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월드 게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1981 산타클라라 | 1985 런던 | 1989 카를스루에 | 1993 헤이그 | 1997 라티 |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
2001 아키타 | 2005 뒤스부르크 | 2009 가오슝 | 2013 칼리 | 2017 브로츠와프 |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
2022 버밍햄 | 2025 청두 | 2029 카를스루에 | 미정 | 미정 |
개최국: 중화 타이베이(대만)
개최 도시: 가오슝시
개막일: 2009년 7월 16일
폐막일: 2009년 7월 26일
1. 개요
2009년 중화 타이베이(대만) 가오슝시에서 개최한 월드 게임. 총 참가국은 105개국.2. 상징
대회 상징은 가오슝시의 가오에 해당하는 한자 '高'를 형상화한 것인데, 사실 시의 로고를 그대로 갖다 쓴 것이다.3. 여담
- 마잉주 중화민국 총통(대통령)이 직접 개회사를 했다.
- 대만은 중화 타이베이로 참가해야 해서 청천백일만지홍기를 쓸 수 없고 매화기를 써야 하는데, 약간의 꼼수를 썼다. 시설물이 대만 영토에 있으므로 청천백일만지홍기를 올리고 선수단은 중화 타이베이이니 매화기를 올리는 방법을 사용한 것.
머리 잘 쓰네 - 대한민국은 인라인롤러를 포함해 스쿼시, 댄스스포츠, 수상스키, 볼링, 산악, 보디빌딩, 우슈, 당구 등 9개 종목에 선수 34명과 임원 14명 등 모두 48명이 출전했다.
추가로 대한민국은 츄크볼 선수 14명 임원 2명이 출전했다. - 대만이 개최한 첫 세계 스포츠 대회라 그런지 아예 가오슝 첩운 홍선(지하철)에 새로운 역까지 만들어놨다. 바로 월드 게임역(世運站).
- 대만은 이 대회 개최를 위해 주경기장인 가오슝 국립경기장을 신축하였는데, 이는 월드 게임 개최를 위해 주경기장을 신축한 최초이자 유일한 사례다. 물론 국제사회에서 외면받으며 웬만한 국제행사 하나 개최하기 힘든 대만의 절실함을 감안할 필요는 있겠으나, 고작 월드 게임 대회 진행을 위해 경기장은 신축한 것은 돈낭비이며 실제로도 대회 이후 활용도가 상당히 낮은 편이다. 그러나, 대만 내에서 야구장을 제외한 대형 체육시설이 거의 없는데다 종합운동장도 타이베이를 제외하면 좌석이 없는 스타디움이라 여러가지 무리를 해서라도 경기장을 신축하였다. 오히려 문제라면 가오슝 내에 건축한 지 20여년 밖에 되지 않은 종합운동장과 중복 시설이라 결국 기존 시설은 관중석을 철거하였고, 그나마 하나라도 제대로 지었음에도 활용도가 낮다는 점이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