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ff,#1c1d1f> |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keep-all" | <colbgcolor=#196ab2><colcolor=#fff> 주요 정보 | 유치 과정 · 경기 종목 · 대회 진행 · 대한민국 대표팀 · 대한민국 중계 현황 · 메달 순위 · 비판 및 문제점 | |
개별 종목 | |||
| |||
마스코트 빈빈, 니니 · 개·폐회식장 하얼빈 국제 컨벤션 전시 스포츠 센터 · 개회 선언자 시진핑 · 성화 점화자 장훙 | |||
{{{#!wiki style="margin: -5px -5px" | | 氷雪同夢, 亞洲同心 Dream of Winter, Love among Asia 겨울의 꿈, 아시아의 사랑 |
[clearfix]
1. 개요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 게임의 비판 및 문제점을 정리해 놓은 문서.2. 중국 편파 판정 논란
2.1. 1일차
2.1.1. 린샤오쥔의 금메달에 대한 밀어주기 의혹
대한민국 선수인 박지원이 1위를 하고 있자, 린샤오쥔 선수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던 쑨룽 선수가 아무도 모르게 오른손으로 린샤오쥔의 엉덩이를 밀었다. 다만, 심판진의 별다른 조치가 없었다. 누가 봐도 심판진들은 이 경기를 가장 자세히 보고 알고 있는 사람들인데도 말이다. 쇼트트랙 대표팀 관계자는 "심판 판정은 15분 이내에 문제를 제기해야 하는데, 중국의 반칙 플레이를 15분이 지난 뒤 알게 됐다"고 밝혔다. 국내 빙상계 관계자는 8일 "중계 영상을 보면, 중국 대표팀 쑨룽이 린샤오쥔을 뒤에서 밀어줬다"라며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의 규정에 위배되는 행위"라고 꼬집었다. #[1][2]
2.1.2. 쇼트트랙 1500m 준결승 손바닥 밀치기에 대한 편파 판정
역시나 또 중국 선수인 장이제가 카자흐스탄 선수인 올가 선수가 치고 올라오자, 장이제 선수가 올가 선수를 밀쳤다. 큰 영향은 기치지 않았지만, 절대로 정당하지 않은 플레이를 엿 볼 수 있었다. 그런데도 장이제에게는 실격 처리가 되지 않았다.
2.2. 2일차
2.2.1. 쇼트트랙 남녀 계주 결승전 편파 판정 논란
여자 3000m 계주 결승에서 중국의 장추통이 대한민국의 김길리를 추월하는 과정에서 김길리를 손으로 밀어 버려 김길리가 넘어졌으나 중국의 페널티가 적용되지않았으며 리플레이 화면도 의도적으로 손으로 밀친 장면이 제대로 안 보이는 방향의 앵글을 내보네 논란이 되었다.
남자 5000M 계주 결승에서 중국의 린샤오쥔[3]이 먼저 박지원을 밀고 그로인해 박지원이 휘청거리며 두선수간에 충돌이 발생했다, 그로인해 린샤오쥔은 넘어지고 박지원은 밖으로 밀려나 2등으로 결승선을 통과했다. 다만 이후 박지원이 먼저 린샤오쥔을 밀쳤다는 이유로 대한민국의 패널티를 선언해 메달획득을 실패하고 중국은 어드벤티지로 동메달을 획득해 논란이 되었다.[4]
2.2.2. 남자 아이스 하키 페널티 판정
대한민국 골리에게 카자흐스탄 선수가 달려들려하자 막은 대한민국 선수에게 페널티 줬다.[5] 이후에도 1분 34초를 남겨두고 또 페널티를 선언했다.3. 여담
[1] 다만 반칙행위가 드러난다 하더라도 금메달을 되찾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 어쨌든 린샤오쥔을 민 건 쑨룽이고 이럴 경우 린샤오쥔이 다른 한국선수들을 밀거나 심판에 뇌물(?) 같은 청탁을 하거나 쑨룽과 사전모의 한 것을 증명해내지 못하는 이상 린샤오쥔이 쑨룽에 의한 반칙의 피해자(?)로 설정되어(...) 오히려 책임을 안묻고 쑨룽만 꼬리짜르기 식으로 실격시키면 어차피 쑨룽은 4위로 들어온지라 메달 색깔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2] 다만 문제는 이런 걸 그냥 넘어갔다가는 선례가 생겨 나중에 더 큰 불이익을 받는 상황이 닥칠 수 있다!!! 아무리 빙엿이라고 욕먹던 시절에서 어느 정도 물갈이되긴 했지만 다른 종목에서 보았듯이 제시간 내에 이의제기를 못하면 경기결과가 그대로 확정되는 불상사가 터지는 것을 막기 위해 협회의 이런 상황에 대비한 코치들의 경기에 대한 세밀한 관찰 능력과 신속한 이의제기 능력, 이를 넘어선 유승민의 새로운 대한체육회의 스포츠 외교력 증대가 필요하다.[3] 임효준[4] 대한민국 반응은 엇갈린다. 린샤오쥔이 대충 봐서는 눈치채기 어려울 정도로 은밀하게 박지원의 허벅지를 먼저 밀었고 이때문에 박지원이 휘청 거리다가 팔동작을 크게해버려 대충보면 박지원이 먼저 민걸로 보이기 때문.[5] 이미 골리가 공을 잡았음에도 달려들자 막은 것이다.