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버로드의 등장 리저드맨 | ||||||
자류스 샤샤 | 크루슈 룰루 | 샤슬류 샤샤 | 젠벨 구구 | 스퀴 쥬쥬 | 큐크 주주 | 로로로 |
{{{#e8d697,#e8d697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등장인물 (국가별 · 조직별) | 나자릭 지하대분묘 (소속인물 · 서번트) | |
설정 | 현실 세계 | 위그드라실 (길드) 종족 (이형종) | 클래스 | 마법 | 아이템(세계급 아이템) 이세계 (원시 마법 · 무투기 · 이세계 아이템 · 모험자 · 워커) | ||
웹 연재판 | 외전 | 비판 | 2차 창작 | ||
애니메이션 (1기 · 2기 · 3기 · 4기) · 평가 플레플레 플레이아데스 극장판 (불사자의 왕 & 칠흑의 영웅 · 성왕국편) | ||
MASS FOR THE DEAD (등장인물 · 플레이어블 캐릭터) | 나자릭의 왕 | }}}}}}}}} |
석척인 | 리저드맨 蜥蜴人 | リザードマン Lizard man | |
대표 캐릭터 <자류스 샤샤> |
1. 개요
판타지 소설 《오버로드》에 나오는 가공의 종족이다.2. 상세
TVA |
Ⅱ EP 1 절망의 개막 |
식성은 잡식이지만, 식물이나 과일은 거의 먹지 않고, 80cm 정도 되는 대형 어류를 주식으로 삼고 있다. 성인이 된 수컷 리저드맨의 평균 신장은 190cm 정도이며, 체중은 100kg을 가볍게 넘는데, 이것은 지방이 낀 것이 아닌, 온몸의 근육이 두드러진 상당히 굴강한 육체를 가졌기 때문이다. 허리에는 균형을 잡는데 쓰이는 긴 파충류의 꼬리가 달려 있는데, 꼬리에 영양을 축적하는 성질이 있어 굵은 꼬리를 가진 수컷일수록 이성에게 매력적이라고 여겨진다. 여담으로 특유의 울음소리를 내는 구애 행위가 있다.
코믹스와 애니에서는 수염이나 머리카락이 있는 리저드맨이 몇몇 존재하지만 이는 오류로,[1] 거대 호수에 사는 리저드맨에게는 체모가 없다는 특성이 있다. 다만 다른 지역의 리저드맨에게는 있기도 한 모양. #
문명이 주변의 인간 국가들만큼 발달하지 않아, 고블린이나 오우거처럼 야만족으로 여겨지기 일쑤지만, 아인종 중에서 지능이 비교적 높아 그 나름대로 고유의 문화와 전통이 있으며 종교나 생활 양식도 다 갖추고 있다. 종교의 경우 주로 조상신령을 신앙하는 토속적인 형태다.
원시적인 의북 제작 기술과 문화는 있지만 튼튼한 비늘 가죽 덕분에 인간처럼 의복이 필수적이지 않아, 의복을 아예 입지 않는 리저드맨들이 상당수며 주로 천이나 외투 정도만 몸에 두르는 정도다.
주 무기류는 역시 매우 원시적인데, 그 이유는 애초에 육상에서는 느려지는 신체 구조와 서식지의 문제로 광석을 손에 넣을 기회가 없다 보니 몬스터의 이빨이나 발톱, 뼈로 만든 창, 검, 둔기 혹은 돌로 만든 검과 돌을 매단 둔기를 가장 널리 사용하기 때문이다.
2.1. 종류
* [ruby(석척인 각성 고대종, ruby=리저드맨 어웨이큰드 엘더 블러드)] ([ruby(蜥蜴人覚醒古種, ruby=リザードマンアウェイクン・エルダーブラッド)] / Lizard Man Awakened Elder Blood)[정발본]
외견은 알비노 리저드맨으로 종족명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일종의 격세유전을 통해 태어난 특별한 혈통의 희귀종.[3]
새하얀 비늘 때문에 강한 햇빛에 취약하다는 등 단순히 생존에 어려움이 많은 특성 외에도 부족 사이에선 일반적으로 태어나자마자 불길한 존재 등이란 이유로 죽이는 게 빈번하지만 붉은 눈 부족에서만큼은 알비노가 모종의 재능을 타고난다는 사실이 잘 알려져 있어서 생존에는 문제가 없었다.
3. 능력
전체적인 육체 능력은 인간종보다 훨씬 강인하며 비늘로 덮힌 근육은 천연 방어구 역할을 하여 펑범한 화살 정도론 별 대미지를 못 줄 정도로 튼튼하다.[4]대호수의 리저드맨들은 서식지의 환경에 적응하여 신체구조상 물가와 늪지에서의 기동력이 유리한 반면 육상에선 기능력이 좀 불리하다는 단점이 있다.
작중 인물들의 종족 레벨을 보면 대다수가 다른 아인종들에 비해 종족 고유의 특출난 이점을 크게 받지 못 하는 것으로 추정된다.[5] 다만 높은 지능과 다소나마 발달한 문명으로 어느 정도 커버하는 듯하다.
파충류 계통의 종족이라 그런지 추위에 약한 듯한 묘사가 자주 나왔다. 특히나 4권에서 프로스트 페인의 능력이나 아인즈의 초위마법, 코퀴토스와의 전투 등에서 유독 냉기 공격에는 고생을 하는 모습이 보인다.
3.1. 전력
TVA |
Ⅱ EP 3 집결하는 리저드맨 |
부족 문명 레벨이 낮고, 종족 자체도 그리 강한 것도 아니기에 사실상 이세계 종족들 중에서도 하위권에 속하는 전력을 가졌다.
그러나 전 부족 통합하여 모든 전력을 합친 이후 상태에선 스팩 차이와 무기 상성 등이 유리한 덕분도 있었지만 자신들보다 몇 배 수가 많은 나자릭의 최하급 언데드 군단을 상대로 상당히 유세했다.
그리고 각 리저드맨 부족장들 경우 나름의 실력과 강함을 가졌다.
3.2. 리저드맨 4대 보물
대습지 주변에 서식하는 리저드맨 부족 사이에서는 <4대 보물>이라 불리는 아이템이 존재한다. 모두 특수한 능력을 가진 매직 아이템이며 부족 전체 사이에 대대로 전해져 내려온 명품이다.- 프로스트 페인(凍牙の苦痛 / Frost Pain)
자세한 건 자류스 샤샤 참고.
- 무진장 술독(酒の大壺)
코믹스 (1부) TVA
리저드맨 4대 보물 중 하나. 젠벨이 족장을 맡은 용엄니 부족의 마법 항아리. 높이는 1m 이상, 구경이 80cm 정도 되는 넓이의 커다란 항아리이며, 안에는 항상 술이 가득하다. <무진장 술독>에서 무한히 술이 넘쳐나기 때문이며, 술이 귀중품인 리저드맨들에게는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보물이라 할 수 있다.
항아리에서 나오는 술의 맛은 인간의 미각으로는 맛있다고 하기 힘들지만, 리저드맨에게는 더할 나위 없는 미주여서 손님을 대접할 때에 쓰이곤 한다.
- 화이트 드래곤 본(白竜の骨鎧 / White Dragon Bone)
자세한 건 큐크 주주 참고.
- ?????
나머지 3개의 보물과 달리 언급조차 없다. 작가의 트위터에 의하면 작중에서 등장할 일은 없고 늪지의 쌍둥이 마녀가 가지고 있다고 한다.
4. 사회
TVA |
Ⅱ EP 2 여행 |
리저드맨은 부족 단위로 집단생활을 하며, 부족은 족장을 정점으로 하는 계급사회인 동시에 규율과 계급을 중시하는 부계 공동체 구조이다.
족장은 핏줄로 결정되는 것은 아니며, 부족 내의 의식에 따라 가장 강한 힘을 가졌다고 인정을 받은 자가 족장이 된다. 족장을 선발하는 의식은 몇 년에 한 번 개최된다. 족장 밑으로는 연장자들로 구성된 장로회가 있어 족장을 보좌한다. 장로회 밑에는 속하지 않는 집단도 부족 내에 존재한다. 장로회 밑에는 전사장이 이끄는 전사계급이 있고, 그 아래에 일반 수컷 리저드맨, 일반 암컷 리저드맨, 어린 리저드맨 순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계급제도에 속하지 않는 집단도 부족 내에 존재하는데, 바로 드루이드(사제) 계급과 레인저(수렵조)가 있다. 사제장이 이끄는 드루이드로 구성된 사제들은 날씨 예측, 위험 예지, 치료 마법 같은 일을 생업으로 삼으며 부족 전체의 생활을 보좌한다. 수렵장이 이끄는 레인저들로 구성된 수렵조의 가장 주된 역할은 생활의 양식을 얻기 위한 어업이지만, 일반 리저드맨과 함께 숲 속에 들어가 부족에서 소요되는 목재를 조달하는 일도 하는데 이것은 육상에서는 느려지는 신체구조상 리저드맨이 꺼리는 육지 활동인 만큼 습격받을 위험을 방지할 기술자와 경험자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제와 수렵조는 일반 리저드맨과는 달리 독자적인 판단과 행동을 허락받기는 하지만 그래도 지위는 족장보다 밑이며 족장의 명령에는 따라야 한다.
4.1. 부족
TVA |
작중 시점에서는 <녹색발톱 Green Claw>, <작은송곳니 Small Fang>, <날선꼬리 Razor Tail>, <용엄니 Dragon Tusk>, <붉은 눈 Red Eye>의 5개 부족으로 어느 정도 평화로운 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사실 몇 년 전만 해도 어획량의 감소로 인해 수렵조의 활동 영역이 충돌하면서 부족 간에 큰 전투가 벌어진 일이 있었다.
TVA |
그 외에 샤슬류의 할아버지 대에는 최소 한 부족 이상이 더 존재했으나, 그 당시 일어난 토드맨과의 대전쟁에서 리저드맨이 참패하여 와해되었다고 한다.
각 부족마다 중시하는 분야가 다르다. 붉은 눈은 제사 능력이 우수하고 용엄니는 힘이 모든 것이라 하고, 작은 송곳니는 수렵, 날쌘 꼬리는 방어력이 우수하다. 그리고 지금은 사라진 노랑얼룩은 온건파였고, 벼린칼날은 검술에 능숙했다.
나자릭의 지배하에 들어간 후 모든 부족들이 하나로 통합된 상태이며, 이들 모두가 먹고도 남을 만큼의 양식장을 건설하고, 데미우르고스의 도움으로 치어의 양식도 시도하고 있다. 그리고 양식장의 활성화 전까지 먹을 양식[6][7]도 나자릭에서 받아오는 중으로 샤슬류 말로는 이대로 잘 진행되면 나중에는 지금 리저드맨 숫자의 2배 정도 인구라도 생활에는 문제가 없을 거라고 한다. 마을 주위를 나자릭 올드 가더가 파견되어 순찰을 돌고 있기 때문에 11권에서 자류스의 표현에 따르면 안전하고 먹을 것도 부족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 녹색발톱 (緑爪 / Green Claw)
상징 문장
대호수의 리저드맨 부족 중 하나. 자류스 샤샤가 소속되어 가장 주인공에 가까운 포지션으로 유일하게 부족 중에서 특출난 분야가 언급되지 않았다.
- 붉은 눈 (朱の瞳 / Red Eye)
상징 문장
드루이드의 재능을 지닌 자들이 많은 부족.
다른 부족들과 다르게 드루이드의 마법으로 두꺼운 흙벽을 쌓는 기술을 가지고 있다.[8] 부족 연합이 결성되고 나서 날선꼬리 부족의 부락으로 집결했을 때 전쟁에 앞서서 외벽을 만들고 보강해서 부락의 요새화를 진행시켰다.
과거 식량난으로 여러 부족이 전쟁이 일어났을 때 붉은 눈의 부족장이 강행한 극단적인 동족상잔 방법에 크루슈 필수의 반발 세력이 생겼고, 결국 크루슈 쪽이 승리하였고, 자연스럽게 인구 수가 줄어져 식량난을 극복하게 되었다.
- 용엄니 (龍牙 / Dragon Tusk)
상징 문장
강함이라말로 모든 것이라고 주장하여 모든 부족을 통틀어 최대 무력을 가지고 있고 전쟁을 선호하는 부족.
전쟁에서 패배해 와해한 노랑얼룩과 벼린칼날 부족의 생존자들이 존재한다.
- 작은 송곳니 (小さき牙 / Small Fang)
상징 문장
수렵을 특기로 삼는 부족이며, 레인저로서의 재능을 지닌 자가 많다.
- 날선꼬리 (鋭き尻尾 / Razor Tail)
상징 문장
전 부족을 통틀어 최고의 방어력을 자랑하는 부족.
모두 가죽갑옷으로 단단히 몸을 감싸고 가죽방패까지 든 중장갑전사들이 존재하며, 코믹스에서도 대부분 전사들이 나무 방패와 짐승의 가죽 및 뼈 갑옷을 장비하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노랑얼룩 (黄色の斑 / Yellow Speckle)TVA
현재는 사라진 대호수의 리저드맨 부족으로 온건파 성향이 강한 부족이었다.
과거 식량을 둘러싼 리저드맨 부족 간의 전쟁에서 벼린칼날 부족과 연합하여 녹색발톱, 날선꼬리, 노랑얼룩 3동맹과 싸웠으나 결국 패해 부족 전체가 와해되고 살아남은 일원들은 전쟁에 참가하지 않았던 용엄니 부족으로 흡수되었다.
벼린칼날 (鋭剣 / Sharp Edge)TVA
현재는 사라진 대호수의 리저드맨 부족으로 검술에 능숙한 부족이었다.
과거 식량을 둘러싼 리저드맨 부족 간의 전쟁에서 노랑얼룩 부족과 연합하여 녹색발톱, 날선꼬리, 노랑얼룩 3동맹과 싸웠으나 결국 패해 부족 전체가 와해되고 살아남은 일원들은 전쟁에 참가하지 않았던 용엄니 부족으로 흡수되었다.
4.2. 여행자
자류스 샤샤 | 젠벨 구구 |
족장에게 복종해야만 하는 것이 리저드맨 사회의 철칙이지만, 예외가 존재한다. 그것이 바로 '여행자'라 불리는 자들이다.
리저드맨은 보통 어지간한 사정이 없는 한 태어난 장소를 떠나지 않고 부족 내에서 평생을 보낸다. 그러나 지극히 드물게 부족을 떠나 바깥세상으로 나가기를 바라는 리저드맨이 나타난다. 부족을 떠난 리저드맨은 여행자라 불리며, 부족의 규칙에 따르지 않은 채 자유롭게 행동하도록 허락을 받는다. 그 대가로 여행자는 부족의 비호를 잃으며, 부족을 떠난 자의 증거로 가슴에 낙인을 찍는다.
리저드맨은 원래 폐쇄적인 종족이므로 낙인이 찍힌 여행자가 다른 부족에게 환대를 받는 일은 거의 없다. 따라서 여행자가 다시 집단에서 생활하고자 할 때는 원래 있던 부족으로 돌아올 수밖에 없다. 그러나 오랜 여행을 견디고 생환한 모험자는 드물며, 여행자는 한번 떠나면 돌아오지 않는 것이 통례다. 그렇기 때문에 여행을 마치고 부족으로 돌아온 여행자는, 부족의 이색분자라는 취급은 변함이 없어도 넓은 견문을 가진 지혜로운 존재로 모두가 존중하게 된다.[9][10]
어찌보면 국가 권력의 지시를 받지 않는다는 것에서 인간의 모험자와 유사하다 할 수 있지만 직업 이전의 자유가 있는 모험자와 달리 리저드맨은 낙인으로 인해 평생 여행자라는 신분이 남아서 부외자 취급[11]을 받게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리저드맨의 대표적인 여행자로 자류스 샤샤와 젠벨 구구가 있다.
5. 부족 인물
5.1. 자류스 샤샤
자세한 내용은 자류스 샤샤 문서 참고하십시오.5.2. 크루슈 룰루
자세한 내용은 크루슈 룰루 문서 참고하십시오.5.3. 젠벨 구구
자세한 내용은 젠벨 구구 문서 참고하십시오.5.4. 샤슬류 샤샤
자세한 내용은 샤슬류 샤샤 문서 참고하십시오.5.5. 로로로
자세한 내용은 로로로 문서 참고하십시오.5.6. 스퀴 쥬쥬
자세한 내용은 스퀴 쥬쥬 문서 참고하십시오.5.7. 큐크 주주
자세한 내용은 큐크 주주 문서 참고하십시오.5.8. 기타 인물
* 녹색 발톱 사제장 - 성우: 이자와 마키 / ?
코믹스 (1부) | TVA | 컨셉 아트 |
* 녹색 발톱 전사장 - 성우: 테즈카 히로미치 / ?
코믹스 (1부) | TVA | 컨셉 아트 |
1차 침공 당시 이그바가 등장했을 때 동포들이 도망칠 수 있도록 다른 부족의 전사장들과 함께 시간을 벌기 위해 싸우다 전사했다.
* 붉은 눈 부족의 족장
코믹스 (1부) | TVA |
사실 족장은 식량난을 극복하기 위해 분쟁을 일으켜 부족의 인구를 줄이는 동시에 남은 이들의 단합을 확실하게 시키려고 스스로 악역을 자처한 것이었다.
* 벼린칼날 부족의 족장
리저드맨의 4대 보물 중 하나인 프로스트 페인의 선대 소유자이자 과거 젠벨의 왼쪽 손가락(약지, 소지)을 잘라버린 장본인.[12] 2년 전 부족 전쟁에서 자류스와의 혈투에서 결국 목이 베여 사망했다.[13] 이것이 벼린칼날 부족 와해의 결정적인 이유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 늪지 정령 (湿地の精霊 / Swamp Elemental)
코믹스 (1부) | TVA |
대호수 리저드맨 부족의 비밀병기 중 하나로 원래라면 리저드맨 제사장과 드루이드들이 의식 마법을 통해 소환하는 몬스터인데, 나자릭의 1차 침공 때 다섯 부족의 제사장 모두가 힘을 합친 덕분에 2개체를 생각보다 일찍 소환하는데 성공하여 언데드들을 퇴치하여 리저드맨 쪽의 우세를 잡는 활약을 했으나 이그바의 화염구에 의해 허무하게 퇴장한다.
2차 침공 때 다시 2개체를 소환하여 코퀴토스와 싸우게 되나 프로스트 오라에 움직임이 둔해지고 결국 참신도황 한방에 전멸한다.
* ?????
불사자의 왕! | TVA |
7권에서 크루슈가 임신했다는 언급이 나왔으며, 11권에선 이미 태어나서 걸을 때도 되었다.
여담이지만 자류스나 크루슈와 달리 눈동자 색이 녹색이다.[14]
6. 작중 행적
4권 |
1장 여행 |
4권 |
커버 |
4권 | |
"전사들에겐.미안하지만.수를.줄이도록.하겠다" | "돌격-!" |
일러스트 |
나자릭 편입 이후에는 전 종족이 제대로 통합되어 한 곳에서 모여 살게 되었으며, 부락지에 치어 양식장, 방어 시설 등이 건설되면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아인즈가 자류스를 부활시킨 것을 목격한 이후 일종의 아인즈 신앙을 가지게 되었으며, 아인즈 동상에 리저드맨들이 구하기 힘든 꽃과 대어를 자발적으로 바칠 정도로 신앙하게 되었다. 선별된 리저드맨 전사들을 나자릭의 훈련장에서 훈련을 시키고, 코퀴토스가 이들을 데리고 다니며 거대 호수의 여러 지역으로 원정을 다니면서 실전 경험도 쌓아 전사들의 수준을 향상시키고도 있다.11권의 전개에 따르면 이후 인간 / 드워프들과 교류[16]를 늘릴 계획으로 보이며 의식주가 안정되어 늘어나는 인구 중 상당수를 여행자로 만들 것으로 보인다.
애니에서는 사실상 자류스가 주역으로 맡은 2기의 1~5화와, 아인즈의 부하가 된 이후로는 3기의 1화와 7화[17], 4기의 5화[18]를 끝으로 출연 종료
7. 이미지
7.1. 라이트 노벨
7.2. 코믹스
1부 | 불사자의 왕! |
7.3. 애니메이션
7.4. 컨셉 아트
8. 테마곡
TVA 전용 테마 "습지 마을의 리저드맨" | TVA 전용 테마 "우리 리저드맨에게 패배란 없다" |
9. 게임
오버로드: 나자릭의 왕에서는 젠벨을 제외한 자류스, 크루슈, 샤슬류 샤샤, 스퀴, 큐크 5마리를 플레이어 캐릭터로 입수할 수 있다.10. 여담
일반 오버로드 팬들은 관심 없을지는 몰라도, 용덕후나 공룡덕후 등에겐 관심거리다.오버로드 2기에서 대충 그려진 장면이 많아 작붕의 최대 피해자이며, 원작소설과 달리 스킵된 장면이며 많았으며, 심지어 캐붕까지 일어나기도 했다. 이쯤되면 당시 프로듀서였던 핫토리 유타가 리저드맨을 싫어하는거 아닐까 의심될 정도다. 이후 아인즈의 부하가 된 후의 3기와 4기는 엑스트라 정도로만 가끔씩 출연했다.
[1] 아트북에 따르면 머리카락이 아니라 볏이라고 한다.[정발본] 리저드맨 각성 고대종.[3] 용왕의 피를 흐르고 있어, 부활 마법도 사용할 수 있었다는 전설의 리저드맨의 혈통이 아니냐는 추측이 있다.[4] 스켈레톤 궁수의 화살 쯤은 리저드맨의 비늘을 제대로 뚫지 못하며 설령 운 좋게 박혀도 근육에서 막혀 치명상을 못 준다.[5] 젠벨의 외형이 특징적으로 묘사되는 걸 보면 대부분은 인간, 고블린과 비슷하고 극소수가 간신히 오우거와 비등하거나 이하로 보인다.[6] '다그다의 가마솥'에서 생산된 물고기로 내장과 뼈가 없는 맛있는 물고기다.[7] 자신들 부족 전체가 충분히 먹을 식량을 나자릭에서 만들어 냈다는 것을 보고 족장 샤슬류는 아인즈가 신과 같은 존재냐며 경외심을 품는데, 과거 식량 문제 때문에 다섯 부족이 전쟁까지 치렀던 적이 있었다는 것을 고려하면 이는 리저드맨들의 충성심이 상승하는데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볼 수 있다.[8] 나무로 만든 말뚝과 말뚝 사이에 식물로 토대를 세우고 물기가 적은 흙을 바르고 사제가 마법을 써서 물기를 날린 건지 금이 간 두꺼운 벽을 세운다.[9] 그러나 소설의 전개를 보면 부외자와 비슷한 취급으로 특히 리저드맨 부족 원로들은 여행자를 좋게 생각하지 않았다.[10] 강한자는 대접받는 용엄니 부족만은 예외로 여행자 출신도 족장을 할 수 있었다.[11] 그 때문에 4권 초반에 샤슬류가 자책하고 있고 자류스도 자신에 대한 무시를 감수하는 듯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12] 젠벨의 언급으로는 빙결폭산에 당해 순식간에 패배했다고.[13] 결정적인 패배의 원인은 자류스의 형인 샤슬류에 의해 하루에 3번 밖에 쓰지 못하는 <빙결폭산 Icy Burst>을 전부 사용했기 때문이다.[14] 이 때문에 친자 검사를 해봐야 한다는 드립도 나왔다.#[15] 이것도 코퀴토스가 데려온 병력들의 질이 매우 낮았고, 개인의 무력만이 아닌 전술과 전략 등 여러 재능을 성장시켜 보라는 말에 스스로의 출진이 금지당한 것도 컸다. 거기에 코퀴토스가 지형 등 여러 요소들을 고려하지 않고 병력들을 돌입시킨 게 원인이다.[16] 아인즈가 직접 다른 종족 아이들이 놀러올 야영지를 만드는 건 어떤가 생각 중이기도 하고 리저드맨 마을은 마도국 / 제국에서 모집된 저레벨 모험자들의 모험을 시작할 거점으로서도 손색이 없다.[17] 햄스케의 훈련을 돕고 있었다.[18] 젠벨의 역할이 컷으며, 자류스와 크루슈는 아들을 낳았다. 소설에서는 새 무기도 전사받은걸로 나오나 애니에서는 스킵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