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01 12:46:43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FIFA 월드컵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세르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1. 역대 성적2. 2010 남아공 월드컵
2.1. 32강 조별리그 가나전 - 0 : 1 패2.2. 32강 조별리그 독일전 - 1 : 0 승2.3. 32강 조별리그 호주전 - 1 : 2 패
3. 2018 러시아 월드컵
3.1. 32강 조별리그 코스타리카전 - 1 : 0 승3.2. 32강 조별리그 스위스전 - 1 : 2 패3.3. 32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2 패
4. 2022 카타르 월드컵
4.1. 32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2 패4.2. 32강 조별리그 카메룬전 - 3 : 3 무4.3. 32강 조별리그 스위스전 - 2 : 3 패

1. 역대 성적

FIFA 월드컵 통산 랭킹: 14위
④④⑧⑧⑧⑧
연도라운드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1930년 우루과이
4강[1] 4위 6 3 2 0 1 7 7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1934년 이탈리아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프랑스 국기.svg
1938년 프랑스
파일:브라질 국기(1889-1960).svg
1950년 브라질
조별리그[3] 5위 6 3 2 0 1 7 3
파일:스위스 국기.svg
1954년 스위스
8강 7위 4 3 1 1 1 2 3
파일:스웨덴 국기.svg
1958년 스웨덴
8강 5위 5 4 1 2 1 7 7
파일:칠레 국기.svg
1962년 칠레
4위[4][5] 9 6 3 0 3 10 7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1966년 잉글랜드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1970년 멕시코
파일:독일 국기.svg
1974년 서독
8강[7] 7위 5 6 1 2 3 12 7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1978년 아르헨티나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파일:스페인 국기.svg
1982년 스페인
조별리그[9] 16위 4 3 1 1 1 2 2
파일:멕시코 국기.svg
1986년 멕시코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1990년 이탈리아
8강[11] 5위 10 5 3 1 1 8 6
파일:미국 국기.svg
1994년 미국
실격[12]
파일:프랑스 국기.svg
1998년 프랑스
16강 10위 7 4 2 1 1 5 4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한일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독일 국기.svg
2006년 독일
조별리그[14] 32위 0 3 0 0 3 2 10
※여기부터 세르비아 기록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2010년 남아공
조별리그[15] 23위 3 3 1 0 2 2 3
파일:브라질 국기.svg
2014년 브라질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파일:러시아 국기.svg
2018년 러시아
조별리그 공동 22위[17] 3 3 1 0 2 2 4
파일:카타르 국기.svg
2022년 카타르
조별리그 29위 1 3 0 1 2 5 8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2026년 북미
? ? ? ? ? ? ? ? ?
합계 4위(2회) 13/22[18] 63 49 18 9 22 71 71

2. 2010 남아공 월드컵

2.1. 32강 조별리그 가나전 - 0 : 1 패

파일: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고.svg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D조 제1경기
2010년 6월 13일 16:00(UTC+2)
로프터스 버스펠트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리토리아)
주심: 엑토르 발다시 (아르헨티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0 : 1 파일:가나 국기.svg
세르비아 가나
- 득점자 85′ 아사모아 기안 (PK)
74′ 알렉산다르 루코비치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퇴장자 -
관중: 38,833명
Man of the Match: [[아사모아 기안|{{{#000000 아사모아 기안}}}]] (가나)

2.2. 32강 조별리그 독일전 - 1 : 0 승

파일: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고.svg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D조 제3경기
2010년 6월 18일 13:30(UTC+2)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포트엘리자베스)
주심: 알베르토 운디아노 마옌코 (스페인)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 : 0 파일:독일 국기.svg
세르비아 독일
38′ 밀란 요바노비치 득점자 -
- 퇴장자 37′ 미로슬라프 클로제 파일:경고 퇴장 아이콘.svg
관중: 38,294명
Man of the Match: [[블라디미르 스토이코비치|{{{#000000 블라디미르 스토이코비치}}}]] (세르비아)

2.3. 32강 조별리그 호주전 - 1 : 2 패

파일: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로고.svg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D조 제5-2경기
2010년 6월 23일 20:30(UTC+2)
음봄벨라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넬스프루이트)
주심: 호르헤 라리온다 (우루과이)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 : 2 파일:호주 국기.svg
세르비아 호주
84′ 마르코 판텔리치 득점자 69′ 팀 케이힐
73′ 브렛 홀먼
관중: 37,836명
Man of the Match: [[팀 케이힐|{{{#000000 팀 케이힐}}}]] (호주)

3. 2018 러시아 월드컵

3.1. 32강 조별리그 코스타리카전 - 1 : 0 승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로고_좌우_White.svg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E조 1경기
2018.06.17.(일) 21:00(UTC+4)
사마라 아레나 (러시아, 사마라)
주심: 말랑 디에디우 (세네갈)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 : 0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세르비아 코스타리카
56' 알렉산다르 콜라로프 득점자 -
관중: 41,970명
Man of the Match: 알렉산다르 콜라로프 (세르비아)

3.2. 32강 조별리그 스위스전 - 1 : 2 패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로고_좌우_White.svg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E조 4경기
2018.06.22.(금) 20:00(UTC+2)
칼리닌그라드 스타디움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주심: 펠릭스 브리히 (독일)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 : 2 파일:스위스 국기.svg
세르비아 스위스
5'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득점자 52' 그라니트 자카
90' 제르단 샤키리
관중: 33,167명
Man of the Match: 제르단 샤키리 (스위스)

3.3. 32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2 패

파일: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로고_좌우_White.svg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E조 5-1경기
2018.06.27.(수) 21:00(UTC+3)
스파르타크 스타디움 (러시아, 모스크바)
주심: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0 : 2 파일:브라질 국기.svg
세르비아 브라질
- 득점자 35' 파울리뉴
67' 티아구 시우바
관중: 44,190명
Man of the Match: 파울리뉴 (브라질)

4. 2022 카타르 월드컵

4.1. 32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2 패

4.2. 32강 조별리그 카메룬전 - 3 : 3 무


4.3. 32강 조별리그 스위스전 - 2 : 3 패



[1] 이 당시는 3, 4위전이 없었고, 4강전에서 탈락하면 끝이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 당시 2차 세계대전의 후유증과 동시에 한국전쟁이 발생되어 기권팀이 많아 13개팀이 본선에 진출하였고 13강 조별리그 다음이 8강전 없이 조1위만 진출하는 4강 결승리그(조별리그 방식)였다. 덕분에 조2위를 차지하였으나 월드컵 최종 5위로 4강 결승리그에 진출 실패했다. 8강 제도가 있었다면 8강에 진출했을 것이다.[4]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5] 1954~1962년까지 3회 연속 8강에서 서독을 만났으며, 두 대회 연속으로 졌지만 결국 이김으로서 복수에 성공, 두 번째 4강 진출을 이뤄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7] 16강 조별리그에서 아프리카 예선 우승으로 진출한 자이르(현 콩고민주공화국)를 상대로 9:0 월드컵 최다 득점차로 이김으로서 남은 두 경기를 비기고도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9] 개최국 스페인에게 다득점에 밀렸는데 당시는 2라운드가 16강 토너먼트가 아닌 12강 조별리그로 12강 진출에 실패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1] 1962년 4강 진출 이후 가장 높은 성적. 아르헨티나와의 8강전에서 승부차기까지 갔지만 패배하여 4강 진출은 이루지 못했는데, 이 대회에서 뛰던 선수들 상당수가 크로아티아 출신이고 이들이 8년 후에 결국 4강 진출에 성공한다.[12] 당시 유고 분열로 인한 내전으로 실격 처리되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4] 아르헨티나, 네덜란드, 코트디부아르라는 최악의 조를 만나 아르헨티나에 0:6으로 대패하고 32강 조별리그 최하위로 32등으로 탈락했다.[15] 톱시드팀 독일을 1:0으로 이겼지만 남은 두 경기를 지는 바람에 탈락했다. 8년 전 크로아티아의 데자뷰.[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7] 독일과 공동 22위[18] 월드컵 본선 진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