가했다. 소설책도 쓴 바 있는데 무려 1980년대 후반에 한국에서 정발된 바 있다. 한국 제목은 티타임의 환상여행.[6] 애니메이션 연출가/감독 와타나베 테츠야의 필명.[7] 2화의 대략 반 이상 작화.[8] 네코마타야(ねこまたや)와 같은 사람. 이쪽이 본명.[9] 야키요즈미 노리후미(清積紀文)와 같은 사람. 이쪽이 필명.[10] 같은 이유로 박영희가 맡던 꼬마마법사 레미의 주인공 도레미투니버스에서 방영한 4기부터 양정화로 교체되었다.[11] 원제는 마지카노.[12] 이 작품이 라이딘의 오마주작이란 걸 생각하면 이것도 라이딘의 오마주이긴하다. 그쪽도 판치라로 유명한 애니메이션이다.[13] 물론 엔딩은 다소 다르다. 사실 라제폰이라는 작품 자체가 각 시공별로 차이를 두기 위해 TVA, 극장판 애니, 코믹스, 소설의 엔딩을 일부러 다르게 만들었다고 한다.[14] 한 마디로 건퍼레이드 마치의 아종 중 하나다. 수십 가지의 엔딩과 다수의 동영상이 수록되어 완성도는 높지만 공략을 안 보면 플레이하기 난해한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