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26 시즌 참가 구단 |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373a3c,#ddd | | | |
| | | |
| | | |
| | | |
| | | |
| | | |
| |||
<colbgcolor=#f7f7f7,#191919>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
| |
<colbgcolor=#009fe0><colcolor=#fff>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 |
RC Strasbourg Alsace | |
정식 명칭 | Racing Club de Strasbourg Alsace |
별칭 | Le Racing |
창단 | 1906년 ([age(1906-01-01)]주년) |
소속 리그 | (LIGUE 1 Mcdonald's) |
연고지 | 그랑테스트 레지옹, 바랭, 스트라스부르 (Grand Est, Bas-Rhin, Strasbourg) |
홈구장 | 스타드 드 라 메노 (Stade de la Meinau) (26,109명 수용) |
구단주 |
블루코 (Blue.co)[1] |
회장 |
마르크 켈레 (Marc Keller) |
감독 |
리암 로세니어 (Liam Rosenior) |
수석 코치 |
저스틴 워커 (Justin Walker) |
주장 |
엠마누엘 에메가 (Emmanuel Emegha) |
부주장 |
마마두 사르 (Mamadou Sarr) |
역대 한국인 선수 |
서정원 (1997~1998) |
공식 웹사이트 | |
약칭 | RCS / RCSA |
우승 기록 | |
리그 1 (1부) (1회) | 1978-79 |
리그 2 (2부) (3회) | 1976-77, 1987-88, 2016-17 |
샹피오나 나시오날 (3부) (1회) | 2015-16 |
샹피오나 나시오날 2 (4부) (1회) | 2012-13 |
샹피오나 나시오날 3 (5부) (1회) | 2011-12 |
쿠프 드 프랑스 (3회) | 1950-51, 1965-66, 2000-01 |
쿠프 드 라 리그 (4회) | 1963-64, 1996-97, 2004-05, 2018-19 |
UEFA 인터토토컵 (1회) | 1995 |
구단 기록 | |
최고 이적료 영입 |
아바카르 실라 (Abakar Sylla)(2023년, From 클뤼프 브뤼허 KV, 2,000만 €) |
최고 이적료 방출 |
하비브 디아라 (Habib Diarra)(2025년, To 선덜랜드 AFC, 3,500만 €) |
최다 출장 |
르네 아우스 (René Hauss) - 580경기 (1949-1969) |
최다 득점 |
오스카 로어 (Oskar Rohr) - 118골 (1934-1939) |
1. 개요
프랑스 리그 1 소속 프로 축구단이다. 연고지는 그랑테스트 레지옹 바랭 주 스트라스부르. 홈구장은 스타드 드 라 메노.2. 역사
1906년 독일 제국령 소속 시절 FC 노이도르프(FC Neudorf)라는 이름으로 창단된 이후 독일 남부 리그 소속으로 활약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알자스 지역이 프랑스령으로 귀속되면서 RC 스트라스부르(Racing Club de Strasbourg)로 구단명이 개칭되었다. 1933년 프로 구단이 된 후 리그 2에 합류하여 1년만에 리그 1으로 승격했지만 1939년 제2차 세계 대전 발발 후에는 보르도 동쪽의 도르도뉴 주로 대피하였다. 프랑스의 항복 이후로는 다시 알자스로 복귀해 독일 아마추어 대회에 참가했다. 세계 대전이 끝나 다시 프랑스 영토로 복구된 후인 1951년 쿠프 드 프랑스에서 우승하며 메이저 트로피를 들어올린 후 대부분의 시간을 리그 1에서 보냈다. 1979년 리그 1에서도 처음이자 마지막 1부 리그 우승을 하기도 했다.[2]2005년 이후 팀이 침체되며 2011년에는 2부 리그에서 강등된 후 파산하여 5부 리그에서 재시작하기도 했다. 이 과정에서 RC 스트라스부르에서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로 팀명이 변경되었다. 2011-12시즌 5부 리그인 CFA 2에서 우승하여 4부 리그인 CFA로 승격했으며 같은 시기에 현임 회장 마르크 켈레가 이끄는 컨소시움에 인수되었다. 2012-13 시즌 4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3부 리그로 승격한 이후 3부 리그에서 머물다가 2015-16 시즌 15승 13무 6패 승점 58점으로 3부 리그에서 우승하며 리그 2로 승격하였고, 2016-17 시즌 리그 2에서 19승 10무 9패 승점 67점으로 리그 2에서 우승하며 9시즌만에 리그 1으로 복귀하였다. 승격 후 중위권에 머무르다 2021-22 시즌 반등하며 6위에 올랐다.
2023년 2월, 첼시 FC의 구단주인 토드 볼리가 지분 매입을 위한 협상을 하고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으며, 2022-23 시즌 파리 생제르맹 FC와 37R에서 1:1로 무승부를 거두고 승점 40점째를 확보하며 잔류에 성공했다. 그리고 2023년 6월 22일, 첼시 FC의 구단주 컨소시엄인 BlueCo.가 구단의 지분을 €75M의 금액으로 구단 지분의 인수를 완료하며 최대 주주가 되었고,[3] 마르크 켈레는 회장직으로 구단에 잔류한다고 발표했다.[4][5]
1월에 재임대 조건으로 계약을 하고나서 임대 복귀 후 팀에 합류한 세르비아 출신 유망주 스트라이커 밀로스 루코비치(18)을 시작으로, 왼쪽 윙어 오스카 페레아(콜롬비아 18), 미드필더 파페 다우다 디옹(세네갈 18), 미드필더 이드리사 사발리(프랑스 16), 수비수 에르완 아도니스(프랑스 18)와 랜디 반돌로(프랑스 18)등을 영입했다.
뿐만 아니라 1군 주전급 선수들도 영입하며 팀의 스쿼드를 강화했는데, 대표적으로 스웨덴 리그 최고의 선수로 성장한 세바스티안 나나시를 스웨덴 리그 역대 최고 이적료로 영입했다. 나나시는 AS 생테티엔을 비롯한 다양한 구단에서 관심을 가졌다.
2024년 여름 이적 시장에서 구단 역대 최고 지출액인 7600만 유로를 지출했다. 1명의 완전 영입과 3명의 임대 영입을 포함한 무려 14명의 선수를 구매했다.
2025년 3월 기준, 블루코 인수 후 스트라스부르는 팀 평균 연령이 21세로 5대 리그에서 가장 어린 팀[6]이 될 정도로 유망주 집합소가 되었다. 두번째에 랭크된 팀보다도 평균 연령이 2세가 어린 수준이다.
24/25 시즌 12경기 무패[7]를 기록하던 스트라스부르는 마지막 강등권 팀들과의 2연전에서 무너지며 1무 1패를 기록, 챔스권을 목전에 두고 7위로 추락하였다.[8][9] 6위 리옹과 57점으로 동률이지만 득실차로 밀려 유럽대항전 진출에 실패하였다. 하지만 리옹이 재정 문제로 강등당하거나 파리가 쿠프 드 프랑스를 우승할 경우 UEFA 컨퍼런스 리그에 진출할 수 있으며, 결국 파리가 우승을 하면서 다음 시즌은 UEFA 컨퍼런스 리그로 향하게 되었다.
24/25 시즌 팀 올해의 선수상 1위[10], 2위[11], 3위[12]가 모두 첼시 출신인 진풍경이 나왔다.
25/26 시즌에는 첼시 FC의 마티스 아무구가 영구 이적으로 합류했고[13] 이시 사무엘스스미스도 영구 이적으로, 마이크 펜더르스나 필립 요르겐센을 임대 영입할 것이 유력했는데, 이들 중 골키퍼는 마이크 펜더르스가 임대로 합류할 예정이라고 한다. 그리고 2007년생 에콰도르 유망주 켄드리 파에스, 여름에 첼시로 이적시켰던 마마두 사르를 첼시로부터 임대해왔다. 뒤이어 훌리오 엔시소를 내년에 첼시로 보내는 조건으로 영입한다고 한다.[14] 다만 엔시소는 이후 추가 메디컬 테스트에서 탈락하며 딜이 무산될 뻔했다가 결국 이적료를 깎아서 합의를 봤고, 벤 칠웰이 주급을 깎고 자유 이적 형태로 합류하면서 이적시장이 마무리되었다.
브뢴뷔 IF와 치른 UEFA 컨퍼런스 리그 플레이오프에서는 홈에서 가진 1차전에서 0:0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원정으로 치러진 2차전을 3-2로 승리로 거두고 리그 페이즈에 진출했다. 리그 페이즈 첫 상대는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로 결정되었으며, 이후 야기엘로니아 비아위스토크-BK 헤켄-크리스탈 팰리스 FC-애버딘 FC-브레이다블리크 UBK를 순서대로 만날 예정이다.
2.1. 요약
- 1부/리그 1: 1934-1940, 1944-1952, 1953-1957, 1958-1960, 1961-1971, 1972-1976, 1977-1986, 1988-1989, 1992-2001, 2002-2006, 2007-2008, 2017- (62시즌)
- 개별 문서가 있는 시즌: 2023-24 시즌
- 2부/리그 2: 1933-1934, 1952-1953, 1957-1958, 1960-1961, 1971-1972, 1976-1977, 1986-1988, 1989-1992, 2001-2002, 2006-2007, 2008-2011, 2016-2017 (17시즌)
- 3부/샹피오나 나시오날: 2013-2016 (3시즌)
- 4부/샹피오나 나시오날: 2012-2013 (1시즌)
- 5부/샹피오나 나시오날 3: 2011-2012 (1시즌)
3. 유니폼
2023-24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유니폼 | ||
| | |
<rowcolor=#004996> 홈 | 원정 | 서드 |
4. 선수단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스쿼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2024-25 시즌 스쿼드 | ||||||||
| | | | | |||||
<rowcolor=#FFFFFF> 1 | 2 | 3 | 5 | 6 | |||||
앤드류 오모바미델레 Andrew Omobamidele 2002.06.23 2024~2025[D] | 토마 들렌 Thomas Delaine 1992.03.24 2022~2025 | 아바카르 실라 Abakar Sylla 2002.12.25 2023~2028 | 펠릭스 르마레샬 Félix Lemaréchal 2003.08.07 2024~2029 | ||||||
| | | | | |||||
<rowcolor=#FFFFFF> 7 | 8 | 10 | 11 | 14 | |||||
디에구 모레이라 Diego Moreira 2004.08.06 2024~2029 | 엠마누엘 에메가 Emanuel Emegha 2003.02.03 2023~2028 | 모이스 사히 디온 Moïse Sahi Dion 2001.12.20 2021~2026 | 세쿠 마라 Sekou Mara 2002.06.30 2024~2029 | ||||||
| | | | | |||||
<rowcolor=#FFFFFF> 15 | 17 | 19 (C) | 20 | 22 | |||||
세바스티안 나나시 Sebastian Nanasi 2002.05.16 2024~2029 | 파페 다우다 디옹 Pape Daouda Diong 2006.06.16 2024~2029 | 하비브 디아라 Habib Diarra 2004.01.03 2021~2027 | 오스카르 페레아 Oscar Perea 2005.09.27 2024~2029 | 겔라 두에 Guéla Doué 2002.10.17 2024~2029 | |||||
| | | | | |||||
<rowcolor=#FFFFFF> 23 | 25 | 26 | 27 | 26 | |||||
마마두 사르 Mamadou Sarr 2005.08.29 2024~2029 | 요니 고미스 Yoni Gomis 2005.09.23 2024~2029 | 딜란 바콰 Dilane Bakwa 2002.08.26 2023~2027 | 새뮤얼 아모아메요 Samuel Amo-Ameyaw 2006.07.18 2025[E] | 이스마엘 두쿠레 Ismaël Doukouré 2003.07.24 2022~2026 | |||||
| | | | | |||||
<rowcolor=#FFFFFF> 30 | 32 | 35 | 36 | ||||||
카를요한 욘손 Karl-Johan Johnsson 1990.01.28 2024~2026 | 발렌틴 바르코 Valentín Barco 2004.07.23 2025[F] | 티디안 디알로 Tidiane Diallo 2006.05.28 2024~2027 | 알라 벨라루치 Alaa Bellaarouch 2002.02.01 2020~2027 | 라얀 메시 Rayane Messi 2007.05.23 2024~2027 | |||||
| |||||||||
<rowcolor=#FFFFFF> 77 | |||||||||
에두아르드 소볼 Eduard Sobol 1995.04.20 2023~2026 | |||||||||
<colbgcolor=#009fe0> 구단 정보 | |||||||||
회장: 마르크 켈레 / 감독: 리암 로세니어 / 홈구장: 스타드 드 라 메노 | |||||||||
출처: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3년 9월 2일 |
}}}}}}}}} ||
5. 유명 선수
- CONMEBOL
- 호세 루이스 칠라베르트: 2000-2002
- 안드레이 산투스: 2023-2025
6. 여담
- 국내에는 서정원 감독의 전 소속팀으로 알려져 있으며 당시 서정원은 발레리앙 이스마엘, 올리비에 다쿠르와 활약했다. 1997-98 시즌 후반기 스트라스부르에 영입된 서정원은 12경기 4골이라는 순도 높은 활약으로 강등 탈출 싸움을 하던 스트라스부르에 구세주 같은 역할을 했다. 하지만 다음 시즌, 자신을 데려온 감독인 지라르가 다음 해에 프랑스 국가대표팀 수석코치를 맡게 되고, 피에르 만코프스키 감독이 부임하여 본인이 선호하는 선수들을 기용하자 서정원은 주전에서 밀렸다. 참고 기사
- 5부 리그 샹피오나 나시오날 3와 4부 리그 샹피오나 나시오날 2 최다 관중 기록을 보유한 팀이다.
- 여자팀 또한 존재하는데 이름은 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 페미닌으로 프르미에르 리그에 참가 중이다.
- 알자스 더비가 존재하지만 스트라스부르가 1부 리그로 재승격이 된 이후에는 매치업이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 알자스 지방의 축구단으로는 FC 뮐루즈가 있지만 이쪽은 5부 리그 소속인 데다가 마지막으로 만난 시즌이 2012-13 시즌. 로렌 지방의 FC 메스의 경우에는 리그 1 소속이기는 하지만 차라리 독일의 SC 프라이부르크가 더 가까울 정도로 거리가 있어서 라이벌 의식 자체가 거의 없다.
7. 둘러보기
첼시 FC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34694,#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73a3c,#dddddd | <colbgcolor=#034694,#034694><colcolor=#fff,#fff> 산하 구단 | 첼시 FC|첼시 FC 아카데미U-18|U-21|첼시 FC 위민|RC 스트라스부르 알자스위성 구단 | |
선수단 | 스쿼드|스쿼드(간략)|U-21 스쿼드|임대|U-18 스쿼드|위민 | ||
스태프 | 보드진 및 스태프 | ||
역사 | 역사|역대 시즌|유니폼|응원가|기록 | ||
역대 시즌 | 2004-05|2005-06|2006-07|2007-08|2008-09|2009-10|2010-11|2011-12|2012-13|2013-14|2014-15|2015-16|2016-17|2017-18 /리그|2018-19 /리그|2019-20 /리그|2020-21 /리그|2021-22 /리그|2022-23 /리그|2023-24 /리그|2024-25 /리그 /CWC|2025-26 /리그 | ||
주요 인물 | 역대 감독|역대 올해의 선수|레전드 | ||
응원가 | 응원가 목록 | ||
더비 매치 | |||
구단 시설 | <colbgcolor=#034694,#034694><colcolor=#fff,#fff> 경기장 | 스탬퍼드 브리지|킹스메도우 | |
훈련 시설 | 코밤 트레이닝 센터 | ||
스폰서 | 나이키키트 스폰서|공석메인 스폰서|라이브네이션트레이닝 키트 스폰서 | ||
기타 | 등번호 저주|첼시 마이너 갤러리|포램포 |
[1] 2022년 토드 볼리가 구성한 컨소시엄. 컨소시엄의 주주총회 의장직은 볼리와 클리어레이크 캐피탈쪽에서 공동으로 맡고 있다.[2] 이 시즌 우승 멤버 중 한 명이 아스날 FC의 감독으로 유명한 아르센 벵거다.[3] 기자들이 언급한 지분 비율이 다 다르며, 공식적으로 지분의 비율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최대 주주가 된 것은 확정이라고 한다.[4] 다만 멀티 클럽 모델의 일원이 되는 걸 현지 울트라스들이 상당히 반발했는데, 이 반발을 잠재우기 위해서는 결국 1부 리그에 꾸준히 잔류하는 등 성적으로 증명하는 식의 조치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할 수 있을 정도였다. 하지만 결국 리그 1 다수의 구단이 시즌 종료 후 파산 위기에 들어섰는데도 스트라스부르는 이 리스트에 등재되지 않았고, 블루코 인수 후 구단의 재정 문제가 꽤나 안정이 되면서 파산을 피할 수 있었다. 이 중 FC 지롱댕 드 보르도는 결국 프로 구단 지위 포기라는 최악의 결말로 들어섰으니 미국 자본 자체를 부정적으로 보는 서포터들이 많다는 점을 고려하면 스트라스부르는 블루코 인수가 오히려 전화위복이 된 셈. 2024-25 시즌에도 위성 구단이 되는 것 자체를 싫어하는 강성 울트라스들의 반발이 여전히 자잘하게 남아있긴 하나, 현 시점에서는 강등권을 오락가락하던 팀의 순위도 안정화를 끌어낸 데다가 후술한 대로 유망주 집합소 형태로 팀의 체질을 개선하는 데에 성공하며 중위권에 성공적으로 안착하는 흐름으로 가고 있다. 마르크 켈레 회장 또한 이를 뒷받침하듯, 블루코의 인수 덕분에 구단이 스텝업을 이뤄낼 수 있었다고 직접 언급했을 정도. 다만 구단의 재정 규모가 여전히 상당히 작다는 한계를 벗어나지 못해서 케일럽 와일리나 마티스 아무구 같은 케이스처럼 스트라스부르 구단 재정 규모를 넘어서는 예산이 필요할 경우에는 첼시에서 스트라스부르의 스카우트 쪽에서 찾아낸 유망주를 대신 영입해주고, 그 이후에 스트라스부르로 해외 임대 제한 슬롯을 소모하며 임대를 보내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스트라스부르가 레드불 잘츠부르크와는 달리 아직 구단의 자체 재정만으로는 영입 예산을 투자하는 데에 한계가 있기 때문인데, 그러한 이유에서 신구장 건설과 컨퍼런스 리그 진출 등을 노리면서 구단의 재정을 건실하게 키우려는 방향을 구상하고 있다고 한다.[5] 정확히는 강성 울트라스들이 저런 반응을 보인 이유는 이들이 지나치게 보수적인 성향을 보였던 나머지 해외 자본이 들어오는 것 자체를 굉장히 싫어하는 이유 딱 하나라고 한다. 어느 정도냐면 울트라스에서 내건 BlueCo Out 걸개가, 그것도 UEFA 컨퍼런스 리그 플레이오프 경기에서 나와버렸을 정도. 반대로 오히려 보수적인 성향의 강성 울트라스들을 제외한 나머지 팬층들은 오락가락하던 구단의 재정이 안정화되고 성적이 오르기 시작하니 인수 이후의 행보에 대해 불만을 가지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6]
[7] 8승 4무[8] 3위와 승점차가 4점으로 1승 1무만 거두었어도 챔스 플레이오프 진출, 2승이면 3위로 챔스 진출을 이룰 수 있었다.[9] 이는 스트라스부르 입장에서 더욱 아쉬운 것이, 스트라스부르는 챔스 개편 후 역사상 단 한번도 챔스를 진출한 적이 없기 때문이다..[10] 임대[11] 임대[12] 24-25 시즌 완전 이적[13] 첼시로 복귀한 안드레이 산투스를 대체할 것으로 보이며, 실제로 스트라스부르에서 먼저 스카우팅을 한 선수를 재정상의 이유로 첼시가 먼저 영입해준 쪽이라고 한다.[14] 다만 첼시로의 1시즌 뒤 이적이 확정사항은 아니고, 이 결정은 첼시 FC가 가지고 있다고 한다.[15] 현 회장, 1991년부터 1996년까지 스트라스부르 소속으로 뛰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