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31 20:01:25

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과학사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15 개정 교육과정/과학과/고등학교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18~'24 高1)
공통 과목
(1학년)
선택 과목
일반 선택 진로 선택
{{{#!wiki style="margin: 0px -10px; word-break: keep-all;"
※ 고급 물리학, 고급 화학, 고급 생명과학, 고급 지구과학 및 실험 과목은 과학 계열 전문 교과에서 다룬다(해당 둘러보기 틀 참고).
■ 이전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 이후 교육과정: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과학과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과학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2020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09 개정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조 바람.
2021학년도 사회탐구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동아시아사 · 세계사 · 정치와 법 · 경제 · 사회·문화최대 택 2
과학탐구 물리학Ⅰ · 화학Ⅰ ·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 물리학Ⅱ · 화학Ⅱ · 생명과학Ⅱ · 지구과학Ⅱ최대 택 2
2022학년도 ~
2027학년도
사회탐구 · 과학탐구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지리 · 세계지리 · 동아시아사 · 세계사 · 경제 · 정치와 법 · 사회·문화 · 물리학Ⅰ · 화학Ⅰ · 생명과학Ⅰ · 지구과학Ⅰ · 물리학Ⅱ · 화학Ⅱ · 생명과학Ⅱ · 지구과학Ⅱ최대 택 2
2028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22 개정 교육과정(다음 교육과정) 문서 참조 바람.
}}}}}}}}} ||

1. 개요2. 과학사
2.1. 과학이란 무엇인가?2.2. 서양 과학사2.3. 동양 및 한국 과학사2.4. 과학과 현대 사회

1. 개요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의 진로 선택 과목으로, 보통 학교에서는 고등학교 2~3학년때 배운다.
‘과학사’는 일반계 고등학교나 과학 계열 고등학교에서 과학에 흥미와 관심이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며, 과학사를 학습함으로써 과학의 본성 및 사회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과목이다. 이 과목의 학습을 통해 올바른 과학자상을 정립하고 과학 ·기술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도록 한다.
‘과학사’는 과학의 역사와 그것을 이해하는 틀로서의 과학철학으로 구성된다. 과학의 역사는 서양 과학사와 동양 및 한국 과학사를 다룬다. 과학철학은 과학의 본성과, 과학에 대한 철학적 및 역사적 접근, 과학과 사회와의 관계를 다룬다.
‘과학사’에서는 과학적 사고력, 과학적 탐구 능력, 과학적 문제 해결력,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 과학적 참여와 평생 학습 능력 등의 과학과 핵심역량을 함양하도록 한다.

2. 과학사

2.1. 과학이란 무엇인가?

  • 과학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인식론적 주장을 알아보고 과학이 지향하는 목표와 방향을 이해할 수 있다.
  • 연역 추론과 귀납 추론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베이컨의 귀납 주의와 그 한계를 설명할 수 있다.
  • 가설 연역적 방법의 의미를 알고, 포퍼의 반증 주의의 내용과 그 한계를 설명할 수 있다.
  • 과학의 역사를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보는 쿤의 과학관을 이해하고 그 한계를 설명할 수 있다.
  • 과학의 역사적 발전을 이해하는 방법으로 내적 접근과 외적 접근의 차이와 이들의 상호 보완성을 설명할 수 있다.
  • 과학을 다른 학문과 비교하여 생각해 보고, 과학의 본성이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2. 서양 과학사

  • 이집트와 메소포타미아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과학의 특징을 알고, 과학의 형성에 영향을 미친 사회, 문화적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 그리스, 로마를 중심으로 발전한 과학을 통하여 서구의 과학이 어떻게 출발했는지 설명할 수 있다.
  • 로마의 분열과 르네상스가 일어나기까지의 약 1,000년 간의 암흑 시기인 중세에 나타난 서구의 과학을 이해하고, 이를 통하여 근대 과학의 태동을 설명할 수 있다.
  • 르네상스에 의한 사회적인 변화 이후에 16~17세기에 일어난 과학 혁명을 이해하고 근대 과학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 코페르니쿠스, 티코 브라헤, 케플러, 뉴턴 등의 연구를 통하여 이루어진 천문학 혁명의 배경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역학 영역에서 갈릴레이, 데카르트, 뉴턴의 연구를 이해하고, 고전 역학 혁명의 배경과 내용을 설명할 수 있다.
  • 라부아지에 연소 이론, 돌턴의 원자설, 멘델레예프의 주기율표 등의 과학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 다윈의 진화론의 배경과 근대 생물학 연구의 과학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 열역학이 성립된 과정과 그 과학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 빛과 색에 대한 철학적 탐구에서 전자기학 이론이 형성되기까지의 과정과 과학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 양자론과 상대성 이론의 과학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 왓슨과 크릭의 DNA 구조 발견을 비롯한 20세기의 유전에 대한 연구를 포함한 생명공학 연구의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 대륙 이동설, 맨틀 대류설 등 지구 내부를 이해하기 위한 여러 이론의 과학사적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 여러 과학 혁명이 끼친 사회적 영향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 신약 개발, 신소재 개발 및 나노 화학, 우주 개발 등과 같은 현대 과학의 발전과 그 의의를 설명할 수 있다.

2.3. 동양 및 한국 과학사

  • 중국을 중심으로 동양 전통 과학의 발전 과정을 이해한다. 특히, 자연 세계를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늘의 운행과 원리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 중국, 일본, 한국에서 서양의 근대 과학의 수용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인도에서 수학과 과학이 발전할 수 있었던 역사적 배경과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이슬람 세계에서 발전한 과학의 내용을 이해하고, 이슬람 과학이 서구로 유입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삼국 시대부터 조선 시대에 이르기까지 한국에서의 과학과 기술이 발전하는 과정을 이해하고 우리 과학의 독창성과 우수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한국 현대 과학의 발전 과정을 이해하고, 최근 세계 과학계에서의 한국 과학이 갖는 위상을 소개할 수 있다.

2.4. 과학과 현대 사회

  • 과학의 역사에서 찾을 수 있는 과학과 종교, 정치, 문화 등의 연관성을 통해 사회 속에서의 과학이 갖는 역할을 토의할 수 있다.
  • 최근의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른 윤리적인 쟁점 사례를 이용하여 과학자로서 갖추어야 할 연구 윤리, 생명 윤리 등에 대하여 토의할 수 있다.
  • 현대 사회에서 과학과 기술, 사회와의 관련성에 대해서 토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