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6 03:02:46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여자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세르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풋살 대표팀에 대한 내용은 세르비아 풋살 국가대표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wiki style="color: #1868D6;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555; margin: -6px -1px -12px"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그리스
네덜란드
노르웨이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독일
라트비아
러시아자격정지
루마니아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룩셈부르크
리투아니아
리히텐슈타인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몰도바
몰타
벨기에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북마케도니아
북아일랜드
불가리아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스웨덴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산마리노
세르비아
스웨덴
스위스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스코틀랜드
스페인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르메니아
아이슬란드
아일랜드
아제르바이잔
파일:안도라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안도라
알바니아
에스토니아
오스트리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파일:웨일스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우크라이나
웨일스
이스라엘
이탈리아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잉글랜드
조지아
지브롤터
체코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카자흐스탄
코소보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페로 제도 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튀르키예
페로 제도
포르투갈
폴란드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핀란드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프랑스
핀란드
헝가리
파일:아시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아프리카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북중미카리브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남미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파일:오세아니아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파일:유럽 축구 연맹 로고.svg 남자 · 여자 · 풋살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104172>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세르비아 제국 · 세르비아 공국 · 세르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왕국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문화 세르비아 요리 · 세르비아어 ·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세르비아 정교회 · 세르비아/관광
정치 대통령 · 국민의회 · 행정구역
경제 경제 전반 · 세르비아 디나르
외교 외교 전반
군사 세르비아군 · 제3세계
지리 보이보디나 자치주 · 코소보 및 메토히야 자치주
사회 세르비아 마피아
민족 슬라브 · 세르비아인(세르비아계 미국인 · 세르비아계 러시아인) · 슬로바키아계 세르비아인
}}}}}}}}} ||
파일: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Фудбалска репрезентација Србије
<colbgcolor=#cc2727> FIFA 코드 SRB
축구 협회 세르비아 축구 협회
대륙 연맹 유럽 축구 연맹
홈 경기장 스타디온 라이코 미티치
(Stadion Rajko Mitić / 53,000석)
별명 Бели Орлови (하얀 독수리)
감독
[[세르비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Dragan Stojković)
주장단
C
니콜라 밀렌코비치 (Nikola Milenković)
VC
프레드라그 라이코비치 (Predrag Rajković)
라이벌
[[알바니아|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알바니아


[[크로아티아|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코소보|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코소보
FIFA 랭킹 33위 (2024년 10월 24일 기준 / #)
Elo 랭킹 21위 (2024년 11월 16일 기준[1] / #)
웹사이트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표팀 기록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c2727> A매치 최다 출전 두샨 타디치 (Branislav Ivanović)
- 111경기 / 23골
A매치 최다 득점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Aleksandar Mitrović)
- 95경기 / 59골
월드컵 최다 득점 드라잔 예르코비치 (Dražan Jerković)
- 4골 (1962)
첫 국제경기 출전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vs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체코슬로바키아 0:7
(벨기에 안트베르펜 / 1920년 8월 28일)
최다 점수차 승리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vs
[[베네수엘라|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베네수엘라 10:0
(브라질 쿠리치바 / 1972년 6월 14일)
최다 점수차 패배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vs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체코슬로바키아 0:7
(벨기에 안트베르펜 / 1920년 8월 28일)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vs
[[우루과이|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우루과이 0:7
(프랑스 파리 / 1924년 5월 26일)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vs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체코슬로바키아 0:7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 / 1925년 10월 28일)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5px -10px -5px"
{{{#ffffff {{{#!folding [ 대회별 성적 보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c2727> 세계대회
월드컵 [진출] 13회
[최고] 4위 (1930, 1962)
올림픽 [진출] 6회
[최고] 파일:트위터 금메달 이모지.svg (1960)
대륙대회
유로 [진출] 5회
[최고] 파일:트위터 은메달 이모지.svg (1960, 1968)
}}}}}}}}}}}} ||
유니폼 컬러 [2] 원정
상의
하의 10 7
양말
1. 개요2. 역사3. 유리멘탈4. 역대 감독5. 선수 명단6.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7. 역대 전적8. 연령별 대표팀
8.1. U-23 대표팀
8.1.1. 올림픽

[clearfix]

1. 개요

세르비아축구 국가대표팀.

동구권 전통의 축구 강국이자 유고슬라비아 연방 시절 재능있는 선수들을 많이 배출해냈으며, 하얀 독수리(Beli Orlovi)라는 별명이 있다. 유명한 선수로는 2010년대 첼시 FC의 황금기를 이끈 주역 중 하나인 브라니슬라프 이바노비치,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FC에서 활약한 네마냐 비디치네마냐 마티치, FC 인테르나치오날레 밀라노의 레전드 데얀 스탄코비치, SS 라치오의 에이스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AFC 아약스의 돌풍을 주도한 두샨 타디치, 풀럼 FC에서 활약한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아인트라흐트 프랑크푸르트의 에이스였던 루카 요비치, 필립 코스티치, 크리스탈 팰리스 FC의 주장이었던 루카 밀리보예비치, 마지막으로 현 최고의 유망주로 유벤투스 FC에서 뛰는 두샨 블라호비치 등이 있다. 유니폼 스폰서는 푸마이다.

2. 역사

2.1. 유고슬라비아 시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10px-Yugoslav_Football_Federation_1990.png
유고슬라비아 축구 연맹 엠블럼

발칸 반도와 동구권의 강호로 명성을 떨쳤으며, 현재 공식적으로 유고슬라비아 시절 역사를 계승한다. 국내 리그로 유고슬라비아 1부 리그를 운영했고, 국내 리그도 클럽 축구계에서 실력있는 리그로 평가받았다. 유고슬라비아 왕국 시절이던 1930년 초대 월드컵 4위를 시작으로 유고슬라비아는 국제 축구계에서 줄곧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한다. 2차 세계대전 이후 요시프 티토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으로 다시금 축구계에 등장해 1950년 월드컵부터 1962년 월드컵까지 4회 연속 월드컵 본선 진출을 이루어냈으며, 1954년 스위스 월드컵, 1958년 스웨덴 월드컵에서 잇따라 8강에 올랐고, 1962년 칠레 월드컵에서 32년만에 월드컵 4강에 다시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또한 1960년 유럽 선수권 대회, 1968년 유럽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하며 동구권의 강호로 성장했다. 당시 유럽 선수권 대회는 본선 진출국이 불과 4개국이었기 때문에 그만큼 치열한 예선을 뚫고 올라온 유고슬라비아의 저력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이 시기 대한민국1962 칠레 월드컵 지역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에서 3-1, 5-1로 가볍게 이기며 대한민국에 세계 무대와의 수준 차이를 제대로 느끼게 했다.[3]

그러나 그동안 동유럽의 강호를 자처했던 유고슬라비아는 1970년대에 접어들자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하며 연이은 지역예선 탈락을 경험한다. 1966년 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 실패를 시작으로 흔들리기 시작하더니 1970년 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 실패, 1972년 유로 4개국(4강) 본선에 진출 실패하고, 1974년 월드컵 8강 7위[4], 1976년 유로 4위의 성적으로 정신을 차리는 듯 하더니 다시 1978년 월드컵 16개국 본선에 진출 실패와 1980년 유로 8개국(8강) 본선에 진출 실패했다. 소련과 함께 꾸준함의 상징이었던 유고슬라비아는 본선 진출을 장담할 수 없는 팀이 되어갔고 다시금 본선에 올라간 1982년 월드컵 24개국 본선에 진출하였으나, 당시 12강[5]에 진출 실패(16등)하였으나, 그 후 1984년 유로 8개국(8강) 본선에 진출하여 유로 8위 기록하였다.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 8강 5위를 기록하며 부활하는 듯했으나,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인해 유고슬라비아는 분열되었고, 유고슬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은 1990년 FIFA 월드컵을 마지막으로 국제 무대에서 모습을 감추었다. 유로 1992 지역예선에서 압도적인 모습으로 본선 진출을 확정지었으나 유고슬라비아 내전이 터지는 바람에 침략국으로 낙인찍혀 국제 무대에서 축출당했고, 그로 인해 조 2위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이 대신 유로 1992에 나가는 일이 일어났다.[6][7]
게다가 1990년대 이후 1970년대 후반~80년대 초반 출생의 탑급 유망주들이 어마어마하게 쏟아졌고, 1987년 FIFA 청소년 월드컵에서 우승도 했기 때문에 만약 이 지역이 독립하지 않고 그대로 유고슬라비아로 지속되었다면, 그리고 유고슬라비아 내전이 일어나지 않았더라면 어땠을까 하는 떡밥은 축구팬들 사이에서 오랜 논쟁이 되었다. 이 시기 그야말로 유럽 축구계에 족적을 남긴 유고 출신 명선수들이 엄청나게 많았기 때문인데 선수 목록을 살펴보자면,
사페트 수시치(Safet Sušić) - 보스니아[8]
흐리스토 비다코비치 사비치(Hristo Vidaković Savić) - 보스니아
다르코 판체프 (Дарко Панчев) - 북마케도니아
네나드 마슬로바르(Nenad Maslovar) - 몬테네그로
데얀 사비체비치(Dejan Savićević) - 몬테네그로
프레드라그 미야토비치(Predrag Mijatović) - 몬테네그로
드라간 스토이코비치(Драган Стојковић) - 세르비아
고란 부녜브체비치(Горан Буњевчевић) - 세르비아
고란 조로비치(Горан Ђоровић) - 세르비아
슬라비샤 요카노비치(Славиша Јокановић) - 세르비아
시니샤 미하일로비치(Синиша Михајловић) - 세르비아
블라디미르 유고비치(Владимир Југовић) - 세르비아
드라간 판텔리치(Драган Пантелић) - 세르비아[9]
보라 밀루티노비치(Бора Милутиновић) - 세르비아[10]
밀린코 판티치(Милинко Пантић) - 세르비아
즐라트코 자호비치(Zlatko Zahovič) - 슬로베니아
알렌 부치시치(Alen Vučkić) - 크로아티아
다보르 슈케르(Davor Šuker) - 크로아티아
즈보니미르 보반(Zvonimir Boban) - 크로아티아
로베르트 야르니(Robert Jarni) - 크로아티아
로베르트 프로시네치키(Robert Prosinečki) - 크로아티아
이고르 슈티마츠(Igor Štimac) - 크로아티아
드라잔 예르코비치(Dražan Jerković) - 크로아티아

등등 이외에도 많다. 이들이 유고슬라비아라는 한 국가 아래에서 뛸 수 있었다면 적어도 유로월드컵 등 메이저 대회 우승은 한 번 차지할 수 있었겠지 않았겠느냐는 이야기다. 실제로 당시 이들이 활약한 1980년대~1990년대 초반 유고 대표팀 및 유고 청소년 대표팀은 공포의 대명사였다.[11]

그러나 1990년대 유고슬라비아 내전으로 인해 UEFA 유로 19921994 미국 월드컵을 비롯한 1990년대의 메이저 대회에 출전하지 못하게 되었고, 마케도니아, 슬로베니아,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등이 차례로 독립하더니 몬테네그로도 떨어져 나가면서 유고 축구팀은 완벽히 해체되었다. 결정적 계기는 보스니아 내전. 내전이 시작하자마자 미국, 영국 등 서방 세계의 NATO 가입국들의 주도로 보스니아 내 세르비아계에게 무기와 자금을 지원하는 신 유고 연방에 대한 경제 제재와 무역 금수 조치가 단행되었고, UN은 신 유고 연방을 유고슬라비아(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후신으로 인정하지 않아 사실상 UN에서도 쫓겨났다. 가장 큰 타격을 입은 부분은 스포츠 부분이었다. 올림픽이나 FIFA 월드컵, 유니버시아드 대회 등 각종 국제 스포츠 경기에서도 경기 출전 금지령까지 내려진 것.

그렇게 벌어진 유로 1992에서 당시 유고슬라비아는 1991년 지역예선에서 7승1패 승점 14점으로 4조 1위를 차지했으나 이듬해 유고슬라비아 내전으로 인해 모든 국제 활동이 금지되면서 8개국(8강) 본선 유로 진출권을 박탈당했다. 당시 같은 조 2위는 6승1무1패 승점 13점[12]이던 덴마크였는데, 대회 개막 1주일을 앞두고 잉글랜드와 친선전을 가지려던 덴마크는 갑작스런 통보를 받고 8개국(8강) 본선 유로에 진출하여 프랑스, 스웨덴, 네덜란드, 독일을 차례로 따돌리고 동화같은 우승을 차지했다. 그나마 전쟁이 수습된 후인 1998년 월드컵 때는 세르비아-몬테네그로로 구성된 신 유고연방과 크로아티아가 각각 월드컵에 진출했고, 이 대회에서 유고슬라비아는 16강(10위)에 오르는 준수한 성적을 냈지만 크로아티아가 월드컵 3위에 오르는 돌풍을 일으켰다.[13]

만약 구 유고 연방이 붕괴되지 않고 이 대회에 출전하여 크로아티아의 멤버 외에 다른 유고 연방 계열 국가의 멤버들이 함께 뛰었더라면 더 좋은 성적을 올릴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도 사실이다. 이건 2020년대 들어서도 마찬가지라서, 얀 오블락한다노비치의 슬로베니아를 필두로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마티치, 두샨 타디치 , 두샨 블라호비치,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등을 배출한 세르비아나, 그바르디올, 모드리치, 라키티치, 코바치치를 보유한 크로아티아, 아미르 라흐마니를 보유한 코소보와 엘리프 엘마스를 보유한 북마케도니아, 스테판 사비치를 보유한 몬테네그로 선수들을 조합해보면 유럽 내 어느 강호팀을 상대로도 꿀리지 않는 막강한 스쿼드를 구축할 수 있다. 베스트 일레븐을 대략 짜보자면...
FW
이반 페리시치
FW
두샨 블라호비치
FW
두샨 타디치
{{{#!wiki style="margin: -16px -11px" MF
루카 모드리치
MF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MF
마테오 코바치치
MF
엘리프 엘마스
}}}
DF
요슈코 그바르디올
DF
스테판 사비치
DF
아미르 라흐마니
GK
얀 오블락

이 정도가 되겠다. 여기에 좀 더 엄밀한 계산을 위해 외국으로 피난하여 정착한 난민과 그 2세 선수들까지 포함했다.[14]

유고슬라비아 내전 이후 월드컵마다 구 유고슬라비아 연방 구성국 2개국이 진출하는 징크스가 있다.
1998 FIFA 월드컵 프랑스 - 신유고연방, 크로아티아
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 -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2006 FIFA 월드컵 독일 - 세르비아-몬테네그로, 크로아티아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2014 FIFA 월드컵 브라질 -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세르비아, 크로아티아

이들 중 토너먼트 진출한 팀은 크로아티아(1998년 3위, 2018년 준우승)와 신 유고 연방(1998년 10위(16강))이 있고, 나머지는 죄다 월드컵에서 최소 1승은 챙겼다. 반대로 구 유고 연방 구성국 중에 진출하지 못한 나라는 북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코소보 3국이다. 특히 연방 해체 이후 유고를 실질적으로 계승한 세르비아보다 유고에서 독립해나간 크로아티아가 분리 독립 이후 훨씬 국제 무대에서 좋은 성적을 올리는 것은 아이러니한 부분이다. 크로아티아가 1992년 독립한 이후 월드컵, 유로 모두 단 한번씩을 제외하고 전부 본선에 진출한 반면, 세르비아는 몬테네그로와 분리한 2006년 이후 유로는 한 차례도 나가보지 못했고, 우승후보가 된 크로아티아와 비교가 된다.

하지만 세계 최강 브라질을 상대로 8골이나 득점한 유일한 나라라는 나름 자랑할만한 기록(1934년 스코어 8:4)이 있다.[15] #

한국과의 상대 전적은 4승 3무로 절대 우세이나 이는 어디까지나 유고슬라비아 시절 전적이고 이후의 전적은 아래의 문단 참조.

2.2.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

1992년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공화국이 붕괴되면서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이 구성되었을 때 생겼으며, 2003년 국호 변경을 거쳐 연방이 해체한 2006년까지 존재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1px-SiCGFSLogo.png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 축구 연맹 엠블럼

UEFA 유로 2004 예선 진행중에 국호의 변경이 있었다. 이탈리아, 웨일스, 핀란드, 아제르바이잔과 한 조가 되었는데 이탈리아에는 2무, 웨일스에는 2승을 거두고도 아제르바이잔에 1-2로 패하며 조 3위로 탈락했다.

2006 FIFA 월드컵 독일에선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이름으로 지역예선에서 스페인을 플레이오프로 밀어내고 조 1위로 본선에 직행하는 기염을 토한다. 네마냐 비디치 - 믈라덴 크르스타이치 중앙 수비 라인과 미드필더에 데얀 스탄코비치, 공격진에 마테야 케즈만, 니콜라 지기치, 사보 밀로세비치 등 중량감 있는 라인업으로 기대를 모았으나 본선에서는 무기력한 모습의 극치를 보여주고 만다. 아르헨티나에 무려 0-6 대패를 당하면서[16] 이 대회 최다 실점을 당하는 굴욕을 겪었고 네덜란드에 0-1, 코트디부아르에 2-3로 지면서 3전 전패, 2득 10실점을 당하며 최하위로 탈락했다. 특히 마지막 경기 코트디부아르전에서는 2-0으로 앞서다가 대역전패를 당하며 최악의 마무리를 하고 만다. 당시 몬테네그로가 분리 독립을 결정한 상태에서 대회를 나가 분위기가 뒤숭숭한 상황에다가 일리야 페트코비치 감독이 자신의 아들 두샨 페트코비치를 부상으로 대회에 불참한 미르코 부치니치의 대체 선수로 발탁했다가 여론의 반발에 시달려 최종 엔트리에서 제외해서 다른 참가국들과 달리 한 명 더 적은 선수로 대회에 나간데다가, 훗날 유럽 최고의 수비수 중 하나가 된 네마냐 비디치가 네덜란드와의 경기를 징계로 인해 나오지 못하고, 아르헨티나와의 경기 직전 입은 부상으로 한 경기도 뛰지 못해서 사실상 21명의 선수로 대회에 참가하게 된 것이 결정적이었다.[17]

한국과는 2005년 서울에서 평가전을 가졌으며, 최진철이동국의 골로 한국이 2-0으로 승리했다. 이후의 상대 전적은 아래의 문단 참조.

2.3. 세르비아 분리 이후

몬테네그로와 공식적으로 분리되면서 세르비아 단독으로 대표팀을 꾸리게 되었다. 세르비아 대표팀도 결코 무시하지 못할 동유럽의 강호이지만 이름값에 비해 성적이 나오지 않는 대표팀으로 유명하다. 월드컵 본선에 2010년, 2018년, 2022년 세 차례 진출했으나 모두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고, 같은 시기 유럽 선수권 본선에는 단 한차례도 오르지 못하는 굴욕을 겪었다. 유럽 안에서는 고춧가루 팀이지만 유럽을 벗어나면 별 볼 일 없다. 옆동네 크로아티아와 비교되는 것이, 전체적으로 팀 선수들 레벨에 비해 자주 메이저 대회에서 광탈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다. 선수 면면만 봐도 알렉산다르 콜라로프, 브라니슬라프 이바노비치 네벤 수보티치, 두샨 바스타 등 개개인의 이름값이 화려하고, 그 전 세대로 거슬러 올라가봐도 네마냐 비디치, 데얀 스탄코비치 등 유럽 빅클럽에서 활동하는 선수들이 많은데 의아하다고 여겨질만 하다. 비록 스트라이커 포지션이 약점으로 평가되긴 하지만 이상하리만치 성과가 나지 않는다.

대략적인 스타일은 힘에 의존하는 축구를 구사하며, 전반적으로 잠갔다가 롱볼을 때리는 투박한 축구를 한다. 이런 축구 스타일 때문에 세르비아로 분리된 초창기부터 현재까지 기동력을 앞세운 축구에 매우 취약하다. 중동이나 남미팀처럼 침대 축구로도 악명이 높은데, 무려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같은 극강의 팀들을 상대로 침대 축구를 한다. 2006년 독일 월드컵 지역예선에서는 스페인에게 수비축구와 침대 축구를 적절히 섞은 퍼포먼스를 시전하며 스페인을 플레이오프로 밀어냈고 2010년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독일을 본선 조별리그에서 승리했다.

UEFA 유로 2008 예선에선 포르투갈, 폴란드에는 한 번도 안 져놓고 유럽 최약체급인 카자흐스탄에 2-1로 패해 결국 본선 진출에 실패하였다.

2010 남아공 월드컵에서는 지역예선에서 프랑스를 플레이오프로 밀어내고 본선으로 진출했다. 비록 또다시 죽음의 조에 걸렸지만 비디치와 콜라로프, 이바노비치, 스탄코비치, 크라시치, 판텔리치, 지기치 등 공수 양면에서 탄탄한 멤버들을 앞세워 대회에서 주목할만한 다크호스로 떠올랐다. 그러나 가나를 상대로 수비수 루코비치의 퇴장과 쿠즈마노비치의 핸드볼 파울 및 PK 허용으로 1-0으로 패배하면서 첫 단추를 잘못 끼웠다. 2차전에서 우승후보 독일을 1-0으로 이기긴 했지만 최종전에서 상대적으로 약체로 여겨졌던 호주에 패하면서 2회 연속 월드컵 조예선 꼴찌로 탈락했다. 특히 최종전인 호주전에서 이기면 무조건 진출, 비겨도 2골 이상 넣고 비기면 진출이라는 유리한 경우의 수를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기회를 날려버린 것이라 더더욱 아쉬울 결과다.

UEFA 유로 2012도 지역예선에서도 탈락했는데, 유럽에서 약체로 평가받는 에스토니아에게 홈에서 1-3으로 완패를 당하는 충격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 2014 브라질 월드컵 예선에서는 벨기에,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웨일스, 스코틀랜드와 같은 조를 이뤄서 그래도 해볼만하다는 평을 받았지만 정작 안방에서 벨기에에 0-3으로 대패했고 마케도니아에도 원정에서 1-0으로 패하면서 마케도니아와 3위 쟁탈전을 벌일 지경에 처했다. 7차전까지 3위를 유지했지만(마케도니아는 꼴찌 추락) 2위 크로아티아와 9점이나 승점차가 있기에 사실상 진출은 물 건너갔다.

UEFA 유로 2016 예선에서는 1차전 원정 경기에서 아르메니아와 고전 끝에 겨우 1-1로 비겼고 2차전 안방경기로 알려진 알바니아전은 그만 취소되었다. 코소보 전쟁으로 사이가 나쁜 두 나라인데 세르비아 베오그라드 파르티잔 스타디움에서 벌어진 3차전은 전반이 끝나기 직전 경기장 위로 알바니아의 과거 영토와 국가 위상을 찬양하는 깃발을 단 무인기가 등장하면서 폭발하게 된다. 세르비아의 스테판 미트로비치는 이를 잡아채 깃발을 뽑아버렸고 이를 본 알바니아 선수들이 달려들어 몸싸움을 벌였다. 여기에 관중까지 난입하며 경기장은 순식간에 아수라장으로 변했다. 결국 경기는 중단됐고 선수들은 자리를 떠났다. 하지만 흥분한 팬들은 터널을 통해 경기장을 빠져나가는 알바니아 선수들을 향해 오물을 투척하고 발길질을 하는 등 사태는 진정되지 않았다. 세르비아 공영방송 TRS는 귀빈석에서 무인기 조종을 지시한 혐의로 알바니아 총리의 형제인 올시 라마를 체포했다고 보도했다. 이 사태로 결국 양팀 모두 징계를 받게되었으나 최종 결과, 알바니아가 몰수승을 거두며 2위로 올라선 반면, 몰수패당한 세르비아는 가장 먼저 탈락했다. 자세한 것은 여기를 참고할 것.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지역예선에서는 아일랜드, 웨일스, 오스트리아, 조지아, 몰도바와 묶이며 최상의 조 편성을 받았고, 물고 물리는 접전 끝에 조 1위를 차지하며 8년만에 월드컵 본선에 복귀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빈공이 발목을 잡은 과거와 달리 이번 예선에선 전 경기 득점에 성공하면서 단 1패만 기록한 채 탄탄한 모습을 보인 것이 본선에서의 기대치를 올렸다. 특히 2015 FIFA U-20 월드컵 우승 멤버들과 기존의 멤버들이 잘 융화된 스쿼드로 신구 조화도 잘 되었다는 평이다. 본선에서도 1차전 코스타리카알렉산다르 콜라로프의 전매특허 프리킥으로 1-0으로 제압하면서 좋은 출발을 알렸다. 그런데 2차전에서 조 2위 싸움의 가장 큰 경쟁자 스위스에게 이기면 16강 확정이었으나 1-2로 역전패를 당한 것이 뼈아팠다. 특히 세르비아 입장에선 오심으로 손해를 본 경기였기 때문에 더더욱 안타까울 판이고, 마지막 브라질전에서는 어쩔 수 없는 전력차를 실감하며 0-2로 지면서 또다시 토너먼트 진출에 실패했다.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루카 요비치, 마르코 그루이치 등 특급 유망주들이 출전했지만 그루이치는 출전하지 못했고, 나머지 선수들도 아직은 설익은 모습을 보여줘 아쉬움을 남긴 대회다.

이어 치러진 UEFA 유로 2020 예선에서 더 부진한 모습을 보여줬다. 포르투갈, 우크라이나,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와 한 조에 걸리며 직행 티켓이 쉽지 않겠다는 예상이었으나 우크라이나에게 0-5 대패를 당하고 리투아니아, 룩셈부르크에게도 한점차의 아슬아슬한 승부를 하면서 승리를 챙기는 등 불안한 모습을 연달아 보이면서 조 3위로 밀려버렸다. 다행히 새로운 예선 룰의 수혜를 받아 플레이오프에는 진출했다. 2020년 10월에 치러진 플레이오프 준결승 노르웨이전에서는 연장 접전 끝에 2-1로 이기면서 결승에 진출했지만, 11월 결승에서 만난 의외의 복병 스코틀랜드와의 경기에서 승부차기 가는 접전 끝에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의 실축으로 패배했다. 세르비아 국명으로 첫 유로에 진출할 기회를 이로써 또다시 날려버렸다.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에서는 지난 월드컵 때의 유망주들이 팀의 주축으로 자리잡고 노련한 주장 두샨 타디치와 특급 공격수로 성장한 두샨 블라호비치 등 신구 조합이 잘 이루어져 포르투갈을 플레이오프로 밀어내고 본선으로 직행했다. 이 기세면 세르비아의 라이벌 크로아티아는 멤버들의 노화로 기량이 약화되었다는 평가를 받았기에 세르비아가 더 좋은 모습을 보일수도 있는 기회였다. 그러나 지난 러시아 월드컵 때 같은 조였던 브라질, 스위스에게 복수도 실패하고, 무조건 잡아야 하는 카메룬에게도 3-3으로 비기며 승점 1점에 그치고 최종성적 1무 2패로 또다시 탈락의 맛을 봐야했다.

세르비아 단독 대표팀 구성 이후 성적은 유고 시절과 너무 차이가 날 만큼 부진하다. 2006 월드컵 이후 세르비아 대표팀이 조직되어 현재까지 월드컵 2회 진출에 본선 2승 4패, 토너먼트 진출 0회를 기록중이고, 유로 대회 출전 0회라는 참담한 성적이다. 이 기간 U-20 대표팀이 2015 FIFA U-20 월드컵 우승을 거뒀고, U-23 대회인 올림픽 축구에서도 2008년에 본선 진출에 성공하는 등 연령별 대회에서의 성과에 비하면 매우 초라한 성적이다. 2024년 현재 U-20 월드컵 우승의 주역들이 대표팀 주축으로 거듭나는 세대교체 중이지만 성과는 미미하다.

UEFA 유로 2024 예선에서는 헝가리, 몬테네그로, 리투아니아, 불가리아와 같은 조가 되었고 마침내 4승 2무 2패의 성적으로 조 2위를 기록해 24년만의 유로 본선 진출이자 세르비아 출범 이후 첫 유로 진출에 성공했다.

한국과의 상대 전적은 1승 1무 1패로 백중세. 2009년 영국 런던에서 경기를 가졌으며, 당시에는 니콜라 지기치의 골로 세르비아가 1-0 승리를 거두었다. 이후 2011년 서울에서 다시 한 번 평가전을 가졌으며, 이때는 박주영김영권의 골로 한국이 2-1로 승리했다. 6년 뒤인 2017년 울산에서 세 번째 경기를 가졌는데 세르비아의 날카로운 역습으로 선제골을 넣었지만, 애매한 판정에 의한 구자철의 PK로 동점이 되었다. 이후 구자철이 이근호와 교체되면서 이근호-손흥민 조합이 빛을 보게 되어 후반 막판에는 대한민국에게 일방적으로 가패당하면서 손흥민의 날카로운 슈팅 세례가 줄을 이었고, 데뷔전을 치른 골키퍼의 미친 선방으로 결국 추가 득실점 없이 경기가 끝났다. 세르비아 대표팀으로서의 성적은 이렇지만, 유고슬라비아 시절의 기록까지 합한다면 5승 4무 2패로 한국에게 우세하다.

청소년 대표팀은 2015년 FIFA U-20 월드컵에서 우승 후보로 언급된 브라질을 2-1로 이기고 세르비아 분리 이후 처음으로 메이저 대회에서 우승했다.(1987년 칠레 대회에서 유고슬라비아 시절 서독을 제치고 우승한 것까지 합치면 2번째)

3. 유리멘탈

2000년대부터 상당한 전력에도 불구하고 큰 대회에서 어이없는 점수차로 무너지거나 역전승을 허용하는 등 유리멘탈의 모습들을 곧 잘 보여준 팀이다.

유고슬라비아 시절인 유로 2000 8강전에서는 네덜란드에게 6-1로 무너졌고[18], 2006년 월드컵 조별본선[32강]에서는 아르헨티나에게 6-0으로 무너진 후 조별본선 마지막 게임인 코트디부아르전에서는 2-0으로 앞서던 게임을 2-3으로 역전패 당했다.

2010년 월드컵에서는 조별 본선[20] 2차전에서 독일을 이겨놓고도 3차전에서 사실상 탈락이 확정된 호주에게 패배하고[21], 2018년 월드컵에서는 이기기만 하면 16강에 오를 수 있는 스위스 전에서 선제골을 넣어놓고도 동점골을 먹히고 경기 종료 직전에 역전골을 내줘 역전패 하는 등 큰 게임에 약한 모습을 계속 보여줬다.[22]

2022년 월드컵에서는 예선에서 포르투갈을 밀어내고 월드컵 본선에 직행하며 이번에도 기대감을 잔뜩 불러모았지만, 본선에서는 조 최약체로 꼽혔던 카메룬을 상대로 3-1로 이기고 있다가 순식간에 2골을 내주며 비기고 말았고, 반드시 승리해야 했던 경기이자 저번 대회의 복수를 할 기회였던 스위스 전에서는 역전에 역전을 거듭하다가 끝내 패하며 조 4위로 월드컵을 마감, 그것도 빨리 팀을 다독여서 멘탈을 잡아야할 때 상대 스위스 선수와 감정싸움이나 하는 등 유리멘탈의 끝을 보여줬다.

정작 비슷하게 유고 연방에서 분리된 크로아티아는 더 적은 인구에도 불구하고 월드컵 토너먼트에 나가면 좋은 성적을 내주는 것과 대조되는 모습이다.

월드컵은 그래도 본선에 나가기라도 하지만, 유로는 2000년 대회를 마지막으로 못 나가보다가 24년 만인 2024년 대회에 진출했다. 16개국 본선 진출로 치러진 대회들은 그렇다 치더라도[23] 2016년 대회부터는 본선 진출국이 24개국으로 늘었는데도 2대회 연속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24] 정작 더 적은 본선 티켓이 주어지는 월드컵 예선은 줄곧 통과하면서[25] 유로 예선에서는 죽을 쑤는 모습이 참 아이러니.

4. 역대 감독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red><tablebgcolor=red> 파일: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555555,#aaaaaa
2006년 ~ 현재
1대
클레멘테
파일:스페인 국기.svg
2대
주키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3대
안티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4대
페트로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5대(대행)
추르치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6대
미하일로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7대(대행)
드루로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8대
아드보카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9대
추르치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0대
무슬린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1대
크르스타이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2대
툼바코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3대(대행)
스톨리차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4대
스토이코비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 ||

5. 선수 명단

{{{#!wiki style="color:#ffffff;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000000
<rowcolor=#fff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득점소속 클럽
GK 1 프레드라그 라이코비치
(Predrag Rajković)
1995년 10월 31일 ([age(1995-10-31)]세) 28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이티하드 FC
12 조르제 페트로비치
(Djordje Petrović)
1999년 10월 8일 ([age(1999-10-08)]세) 2 0 파일:프랑스 국기.svg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 바냐 밀린코비치사비치
(Vanja Milinković-Savić)
1997년 2월 20일 ([age(1997-02-20)]세) 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FC
DF 2 코스타 네델코비치
(Kosta Nedeljković)
2005년 12월 16일 ([age(2005-12-16)]세) 1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아스톤 빌라 FC
3 스트라히냐 파블로비치
(Strahinja Pavlović)
2001년 5월 24일 ([age(2001-05-24)]세) 33 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
4 니콜라 밀렌코비치
(Nikola Milenković)
1997년 10월 12일 ([age(1997-10-12)]세) 57 3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노팅엄 포레스트 FC
5 얀카를로 시미치
(Jan-Carlo Simić)
2005년 5월 2일 ([age(2005-05-02)]세) 1 0 파일:벨기에 국기.svg RSC 안데를레흐트
6 스르잔 바비치
(Srđan Babić)
1995년 10월 31일 ([age(1996-04-22)]세) 8 1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13 알렉사 테르지치
(Aleksa Terzić)
1999년 8월 17일 ([age(1999-08-17)]세) 6 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16 스트라히냐 에라코비치
(Strahinja Eraković)
2001년 1월 22일 ([age(2001-01-22)]세) 9 1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23 알렉산다르 요바노비치
(Aleksandar Jovanović)
1999년 2월 15일 ([age(1999-02-15)]세) 3 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파르티잔
- 네마냐 구델
(Nemanja Gudelj)
1991년 11월 16일 ([age(1991-11-16)]세) 64 1 파일:스페인 국기.svg 세비야 FC
- 밀로시 벨코비치
(Miloš Veljković)
1995년 9월 26일 ([age(1995-09-26)]세) 17 0 파일:독일 국기.svg SV 베르더 브레멘
- 에르한 마쇼비치
(Erhan Mašović)
1998년 11월 22일 ([age(1998-11-22)]세) 0 0 파일:독일 국기.svg VfL 보훔
- 필립 믈라데노비치
(Filip Mladenović)
1991년 8월 15일 ([age(1991-08-15)]세) 34 1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FC
MF 7 벨리코 비르만세비치
(Veljko Birmančević)
1998년 3월 5일 ([age(1998-03-05)]세) 8 0 파일:체코 국기.svg AC 스파르타 프라하
10 사샤 루키치
(Saša Lukić)
1996년 8월 13일 ([age(1996-08-13)]세) 50 2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풀럼 FC
11 라자르 사마르지치
(Lazar Samardzic)
2002년 2월 24일 ([age(2002-02-24)]세) 12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아탈란타 BC
14 안드리야 지브코비치
(Andrija Živković)
1996년 7월 11일 ([age(1996-07-11)]세) 50 1 파일:그리스 국기.svg PAOK FC
17 이반 일리치
(Ivan Ilić)
2001년 3월 17일 ([age(2001-03-17)]세) 20 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토리노 FC
19 크리스티얀 벨리치
(Kristijan Belić)
2001년 3월 25일 ([age(2001-03-25)]세) 1 0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AZ 알크마르
20 마르코 그루이치
(Marko Grujić)
1996년 4월 13일 ([age(1996-04-13)]세) 15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FC 포르투
21 스테판 미트로비치
(Stefan Mitrović)
2002년 8월 15일 ([age(2002-08-15)]세) 3 0 파일:벨기에 국기.svg 아우트헤버를레이 뢰번
22 밀란 알렉시치
(Milan Aleksić)
2005년 8월 30일 ([age(2005-08-30)]세) 0 0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선덜랜드 AFC
- 필립 코스티치
(Filip Kostić)
1992년 11월 1일 ([age(1992-11-01)]세) 64 3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페네르바흐체 SK
- 세르게이 밀린코비치사비치
(Sergej Milinković-Savić)
1995년 2월 27일 ([age(1995-02-27)]세) 54 9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네마냐 막시모비치
(Nemanja Maksimović)
1995년 1월 26일 ([age(1995-01-26)]세) 49 0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FC
- 네마냐 라도니치
(Nemanja Radonjić)
1996년 2월 15일 ([age(1996-02-15)]세) 44 5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FW 8 루카 요비치
(Luka Jović)
1997년 12월 23일 ([age(1997-12-23)]세) 22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AC 밀란
9 페타르 라트코프
(Petar Ratkov)
2003년 8월 18일 ([age(2003-08-18)]세) 2 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FC 레드불 잘츠부르크
18 조르제 요바노비치
(Đorđe Jovanović)
1999년 2월 15일 ([age(1999-02-15)]세) 3 0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파르티잔
-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Aleksandar Mitrović) 파일:주장 아이콘.svg
1994년 9월 16일 ([age(1994-09-16)]세) 94 58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힐랄 SFC
- 두샨 블라호비치
(Dušan Vlahović)
2000년 1월 28일 ([age(2000-01-28)]세) 30 13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유벤투스 FC
일정 UEFA 네이션스 리그 2024년 9월 6일(금)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2024년 9월 9일(월) 원정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4년 9월 8일
}}}}}}}}}}}} ||

6.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wiki style="margin: -1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D0000, #cc2727 20%, #cc2727 80%, #DD0000)"<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cc2727> 파일: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FIFA 센추리 클럽 가입 선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ddd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순서 선수 이름 출전 횟수 첫 경기 마지막 경기
1 두샨 타디치 111회 2008.12.14 2024.6.25
2 브라니슬라브 이바노비치 105회 2005.6.8 2018.6.22
3 데얀 스탄코비치 102회 1998.4.22 2013.10.11
사보 밀로셰비치 1994.12.23 2008.11.19
}}}}}}}}}}}}}}} ||

7. 역대 전적

7.1. FIFA 월드컵

FIFA 월드컵 통산 랭킹: 14위
④④⑧⑧⑧⑧
연도라운드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유고슬라비아 왕국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4강[26] 4위 6 3 2 0 1 7 7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년 브라질
조별리그[28] 5위 6 3 2 0 1 7 3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8강 7위 4 3 1 1 1 2 3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8강 5위 5 4 1 2 1 7 7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4위[29][30] 9 6 3 0 3 10 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8강[32] 7위 5 6 1 2 3 12 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조별리그[34] 16위 4 3 1 1 1 2 2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8강[36] 5위 10 5 3 1 1 8 6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실격[37]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16강 10위 7 4 2 1 1 5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세르비아 몬테네그로[39]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조별리그[40] 32위 0 3 0 0 3 2 10
※ 세르비아 공화국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조별리그[41] 23위 3 3 1 0 2 2 3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조별리그 공동 22위[43] 3 3 1 0 2 2 4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조별리그 29위 1 3 0 1 2 5 8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중미
? ? ? ? ? ? ? ? ?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2030년 월드컵
? ? ? ? ? ? ? ?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2034년 사우디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13회 / 4위 2회 63 49 18 9 22 71 71

총 성적 18승 9무 22패 승점 63점으로 월드컵 랭킹 14위를 기록하고 있다. 2018년 대회가 끝난 시기를 기점으로 13위를 기록했으나, 카타르 월드컵에서 멕시코가 1승 1무 1패로 승점 4점을 추가한 반면 세르비아는 시종일관 처참한 경기력 끝에 1무 2패로 승점 1점만 추가하는 데 그치며 순위가 역전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시절의 오래된 얘기긴 하지만 4강에만 두 번이나 진출했으며, 가장 경쟁이 치열한 유럽임에도 월드컵에 13번이나 올라갔을 정도로 유럽의 강호다. 현재 세르비아를 포함해 크로아티아, 보스니아, 북마케도니아까지 한가닥 하는 나라들이라 유고가 분열되지 않았으면 얼마나 강했을까하는 떡밥은 심심하면 나오는 축구계의 흔한 떡밥이다. 게다가 여기에 더해 코소보 쪽에도 좋은 선수들이 많이 나오는지라 이 조합이 하나가 된다면 상상 이상의 강팀이 나왔을지도 모른다.

다른 나라들과의 상대 전적은 다음과 같다. 볼드체로 표기한 팀은 월드컵 우승국이다.
브라질: 1승 2무 3패(1930, 1950, 1954, 1974, 2018, 2022)
독일: 2승 1무 4패(1954, 1958, 1962, 1974, 1990, 1998, 2010)
아르헨티나: 1무 1패(1990, 2006)
스페인: 1승 1패(1982, 1990)
프랑스: 2승(1954, 1958)
네덜란드: 2패(1998, 2006)
우루과이: 1승 1패(1930, 1962)
스웨덴: 1패(1974)
러시아[45]: 1패(1962)
멕시코: 1승(1950)
폴란드: 1패(1974)
체코[46]: 1패(1962)
칠레: 1패(1962)
스위스: 1승 2패(1950, 2018, 2022)
파라과이: 1무(1958)
미국: 1승(1998)
콜롬비아: 2승(1962, 1990)
코스타리카: 1승(2018)
스코틀랜드: 2무(1958, 1974)
카메룬: 1무(2022)
가나: 1패(2010)
북아일랜드: 1무(1982)
코트디부아르: 1패(2006)
호주: 1패(2010)
이란: 1승(1998)
온두라스: 1승(1982)
볼리비아: 1승(1930)
아랍에미리트: 1승(1990)
콩고민주공화국[47]: 1승(1974)

독일과 세르비아는 본선에서만 7번을 만났는데 이는 브라질 : 스웨덴, 독일 : 아르헨티나와 더불어 월드컵에서 가장 많이 만난 상대다.

대륙별 역대 전적은 다음과 같다.
유럽: 6승 4무 12패
남미: 5승 4무 6패
북중미: 4승
아프리카: 1승 1무 2패
아시아: 2승 1패

북중미에 강세를 보이며 남미, 아프리카, 아시아와는 호각세, 유럽에 약한 모습을 보인다.

세르비아에 패배를 안긴 적이 있는 팀은 독일(4패), 브라질(3패), 네덜란드(2패), 스위스(2패), 우루과이(1패), 러시아(1패), 체코(1패), 칠레(1패), 폴란드(1패), 스웨덴(1패), 스페인(1패), 아르헨티나(1패), 코트디부아르(1패), 가나(1패), 호주(1패)로 총 15개팀이며, 이들 중 브라질, 독일, 아르헨티나, 스페인, 우루과이, 스위스를 제외한 나머지 9개팀을 상대로는 전패를 기록중이다.

세르비아가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팀은 독일로 7경기 7점이다. 가장 많은 패배를 당한 나라이자 가장 많은 승점을 얻은 나라이기도 한 것이다. 공동 2위는 프랑스콜롬비아로 2경기에서 6점을 얻어내며 전승중이다.

세르비아가 열세를 보이는 나라들은 독일, 아르헨티나, 네덜란드, 스웨덴, 러시아, 폴란드, 체코, 칠레, 가나, 코트디부아르, 호주, 브라질, 스위스로 총 13개국이다. 호각세인 나라들은 스페인, 우루과이, 파라과이, 스코틀랜드, 북아일랜드, 카메룬으로 6개팀. 그 외 나머지에겐 전부 우세다. 대략 유럽에서 늪 축구를 구사하는 팀답게 강팀들을 종종 고전시키기도 하지만 북중미 이외의 비유럽 팀을 상대로는 그다지 강하지 않다.

한경기 최다 득점 기록은 1974년 자이르전[48] 9:0 승리로 9골이 최고 기록이며, 이는 1954년 헝가리 vs 대한민국전 9:0, 1982년 헝가리 vs 엘살바도르 10:1과 함께 윌드컵 최다 득실차 타이 기록이다. 한경기 최다 실점 기록은 1930년 우루과이전[49] 1:6 패와 2006년 아르헨티나전[50] 0:6 패이다. 최다 득점, 최다 실점 모두 숫자가 비교적 큰 편이다.

7.2. UEFA 유러피언 챔피언십

UEFA 유럽 선수권 대회 순위 : 23위
②②④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60년 프랑스
준우승 2위 3 2 1 0 1 6 6
파일:스페인국 국기(1945–1977).svg
1964년 스페인
본선 진출 실패[4강]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68년 이탈리아
준우승 2위 4 3 1 1 1 2 3
파일:벨기에 국기.svg
1972년 벨기에
본선 진출 실패[4강]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국기.svg
1976년 유고슬라비아
4위[53] 0 2 0 0 2 4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80년 이탈리아
본선 진출 실패[8강]
파일:프랑스 국기.svg
1984년 프랑스
조별리그 8위 0 3 0 0 3 2 10
파일:독일 국기.svg
1988년 서독
본선 진출 실패[8강]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파일:스웨덴 국기.svg
1992년 스웨덴
본선 진출 확정 후 실격[5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96년 잉글랜드
출전 금지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2000년 벨기에/네덜란드
8강 8위 4 4 1 1 2 8 13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2004년 포르투갈
본선 진출 실패[16강]
※ 세르비아 공화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2008년 오스트리아/스위스
본선 진출 실패[16강]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2012년 폴란드/우크라이나
파일:프랑스 국기.svg
2016년 프랑스
본선 진출 실패[24강]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20년 분산개최
파일:독일 국기.svg
2024년 독일
조별리그 19위 3 0 2 1 1 2 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2028년 영국/아일랜드
? ? ? ? ? ? ? ? ?
합계 본선진출 5회 / 준우승 2회 11 14 3 2 9 22 39

국가명 전적 대회연도
독일 1패 1976
프랑스 1승 1패 1960, 1984
스페인 1패 2000
이탈리아 1무 1패 1968(2회)
네덜란드 2패 1976, 2000
러시아 1패 1960
잉글랜드 1승 1패 1968, 2024
벨기에 1패 1984
덴마크 1무 1패 1984, 2024
슬로베니아 2무 2000, 2024
노르웨이 1승 2000

7.3. 올림픽

유고슬라비아 시절 이탈리아 로마에서 열린 1960년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그 외 1948년, 1952년, 1956년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하였고, 1984년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7.4. 대한민국과의 역대 전적

  • 유고슬라비아 시절
    이 시기 유고슬라비아는 세계구급의 강호로, 국제 대회 본선 정도 되어야 만날 수 있는 강팀이었다. 그런데, 1961년 불운하게도 대한민국 대표팀은 월드컵 지역예선 플레이오프에서 유고슬라비아를 처음 만나게 된다. 1958년 스웨덴 월드컵 지역예선에서부터 아시아 수준의 격차도 고려하여[60] 이런 대진이 성사된 것인데, 아시아, 아프리카 두 대륙의 1위 팀을 유럽 예선의 플레이오프 진출팀과의 플레이오프를 통과해야만 본선에 진출하게끔 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당시 아시아 예선 1위를 차지한 대한민국은, 졸지에 유고슬라비아와의 대륙간 플레이오프를 치러야 했다. 8년만의 본선 월드컵 진출을 노린 대표팀은 유고 원정에서 1-5, 홈경기에서마저 1-3으로 패하면서 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 이 때 1차전에서 2골을 넣으며 유고의 본선 진출을 견인한 드라고슬라브 셰쿨라라츠는 35년 후 K리그 부산 대우 로얄즈의 감독으로 다시 한국 땅을 밟는 묘한 인연을 맺게 된다.

    첫 맞대결 이후 대한민국 대표팀이 축구 변방을 벗어나지 못하면서 만날 일이 없었으나, 1995년에 34년만의 맞대결을 가지게 되었다. 홍콩 구정컵 결승전에서 만나 이번에도 유고슬라비아가 1-0으로 승리를 거두고 구정컵 우승을 차지했다. 이 대결 이후 두 팀은 자주 평가전을 치렀고, 1997년과 1998년, 그리고 2000년의 2연전까지 모두 유고슬라비아는 대한민국에 지지 않고 경기를 마무리했다. 그리하여 총 전적은 7전 4승 3무로 유고가 압도적 우세를 가져갔다.

    날짜 장소 스코어 유고슬라비아 득점 대한민국 득점 비고

    1961년 10월 8일 베오그라드 JNA 스타디움[61] (유고) 5:1
    (1:0)
    즈베즈단 체비나츠
    드라고슬라브 셰쿨라라츠[2골]
    페타르 라다코비치
    밀란 갈리치
    정순천 1962 칠레 월드컵 지역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1차전

    1961년 11월 26일 서울 효창운동장 3:1
    (2:0)
    밀란 갈리치[2골]
    드라잔 예르코비치
    유판순 1962 칠레 월드컵 지역예선
    대륙간 플레이오프 2차전

    1995년 2월 4일 홍콩 스타디움 (홍콩) 1:0
    (0:0)
    다르코 코바체비치 X 1995 홍콩 구정컵 결승전

    1997년 6월 16일 잠실종합운동장 1:1
    (0:1)
    슬라비샤 요카노비치 서정원 1997 코리아컵

    1998년 4월 22일 베오그라드 츠르베나 즈베즈다 스타디움 3:1
    (0:1)
    데얀 스탄코비치[2골]
    슬라비샤 요카노비치
    황선홍 친선경기

    2000년 5월 28일 잠실종합운동장 0:0 X X 친선경기

    2000년 5월 30일 성남종합운동장 0:0 X X 친선경기

    총 전적 7전 4승 3무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
    유고슬라비아가 신 유고 연방 체제마저 붕괴하면서 다시 국명을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로 한시적으로 바꾸고 사실상의 국가 연합 체제로 운영되던 시절, 세르비아 몬테네그로와 대한민국이 딱 한차례 맞대결을 가진 적이 있다. 2005년 11월 서울에서 평가전을 가졌고, 이 당시 대한민국이 최진철이동국의 연속골로 2-0 승리를 거둬 유고슬라비아 시절을 통틀어 처음으로 유고 계열 팀에게 승리를 거뒀다.

    날짜 장소 스코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득점 대한민국 득점 비고

    2005년 11월 16일 서울월드컵경기장 0:2
    (0:1)
    X 최진철
    이동국
    친선경기

    총 전적 1전 1패
  • 세르비아 전적
    몬테네그로가 2006 독일 월드컵 이후 떨어져 나가면서 세르비아 대표팀으로 구성되었다. 세르비아 대표팀은 이후 대한민국과 1승 1무 1패로 백중세의 전적을 기록중이다. 세르비아가 과거처럼 강팀의 지위에서 내려온 것도 있고, 대한민국이 2002 월드컵 이후 비약적인 발전을 하면서 유럽 중위권 팀들 정도의 경쟁력을 갖추기 시작한 요인도 있다. 세르비아 대표팀은 2009년 런던에서 대한민국과 세르비아라는 간판으로 첫 맞대결을 가졌고, 이후 2011년, 2017년에는 대한민국 원정 평가전을 두 차례 치렀다. 첫 맞대결에선 지기치의 이른 시간 결승골로 1-0의 승리를 챙겼으나 이후 1무 1패로 2경기째 무승중이다. 2011년 대결에선 경기력에서도 밀리며 완패를 당했고, 2017년 대결에선 팽팽한 맞대결과 두 팀 골키퍼간 선방쇼 대결이 벌어지면서 1-1로 사이좋게 경기를 마무리했다.

    날짜 장소 스코어 세르비아 득점 대한민국 득점 비고

    2009년 11월 18일 런던 크레이븐 코티지 (영국) 1:0
    (1:0)
    니콜라 지기치 X 친선경기

    2011년 6월 3일 서울월드컵경기장 1:2
    (0:1)
    라도사프 페트코비치 박주영
    김영권
    친선경기

    2017년 11월 14일 울산문수축구경기장 1:1
    (0:0)
    아뎀 랴이치 구자철 친선경기

    총 전적 3전 1승 1무 1패

8. 연령별 대표팀

8.1. U-23 대표팀

8.1.1. 올림픽

연도 결과 순위 승점 경기 득점 실점
1992년 대회부터 U-23으로 연령 변경
파일:스페인 국기.svg
1992 바르셀로나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파일:미국 국기.svg
1996 애틀란타
파일:호주 국기.svg
2000 시드니
파일:그리스 국기.svg
2004 아테네
조별리그 16위 0 3 0 0 3 3 14
파일:중국 국기.svg
2008 베이징
조별리그 12위 1 3 0 1 2 3 7
파일:영국 국기.svg
2012 런던
본선 진출 실패[16개팀]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6 리우데자네이루
파일:일본 국기.svg
2020 도쿄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4 파리
파일:미국 국기.svg
2028 로스엔젤레스
파일:호주 국기.svg
2032 브리즈번
합계 본선진출 2회[67] 1 6 0 1 5 6 21

[1] Elo 레이팅스는 상시 나오는 것이므로, 가장 최근 A매치와 그 직전 A매치 사이의 순위변동을 기입함.[2]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시절까지는 파란색 또는 흰색.[3] 당시 대한민국은 1년 전 AFC 아시안컵 2연패에 성공하며 아시아 최강을 자부하던 팀이었다. 나름 8년만의 월드컵 복귀를 노렸으나 유고슬라비아는 대한민국 입장에선 너무나 강한 상대였다.[4] 8강 조별리그 방식으로 8강 각 조 1위만 결승행, 각 조 2위는 3,4위전(동메달전)으로 진행했다.(4강 토너먼트가 없었다.)[5] 82월드컵은 24강 조별리그 다음 12강 조별리그로 진행하고 그 다음 4강 토너먼트로 진행되었다.(86월드컵부터 16강 토너먼트가 생겼다.)[6] 그리고 대회 직전 대타 출전한 덴마크 대표팀이 덜컥 우승을 차지했다.[7] 크로아티아, 슬로베니아 등 독립을 선언한 국가의 국적을 보유한 선수들은 정말 최후의 순간이라고 할 수 있는 1991년 5월 유로예선 8라운드까지 유고슬라비아를 대표하여 뛰었다. 이들 중 크로아티아 선수들은 1999년에 열린 2000 유로 예선에서 유고슬라비아를 만나게 되었는데, 자그레브에서 유고슬라비아 국가가 울리자 전직 유고 국가대표였던 크로아티아 선수들은 만감이 교차하는 듯 표정이 시시각각 변하는 모습을 보였다.[8] 1955년생. 아래 언급한 선수들보다는 대선배.[9] 1951년생. 원조 골 넣는 골키퍼. 통산 A매치 19경기에 출장, 통산 2득점을 기록했다.[10] 1944년생. 선수로써의 커리어는 미미했지만, 은퇴 후 지도자로 1990 이탈리아 월드컵에서는 코스타리카 16강(13위), 1994 미국 월드컵에서는 미국을 16강(14위)에 올려놓는 등 약팀을 강팀으로 만드는 수완을 인정받았다.[11] 이는 1987년 20세 이하 칠레 세계 청소년 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한 것으로 증명된다. 보반, 야르니, 프로시네치키, 슈케르, 미야토비치 등이 출전했다. 당시 16강 조별 본선에서 칠레, 호주, 토고를 각각 4:2, 4:0, 4:1로 가볍게 제압하고, 8강, 4강에서는 브라질과 동독을 각각 2:1로 무찌르며 결승에 진출, 서독을 승부차기 끝에 이기고 우승을 차지했다.[12] 당시에는 승리시에 2점, 무승부시에는 1점을 주는 제도였다.[13] 이때 유고슬라비아를 16강에서 꺾은 팀은 당시 제2의 전성기를 보내던 네덜란드였다. 그러나 아이러니하게도 네덜란드는 3~4위전에서 크로아티아를 상대로 패배를 당했다.[14] 이 때문에 각종 매체에서 뽑는 난민 축구 선수 베스트 일레븐 역시 어지간한 축구 강국에 꿀리지 않는 월드클래스 라인업이 나온다. 위의 선수들 대부분이 꼬맹이 시절부터 공놀이가 난민촌 생활에서의 유일한 낙이었던 유고 내전 난민들이라 2010년대 난민 베스트 일레븐은 가상 유고 연방 베스트 일레븐이나 다름없다.[15] 단 이때는 브라질이 우승후보가 아니었으며, 브라질이 본격적으로 우승 후보로 거듭난 시기는 1950년부터다.[16] 참고로 이 경기에서 나온 에스테반 캄비아소의 골은 무려 26회에 걸친 패스을 끊김없이 이어 득점에 성공했기에 대회 최고의 골 후보에 올랐으며, 당시 월드컵 첫 출전이었던 리오넬 메시도 후반 교체로 투입되어 1골 1도움을 기록했다.[17] 냉정히 보자면 당시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팀의 전력과 선수들 개개인의 수준은 아르헨티나와 네덜란드, 코트디부아르를 능가한다고 보기에는 힘들었다. 밀로세비치는 전성기가 지난 상태였고, 케즈만은 첼시 이적 이후 슬럼프에서 벗어나지 못했고, 지기치는 압도적인 신장으로 공중볼 경합을 통한 피지컬 플레이에서 유용한 선수이지만 클럽 커리어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빅리그의 빅클럽에서 주전으로 뛸 수준은 아니었다. 비디치는 당시에는 아직 맨유에서 확고한 주전으로 자리잡기 전이라서 비디치가 나왔다고 한들 결과를 크게 바꾸기 힘들었을 가능성이 높다. 당시 지역예선 무실점 1위 진출은 기록 그 자체만으로는 대단하긴 하지만, 황금세대가 자리잡기 전의 과도기였던 스페인, 에딘 제코가 국가대표에 데뷔하지 않았고 세르게이 바르바레즈와 하산 살리하미지치가 국가대표에서 은퇴를 준비할 무렵이었던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황금세대가 오기 전에 세대교체 실패로 암흑기에 빠진 벨기에 등을 상대하면서 기록한 것이었다.[18] 다만 이때의 네덜란드는 그야말로 전성기였고, 유고슬라비아는 지는 해였다.[32강] 조별리그[20] 32강[21] 호주는 독일에 0-4 패배를 당하는 바람에 득실차가 가나에 5골이 밀려서, 무조건 승리하고 가나가 독일을 이겨주거나, 가나-독일 무승부의 경우 7점차 이상 승리, 독일 승리일 경우 두 경기의 점수차이를 합쳐 5점차 이상이어야 16강의 희망을 볼 수 있는 상황이었다.[22] 다만 다른 건 몰라도 이 패배는 심각한 오심 논란이 있다.[23] 지금에 비하면 본선 8개국(8강) 진출 대회 시절이었으며, 당시 강한 전력이라서 8개국(8강) 본선에 오를 수 있었고, 지역예선 깡패라고 불리는 잉글랜드도 2008년 대회 지역예선에서 탈락하기도 했다.[24] 2016년 예선에서는 알바니아와의 집단 난투극으로 인해 몰수패를 당하면서 탈락해 버렸고, 2020년 예선에서는 플레이오프 결승에서 스코틀랜드에게 패해 탈락했다.[25] 최근에는 2014년 대회 예선에서 탈락한 적이 있긴 하지만, 당시 해당 조는 벨기에, 크로아티아, 스코틀랜드, 웨일스, 북마케도니아가 묶인 죽음의 조였다.[26] 이 당시는 3, 4위전이 없었고, 4강전에서 탈락하면 승무패, 득실차로 3, 4위를 가렸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8] 당시 2차 세계대전의 후유증과 동시에 한국전쟁이 터져 기권팀이 많아 13개팀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13강 조별리그 다음이 8강전 없이 조1위만 진출하는 4강 결승리그(조별리그 방식)였다. 덕분에 조2위를 차지하였으나 월드컵 최종 5위로 4강 결승리그에 진출 실패했다. 8강 제도가 있었다면 8강에 진출했을 것이다.[29]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30] 1954~1962년까지 3회 연속 8강에서 서독을 만났으며, 두 대회 연속으로 졌지만 결국 이김으로서 복수에 성공, 두 번째 4강 진출을 이뤄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2] 16강 조별리그에서 아프리카 예선 우승으로 진출한 자이르(현 콩고민주공화국)를 상대로 9:0 월드컵 최다 득점차로 이김으로서 남은 두 경기를 비기고도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4] 개최국 스페인에게 다득점에 밀렸는데 당시는 2라운드가 16강 토너먼트가 아닌 12강 조별리그로 12강 진출에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6] 1962년 4강 진출 이후 가장 높은 성적. 아르헨티나와의 8강전에서 승부차기까지 갔지만 패배하여 4강 진출은 이루지 못했는데, 이 대회에서 뛰던 선수들 상당수가 크로아티아 출신이고 이들이 8년 후에 결국 4강 진출에 성공한다.[37] 당시 유고 분열로 인한 내전으로 실격 처리되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9] 공식적으로는 그렇지만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국체가 같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1994년 기록부터 이어진다고 봐도 된다.[40] 한 조에 유럽이 3개국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별시드로 분류되어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가 톱시드인 조 중 하나로 강제 편성되었고, 그 결과 아르헨티나, 네덜란드, 코트디부아르라는 최악의 조를 만나 아르헨티나에 0:6으로 대패하고 32강 조별리그 최하위 32등으로 탈락했다.[41] 톱시드팀 독일을 1:0으로 이겼지만 남은 두 경기를 지는 바람에 탈락했다. 8년 전 크로아티아의 데자뷰.[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43] 독일과 공동 22위[44] 1994년은 상술했듯 내전으로 실격되었다.[45] 정확하게는 소련 시절 기록이지만 소련의 기록은 러시아로 승계되므로 러시아로 표기한다.[46] 정확하게는 체코슬로바키아 시절 기록이지만 체코슬로바키아의 기록은 체코로 승계되므로 체코로 표기한다.[47] 정확하게는 자이르 시절 기록이지만 자이르의 기록은 콩고민주공화국으로 승계되므로 콩고민주공화국으로 표기한다.[48] 16강 조별리그[49] 4강전[50] 32강[4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4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53]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8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8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56] 8강 본선 92유로에 진출 확정되었으나, 유고 내전으로 실격되었다. 참고로 이 대회에서 지역예선에 탈락했으나 유고슬라비아 대신 본선 진출한 덴마크가 우승을 차지한다.[16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16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24강] 본선 유로에 진출 실패했다.[60] 1938월드컵 인도네시아의 당시 15강전 무혈입성 참패탈락과 대한민국도 일본을 이기고 16개국 본선 1954월드컵에 진출했으나, 16강 조별리그 참패탈락으로 1958월드컵부터 1978월드컵까지는 아시아는 타대륙과 합동예선에서 통과를 해야 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하도록 바뀌었고 16개국 본선 월드컵 진출 경쟁률이 현재도 타대륙과 경쟁에서 이겨야 16강 진출 할 수 있는것처럼 어려워졌다.[61] 오늘날의 파르티잔 스타디움[2골] [2골] [2골] [16개팀] 본선 올림픽 축구에 진출 실패했다.[16개팀] 본선 올림픽 축구에 진출 실패했다.[67] 최고순위 12위(2008 베이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