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0-30 11:48:28

C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키릴 문자에 대한 내용은 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내용은 C(프로그래밍 언어)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저작권 알림용 특수문자(©)에 대한 내용은 저작권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사전적 의미2. 고유명사3. 기호
3.1. 3번째3.2. 약어
3.2.1. 학문
3.3. 국제음성기호 [c]

1. 사전적 의미

ISO 기본 로마자 (ISO Basic Latin Alphabet)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px -1px -10px"
Aa Bb Cc Dd Ee Ff Gg Hh Ii
Jj Kk Ll Mm Nn Oo Pp Qq Rr
Ss Tt Uu Vv Ww Xx Yy Zz &
확장 문자
Ææ Ðđ/ð/ɖ Łł Œœ Øø ẞß Ʒʒ İi
Əə Ħħ Ŋŋ Ŧŧ IJij Ŀŀ Ƕƕ LJ/Ljlj NJ/Njnj
Ɔɔ Ȣȣ Ƿƿ Þþ Ƣƣ Ɯɯ Ȝȝ Ꜧꜧ Ɱɱ
Ɛɛ Ƙƙ Ɓɓ Ɗɗ Ꝇꝇ Ʞʞ Ꞃꞃ
Ʀʀ Ꞛꞛ Ꞝꞝ Ꞟꞟ ʭ ʬ ʘ ʗ Ʌʌ
ʖ Ꝛꝛ Ꝝꝝ Ƨƨ Ꝩꝩ 다이어크리틱
숫자
로마 숫자
}}}}}}}}} ||
C / c
이름 <colbgcolor=#e7e7e7,#555> 라틴어 케 (Cē, [ke:])
영어 시 (Cee, [siː])
프랑스어 세 (Cé, [se])
독일어 체 (Ce, [t͡seː])
스페인어 세 (Ce, [θe][스페인], [se][중남미])
이탈리아어 치 (Ci, [t͡ʃi])
에스페란토 초 (Co, [t͡so], [t͡sɔ])
로마자 3번째 글자이다.
[clearfix]

1.1. 명칭

C
영어에선 '시'(cee, [siː])라고 하며, 독일어에선 '체'[t͡seː][3], 프랑스어에선 '세'[se]라고 부른다. 영어의 명칭을 한글로 표기해야 할 때는 '시'라고 표기하는 것이 외래어 표기법에 맞다.(예 : PC방->피시방) 하지만 [s] 발음이 대부분 그렇듯이 관습적으로 ''라고 읽고 쓰는 경우가 많다. 실제로 어감상 '시'보다는 '씨'가 더 익숙한 경우가 종종 있다. 등기사항증명서 등 대한민국 법원에서 사용하는 문서의 경우 "씨"가 압도적이지만 간혹 "시"라고 쓰는 경우도 있다. 건물의 C동을 쓸 때 씨동이나 시동 등의 표기를 섞어서 쓴다.

1.2. 기원

그리스 문자 감마(Γ/γ)에서 유래했다. 이 그리스 문자는 페니키아 문자 𐤂(gimel 기멜)에서 왔으며 '낙타', '막대기' 등의 뜻을 지니고 있었다고 한다. 용케도 영어로 '낙타'를 뜻하는 'camel' 역시 이 'gimel'과 동원어 관계에 있다. 페니키아 지역에서야 낙타가 흔해서 글자 이름으로도 썼지만 유럽에서는 외래 산물이었을 테니 그럴 만도 하다.

Γ의 발음은 [g]이고 그리스 문자에서 [k] 발음은 Κ로 나타내지만, 그리스 문자를 받아들였던 에트루리아인들의 말에는 유성음 [g]와 무성음 [k]의 구분이 없었기에 Γ와 Κ가 같은 음가를 나타냈다.[4] 에트루리아인으로부터 알파벳을 받아들인 로마인들의 라틴어에는 [g]와 [k]의 구별이 있었기 때문에 유성음을 따로 표기하기 위해 획을 그어 G를 만들었고 C는 K와 함께 무성음 [k]를 나타낼 때만 쓰이게 되었다.

1.3. 자형

글자 모양은 처음에 그리스 서부 필체를 따라 'ኅ'[5]처럼 생겼다가 시간이 지나며 지금의 'C' 형태가 되었고 로마인들도 이 형태로 받아들여 지금에 이른다. 당시 그리스부터가 통일된 표준 글꼴이 없었기에 이미 감마를 'C' 형태로 쓰는 지역이 많았다.

키릴 문자에서 닮은 문자 С가 있는데 이쪽은 음가가 /s/이다. 그것은 시그마(Σ/σ)에서 따왔다.

스타크래프트 로고의 C를 보면 Γ를 굽힌것처럼 보인다.

1.4. 발음

라틴 문자 중에서 각 언어마다 발음이 가장 다양한 글자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 때문에 로마자를 쓰지 않는 나라에서 자국어를 로마자로 적을 때 C를 단독으로 잘 쓰지 않는다.

로망스어군과 그로부터 어휘를 많이 받아들인 영어에서는 대체로 전설 모음에 해당하는 e, i, y 앞에서와 그밖에서의 발음이 다른데 전자의 C(/s/ 등) 발음을 'soft C', 후자의 C(/k/) 발음을 'hard C'라고 칭한다. 대개 'hard C' 쪽이 파열음으로, 'soft C'의 마찰음/파찰음보다 더 강한 어감을 주기에 그런 듯하다. 이는 로망스어의 기원인 고전 라틴어가 C를 모두 'hard C'로서 [k]로 읽었으나 중세 속라틴어(Vulgar Latin)에서 몇몇 모음에 대해 'soft C' 쪽으로 읽게 된 것이 정착했기 때문이다.

1.4.1. 게르만어파

영어를 제외하면 대체로 라틴계 단어에 쓴다.
1.4.1.1. 영어
영어는 타 게르만어와 달리 /k/ 발음을 대부분 c로 적으며, k는 e, i, y 앞이나 장모음 뒤에 온다.
  • 예외가 많아 아래의 규칙은 절대적이지 않다.
    • ch는 /tʃ/로 발음한다.
    • e, i, y 앞에서는 /s/로 발음한다.
    • 나머지 경우에는 /k/로 발음한다.
    • 단모음 뒤에 오는 ck는 /k/로 발음한다.
  • 아래는 예외의 일부 예이다.
    • character(istic), chemistry, chlorine, Chris, archon과 같이 그리스어 계열은 그리스어의 키(χ)를 옮긴 것이므로 대부분 /k/로 읽는다.
    • cae, coe: a나 o 앞에 c가 오지만 /kae/, /koe/가 아니라 둘 다 /siː/로 발음된다. 대표적인 예로 Caesarcoelacanth가 있다. 이들은 프랑스어 César, cœlacanthe에서 들여왔고, 더 멀리 가면 각각 Καῖσαρ, κοῖλος(속이 빈)+ἄκανθα(척추)에서 왔다. 고대 그리스어의 καῖ, κοῖ가 라틴어 cae, coe로 전해지면서 각각 /kai/, /koi/였다가 /ce/, /ci/로 바뀌었고, 다시 /se/로 바뀌었다. 이 철자가 프랑스어로 전해지면서 καῖ는 cæ로 바뀌었다가 cé로 또 바뀌었고, κοῖ는 cœ로 바뀌었다. 프랑스어가 영어로 전해지면서 철자법이 라틴어식으로 복귀되고, 대모음추이까지 일어나서 cae, coe의 발음이 /si/로 바뀐 것이다.
    • celt, soccer, zincite: c 뒤에 e, i가 오는 데도 /k/발음으로 읽는다. celt의 c는 c를 항상 /k/로 발음하는 켈트어파의 영향인데, 영어를 쓰는 사람들도 헷갈리는지 /s/로 발음하기도 한다.
1.4.1.2. 독일어
독일어는 원래 몇몇 규칙만 외우면 쓰여 있는 그대로 발음되는 것으로 유명하지만, 단자음 c가 들어가는 단어는 프랑스어 출신 외래어인 경우가 많은 터라 발음이 다양하다. 다만 Coburg, Cottbus 등 독일 내 몇몇 지명은 C로 시작한다.
  • c는 /k/ 또는 /t͡s/ 발음이지만, 그마저 각각 'k', 'z'로 표기가 바뀌므로(예: Camera→Kamera, Citrone→Zitrone) 단자음 c가 들어가는 단어는 대부분 근래에 들어온 외래어이다.
  • ch는 어두에서 거의 쓰이지 않는다.[6] 굳이 찾아보면 그리스계 낱말의 경우 /k/, 프랑스계 낱말의 경우 /ʃ/ 발음이다. 그 밖의 경우 a, o, u 뒤에서 /x/로, e, i 뒤에서 /ç/, s 뒤에서 /k/ 발음이다. '흐/xɯ/'나 '히/çi/'를 발음하면 소리가 떨리는 것이 느껴질 텐데, 그 느낌으로 'ㅎ'을 소리내면 된다.
  • ck는 단자음 뒤에서만 쓰이고 /k/ 발음이다.
  • sch는 /ʃ/, tsch는 /tʃ/ 발음이다. 외래어의 /dʒ/ 발음은 dsch로 적는다.
1.4.1.3. 네덜란드어
영어보다는 덜하지만 c가 몇몇 라틴계 단어에서 제법 쓰인다. 다만 /k/ 발음은 대체로 k로 적는 편이다.
  • c는 전설모음 앞에서 /s/, 후설모음 앞에서 /k/이다.
  • ch는 독일어와 비슷하게 /x/이지만, sch는 /sx/이다.
1.4.1.4. 북게르만어군
  • c는 전설모음 앞에서 /s/, 후설모음 앞에서 /k/이다. 다만 hard c는 공통적으로 k로 바꿔 적고, soft c는 덴마크어와 스웨덴어에서 그대로 적지만 노르웨이어, 아이슬란드어, 페로어에서는 s로 바꿔 적는다. 어중의 hard c + soft c도 덴마크어와 스웨덴어는 그대로 두지만 나머지는 -ks-로 바꿔 적는다.
    • 덴마크어에서 ch는 한국어 '시'와 비슷한 /ɕ/이다.
    • 스웨덴어에서 ch는 /ɧ/ 혹은 /ɕ/이다. ck는 /k/ 발음이며, 단자음 뒤에서만 쓰인다. '그리고'를 의미하는 och는 옥[ɔk] 혹은 오[ɔ]로 발음한다.

1.4.2. 로망스어군

1.4.2.1.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카탈루냐어
  • e, i, y(프랑스어 한정) 앞에서는 /s/, 그밖에는 /k/로 발음한다. 이 모음 앞에서 /k/로 발음되는 자음군은 qu이다.[7]
  • 본토 스페인어는 c를 e, i 앞에서 /θ/로 발음한다. 아래 언어들과 달리 e, i 앞을 제외한 환경에서는 z로 바꿔 쓴다.
  • 프랑스어와 포르투갈어, 카탈루냐어에서 e, i를 제외한 모음 앞에 c를 /s/로 발음되도록 하려면 c 아래에 세디유를 붙여 ç로 쓴다.
  • ch는 프랑스어와 포르투갈어에서 /ʃ/, 스페인어에서 /t͡ʃ/ 발음이다.
  • 프랑스어에서 cœ의 경우는 좀 복잡하다. cœur의 c는 /k/로, cœlacanthe의 c는 /s/로 발음된다. 전자의 어원인 라틴어 cor에서 c가 /k/로 발음되므로 cœur의 c도 /k/로 발음된다. 후자는 영어 문단 참고.
1.4.2.2. 이탈리아어, 루마니아어
  • e, i[8] 앞에서는 /tʃ/, 그밖에는 /k/로 발음한다.
    • 이탈리아어의 sc는 e, i 앞에서 /ʃ/, 그 밖에는 /sk/로 발음한다.
  • e, i 앞에 오는 c를 /k/로 발음하려면 중간에 h를 삽입한다.[9]

1.4.3. 슬라브어파

항상 /ts/로 발음한다. 슬라브어 계통이 아닌 헝가리어, 알바니아어, 발트어파도 마찬가지.
  • 폴란드어와 체코어에서 ch는 /x/ 발음이며, 체코어에서 알파벳 순서는 ch가 h 다음이다.
  • 폴란드어와 세르보크로아트어의 ć는 /ȶɕ/ 발음이다.
  • 체코어, 슬로바키아어, 세르보크로아트어, 발트어파의 č, 알바니아어의 ç, 헝가리어의 cs는 /tʃ/로 발음한다.
  • 폴란드어의 cz는 /ʈʂ/로 발음한다.

1.4.4. 기타

  • 중국어 한어병음에서 c는 설첨 파찰음 /tsʰ/로 발음하고, ch는 권설음(혀를 말아서 내는 소리) /ʈʂʰ/로 발음한다.
  • 에스페란토에서 c는 /ts/로, 수페르시그노(^)가 있는 ĉ는 /tʃ/로 발음한다.
  • 마인어 및 일부 아프리카 언어에서는 /tʃ/로 발음한다. 예외로 소말리어에서는 /ʕ/, 줄루어에서는 흡착음 /ǀ/ 발음이다.
  • 베르베르어에서는 ⵛ를 로마자로 표기하면 c이며, 발음은 /ʃ/이다.
  • 튀르키예어아제르바이잔어튀르크어족에서 c는 영어의 j와 같이 /dʒ/로 발음하고[10], ç는 영어의 ch와 같이 /tʃ/로 발음한다.
  • 게일어군에서 c는 /k/ 발음이고, 경구개음일 때 /c/ 발음이다. ch는 /x/ 발음이고, 경구개음일 때 /ç/ 발음이다. 로망스어군과 마찬가지로 k를 쓰지 않는다.
  • 베트남어에서는 a, o, u 앞이나 모음 뒤에만 오며, /k/로 발음한다. 이 발음을 e와 i 앞에서는 k로, u+(다른 모음) 앞에서는 대개 q로 적는다. ch는 모음 앞에서 /c/로, 모음 뒤에서 /jk/로 발음한다.
  • 피지어에서는 /ð/로 발음한다.
  • 줄루어에서는 치 흡착음 /ǀ/로 발음한다.
  • 몇몇 언어에서는 diacritic이 있는 형태나 이중문자 ch의 형태로만 쓰인다. 몰타어의 ċ, 우즈베크어의 ç(ch)는 모두 /tʃ/ 발음이다.

2. 고유명사

3. 기호

3.1. 3번째

3.2. 약어

3.2.1. 학문

  • 탄소(carbon)를 나타내는 원소 기호 C
  • 수학에서 상수(constant)를 나타내는 약어.[11] 부정적분에서 나오는 적분 상수는 C로 많이 사용한다.
  • 수학에서 여집합([math(\complement)])을 나타내는 기호로도 쓰인다. 주로 위첨자(Ac)의 형식으로 쓰인다.
  • 전하량의 단위인 C(쿨롬)이다. 1C=1A*1s.
  • 정전용량을 나타내기도 한다. [math(Q=CV)]
  • 건조한 대륙성(continental) 기단을 뜻한다. 소문자로 표기한다.
  • 광속의 기호. 라틴어 celeritas에서 유래하였다. 소문자로 표기한다. 그 유명한 질량-에너지 동등성의 c이다.
  • 참(charm) 쿼크[12]의 기호. 소문자로 표기한다.

3.3. 국제음성기호 [c]

[c]는 좀 더 혀뿌리 쪽에서 나는 경구개 파열음으로 지정되어 있다. 체코어와 슬로바키아어의 Ť/t', 알바니아어의 q, 헝가리어의 ty, 베트남어의 ch 및 tr, 라트비아어의 Ķ 등이 /c/ 발음을 나타낸다.


[스페인] [중남미] [3] 한국어 ㅔ보단 혀 위치가 조금 높아서 한국인한텐 로 들리기도 한다. 근데 독일 사람들은 용케 '이/i/'하고 구별한다.[4] Q 역시 이러한 이유로 [k\]로 발음이 합쳐진 글자이다.[5] 이 문자는 설명을 위하여 에티오피아에서 쓰이는 그으즈 문자 중에서 그나마 모양이 비슷한 것을 일단 가져와 쓴 것이다. 그으즈 문자에서 C와 기원이 같은 문자는 ገ이다.[6] Chemnitz, Chamchin(러시아어 Хамхын에서 옴) 등 고유 명사에서는 쓰는 듯하다.[7] 단, 프랑스어에서 qu는 후설모음 앞에서도 쓰이며, 발음은 마찬가지로 /k/이다. /kw/ 발음은 스페인어에서 항상 cu로 쓴다.[8] 이 언어에서 y는 외래어 표기 이외에는 쓰지 않는다.[9] qu는 이탈리아어에서 항상 /kw/ 발음이고, 루마니아어에서는 쓰이지 않는다.[10] 아랍 문자 ﺝ가 라틴 문자 C와 조상이 같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두 문자 모두 전통적인 순서대로라면 해당 문자군의 3번째 자모이다.[11] k도 상수로 쓴다. 독일어 Konstante(컨슈탄테)에서 유래한 듯.[12] 한국어 표현은 맵시 쿼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