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4 23:59:47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지역예선/유럽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지역예선

역대 FIFA 월드컵 지역예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유럽, 남미, 아프리카,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오세아니아, 대륙PO
1930 FIFA 월드컵 우루과이
1934 FIFA 월드컵 이탈리아/지역예선
1938 FIFA 월드컵 프랑스/지역예선
1950 FIFA 월드컵 브라질/지역예선
1954 FIFA 월드컵 스위스/지역예선
1958 FIFA 월드컵 스웨덴/지역예선
1962 FIFA 월드컵 칠레/지역예선
1966 FIFA 월드컵 잉글랜드/지역예선
1970 FIFA 월드컵 멕시코/지역예선
1974 FIFA 월드컵 서독/지역예선
1978 FIFA 월드컵 아르헨티나/지역예선
1982 FIFA 월드컵 스페인/지역예선
1986 FIFA 월드컵 멕시코/지역예선
1990 FIFA 월드컵 이탈리아/지역예선
1994 FIFA 월드컵 미국/지역예선
1998
프랑스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2002
한국·일본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2006
독일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2010
남아프리카 공화국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2014
브라질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2018
러시아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대륙PO
2022
카타르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대륙PO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남미, 북중미카리브,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유럽, 대륙PO
}}}}}}}}} ||
1. 개요2. 시드 배정3. 조편성
3.1. 1조3.2. 2조3.3. 3조3.4. 4조3.5. 5조3.6. 6조3.7. 7조3.8. 8조3.9. 9조
4. 플레이오프5. 최종 본선 진출 국가

1. 개요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의 유럽 지역 예선을 정리한 문서이다.

2. 시드 배정

포트 1 포트 2 포트 3 포트 4 포트 5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61점)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2.11점)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1.89점)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1.38점)
파일:조지아 국기(1990-2004).svg 조지아
(0.83점)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2.60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2.10점)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1.88점)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1.33점)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0.80점)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2.50점)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2.06점)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1.65점)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1.31점)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0.75점)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2.39점)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2.05)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1.63점)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1.20점)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0.67점)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2.38점)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2.00점)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1.63점)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마케도니아
(1.17점)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0.55점)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2.30점)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2.00점)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1.61점)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1.15점)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0.45점)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2.28점)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2.00점)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50점)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11점)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0.39점)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2.25점)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1.94점)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1.44점)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1.00점)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0.39점)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2.22점)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1.94점)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1.40점)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1.00점)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0.25점)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0.20점)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0.00점)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0.00점)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0.00점)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0.00점)
※ 위 포트 배정은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의 유럽 지역예선UEFA 유로 2000 예선전의 경기당 평균 승점을 기준으로 배정됨.
  • 프랑스는 이전 대회 디펜딩 챔피언 자격으로 지역예선이 면제되었다.

3. 조편성

3.1. 1조

<rowcolor=white>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10 7 2 1 18 5 +13 23
2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10 5 5 0 17 9 +8 20
3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10 5 4 1 22 8 +14 19
4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10 4 2 4 18 12 +6 14
5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 10 2 1 7 6 23 -17 7
6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10 0 0 10 4 28 -24 0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러시아가 8년 만에 직행했다. 한편 러시아가 두 구 유고 연방 국가들의 운명을 갈라놓았는데, 슬로베니아가 러시아와 모두 비기며 승점을 까먹지는 않은 반면, 유고슬라비아는 1패를 떠안으면서 탈락했다. 그리고 이 대회가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이 유고슬라비아라는 이름으로 출전한 마지막 대회가 되었다. 2003년부터는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국명을 바꿨기 때문이다.

3.2. 2조

<rowcolor=white>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10 7 3 0 33 7 +26 24
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10 7 3 0 23 5 +18 24
3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10 6 2 2 30 9 +21 20
4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10 2 2 6 10 26 -16 8
5 파일:키프로스 국기(1960–2006).svg 키프로스 10 2 2 6 13 31 -18 8
6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10 0 0 10 5 36 -31 0
본선 진출 | 대륙간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3강 3약이 명확히 나뉜 조에서 당시 루이 반 할 감독이 이끌던 네덜란드가 포르투갈에 패하며, 아일랜드에게도 밀려 탈락하는 이변이 발생되었고, 네덜란드와 같이 유로 2000 4강에 진출했던 포르투갈이 16년 만에 직행했다.

3.3. 3조

<rowcolor=white>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10 6 4 0 22 6 +16 22
2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10 6 2 2 20 8 +12 20
3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10 5 2 3 14 15 -1 17
4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10 4 1 5 14 20 -6 13
5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 10 3 2 5 11 12 -1 11
6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10 0 1 9 4 24 -20 1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상위 3팀이 최종전까지 치열한 접전을 벌인 끝에 덴마크가 2연속 본선 직행에 성공한다. 체코는 몰타 원정에서 통한의 0-0 무승부를 기록한 것이 두고두고 발목을 잡아 승점 2점 차로 플레이오프에서 밀려났고, 20세기만 해도 동유럽의 상당한 강팀으로 평가받던 불가리아는 체코와의 최종전 단두대 매치에서 0-6으로 참패하며 이후로는 전력이 계속 약해지면서 월드컵 플레이오프 근처에도 근접하지 못하고 있다. 헝가리와 비슷한 운명을 맞게 된 셈.

3.4. 4조

<rowcolor=white>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10 8 2 0 20 3 +17 26
2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10 6 3 1 18 8 +10 21
3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10 5 2 3 16 9 +7 17
4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마케도니아 10 1 4 5 11 18 -7 7
5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10 1 3 6 6 20 -14 6
6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10 1 2 7 4 17 -13 5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3.5. 5조

<rowcolor=white>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10 6 3 1 21 11 +10 21
2 파일:우크라이나 국기(1992-2006).svg 우크라이나 10 4 5 1 13 8 +5 17
3 파일:벨라루스 국기(1995–2012).svg 벨라루스 10 4 3 3 12 11 +1 15
4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10 2 4 4 12 14 -2 10
5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 10 1 6 3 10 12 -2 9
6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10 0 5 5 7 19 -12 5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1990년대의 강호였던 노르웨이가 예상치 못하게 몰락하면서 혼전 양상으로 흘러가다가 어느 순간부터 폴란드가 독주하면서 8차전에서 본선 직행을 확정지었다. 그리고 PO 마지막 한 자리를 놓고 우크라이나와 벨라루스의 접전이 되었지만 벨라루스가 웨일즈 원정에서 패배하며 우크라이나가 승자가 되었다.

3.6. 6조

<rowcolor=white>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8 5 3 0 15 2 +13 18
2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8 5 2 1 25 6 +19 17
3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8 4 3 1 12 6 +6 15
4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8 1 1 6 5 16 -11 4
5 파일:산마리노 옛 국기(~2011).png 산마리노 8 0 1 7 3 30 -27 1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상위 3팀이 마지막까지 치열한 접전을 벌였고 결국 마지막 경기에서 크로아티아가 벨기에와의 홈 경기에서 후반 30분 앨런 보크시치의 골로 직행에 성공했다. 반면 스코틀랜드는 6,7차전인 크로아티아, 벨기에와의 2연전에서 1무 1패를 기록하며 결국 낙마했다.

3.7. 7조

<rowcolor=white>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8 6 2 0 21 4 +17 20
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8 4 3 1 10 8 +2 15
3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8 3 3 2 11 7 +4 12
4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8 2 2 4 12 12 0 8
5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8 0 0 8 0 23 -23 0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1강 5약의 조인지라 누가 본선에 직행할지는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었다. 결국 예상대로 스페인이 본선에 직행했다. 스페인은 오스트리아 원정과 이스라엘 원정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경기를 전승으로 장식했다. 오스트리아는 홈에서 이스라엘을 이기고 원정에서 비겨 플레이오프에 진출했다. 그리고 본선에 가서도 대한민국과 승부차기를 할 때까지 단 한 번도 패하지 않았다.

3.8. 8조

<rowcolor=white>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이탈리아 8 6 2 0 16 3 +13 20
2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8 5 1 2 10 7 +3 16
3 파일:조지아 국기(1990-2004).svg 그루지야 8 3 1 4 12 12 0 10
4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8 2 2 4 14 13 +1 8
5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8 0 2 6 3 20 -17 2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2강 3약의 조, 조지아가 헝가리에 비해 선전했고 이탈리아가 루마니아와의 맞대결을 모두 승리하며 직행했다.

3.9. 9조

<rowcolor=white> 순위 국가 경기수 득점 실점 득실차 승점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8 5 2 1 16 6 +10 17
2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8 5 2 1 14 10 +4 17
3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8 3 3 2 12 7 +5 12
4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8 2 1 5 7 17 -10 7
5 파일:알바니아 국기(1992–2002).svg 알바니아 8 1 0 7 5 14 -9 3
본선 진출 | 플레이오프 진출 | 탈락


당시 녹슨 전차라고 불리던 독일이 잉글랜드와 같은 성적을 기록했지만, 운명을 가른 것은 득실차였다. 독일은 홈에서 잉글랜드에게 1-5로 대역전패를 당하는 바람에 결국 본선직행에 실패하고 PO로 떨어졌다. 핀란드는 독일 홈과 원정에서 비기는 등 선전했으나 아깝게 벽을 넘지 못했다. 잉글랜드는 웸블리 스타디움[1]에서 열린 첫 경기에서 독일에 0-1로 패배하며 케빈 키건 감독이 경질되고 스벤예란 에릭손 체제에서 순항하다가 마지막 경기인 그리스와의 홈경기에서 1-2로 끌려갔으나 데이비드 베컴이 후반 추가시간에 극적인 프리킥 동점골로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여담으로 오토 레하겔이 이 무렵 그리스의 새로운 감독이 됐는데 3년 후 유로에서 대형 사고를 칠줄은 아무도 몰랐다.

4. 플레이오프

  • 아일랜드는 대륙간 PO에 배정되어 이란과 대결하여 승리한 덕분에 진출했다.
<rowcolor=white> 팀 1 팀 2 1차전 2차전 합산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1-0 1-0 2-0
파일:우크라이나 국기(1992-2006).svg 우크라이나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1-1 1-4 2-5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2-1 1-1 3-2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0-1 0-5 0-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 최종 본선 진출 국가

국가명 진출 자격 예선전적 성적/골득실 진출횟수 최근 출전 최고성적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자동진출[2] 없음 없음 11회 1998 우승
[FRA]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최종예선
1조 1위
7승 2무 1패 승점 23 / +13 9회 1994 4위
[4]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최종예선
2조 1위
7승 3무 0패 승점 24 / +26 3회 1986 3위
[POR]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최종예선
3조 1위
6승 4무 승점 22 / +16 3회 1998 8강
[DEN]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최종예선
4조 1위
8승 2무 승점 26 / +17 10회 1994 준우승
[SWE]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최종예선
5조 1위
6승 3무 1패 승점 21 / +10 6회 1986 3위
[POL]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최종예선
6조 1위
5승 3무 승점 18 / +13 2회 1998 3위
[CRO]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최종예선
7조 1위
6승 2무 승점 20 / +17 11회 1998 4위
[ESP]
파일:이탈리아 국기(1946-2003).svg.png 이탈리아 최종예선
8조 1위
6승 2무 승점 20 / +13 14회 1998 우승
[ITA]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최종예선
9조 1위
5승 2무 1패 승점 17 / +10 11회 1998 우승
[ENG]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유럽 플레이오프
승자 1
6승 2패 승점 17 / +19 11회 1998 4위
[BEL]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유럽 플레이오프
승자 2
5승 2무 1패 승점 17 / +4 15회 1998 우승
[GER]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유럽 플레이오프
승자 3
5승 5무 승점 20 / +8 1회 첫 출전 없음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유럽 플레이오프
승자 4
6승 3무 1패 승점 21 / +10 2회 1954 조별리그
[TRY]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대륙간 플레이오프
승자
9승 1무 승점 24 / +18 3회 1994 8강
[IRL]

[1] 리노베이션 이전 마지막 경기였다.[2] 전 대회 우승국으로서 자동 진출[FRA] 1998[4] 1966[POR] 1966[DEN] 1998[SWE] 1958[POL] 1974, 1982[CRO] 1998[ESP] 1950[ITA] 1934, 1938, 1982[ENG] 1966[BEL] 1986[GER] 1954, 1974, 1990[TRY] 1954[IRL]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