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5 23:00:34

U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슈퍼주니어의 싱글}}}에 대한 내용은 [[U(SUPER JUNIOR)]]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U(SUPER JUNIOR)#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U(SUPER JUNIOR)#|]]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NiziU의 앨범}}}에 대한 내용은 [[U(NiziU)]]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U(NiziU)#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U(NiziU)#|]]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슈퍼주니어의 싱글: }}}[[U(SUPER JUNIOR)]]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U(SUPER JUNIOR)#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U(SUPER JUNIOR)#|]]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NiziU의 앨범: }}}[[U(NiziU)]]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U(NiziU)#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U(NiziU)#|]]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ISO 기본 로마자 (ISO Basic Latin Alphabet)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10px"
Aa Bb Cc Dd Ee Ff Gg Hh Ii
Jj Kk Ll Mm Nn Oo Pp Qq Rr
Ss Tt Uu Vv Ww Xx Yy Zz &
확장 문자
Ææ Ðđ/ð/ɖ Łł Œœ Øø ẞß Ʒʒ İi
Əə Ħħ Ŋŋ Ŧŧ IJij Ŀŀ Ƕƕ LJ/Ljlj NJ/Njnj
Ɔɔ Ȣȣ Ƿƿ Þþ Ƣƣ Ɯɯ Ȝȝ Ꜧꜧ Ɱɱ
Ɛɛ Ƙƙ Ɓɓ Ɗɗ Ꝇꝇ Ʞʞ Ꞃꞃ
Ʀʀ Ꞛꞛ Ꞝꞝ Ꞟꞟ ʭ ʬ ʘ ʗ Ʌʌ
ʖ Ꝛꝛ Ꝝꝝ Ƨƨ Ꝩꝩ 다이어크리틱
숫자
로마 숫자
}}}}}}}}} ||
U / u
<colbgcolor=#ddd,#222> 이름 <colbgcolor=#e7e7e7,#171717> 라틴어 우 (Ū, /u/)
영어 유 (U, /juː/)
네덜란드어, 프랑스어 위 (U, /y/)
독일어 우 (U, /uː/)
스웨덴어, 노르웨이어 위 (U, /ʉː/~/y:/)
아이슬란드어 [1] (U, /ʏː/)
기타 언어 우 (U, /u/)

1. 라틴 문자의 21번째 글자
1.1. 발음1.2. 기타
2. 국제음성기호 [u]3. 기타

1. 라틴 문자의 21번째 글자

라틴 문자의 모음자이지만 원래 라틴어의 라틴 문자에는 없는 글자였는데, 그 때는 U를 V로 적었다. AD 3세기 무렵에 단모음 U와 반모음 V를 구분하기 U를 쓰기 시작했다. 이 흔적은 여러 고유명사에 남아 있는데 스페인의 국가 모토인 PLVS VLTRA(PLUS ULTRA)나 이탈리아 명품 브랜드 불가리(BVLGARI) 등이 있다.

1.1. 발음

한국어와 비교하면 어, 우, 유, 위 등으로 발음된다.

한글 표기에서는 로망스 계통 언어들의 영향으로 'u'가 들어가는 외래어를 대체로 ''로 옮기는 경향이 있다. 정작 이 표기 방식의 주된 대상인 영어에서는 /u/로 날 때가 별로 없고 /ʌ/나 /juː/로 발음하는 경우가 훨씬 많다. H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h는 발음을 제대로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uh로 쓰면 ㅜ로 읽는 게 아니라 ㅓ로 읽게 된다.

/ʊ/ 발음은 양순음이나 순치음이 앞에 올때 가끔 나타나고, /uː/ 발음은 /juː/에서 구개음화가 일어나지 않은 형태로 나타난다. 물론 영어는 특히 표기와 발음의 차이가 큰 언어이므로 한국어 자모처럼 발음과 표기가 1대 1 대응하지 않는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 자모와 대응 비교 참고. 프랑스어, 네덜란드어, 아이슬란드어에서는 /ʏ/~/y/ 발음이고, 스웨덴어노르웨이어에서는 /ɵ/, /ʉː/ 발음이며, 웨일스어에서는 한국어의 ''와 가까운 /ɨ/~/ɪ/ 발음이다. 나머지 언어에서는 대개 /ʊ/~/u/ 발음이다.

1.2. 기타

U는 V가 기원이기 때문에 키릴 문자에서 라틴어 유래 단어의 U를 전사할 때는 U가 아닌 V로 보고 그에 해당하는 키릴 문자인 В로 전사한다. 예를 들어 오로라항공의 오로라(Aurora)는 러시아어에서 아브로라(Аврора)로 표기되고, 오스트리아러시아어에서는 아브스트리야(Австрия)로 옮겨적는다.

영어 알파벳중 중위권에 드는 빈도를 가지고 있지만 영어 모음중에서 Y나 W같은 반모음을 제외하면 빈도가 가장 낮다. 영어에서 U로 끝나는 단어들은 you, thou를 제외하고는 모두 외래어이다.

2. 국제음성기호 [u]

국제음성기호후설 원순 고모음을 표기한다. 한국어의 모음 ''가 이 소리가 난다. u를 /u/로 잘 발음하지 않는 로마자 사용 언어 중에는 영어의 oo(장음) 및 몇몇 o(move 등), 프랑스어의 ou, 네덜란드어의 oe, 웨일스어의 w, 스웨덴어와 노르웨이어의 장음 o, 아이슬란드어의 ú가 /u/ 발음이다. 폴란드어에서는 u가 /u/ 발음이지만, ó도 /u/ 발음이다.

3. 기타

  • 영어에서 대문자로 사용할 경우 발음상 You의 준말이다. 예)How R U? 등. 일일이 shift를 누르기 귀찮기 때문에 소문자로도 많이 쓴다.
  • U보트제1차 세계 대전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해군이 운용한 잠수함으로, 바다 밑의 선박을 뜻하는 "Unterseeboot"의 약자이다. 자세한 내용은 유보트 참고.
  • 의 발굽과 비슷한 모양이다. U자형 자석, 소리굽쇠, U자형 관[2] 등 실생활의 모양에도 많이 사용된다.
  • U는 Under-의 약어로 주로 사용된다.
  • 유비쿼터스의 약자로 사용되기도 한다.
  • HTML에서 사용되는 U는 밑줄태그를 의미한다.
  • 92번 원소인 우라늄의 원소 기호이다.
  • 염기 중 하나인 우라실의 기호이다. RNA에만 있다.
  • 해석학 등의 수학에서 열린집합을 쓸 때 U를 사용한다.
  • Union의 줄임말로 두 집합합집합을 쓸 때에 사용한다. 크게 쓸 경우에는 여러 개의 집합의 합집합을 쓸 때 사용한다.
  • 그리스문자 μ(mu)와 비슷하게 생겨서[3] μ 대신에 쓰이기도 한다. 특히 SI 접두어에서의 μ(마이크로)의 대용으로 쓰이는데, 예를 들어서 μm(마이크로미터)를 um으로 쓰는 식. 물론 타이핑할 때 μ를 쓰기 귀찮아서 u로 대체하는 수준이니 공식적으로 제출해야 하는 문건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유사한 사례로 μtorrent가 있는데, 착각 반에 귀찮음 반이 섞여 utorrent라고 많이들 부른다. 회로도를 디자인하는 프로그램인 OrCAD에서도 값을 입력할 때 u를 쓰면 μ로 인식을 한다. 예를 들면 100uF는 10^(-6) F.
  • 유니티의 NYSE 티커이다.
  • 우장춘은 일본인의 데릴사위가 되면서 창씨개명하였지만 학계에는 자신의 성씨인 우(禹)씨를 고집하면서 U로 표기했다. 논문에 등재된 이름이 Nagaharu U로 였고 우장춘의 삼각형 역시 Triangle of U로 불린다.
  • 용과 주근깨 공주의 주제가이자 MILLENNIUM PARADE노래.
  • TREASURE 미니앨범 수록곡 'U'
  • iKON 정규3집 타이틀곡 'U'
  • 축구 빌드업에서 중앙에서 수비를 공략해내지 못하고 측면으로만 볼이 가면 'U자 빌드업'이라고 한다.
  • N세 이하 선수들이 출전하는 국가대표 대회에 U-18, U-19 등이 붙는다. U는 under이기에, 특정 나이를 초과하는 선수는 출전하지 못한다.
  • 큐브위성에 사용되는 단위로, 1998년 스탠포드 대학에선 우주 비행체에 사용되는 기초적인 구성체[4]가 모두 동일했단 점을 찾아내곤 이를 갖출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가 10㎤의 정육면체라 정의하고 해당 크기를 1U로 규정했다.


[1] '위'와 '외'의 중간 발음이다.[2] 보통 삼투를 다룰 때 나오는 편이다.[3] 다만 μ의 음가는 u가 아니라 m과 같다.[4] 태양 전지판, 컴퓨터, 무선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