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8d697,#e8d697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등장인물 (국가별 · 조직별) | 나자릭 지하대분묘 (소속인물 · 서번트) | |
설정 | 현실 세계 | 위그드라실 (길드) 종족 (리저드맨 · 쿠아고아 · 이형종<언데드 · 드래곤>) 클래스 | 마법 | 아이템(세계급 아이템) 이세계 (원시 마법 · 100년의 여진 · 무투기 · 이세계 아이템 · 모험자 · 워커) | ||
웹 연재판 | 외전 | 비판 | 2차 창작 | ||
애니메이션 (1기 · 2기 · 3기 · 4기) · 평가 플레플레 플레이아데스 극장판 (불사자의 왕 & 칠흑의 영웅 · 성왕국편) | ||
MASS FOR THE DEAD (스토리 · 등장인물 · 플레이어블 캐릭터) | 나자릭의 왕 | }}}}}}}}} |
13영웅 十三英雄 Thirteen Heroes |
1. 개요
판타지 소설 《오버로드》에 나오는 가공의 존재.2. 상세
200년 전, 세계를 혼란에 빠뜨리던 마신을 토벌한 13명의 영웅. 실제 구성원은 더 많고 인간이 아닌 존재도 섞여있었지만, 인간들이 인간종 영웅 위주로만 취급해서 13영웅으로 불리고 있다. 이쪽은 리더를 제외하면 플레이어는 아닌 듯. 마지막 싸움은 신룡이라고 불리던 용이 상대였다고 한다. 이때 영웅의 리더는 함께 걸었던 플레이어 동료를 죽인 충격으로 소생을 거절했다고 하는데, 이 마지막 싸움이 신룡이라는 점 때문에 이 신룡이 과거 위그드라실 당시 리더의 동료 플레이어가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 아니면 당시 함께 했던 백금용왕을 만난 것이 와전되어서 전해진 것일 수도 있다.팔욕왕의 도시 에류엔티우에서 13영웅만은 그곳에서 몇가지 초(超)급 매직 아이템을 들고 나오는 것이 허락되었다고 한다. 플루더 파라다인은 이것이 불가능했기에 자신과 13영웅의 차이에 고심하며 아쉬워하고 있었다.[1]
웹 연재판 언급에 따르면 마법검사, 대신관, 암흑사도사(暗黒邪道師), 성마술사(聖魔術師)가 있었다고 한다.
3. 전력
모두 이세계의 인간들이 절대 도달할 수 없는 경지의 강자들. 제7위계를 구사할 수 있는 자들도 존재한다고 한다.이블아이의 회상과 모몬의 강함에 대한 평가 등으로 추측해 볼 때 적어도 이블아이가 실제로 본 자들 중에서는 100레벨이나 그에 준할 정도로 강했던 멤버는 없었을 가능성이 높다.
4. 소속 인물
* 리쿠 (リク)
|
코믹스 (1부) |
이블아이의 언급으론 리더는 처음엔 단순한 범부였으나 검을 휘두르고 또 휘둘러 누구보다도 강해졌다고 한다. 아마 이세계에 전이했을 때부터 이미 고레벨이었던 다른 위그드라실 플레이어들과 달리 최저 레벨 때 전이돼서 이세계에서 레벨을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저레벨 때 전이된 게 사실이라면 경험치를 획득할 수 있었을 것이므로. 무한히 성장할 수 있는 힘의 소유자.
이블아이가 모몬의 실력을 본 감상이 '기억 속에 있었던 어떤 전사도 능가하는 참격'이였던 것을 보면 '<완벽한 전사 Perfect Warrior>' 마법을 쓴 아인즈보다 약했을 듯하다. 완벽한 전사를 쓴 아인즈가 100레벨 전사가 된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결국 100레벨에는 도달하지 못했으며 매직 캐스터가 퍼펙트 워리어를 썼다 해도 전사계의 페시브나 액티브 스킬등은 못쓰기에 실제 100레벨 전사에는 한참 못 미친다. 그렇기에 강함은 대략 레벨 8~90 정도로 예측할 수 있다.[2]
같은 인간이지만 마법의 힘으로 200살 넘게 장수한 리그리트와 달리 현재는 고인으로 7권에서 밝혀지길 어떤 이유로 함께 걸었던 '플레이어' 동료를 자기 손으로 죽이는 바람에 결국 그 충격을 못 이겨 자신의 죽음이 찾아왔을 때 소생을 거절했기 때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의 죽음은 현재까지도 관련 인물들에겐 큰 트라우마로 남아있다.
위그드라실 플레이어인 만큼 입만 현자처럼 위그드라실에 대한 여러 정보를 가지고 있었으나, 갑작스럽게 사망하여 모든 정보를 동료들에게 알려주지 못했다고 한다.[3]
14권에서 백금용왕이 아인즈와의 대결에서 가명으로 쓰고, 백금용왕의 독백과 회상에 나온 리쿠라는 이름의 인물이 13영웅의 리더의 이름일 가능성이 높다.[4][5]
- 리그리트 베르스 카우라우
자세한 내용은 리그리트 베르스 카우라우 문서 참고하십시오.
- 백금 (白金)
백금용왕이 그 당시 갑옷을 원격조종하는 형태로 영웅들을 도와주었으며 13영웅의 일각으로 전해졌다. 다만 이름 등의 상세한 정보는 알려지지 않아 그의 백금 갑옷의 색을 따서 그냥 '백금'이라 불려질 뿐이다.자세한 내용은 차인도르크스 바이시온 문서 참고하십시오.
* 암흑기사 (暗黒騎士)
검은 갑옷의 기사 영웅으로 사악해 보이는 이미지 탓인지 13영웅 중에서는 취급이 좋지 않으며, 실제로도 인간과 악마의 혼혈이었다. 흑기사라고도 불린다.
이 인물이 사용한 4자루의 검의 성능이 위그드라실의 클래스인 커스드 나이트의 스킬과 상당히 흡사한데,[6] 커스드 나이트가 되기 위해서는 최소 60, 스킬을 익힐 레벨까지 감안하면 70레벨 정도는 되어야 하는지라 아인즈를 놀라게 했다. 다만 청장미의 닌자로부터 위그드라실과는 직업 필요 레벨이 다르다는 떡밥이 나왔으므로, 실제 레벨은 그보다 낮을 가능성이 높다.[7]
* 이자니야 (イジャニーヤ)
13영웅 중 하나였던 초일류의 암살자 영웅. 리그리트와 마찬가지로 진정한 용왕의 지각능력을 피해 접근할 정도의 은신 실력을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현 시점에선 이미 고인이지만 제국의 북동부엔 이자니야의 이름을 딴 암살자 조직이 있는데 이자니야의 제자들이 만든 조직이다.[9]
* 마법공 (魔法工)
13영웅에 속한 드워프의 영웅.
11권에서 마신이 드워프 왕국을 습격했을 때 마신에 맞서 싸운 최후의 왕족인 룬 공왕에 대한 언급이 나오는데, 이 인물이 마법공으로 추측된다. 마신과 싸우러 가면서 왕궁의 보물고에 있던 마법 무기들을 지니고 떠났다고 하는데, 이 무기들 때문에 마법공이라는 이름이 붙었을지도.
* 바람거인 전사장 ([ruby(風巨人,ruby=エアジャイアント)]の戦士長)
'선풍의 도끼'라는 무구를 휘둘렸던 13영웅의 일원으로 리 에스티제 왕국에서는 인간으로 전해지나 사실은 아인종에 속하는 종족, 거인의 아종 중 하나인 바람거인(Air Giant)으로 바다 거인과 친밀한 관계인 성왕국에서는 올바르게 거인으로 전해지고 있는 듯하다.
단순 명칭만 보면 200년 전 당시의 바람거인 일족 중에서도 최강의 전사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웹연재판 당시의 모험자 팀 선풍의 도끼(칠흑의 검에 해당)는 그의 도끼를 찾는 걸 목표로 하여 그런 이름을 붙였다.
* 엘프 왕가의 인물
옛 엘프의 특징[10]을 지닌 엘프 왕족 출신의 13영웅. 이블아이의 언급으로 이야기된 인물.
데켐 호우간과 그의 아버지가 13영웅이란 언급이 전혀 없고, 정체와 행적을 생각하면 둘 다 아닌 것으로 보이며, 데켐의 이복형제이거나 그들 이전에 엘프 나라를 통치했던 전 엘프 왕가 출신일 가능성이 있다.
5. 외부 링크
[1] 13영웅처럼 강력한 매직 아이템이 있으면 '마법의 심연에 도달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 때문이다.[2] 물론 저 평을 반대로 말하자면 이블아이의 250년 인생에서 목격한 전사들 중 모몬 다음으로 가장 강하다는 뜻도 된다.[3] 리그리트도 리더의 선택은 이해는 되지만 너무 이른 죽음이었다며 안타까워했다.[4] 백금용왕이 사용한 리쿠 아가네이아라는 가명 중 리쿠는 누군가의 이름에서 딴거고, 아가네이아는 즉석으로 지어낸 이름인데 아인즈가 자신을 리쿠라 불렸을 때 바로 큰 혐오감과 거부감을 들어낸 반면 아가네이아라 불렸을 땐 별 상관없다며 넘어갔다.[5] 또한 백금용왕이 자신은 이미 손이 더럽혔다고 내심 자책할 때 생각한 이름이 바로 리쿠였으며, 리쿠로부터 세계급 아이템을 2개를 가지고 있는 집단도 있다는 정보를 들었던 독백도 있으니 거의 확정적이다.[6] 아인즈는 이 때문에 이 능력을 검의 힘이 아닌 스킬일 것이라 판단했고, 실제로 킬리네이람은 부정의 에너지를 뿜어낸다고 알려진 것과 다르게 무속성의 힘을 지니고 있었다.[7] 9권에서 나온 바하루스 제국의 4기사 중 한 명이 레이너스 록블루즈가 커스드 나이트 클래스를 보유하고 있다.[8] 아마 여섯팔 중 말름비스트의 무기인 장미가시처럼 작은 상처를 큰 상처로 키우는 능력의 상위호환인 것으로 보인다.[9] 청장미의 일원인 티아와 티나가 속해 있던 암살자 조직이며 현재는 마도국의 산하로 들어간 상태다.[10] 현 엘프 왕족의 상징인 오드아이인지는 불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